KR102371939B1 - 내구성 향상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내구성 향상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939B1
KR102371939B1 KR1020200165855A KR20200165855A KR102371939B1 KR 102371939 B1 KR102371939 B1 KR 102371939B1 KR 1020200165855 A KR1020200165855 A KR 1020200165855A KR 20200165855 A KR20200165855 A KR 20200165855A KR 102371939 B1 KR102371939 B1 KR 102371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vibrator assembly
insertion groove
injection ho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구
Original Assignee
(주)휴러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러스트 filed Critical (주)휴러스트
Priority to KR102020016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B06B2201/72Welding, joining,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자 조립체를 이루는 플랜지에 외부 공기를 통해 부스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 유로가 형성되고, 또한 설비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진동흡수단을 마련하고, 나아가 진동자 조립체가 설비 측에 기울어진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지를 쉽게 확인하고 조절하기 위한 수평계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별도의 부품을 추가함이 없이도 초음파 융착기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진동자 조립체의 내부 발열, 설비 측으로 진동 전달 및 설치 자세의 변화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최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구성 향상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Vibration assembly of ultrasonic fusion apparatus with improved durability}
본 발명은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동자 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융착기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직물의 접합 부위에 초음파 진동을 주어 순간적인 마찰열을 발생시켜서 접합 부위를 녹인 후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초음파 융착기는 크게 초음파 발진기와 진동자 조립체로 구성된다. 초음파 발진기는 100~250v, 50/60 Hz의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15~50 kHz의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진동자 조립체는 초음파 발진기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여 융착 대상물에 진동을 가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진동자 조립체는 크게 컨버터(Converter), 부스터(Booster) 및 혼(Horn)으로 구성된다. 컨버터(또는 트랜스듀서)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에너지로 변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전세라믹을 이용하는 BLT(Bolted Lanjuban Transducer) 등이 사용된다. 부스터는 컨버터에서 발생되는 초기 진동 에너지를 가공 비율에 따라 증감시키는 것이다. 혼은 융착 대상물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컨버터로부터의 초음파 진동을 융착 대상물에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스터의 외주면 둘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진동자 조립체를 설비 측에 장착시키는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진동자 조립체에서 컨버터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에너지 누적에 따른 내부 발열로 인해 진동자 조립체가 조기에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공진주파수가 변화하여 융착 대상물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융착기는 융착 중에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상 진동자 조립체의 설치 자세가 수직 또는 수평 자세에서 기울어진 자세로 변화될 수 있다. 진동자 조립체가 기울어진 자세로 융착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융착 대상물에 정확한 진동을 가하여 융착시킬 수 없게 되어 융착 품질의 저하는 물론 진동자 조립체의 내구성 면에서도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진동자 조립체는 플랜지를 통해 설비 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융착이 수행될 때 초음파 진동이 플랜지를 통해 설비 측으로도 전달되어 소음은 물론 진동자 조립체의 내구성 저하가 야기될 수 있어 설비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방안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한편, 초음파 융착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9366호에는 외부 공기를 이용하여 진동자 조립체의 발열을 냉각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외부 공기를 도입하기 위해 진동자 조립체의 기본 구성 이외에 통 구조로 이루어진 냉각장치본체, 고정브라켓, 공기분사구 등과 같은 추가적인 부품들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진동자 조립체의 제조 단가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크기도 증대되어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장 라인에 기 설치된 융착 설비에 그대로 설치할 수 없어 융착 설비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수 추가에 따른 진동자 조립체의 구조의 복잡화로 인한 내구성의 저하는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 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9355호(발명의 명칭: 공랭장치가 구비된 초음파 융착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초음파 융착기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진동자 조립체의 내부 발열, 설비 측으로 진동 전달 및 설치 자세의 변화에 의한 내구성 저하와 융착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서, 즉 진동자 조립체를 이루는 기본 구성들에 의해 내부 발열, 설비 측으로 진동 전달 및 설치 자세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진동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자 조립체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서 발생된 초기 진동 에너지를 가공 비율에 따라 증감시키는 부스터와, 상기 부스터로부터의 진동 에너지를 융착 대상물에 전달하는 혼과, 상기 부스터의 외측면을 둘레에 형성되어 