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254B1 -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254B1
KR102371254B1 KR1020170117087A KR20170117087A KR102371254B1 KR 102371254 B1 KR102371254 B1 KR 102371254B1 KR 1020170117087 A KR1020170117087 A KR 1020170117087A KR 20170117087 A KR20170117087 A KR 20170117087A KR 102371254 B1 KR102371254 B1 KR 10237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torque
cam
escape mode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958A (ko
Inventor
이용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7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254B1/ko
Priority to US15/832,062 priority patent/US10753505B2/en
Priority to DE102017222154.2A priority patent/DE102017222154A1/de
Publication of KR2019002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 F16K31/52416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comprising a multiple-way lif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01P2025/32Engine outcoming flui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1/00Fail saf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1/00Fail safe
    • F01P2031/32Deblocking of damaged thermost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캠을 회전시키고, 상기 캠에 형성된 프로파일이 로드를 밀어서, 상기 로드에 형성된 밸브가 냉각수통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 상기 캠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모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캠 또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고착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고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토크를 상기 캠 측으로 출력하여 고착상태를 탈출하는 탈출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CONTROL SYSTEM OF COOLANT CONTROL VALVE UNIT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운전 조건에 따라서 엔진의 부품들을 각각 흐르는 냉각수를 제어하되, 제어과정에서 밸브를 움직이는 캠이 고착된 고착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탈출시키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은 연료의 연소에 의해서 회전력을 발생시키면서 열에너지를 배출하고, 냉각수는 엔진, 히터, 및 라디에이터 등을 순환하면서 열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외부로 방출한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낮으면, 오일의 점성이 높아져서 마찰력이 증가하고, 연료소모가 늘어나며, 배기가스의 온도가 천천히 상승하여 촉매가 활성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의 기능이 정상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엔진의 냉각수 온도가 과열되면, 노킹이 발생하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점화시기를 조절해야 하므로 엔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윤활유의 온도가 과도하면 점성이 낮아져서 윤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특정부위는 냉각수의 온도를 높게 유지하고, 다른 부위는 낮게 유지하는 등 하나의 밸브유닛을 통해서 여러 개의 냉각요소를 제어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하나의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이 라디에이터, 히터 코어, 이지알 쿨러, 오일 쿨러, 또는 실린더 블럭을 지나는 냉각수를 각각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행문헌으로써, 일본 특개 2015-59615가 있다.
종래 기술의 한 예로써,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은,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캠, 상기 캠의 일면에 형성된 프로파일에 의해서 움직이는 로드, 상기 로드에 형성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서 상기 캠이 회전하고, 상기 캠의 프로파일이 상기 로드를 밀어내서 밸브가 냉각수통로를 개폐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모터가 캠을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캠이 회전하지 않는 고착상태에 진입하면, 밸브에 의해서 냉각수통로가 개폐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냉각수가 과열되거나 냉각효율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이 작동하지 않는 고착(stuck) 상태에서 탈출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에서 밸브를 움직이는 캠이 고착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착상태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하여 냉각수의 과열을 방지하고 냉각효율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캠을 회전시키고, 상기 캠에 형성된 프로파일이 로드를 밀어서, 상기 로드에 형성된 밸브가 냉각수통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 상기 캠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모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캠 또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고착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고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토크를 상기 캠 측으로 출력하여 고착상태를 탈출하는 탈출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탈출모드는,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토크와 제1 역방향 토크를 출력하되, 상기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토크를 교대로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는 오실레이트 탈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모드는,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는 푸시 탈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모드는, 상기 모터가 제2 정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2 역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는 램프 탈출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출모드는,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모터가 제1 역방향 토크를 출력하되, 상기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2 역방향 토크를 교대로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는 오실레이트 탈출모드,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는 푸시 탈출모드, 및 상기 모터가 제2 정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2 역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는 램프 탈출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토크는 상기 회전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출력토크일 수 있다.
상기 제1 정방향 최대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최대토크는 상기 모터의 최대 출력토크일 수 있다.
상기 제2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2 역방향 토크는 상기 회전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출력토크일 수 있다.
