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359B1 -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359B1
KR102371359B1 KR1020200044535A KR20200044535A KR102371359B1 KR 102371359 B1 KR102371359 B1 KR 102371359B1 KR 1020200044535 A KR1020200044535 A KR 1020200044535A KR 20200044535 A KR20200044535 A KR 20200044535A KR 102371359 B1 KR102371359 B1 KR 102371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composition
trees
pests
jun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892A (ko
Inventor
이종재
Original Assignee
이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재 filed Critical 이종재
Priority to KR1020200044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35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4Lauraceae [Laurel family], e.g. laurel, avocado, sassafras, cinnamon or camph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에 식물성 재료를 혼합하고 정제수로 반죽하여 수목에 도포하는 조성물로써,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 치료에 효과를 갖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ests and diseases of trees}
본 발명은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황토에 식물성 재료를 혼합하고 정제수로 반죽하여 수목에 도포하는 조성물로써,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 치료에 효과를 갖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이라 함은 땅위줄기가 있는 목본(木本) 식물의 총칭으로 흔히 나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목질이 발달하고 줄기에 있는 형성층의 분열에 의해 물관부가 비대하게 생장한다. 수목의 피층과 물관부를 구성하는 세포에 리그닌이 침투하여 섬유소와 결합하여 딱딱하게 되며 탄성이 생긴다. 잎이 매년 떨어지는 것을 낙엽수, 겨울에도 지지 않는 상록수와 잎이 뾰족한 것은 침엽수, 넓은 것은 활엽수 등으로 나눈다.
상기 수목은 초본(草本) 식물인 풀에 대응되는 용어이며, 나무라고도 한다. 땅 위에서 자라는 줄기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겨울 동안 남아 있다가 다음해에 다시 자란다. 추운 지방과 더운 지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목질이 발달한다. 나무고사리와 참대류도 여기에 포함시킬 성질이지만 전형적인 수목은 종자식물에 들어 있다. 줄기에 있는 형성층의 분열에 의해서 물관부가 비대생장 하는 것이 풀과 다른 점이다. 크기는 불과 몇 cm에서 100여 m에 달하는 것까지 있으므로 교목(喬木) ·관목(灌木) 및 아관목(亞灌木) 등으로 구분한다. 영어의 ‘tree’는 교목을 가리킨다.
상기 수목 중 잎이 매년 떨어지는 것을 낙엽수(落葉樹), 겨울에도 떨어지지 않고 1년 이상 가지에 달려 있는 나무를 상록수(常綠樹)라고 하지만, 환경에 따라 변하는 종류도 있다. 소나무과의 식물처럼 잎이 뾰족한 나무를 침엽수(針葉樹), 상수리나무나 무궁화처럼 잎이 넓은 나무를 활엽수(闊葉樹)라고 한다. 그러나 여기에도 중간형이 있어 표현하기 어려운 종이 있다. 수목의 피층(皮層)과 물관부를 구성하는 세포에는 리그닌(lignin)이 세포막에 침투하여 섬유소와 결합함으로써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서 딱딱하게 되며 탄성이 생긴다.
한편, 병충해라 함은 병해와 충해를 포함하는 말로써, 식물이 병균이나 벌레에 의해 입는 해를 일컫는다. 병해는 곡물·채소·과수·꽃·임목 등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유용식물이 병균에 의하여 고사·부패되어 수확량이 줄어들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충해는 벌레에 의해 식해(食害)·흡수해(吸收害) 등을 입는 것을 말한다. 식물에 피해를 주는 벌레를 해충이라고 한다.
병해는 식물에 기생하는 병원(病原)에 의해 발생하는데, 전파가 빠르고 해를 입는 범위가 넓다. 병해의 피해 정도는 병원균의 종류, 작물의 종류·품종, 병해의 발생시기, 기상조건에 따라 크게 다르다. 병원에는 곰팡이, 세균, 미코플라스마, 바이러스, 비로이드 등이 있다. 해충에는 곤충 이외에 진드기·선충류가 포함되기도 하며, 해충의 종류에 따라 충해를 입히는 방법이 다르다.