설비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컨버터 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진동자 조립체에 별도의 부품을 추가함이 없이 진동자 조립체의 기본 구성을 이루는 플랜지에 외부 공기를 도입하여 진동자 조립체에서 발열이 가장 심한 컨버터 측으로 공급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내부 발열에 따른 내구성 저하를 해결 수 있고, 또한 진동자 조립체의 기본 구성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기존 설비 측의 설계 변경 없이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일측에 제1주입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주입홀과 연통되는 제1요입홈이 내부에 형성된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에 밀착되고, 상기 제1주입홀과 함께 공기 주입홀을 형성하는 제2주입홀이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주입홀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요입홈과 함께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제2요입홈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는 다수의 공기 배출홀이 상기 컨버터를 향해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플랜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서로 분할된 2개의 플랜지에서 서로 접하는 외측 면에 각각 홈을 형성하여 공기 유로를 조성함으로써 플랜지에 공기 유로를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부스터는 외측면 둘레에는 돌출링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에는 상기 돌출링이 삽입되는 제1내부 삽입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내부 삽입홈에는 상기 돌출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오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2플랜지에는 상기 돌출링이 삽입되는 제2내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부 삽입홈에는 상기 돌출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오링이 설치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분할된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링의 상면과 하면에 탄성 재질의 오링을 각각 설치함으로써 융착 설비 측으로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랜지는 상기 제1요입홈의 바깥쪽에 제1외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2요입홈의 바깥쪽에 제2외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외부 삽입홈과 제2외부 삽입홈에는 패킹링이 설치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분할된 플랜지 사이에 탄성 재질의 패킹링을 추가로 더 설치함으로써 플랜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누설을 최소화하면서도 융착 설비 측으로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홀을 형성하는 벽면에는 나선이 형성된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배출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컨버터를 향한 경사진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토출됨으로써 컨버터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면서 전달될 수 있어 냉각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의 상면에는 수평계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평계는 2개가 설치되고, 2개의 수평계는 상기 부스터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본다.
상술한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평계를 통해 진동자 조립체의 설치 자세의 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체로 설치된 수평계를 통해서 수평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컨버터 측을 냉각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을 추가함이 없이 진동자 조립체에서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플랜지를 통해 외부 공기를 컨버터 측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기존 융착 설비 측의 설계 변경 없이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분할된 2개의 플랜지에서 서로 접하는 외측 면에 홈을 형성하여 공기 유로를 조성함으로써 플랜지에 공기 유로를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설비 측에 장착되는 플랜지 사이에 2개의 오링과 1개의 패킹링을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손실을 막으면서도 초음파 진동이 설비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의 공기 배출홀로 배출되는 외부 공기가 컨버터 방향으로 경사지게 나선 형태로 토출되기 때문에 컨버터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전달될 수 있어 냉각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에 수평계가 설치되므로 혼을 미세하고 정밀하게 수평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이 융착 대상물에 제대로 밀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자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자 조립체의 플랜지 조립체 단면을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자 조립체의 플랜지 조립체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의 플랜지 조립체 단면을 보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의 플랜지 조립체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는 컨버터(100)와 부스터(200) 및 혼(300)을 포함하고, 부스터(200)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플랜지 조립체(400)를 통해 융착설비에 고정된다. 이러한 진동자 조립체는 혼(300)이 융착설비에 설치될 때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혼(300)이 융착설비에 설치될 때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도면에서는 혼(300)이 하측을 향하게 설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동자 조립체는 부스터(200)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링(200a)을 둘러싸는 플랜지(400)가 구비된다.
상기 플랜지(400)는 부스터(200)의 바깥쪽을 향해 원형으로 돌출된 제1플랜지(410)와, 부스터(200)의 바깥쪽을 향해 원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플랜지(410)의 저면에 밀착되는 제2플랜지(420)로 구성된다. 즉, 플랜지(400)는 서로 분할된 구조로 상하로 결합되어 하나의 플랜지를 이루게 딘다.