상기 판단모드에서, 상기 캠 또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제1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1상태가 발생된 횟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된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고착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탈출모드를 수행한 후에, 상기 캠이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고장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은, 모터에 의해서 작동되어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냉각수통로의 개도율을 가변시키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상기 캠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회전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회전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캠이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모터가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토크를 상기 캠 측으로 인가하여 고착상태를 탈출하는 고착탈출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의 일면에는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경사와 높이를 갖는 프로파일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은, 설정된 위치에 밸브가 형성된 로드, 및 상기 로드를 상기 캠의 상기 프로파일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출모드에서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토크와 제1 역방향 토크를 출력하되, 상기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토크를 교대로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도록 하는 오실레이트 탈출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출모드에서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도록 하는 푸시 탈출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출모드에서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모터가 제2 정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2 역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도록 하는 램프 탈출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캠이 정방향으로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캠이 역방향으로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캠이 정방향으로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2 정방향 토크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캠이 역방향으로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2 역방향 토크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에서 캠이나 밸브가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탈출모드를 수행하여 고착상태에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또한, 오실레이트 탈출모드에서는 모터가 캠 측으로 제1 정방향 토크와 제1 역방향 토크를 교대로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인가함으로써, 고착상태를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또한, 푸시 탈출모드에서는 모터가 캠 측으로 제1 역방향 최대토크 또는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인가함으로써, 고착상태를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램프 탈출모드에서는 모터가 캠 측으로 제2 정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인가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2 역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인가함으로써, 고착상태를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을 갖는 냉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트 탈출모드에서 모터의 출력토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탈출모드에서 모터의 출력토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탈출모드에서 모터의 출력토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120)은 제어부(100), 모터(105), 기어박스(110), 캠(300), 프로파일(302), 로드(322), 밸브(320), 탄성부재(324), 및 지지부재(326)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냉각수온과 같은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모터(105)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모터(105)는 상기 기어박스(110)를 통해서 상기 캠(300)을 회전시킨다.
상기 캠(300)은 디스크 형태를 가지고, 상기 캠(300)의 하면에는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경사면을 갖는 프로파일(302)이 형성되며, 상기 프로파일(302)은 설정된 경사와 높이를 갖는다.
상기 로드(322)의 상단은 상기 캠(300)의 상기 프로파일(302)에 대응하고, 상기 로드(322)의 중간 부분에는 밸브(320)가 배치되며, 상기 탄성부재(324)는 상기 밸브(320)의 하면을 상부로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로드(322)의 상단은 상기 프로파일(302)에 접촉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300)의 하면에는 3개이 프로파일(302)이 형성되고, 각 프로파일(302)에 대응하여 3개의 로드(322) 및 밸브(320)가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120)은 3개의 밸브(320)를 통해서 3개의 냉각수통로(미도시)의 개도율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302)과 밸브(320)의 개수는 설계사양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구조는 도 1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미 공지된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구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을 갖는 냉각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120)을 갖는 냉각시스템은 제어부(100), 모터(105), 캠(300), 밸브(320), 및 회전위치 감지센서(2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위치 감지센서(200)는 상기 모터(105) 또는 상기 캠(3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캠(300)의 회전위치와 회전상태를 선택 또는 연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00)는 운전조건(냉각수온 등)에 따라서 상기 모터(105)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캠(300)의 회전위치를 설정위치로 변경하여, 상기 밸브(320)를 통해 냉각수통로의 개도율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200에서, 제어가 시작되고, S205에서, 상기 밸브(320) 또는 상기 캠(300)이 고착되었는지 판단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320) 또는 상기 캠(300)이 고착된 상태는 회전위치 감지센서(200)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캠(300)이 고착된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캠(300)의 현재 회전위치와 목표 회전위치 사이의 차이값을 통해서 판단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320) 또는 상기 캠(300)이 고착된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공지기술을 참조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215에서, 밸브(320) 또는 캠(300)이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고착횟수를 누적하여 카운트한다. 그리고, S220에서 누적된 카운트값이 설정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S225를 수행한다. 여기서, 누적된 카운트값이 설정값을 초과하지 안으면, S215를 다시 수행한다.
S225에서, 오실레이트 탈출모드(oscillate escape mode)를 수행한다. 이 오실레이트 탈출모드에 대한 내용은 도 4를 참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실레이트 탈출모드에서 모터의 출력토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기 모터(105)에서 인가되는 정방향 토크와 역방향 토크를 각각 나타낸다.
오실레이트 탈출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105)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105)가 제1 정방향 토크와 제1 역방향 토크를 교대로 설정된 주기를 가지고 설정횟수 상기 캠에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105)의 토크는 정상모드에서 상기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이며, 이 출력토크는 PI제어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S230에서 상기 캠(300) 또는 상기 밸브(320)가 고착에서 탈출했는지 판단된다. 만약, 고착에서 탈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S210을 수행하여 정모드로 진입한다.
고착에서 탈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235에서 푸시 탈출모드(push escape mode)를 수행한다. 이 푸시 탈출모드는 도 5를 참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탈출모드에서 모터의 출력토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정방향 고착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105)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105)가 상기 캠(300)에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설정시간 동안 인가한다.