충해의 원인 중 하나로 명나방류의 유충, 바구미 등은 식물을 씹거나 갉아먹어 해를 입히는데 싹·잎·꽃·열매·씨 등을 바깥쪽에서 먹는 것과 줄기 속으로 들어가 먹는 것이 있다. 말매미충, 진딧물, 노린재 등은 흡수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식물에 침 모양의 흡수구를 찔러 넣고 조직 안에 있는 즙액을 빨아먹는다. 파리·진드기·털날개류 등은 식물의 조직을 잘게 씹어 이때 배어나오는 즙액을 핥아먹음으로써 잎과 열매에 상처를 낸다. 하늘소는 산란에 의해 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알을 낳을 때 나무껍질을 잘게 씹어 해를 입히고, 나무껍질 밑이나 나뭇가지에 알을 낳는데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가 줄기 속을 파먹는다.
상기와 같은 병충해를 방제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의 줄기에 페인트를 도포하여 피해를 줄여왔다. 수목의 줄기에 페인트를 도포하는 것은 병충해 방제에 효과를 갖기는 하였으나, 화학적 성질을 갖는 페인트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으며, 생태학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좀 더 친환경적인 수목 도포형 조성물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968호에는 수목의 보호 및 상처치료용 황토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수목의 보호 및 상처치료용 황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황토 조성물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황토 40 내지 90 중량부, 전착제 001 내지 10 중량부, 살균제 및 방충제 001 내지 40 중량부 및 용매 2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에 도포 시, 수목의 보호, 살균 및 방충 효과가 우수하고, 수목의 생장 및 상처 재생을 촉진하며, 천연 성분을 구성하여 친환경적이고, 제조방법 및 시공이 간편하여 경제적인 장점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수목의 보호 및 상처치료용 황토 조성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병충해가 재발하는 등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조성물에 비해 병충해 방제 효과가 우수한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3968호(2014.03.13. 공고), "수목의 보호 및 상처치료용 황토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토에 향나무 잎, 은행 열매, 은행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모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성 원료를 혼합하여,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 치료에 효과를 갖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토,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모과 및 잔량의 정제수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황토는 30 내지 60 중량%, 상기 은행잎은 1.0 내지 10 중량%, 상기 은행열매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잎은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 열매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 씨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계피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모과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정제수는 잔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 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및 모과로 이루어진 식물성 원료는 분쇄하고 혼합하여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 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및 모과로 이루어진 식물성 원료를 분쇄하고 혼합하여 숙성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는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황토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는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상기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상기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에서 분쇄하고 혼합된 식물성 원료를 일정 기간 숙성하는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은, 수목의 줄기 주위 또는 수목의 상처에 도포하여,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 치료에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에 수목 병충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수목에 페인트를 도포한 사진.
도 2는 종래의 수목의 보호 및 상처치료용 황토 조성물을 수목의 상처에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3은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내지 9의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성 원료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도포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이 수목의 상처부위에 도포된 모습을 나타낸 사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은 황토에;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 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및 모과로 이루어진 식물성 원료; 및 정제수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황토(黃土)는 함수 산화철과 무수 산화철을 함유한 규토와 흙으로 이뤄진 자연 상태의 흙을 말한다. 황토와 같은 흙 안료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특히 전라남도 지방의 황토는 산화철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붉은 기운이 강하고, 경상도 지방의 황토는 누런 기운이 강한 편이다. 