상기 제1플랜지(410)는 일측에 제1주입홀(4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주입홀(411)와 연통되는 제1요입홈(412)이 내부에 형성되고, 제1내부 삽입홈(413)이 저면에 형성되며, 제1내부 삽입홈(413)의 바깥쪽에 제1외부 삽입홈(4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주입홀(411)은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제1플랜지(4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주입홀(411)은 일측단이 제1플랜지(410)의 바깥쪽 공간에 연통되고, 타측단이 제1요입홈(412)에 연통된다.
상기 제1요입홈(412)은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제1플랜지(410)의 저면에 일정 깊이로 둥글게 형성된다.
상기 제1내부 삽입홈(413)은 제1플랜지(410)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내부 삽입홈(413)에는 부스터(200) 돌출링(200a)의 상측 절반부분이 삽입된다.
한편, 제1내부 삽입홈(413)에는 제1오링(43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오링(430)은 돌출링(200a)의 일측을 지지한다. 즉 제1오링(430)은 상단이 제1플랜지(410)의 내벽면에 접촉되고 하단이 돌출링(200a)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1오링(430)은 공기유로(400b)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빈 틈을 통하여 플랜지 조립체(400)의 안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외부 삽입홈(414)은 제1플랜지(41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요입홈(412)의 바깥쪽에 알파벳 'C'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외부 삽입홈(414)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형태로 제1플랜지(410)의 저면에 형성되는데, 양 끝단은 제1주입홀(411)과는 연통되지 않도록 제1주입홀(411)의 근처에서 막힌다.
상기 제2플랜지(420)는 제1플랜지(410)의 저면에 볼팅되어 밀착된다.
이러한 제2플랜지(420)는 일측에 제2주입홀(4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주입홀(421)과 연통되는 제2요입홈(422)이 내부에 형성되고, 제2내부 삽입홈(423)이 저면에 형성되며, 제2내부 삽입홈(423)의 바깥쪽에 제2외부 삽입홈(424)이 형성된다. 더불어 제2플랜지(420)에는 컨버터(100)를 향해 안쪽으로 경사진 다수의 공기 배출홀(425)이 형성된다.
상기 제2주입홀(421)은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제2플랜지(420)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주입홀(421)은 일측단이 제2플랜지(420)의 바깥쪽 공간에 연통되고, 타측단이 제2요입홈(422)에 연통된다.
그리고, 제2주입홀(421)은 제1주입홀(411)과 함께 공기 주입홀(400a)을 형성한다. 즉 제1플랜지(410)와 제2플랜지(420)가 밀착되었을 때 제1주입홀(411)과 제2주입홀(421)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공기 주입홀(400a)을 형성한다.
상기 제2요입홈(422)은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제2플랜지(420)의 상면에 일정깊이로 둥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요입홈(422)은 제1요입홈(412)과 함께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공기유로(400b)를 형성한다.
상기 제2내부 삽입홈(423)은 제2플랜지(420)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1플랜지(410)와 제2플랜지(420)가 밀착되었을 때 제2내부 삽입홈(423)은 제1내부 삽입홈(413)과 서로 마주본다. 이러한 제2내부 삽입홈(423)에는 부스터(200) 돌출링(200a)의 하측 절반부분이 삽입된다.
한편, 제2내부 삽입홈(423)에는 제2오링(44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오링(440)은 돌출링(200a)의 타측을 지지한다. 즉 제2오링(440)은 상단이 돌출링(200a)에 접촉하고 하단이 제2플랜지(420)의 내벽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제2오링(440)은 제1오링(430)과 마찬가지로 공기유로(400b)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빈 틈을 통하여 플랜지 조립체(400)의 안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2외부 삽입홈(424)은 제2플랜지(42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요입홈(422)의 바깥쪽에 알파벳 'C'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2외부 삽입홈(424)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형태로 제2플랜지(420)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양 끝단은 제2주입홀(421)과는 연통되지 않도록 제2주입홀(421)의 근처에서 막힌다.