전색제(展色劑)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다른 질감의 황토색을 얻을 수 있다. 은폐력이 강하고 영구적이어서 선사 시대부터 안료로 사용되었다. 상기 황토는 낮은 압축강도로 인해 불량하게 고화된 퇴적물인데, 건조하게 유지되는 한 안정하다. 상기 황토의 분리면은 수직적인데, 이는 풀 종류의 식물뿌리 주변에 발달한 석회의 모세관 결각으로 인해 수직방향의 조직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황토는 물에 젖거나 하중을 받게 되면 쉽게 붕괴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상기 황토는 카탈라제 효소, 디페놀 옥시다아제 효소, 사카라제 효소, 프로테아제 효소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은행잎과 은행열매는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잎과 열매를 각각 지칭한다. 상기 은행나무는 신생대 에오세 시대에 번성했던 식물로 2억7천만 년 전의 화석으로 발견된다. 상기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문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식물이다. 상기 은행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 등에 주로 자란다. 상기 은행나무는 한반도 북부 및 해발 500 m 이상의 곳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중국 저장성 일대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은행나무가 발견되었으며, 그 외의 곳에서 자라는 은행은 인간에 의해 심겨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 언제 들어왔는지 확실하지는 않으나, 불교나 유교가 전래되는 과정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한다. 상기 은행나무의 종자의 배젖은 식용하며, 한방에서는 천식과 기침을 그치게 하는 데 쓴다. 독일에서 1965년 은행나무 추출액을 등록하고 상업화하였다. 은행잎에서 추출되는 징코플라본글리코사이드는 혈액순환 개선제로 쓰인다. 한편, 은행나무씨에는 MPN(4-methoxypyridoxine)이라는 유해 성분이 들어 있어 많이 먹으면 치명적일 수 있다. 가열을해도 이 독성 물질은 파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은행열매는 은행나무 열매의 과육과 씨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과육과 씨 모두를 한 번에 갈아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과육만을 갈아서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향나무 잎과 향나무 열매 및 향나무 씨는 향나무(Juniperus chinensis)의 잎과 열매 및 씨를 지칭한다. 상기 향나무 잎은 향나무의 잎을 사용하며, 상기 향나무 열매는 씨앗을 분리한 과육 부분만을 지칭한다. 상기 향나무 씨는 향나무의 씨앗 만을 사용한다. 상기 향나무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이다. 상기 향나무의 높이는 약 20m까지 자란다. 상기 향나무의 새로 돋아나는 가지는 녹색이고 3년생 가지는 검은 갈색이며 7∼8년생부터 비늘 같은 부드러운 잎이 달리지만 새싹[맹아:萌芽]에서는 잎사귀에 날카로운 침이 달려있다. 상기 향나무의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가지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밀생한다. 또한, 상기 향나무 잎이나 줄기에는 α-pinene이나 limonene 등의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향료 또는 고혈압, 심한 복통, 곽란 등의 치료제로 쓰인다.
상기 계피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녹나무속(Cinnamomum)에 속하는 몇 종의 육계나무에서 새로 자란 가지의 연한 속껍질(bark)을 벗겨 말린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계피나무(C. cassia), 실론계피나무(C. verum), 생달나무(C. yabunikkei), 로우레이로이 녹나무(C. loureiroi), 인도네시아 시나몬(C. burmanni.), 인도 시나몬(C. tamala)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녹나무속의 건조된 나무껍질은 만곡상 혹은 반쯤 말려 있는 상태이며, 불규칙한 조각을 이룬다. 상기 계피의 두께는 대개 3㎜이며 바깥 부위의 색은 흑갈색 또는 흑적색으로 되었고 회백색의 꽃과 같은 반점이 있다. 상기 계피는 안쪽은 암홍적색에서 흑적색을 띠며 절단면의 바깥 층은 회갈색이다. 상기 계피의 산지는 주로 중국의 남부, 일본 남부, 월남, 캄보디아, 태국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다. 상기 계피는 후추, 정향과 함께 세계 3대 향신료 중 하나이다. 상기 계피의 약효 성분은 휘발성 정유 성분이 약 1%인데, 그 중에 펠란드렌(Phellandrene), 유게놀(Eugenal), 메틸유게놀(Methyleugua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모과는 모과나무(Chaenomeles sinensis)의 열매를 칭한다. 상기 모과나무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으로 중국 원산이며 관상수·과수 또는 분재용으로 심는다. 나무껍질이 조각으로 벗겨져서 흰무늬 형태로 된다. 상기 모과나무는 높이 10m에 달한다. 상기 모과나무는 어린 가지에 털이 있으며 두해살이 가지는 자갈색의 윤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상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상기 모과나무는 잎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밑부분에는 선(腺)이 있으며 턱잎은 일찍 떨어진다. 상기 모과나무의 꽃은 연한 홍색으로 5월에 피고 지름 2.5∼3cm이며 1개씩 달린다. 상기 모과나무의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이 오목하다. 상기 모과나무의 열매는 이과(梨果)로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길이 10∼20cm, 지름 8∼15cm이며 목질이 발달해 있다. 9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향기가 좋으나 신맛이 강하다. 상기 모과는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당분(과당)·칼슘·칼륨·철분·비타민C가 들어 있고, 타닌 성분이 있어 떫은맛이 나며 사과산·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들어 있어 신맛이 난다. 상기 모과는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기능을 좋게 하므로 속이 울렁거릴 때나 설사할 때 먹으면 편안해진다. 상기 모과는 신진대사를 좋게 하여 숙취를 풀어주고, 가래를 없애주어 한방에서는 감기나 기관지염·폐렴 등에 약으로 쓴다. 목 질환에도 효과적이나 소변의 양이 줄어들므로 주의해야 한다.