한편, 제1플랜지(410)와 제2플랜지(420)가 밀착되었을 때 제1외부 삽입홈(414)과 제2외부 삽입홈(424)은 서로 마주보게 되는데, 이렇게 마주보는 제1외부 삽입홈(414)과 제2외부 삽입홈(424)에는 패킹링(450)이 설치된다.
상기 패킹링(450)은 제1외부 삽입홈(414) 및 제2외부 삽입홈(424)과 같은 형태 즉 알파벳 'C'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기유로(400b)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빈 틈을 통하여 플랜지 조립체(400)의 바깥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제1오링(430)과 제2오링(440) 및 패킹링(450)은 앞서 기재한 것처럼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초음파 융착 작업시에 발생되는 초음파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공기 배출홀(425)은 상단이 공기유로(400b)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컨버터(100)를 향해 안쪽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배출홀(425)은 공기 주입홀(400a)을 통해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컨버터(100)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시킨다.
부연하면, 초음파 융착 설비에 구비된 실린더의 공압 라인을 분기시키킨 후 분기된 라인 하나를 공기 주입홀(400a)에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한다. 이렇게 공기 주입홀(400a)에 주입된 공기는 공기유로(400b)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 배출홀(425)을 통하여 컨버터(100)를 향해 외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공기 배출홀(425)을 형성하는 제2플랜지(420)의 내벽면에는 나선(425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홀(425)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강한 와류를 형성하면서 컨버터(100)의 둘레를 따라 통과되어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플랜지(410)의 상면에는 수평계(500)가 설치되어, 플랜지의 수평 상태, 다른 의미로는 진동자 조립체의 수직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수평계(500)는 투명한 관 내부에 액체가 주입되어져 있으며, 관 내부에는 기포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수평 정도를 파악 가능하도록 눈금이 표시되어져 있다.
이러한 수평계(500)는 초음파 융착 작업시 또는 작업 완료 후에 진동자 조립체의 자세가 기울어진 것을 확인하는 수단으로서, 진동자 조립체의 자세가 기울어진 경우에 작업자는 수평계(500)를 보면서 융착 설비에 구비된 수평 조절수단을 조작하여 플랜지의 수평을 조절함으로써 혼(300)이 정확한 곳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평계(500)는 본 발명에서는 부스터(20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2개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수평계(500)는 제1플랜지(41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제1플랜지(410)의 상면에 매립되게 설치하여 수평계(500)가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100: 컨버터 200: 부스터
200a: 돌출링 300: 혼
400: 플랜지 400a: 공기 주입홀
400b: 공기유로 410: 제1플랜지
411: 제1주입홀 412: 제1요입홈
413: 제1내부 삽입홈 414: 제1외부 삽입홈
420: 제2플랜지 421: 제주입홀
422: 제2요입홈 423: 제2내부 삽입홈
424: 제2외부 삽입홈 425: 공기 배출홀
425a: 나선 430: 제1오링
440: 제2오링 500: 수평계

Claims (7)

  1.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컨버터(100)와; 상기 컨버터에서 발생된 초기 진동 에너지를 가공 비율에 따라 증감시키는 부스터(200)와; 상기 부스터(200)로부터의 진동 에너지를 융착 대상물에 전달하는 혼(300)와; 상기 부스터(200)의 외측면 둘레에 형성되어 융착 설비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컨버터 측으로 공급될 수 있는 공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플랜지(4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400)는 일측에 제1주입홀(41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주입홀(411)과 연통되는 제1요입홈(412)이 내부에 형성된 제1플랜지(410)와;
    상기 제1플랜지(410)에 밀착되고, 상기 제1주입홀(411)과 함께 공기 주입홀(400a)을 형성하는 제2주입홀(421)이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2주입홀(421)과 연통되면서 상기 제1요입홈(412)과 함께 공기유로(400b)를 형성하는 제2요입홈(422)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로(400b)와 연통되는 다수의 공기 배출홀(425)이 상기 컨버터(100)를 향해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플랜지(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200)는 외측면에 돌출링(20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410)에는 상기 돌출링(200a)이 삽입되는 제1내부 삽입홈(41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내부 삽입홈(413)에는 상기 돌출링(200a)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오링(430)이 설치되며,