상기 정제수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용해된 이온, 고체입자, 미생물, 유기물 및 용해된 기체류 등 불순물을 제거한 물을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은 상기 황토가 30 내지 60 중량%, 상기 은행잎이 1.0 내지 10 중량%, 상기 은행열매가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잎이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 열매가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 씨가 1.0 내지 10 중량%, 상기 계피가 1.0 내지 10 중량%, 상기 모과가 1.0 내지 10 중량% 포함되며, 상기 정제수는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황토,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모과 및 잔량의 정제수 모두가 혼합된 경우에, 수목에 도포 시,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토,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모과 및 잔량의 정제수 모두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얻기 위하여, 우선,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 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및 모과로 이루어진 식물성 원료를 분쇄하고 혼합하여 숙성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는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를 수행한다.
우선,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은행잎은 1.0 내지 10 중량%, 상기 은행열매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잎은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 열매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향나무 씨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계피는 1.0 내지 10 중량%, 상기 모과는 1.0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측정하여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혼합한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에서 분쇄하고 혼합된 식물성 원료를 일정 기간 숙성하는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를 추가로 더 거칠 수 있을 것이다. 분쇄하고 혼합한 식물성 원료의 숙성은 상온에서 진행되는 것이 적절하며,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실내에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분쇄하고 혼합한 식물성 원료의 숙성은 1 내지 3일 정도 수행되는 것이 적절한데, 숙성기간 동안,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 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및 모과의 분쇄물이 서로에 대하여 상호작용을 일으켜,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황토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는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황토는,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60 중량%가 되도록 투입한다. 상기 정제수는 상기 황토의 중량과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 단계(S10)에서 투입된 식물성 원료의 중량을 합산한 후, 잔량으로 포함되도록 투입한다. 투입된 황토와 정제수는 교반하면서 혼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상기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의 제조단계를 거쳐 완성된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은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 치료에 효과를 갖는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실시예 1. 황토,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모과 및 잔량의 정제수 모두가 혼합된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1의 황토,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모과 및 잔량의 정제수 모두가 혼합된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은행잎 5.0 중량%, 은행열매 5.0 중량%, 향나무잎 5.0 중량%, 향나무 열매 5.0 중량%, 향나무 씨 5.0 중량%, 계피 5.0 중량%, 모과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혼합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숙성단계를 배제한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2의 숙성단계를 배제한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은행잎 5.0 중량%, 은행열매 5.0 중량%, 향나무잎 5.0 중량%, 향나무 열매 5.0 중량%, 향나무 씨 5.0 중량%, 계피 5.0 중량%, 모과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혼합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식물성 원료로써 은행잎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3의 은행잎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은행잎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식물성 원료로써 은행열매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4의 은행열매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은행열매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식물성 원료로써 향나무잎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5의 향나무잎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향나무잎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식물성 원료로써 향나무 열매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6의 향나무 열매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향나무 열매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식물성 원료로써 향나무 씨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7의 향나무 씨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향나무 씨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식물성 원료로써 계피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8의 계피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계피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식물성 원료로써 모과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실시예 9의 모과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모과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식물성 원료로써 솔잎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비교예 1의 솔잎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솔잎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비교예 1의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식물성 원료로써 약쑥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비교예 2의 약쑥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약쑥 5.0 중량%를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비교예 2의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식물성 원료로써 자작나무 수액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비교예 3의 자작나무 수액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자작나무 수액 준비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자작나무 수액 5.0 중량%을 준비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자작나무 수액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비교예 3의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식물성 원료로써 참나무 수액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비교예 4의 참나무 수액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참나무 수액 준비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참나무 수액 5.0 중량%를 준비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참나무 수액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비교예 4의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식물성 원료로써 라벤더 오일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비교예 5의 라벤더 오일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라벤더 오일 준비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라벤더 오일 5.0 중량%를 준비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라벤더 오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비교예 5의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식물성 원료로써 로즈마리 오일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비교예 6의 로즈마리 오일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로즈마리 오일 준비 단계(S1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로즈마리 오일 5.0 중량%를 준비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로즈마리 오일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비교예 6의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식물성 원료로써 고삼추출액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에 따라, 비교예 7의 고삼추출액만 포함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고삼 추출액 준비 단계(S10): 고삼의 뿌리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5.0 중량%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상온에서 1일 간 숙성하였다.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제조할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가 되도록 황토를 투입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였다.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 고삼 추출액과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비교예 7의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천공성 해충 기피 효과 확인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해충 기피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피를 뚫고 알을 낳는 곤충들, 즉 천공성 해충인, 하늘소를 암수로 준비하여 짝짓기 후 투입한다. 수목의 수피에 도포조성물을 도포한 것과 도포하지 않은 것을 같은 공간에 두어 산란하는 정도를 파악하여 도포 조성물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충망이 설치된 수목저장용 박스에 해충의 천공이 없는 토막형 참나무를,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한 2 표본과, 도포하지 않은 2 표본을 한 쌍으로 같은 방충망이 설치된 수목저장용 박스에 담고, 하늘소를 암수로 준비하여 짝짓기 후 투입하였다. 이와 동일하게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에 적용하여, 총 16개의 수목저장용 박스를 준비하였다.
각각의 박스에 짝짓기를 마친 암수 하늘소를 5쌍 투입하고, 먹이를 공급하면서 2주 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2주가 지난 후, 각 수목저장용 박스에 보관된 토막형 참나무에 형성된 천공을 확인하였다.
도포조성물 처리군 천공수 도포조성물 미처리군 천공수
실시예 1을 실험한 박스 0 12
실시예 2를 실험한 박스 0 18
실시예 3을 실험한 박스 3 54
실시예 4을 실험한 박스 4 52
실시예 5을 실험한 박스 2 51
실시예 6을 실험한 박스 5 58
실시예 7을 실험한 박스 6 57
실시예 8을 실험한 박스 2 55
실시예 9을 실험한 박스 5 54
비교예 1을 실험한 박스 13 42
비교예 2을 실험한 박스 17 39
비교예 3을 실험한 박스 12 41
비교예 4을 실험한 박스 17 42
비교예 5을 실험한 박스 18 45
비교예 6을 실험한 박스 13 46
비교예 7을 실험한 박스 10 48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9의 도포조성물을 처리한 토막형 참나무는 하늘소가 기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1 내지 9의 도포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토막형 참나무로 하늘소들이 몰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7의 조성물이 도포된 토막형 참나무는 해충들이 어느 정도 기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시예 1 내지 9에 비해서는 그 기피 정도가 약하였다. 심지어, 실시예 1과 2를 실험한 박스에서는 대다수의 하늘소가 죽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의 도포조성물은 종래에 알려진 도포형 조성물에 비해 진보된 해충 기피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에는 단 하나의 천공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심지어 다수의 하늘소가 죽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각각의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없던 살충 효과까지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모과 각각에 비해, 이들을 혼합한 조성물이, 각각의 식물성 원료들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예 1. 나방류 해충 기피 효과 확인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해충 기피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목의 수피에 도포조성물을 도포한 나무과 도포하지 않은 나무에 유충이 발생하는 정도를 파악하여 도포 조성물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복숭아유리나방의 출몰이 심한 벚나무 밀집지역에,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한 2 그루와, 도포하지 않은 2 그루를 한 쌍으로 묶었다. 이 때, 처음부터 존재하던 천공이 어느 정도 비슷한 나무들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동일하게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에 적용하여, 총 16개의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이후, 30주 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30주가 지난 후, 각각의 수목에 형성된 천공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천공은 제외하고 새롭게 추가된 천공만을 확인하였다.