    상기 제2플랜지(420)에는 상기 돌출링(200a)이 삽입되는 제2내부 삽입홈(423)이 형성되고, 상기 제2내부 삽입홈(423)에는 상기 돌출링(200a)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오링(4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410)는 상기 제1요입홈(412)의 바깥쪽에 제1외부 삽입홈(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420)는 상기 제2요입홈(422)의 바깥쪽에 제2외부 삽입홈(424)이 형성되며,
    상기 제1외부 삽입홈(414)과 제2외부 삽입홈(424)에는 패킹링(4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홀(425)을 형성하는 벽면에는 나선(42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00)에는 수평계(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계(500)는 2개가 설치되고, 2개의 수평계(500)는 상기 부스터(200)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KR1020200165855A 2020-12-01 2020-12-01 내구성 향상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KR102371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55A KR102371939B1 (ko) 2020-12-01 2020-12-01 내구성 향상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855A KR102371939B1 (ko) 2020-12-01 2020-12-01 내구성 향상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939B1 true KR102371939B1 (ko) 2022-03-08

Family

ID=8081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855A KR102371939B1 (ko) 2020-12-01 2020-12-01 내구성 향상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9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907A (ja) * 1994-02-16 1995-08-29 Suzuki Motor Corp 超音波溶着装置
KR20130049355A (ko) 2011-11-04 2013-05-14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반도체용 웨이퍼 결함 검사방법
JP2019181508A (ja) * 2018-04-10 2019-10-24 ブランソン・ウルトラソニ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超音波溶着システム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907A (ja) * 1994-02-16 1995-08-29 Suzuki Motor Corp 超音波溶着装置
KR20130049355A (ko) 2011-11-04 2013-05-14 (주)오로스 테크놀로지 반도체용 웨이퍼 결함 검사방법
JP2019181508A (ja) * 2018-04-10 2019-10-24 ブランソン・ウルトラソニ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超音波溶着システム冷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191C (zh) 互补型质量流量传感器
US8915146B2 (en) Magneto-inductive flow measuring device having a securement means to secure an electrode to the measuring tube
KR102371939B1 (ko) 내구성 향상된 초음파 융착기의 진동자 조립체
TW201341694A (zh) 流路連接部之密封構造
US20020014714A1 (en) Method for embedding part in base made of thermoplastic resin
KR20070058427A (ko) 물 가열기, 또는 수증기 발생기
JP2018051618A (ja) 接合構造体及び該接合構造体の製造方法
CN104110850B (zh) 热水器的复合型内胆及其制造方法、热水器
JP5431004B2 (ja) モー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46238A (ja) モー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88833B1 (ko) 튜브 피팅용 캡 고정장치
KR101950798B1 (ko) 가스 탐지를 이용한 배관의 용접 부위 검사 장치
JP2016120648A (ja) 複合成形体とその製造方法
KR101725757B1 (ko) 진공 리크 검사장치
KR20040030923A (ko)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장치
KR101917292B1 (ko) 공랭장치가 구비된 초음파 융착장치
ES1163609U (es) Sonotrodo con sistema de refrigeración
KR20080031492A (ko) 압축기
CN1754203B (zh) 用于碎石的超声冲击波发射头
KR20030048965A (ko) 신축 이음관
KR101773361B1 (ko) 진동 발생을 이용한 비수조식 압력용기 내압 검사 장치
JP2001026056A (ja) 樹脂製部品の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並びに接合装置により溶着される樹脂製部品
KR101811431B1 (ko) 노즐을 이용한 비수조식 압력용기 내압 검사 장치
JP3617333B2 (ja) 超音波溶着方法
KR102520756B1 (ko) 배관용 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