도포조성물
처리군 1
도포조성물
처리 군 2
도포조성물
미처리군 1
도포조성물
미처리군 2
기존
천공
추가
천공
기존
천공
추가
천공
기존
천공
추가
천공
기존
천공
추가
천공
실시예 1 72 0 69 0 64 21 63 23
실시예 2 61 0 60 0 75 22 72 23
실시예 3 73 3 73 2 62 22 68 24
실시예 4 52 4 51 3 71 24 73 22
실시예 5 74 4 74 3 66 21 64 24
실시예 6 73 5 75 3 65 24 65 25
실시예 7 62 3 62 2 74 23 74 22
실시예 8 58 4 63 2 73 21 73 22
실시예 9 71 2 71 3 64 25 66 25
비교예 1 63 11 64 12 52 27 53 23
비교예 2 72 13 72 13 54 24 56 22
비교예 3 65 14 67 12 65 26 69 25
비교예 4 62 17 61 14 56 22 54 24
비교예 5 63 13 65 12 54 26 52 25
비교예 6 55 11 56 12 61 28 63 25
비교예 7 57 13 54 17 52 27 52 24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9의 도포조성물을 처리한 벚나무는 복숭아유리나방이 기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실시예 1 내지 9의 도포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벚나무로 복숭아유리나방들이 몰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7의 조성물이 도포된 벚나무는 복숭아유리나방이 어느 정도 기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시예 1 내지 9에 비해서는 그 기피 정도가 약하였다. 심지어, 실시예 1과 2를 실험한 벚나무의 주위에서는 복숭아유리나방이 시체들이 대거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의 도포조성물은 종래에 알려진 도포형 조성물에 비해 진보된 해충 기피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에는 단 하나의 천공도 발견되지 않았으며, 심지어 수목의 주변에서 다수의 복숭아유리나방의 시체를 확인할 수 있어서, 각각의 조성물이 갖는 효과에 없던 살충 효과까지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모과 각각에 비해, 이들을 혼합한 조성물이, 각각의 식물성 원료들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예 3. 수목의 병해 치유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 도포 조성물을 수목의 상처 부위에 붓으로 도포한 후 손상 부위에서의 병 진전 정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야외 포장에서 4월 초순경에 사과나무의 줄기에 길이방향으로 상처를 낸 후, 상처 부위에 부란병의 포자(Valsa mali)를 접종하여 인위적으로 질병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절단부위 주변에 작은 갈색 반점이 나타나 부풀어 올라 쉽게 벗겨지고, 알콜 냄새가 날 때까지 방치하였다.
그 후, 절단 부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 도포 조성물을 페인트 붓 솔로 칠하여 처리하고 4주간 방치하였다. 이를 총 3회 수행하였고 각 회차가 끝날 때마다 도포 조성물을 제거 후 상처 부위가 아물었는지 확인하였다. 상처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최초 상처 크기
(cm)
4주 후 상처 크기
(cm)
8주 후 상처 크기
(cm)
12주 후 상처 크기(cm)
실시예 1 15.8 8.2 2.3 0
실시예 2 15.5 8.6 3.1 0
실시예 3 15.2 10.5 5.3 2.2
실시예 4 15.7 11.3 6.7 3.3
실시예 5 16.3 12.1 5.2 2.8
실시예 6 15.6 10.4 4.3 3.4
실시예 7 15.2 11.5 5.5 4.2
실시예 8 15.3 10.6 5.5 4.3
실시예 9 15.7 9.8 4.3 2.1
비교예 1 15.5 13.2 8.2 6.3
비교예 2 15.3 13.5 9.4 6.2
비교예 3 15.2 14.8 9.1 5.7
비교예 4 15.7 15.5 12.7 8.6
비교예 5 15.3 13.8 8.8 6.3
비교예 6 15.2 14.7 7.4 5.2
비교예 7 15.3 13.6 8.5 6.5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은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부란병을 효과적으로 치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내지 7 역시 부란병을 치유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그 효과는 실시예 1 내지 9에 비해 다소 미미한 편이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 12주 후 부란병에 의한 상처를 완전히 치유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실시예 3 내지 9에 비해서도 월등한 효과였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식물성 원료들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예 4. 항오염 효과 확인
대기 중의 미세 오염물질인 벤조피렌 질산암모늄 포름알데하이드에 대한 저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공해물질에 의한 체세포배의 손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체세포배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모과나무의 종자를 절단하여 종자배의 자엽 절편체를 수득하고, 상기 자엽 절편체를 체세포배 유도용 배지에 치상하여 체세포배를 유도하였다. 상기 유도된 체세포배를 배양하여, 배양된 체세포배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실험군으로 분류한 체세포배에 벤조피렌(10μM), 질산암모늄(500㎍/ml), 및 포름알데하이드(1.5㎍/ml) 각각과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을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그 후 5mg/ml 농도의 MTT solution을 넣고 3시간 배양한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를 150ul 씩 각 well에 넣어주고 10분간 shaking 하고, 570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오염물질
벤조피렌(10μM)에 대한 모과나무 체세포배증식율(%) 질산암모늄(500㎍/ml)에 대한 모과나무 체세포배증식율(%) 포름알데하이드(1.5㎍/ml)에 대한 모과나무 체세포배증식율(%)
실시예1 34.3 28.3 16.8
실시예2 32.4 25.2 17.3
실시예3 18.5 15.3 8.2
실시예4 17.9 13.3 7.1
실시예5 15.2 12.1 6.3
실시예6 17.8 11.5 7.2
실시예7 13.3 12.3 8.4
실시예8 12.1 13.5 9.5
실시예9 14.5 12.2 11.1
비교예1 9.7 8.7 4.3
비교예2 8.3 7.3 4.2
비교예3 6.3 5.4 3.8
비교예4 7.5 4.2 4.4
비교예5 4.6 4.6 3.4
비교예6 5.1 5.3 2.8
비교예7 6.8 7.8 3.2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은 벤조피렌(10μM), 질산암모늄(500㎍/ml), 및 포름알데하이드(1.5㎍/ml)의 대기오염 구성물질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내지 7 역시 항오염 효과를 보였으나, 그 효과는 실시예 1 내지 9에 비해 다소 미미한 편이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 실시예 3 내지 9에 비해서도 월등한 항오염 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식물성 원료들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은 상기 실시예, 비교예, 실험예를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천공성 해충, 나방류 해충에 대한 기피 및 살충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은 수목의 줄기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병인 부란병에 대한 치유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은 대기중의 대표 공해물질인 벤조피렌, 질산암모늄, 및 포름알데하이드에 대한 항오염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수목의 병충해 방지효과 및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갖는 신규한 조성물로서,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발명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S10):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
(S15):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
(S20): 황토 반죽 제조 단계
(S30):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

Claims (5)

  1. 황토 30 내지 60 중량%, 은행잎 1.0 내지 10 중량%, 은행열매 1.0 내지 10 중량%, 향나무잎 1.0 내지 10 중량%, 향나무 열매 1.0 내지 10 중량%, 향나무 씨 1.0 내지 10 중량%, 계피 1.0 내지 10 중량%, 모과 1.0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가 혼합되어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 치료에 효과를 가지며, 공해물질에 대한 항오염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잎, 은행열매, 향나무 잎, 향나무 열매, 향나무 씨, 계피 및 모과로 이루어진 식물성 원료는 분쇄하고 혼합하여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4.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은행잎 1.0 내지 10 중량%, 은행열매 1.0 내지 10 중량%, 향나무잎 1.0 내지 10 중량%, 향나무 열매 1.0 내지 10 중량%, 향나무 씨 1.0 내지 10 중량%, 계피 1.0 내지 10 중량%, 모과 1.0 내지 10 중량%가 되도록 측정하여 믹서기에 투입 후 분쇄하여 혼합하여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을 제조하는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황토 30 내지 60 중량%와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황토 반죽을 제조하는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
    상기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과, 상기 황토 반죽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황토 반죽을 혼합하여 수목의 병충해를 방제하고, 수목의 상처 치료에 효과를 가지며, 공해물질에 대한 항오염 효과를 갖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을 제조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제조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제조 단계(S10)에서 분쇄하고 혼합된 식물성 원료를 일정 기간 숙성하는 식물성 원료 분쇄혼합물 숙성단계(S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44535A 2020-04-13 2020-04-13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71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35A KR102371359B1 (ko) 2020-04-13 2020-04-13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35A KR102371359B1 (ko) 2020-04-13 2020-04-13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92A KR20210126892A (ko) 2021-10-21
KR102371359B1 true KR102371359B1 (ko) 2022-03-04

Family

ID=7826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535A KR102371359B1 (ko) 2020-04-13 2020-04-13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078A (ko) 2022-09-06 2024-03-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분류체계의 동적 연계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32B1 (ko) 2018-05-28 2018-10-26 신기산업(주) 비효성 및 병해가 개선된 정원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2709A (ja) * 1988-11-24 1990-05-31 Kurita Water Ind Ltd 有害生物防除剤
KR100583634B1 (ko) * 2004-04-30 2006-05-26 (주)동명에릭스 해충 퇴치용 조성물
KR100998863B1 (ko) * 2008-06-09 2010-12-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해충 및 식물병방제용 살균 및 살충 조성물
KR101373968B1 (ko) * 2011-11-18 2014-03-13 황정식 수목의 보호 및 상처치료용 황토 조성물
KR20180058978A (ko) * 2016-11-25 2018-06-04 (주)펩스원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친환경 해충 방제용 조성물
KR20200014646A (ko) * 2018-08-01 2020-02-11 박서영 고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국선녀벌레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232B1 (ko) 2018-05-28 2018-10-26 신기산업(주) 비효성 및 병해가 개선된 정원토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4078A (ko) 2022-09-06 2024-03-1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분류체계의 동적 연계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92A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hramanoglu et al. Pomegranate production and marketing
Dharani et al. Common antimalarial trees and shrubs of East Africa
KR101075779B1 (ko) 천연 살균 탈취제
US7255885B2 (en) Preparation of Chinese herbal composite recipe used in horticulture
CN103518784A (zh) 茉莉花无公害杀虫剂
KR20150024629A (ko) 약초박을 함유하는 버섯재배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1753B1 (ko) 기능성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CN108477241A (zh) 一种澳洲坚果病虫害防治方法
KR102371359B1 (ko) 수목 병충해 방제용 도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3617A (ko) 편백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
KR101590545B1 (ko) 식물성 천연 병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9042778A (zh) 一种作物治病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90052978A (ko) 3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CN106576876A (zh) 一种黑木耳的栽培方法
KR102509566B1 (ko)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2294276B1 (ko) 조류기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6518B1 (ko) 꾸지뽕나무의 무성생식방법
CN106034605B (zh) 一种田七叶子发黄的防控处理方法
CN114982789A (zh) 一种烟叶防霉菌的植物农药及使用方法
KR101884627B1 (ko) 천연식물 에센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27573A (zh) 以茶毫为原料制备改良土壤板结专用肥的方法
Edori et a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termiticidal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raphiafarinifera seed
CN110800764A (zh) 防治玉米病虫害的叶面喷施剂及其生产方法
KR102007033B1 (ko) 건멸치 제조 방법
VÂȘCĂ-ZAMFIR et al. Effect of rhizogenic biostimulators on Rosmarinus officinalis rooted cuttings biochemica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