아울러, 도 5의 (b)를 참조하면, 역방향 고착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105)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105)가 상기 캠(300)에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설정시간 동안 인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정방향 고착은 상기 모터(10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캠(300) 또는 상기 밸브(320)가 고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역방향 고착은 상기 모터(10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도중에, 상기 캠(300) 또는 상기 밸브(320)가 고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S240에서 상기 캠(300) 또는 상기 밸브(320)가 고착에서 탈출했는지 판단된다. 만약, 고착에서 탈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S210을 수행하여 정모드로 진입한다.
고착에서 탈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245에서 램프 탈출모드(ramp escape mode)를 수행한다. 이 램프 탈출모드는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탈출모드에서 모터의 출력토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정방향 고착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105)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105)가 상기 캠(300)에 제2 정방향 토크를 주기적으로 설정횟수 인가한다.
아울러, 도 6의 (b)를 참조하면, 역방향 고착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105)를 제어하여, 상기 모터(105)가 상기 캠(300)에 제2 역방향 토크를 주기적으로 설정횟수 인가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S250에서 상기 캠(300) 또는 상기 밸브(320)가 고착에서 탈출했는지 판단된다. 만약, 고착에서 탈출한 것으로 판단되면, S210을 수행하여 정모드로 진입한다.
고착에서 탈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255에서 고장모드로 진입하고, S260에서 경고등을 점등한다. S270에서 시동오프신호가 감지되면, S265에서 제어를 종료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제어부 105: 모터
110: 기어박스 120: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300: 캠 302: 프로파일
320: 밸브 322: 로드
324: 탄성부재 326: 지지부재
200: 회전위치 감지센서

Claims (17)

  1.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캠을 회전시키고,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서 냉각수통로를 개폐시키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
    상기 캠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모터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캠 또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고착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고착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토크를 상기 캠 측으로 출력하여 고착상태를 탈출하는 탈출모드;
    를 수행하며,
    상기 탈출모드는,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토크와 제1 역방향 토크를 출력하되, 상기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토크를 교대로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는 오실레이트 탈출모드;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는 푸시 탈출모드; 및
    상기 모터가 제2 정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2 역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는 램프 탈출모드;
    를 수행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모드는,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토크와 제1 역방향 토크를 출력하되,
    상기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토크를 교대로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는 오실레이트 탈출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모드는,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는 푸시 탈출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모드는,
    상기 모터가 제2 정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2 역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는 램프 탈출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토크는 PI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방향 최대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최대토크는 상기 모터의 최대 출력토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2 역방향 토크는 PI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캠 또는 상기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 제1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제1상태가 발생된 횟수를 카운팅하며, 카운팅된 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고착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모드를 수행한 후에,
    상기 캠이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고장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방법.
  11. 모터에 의해서 작동되어 적어도 하나의 밸브가 냉각수통로의 개도율을 가변시키도록 하는 캠을 포함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
    상기 캠의 회전위치를 감지하는 회전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회전위치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캠이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모터가 설정된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토크를 상기 캠 측으로 인가하여 고착상태를 탈출하는 탈출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일면에는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경사와 높이를 갖는 프로파일이 형성되고,
    상기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은,
    설정된 위치에 밸브가 형성된 로드; 및
    상기 로드를 상기 캠의 상기 프로파일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출모드에서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토크와 제1 역방향 토크를 출력하되, 상기 제1 정방향 토크와 상기 제1 역방향 토크를 교대로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도록 하는 오실레이트 탈출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출모드에서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모터가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도록 하는 푸시 탈출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출모드에서 상기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모터가 제2 정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거나, 상기 모터가 제2 역방향 토크를 설정주기로 설정횟수 출력하도록 하는 램프 탈출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캠이 정방향으로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정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캠이 역방향으로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역방향 최대토크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캠이 정방향으로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2 정방향 토크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캠이 역방향으로 고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상기 제2 역방향 토크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KR1020170117087A 2017-09-13 2017-09-13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7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87A KR102371254B1 (ko) 2017-09-13 2017-09-13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5/832,062 US10753505B2 (en) 2017-09-13 2017-12-05 Control system of coolant control valve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102017222154.2A DE102017222154A1 (de) 2017-09-13 2017-12-07 Steuerungssystem für eine kühlmittelsteuerungsventileinheit und deren steuerungsverfah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087A KR102371254B1 (ko) 2017-09-13 2017-09-13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958A KR20190029958A (ko) 2019-03-21
KR102371254B1 true KR102371254B1 (ko) 2022-03-04

Family

ID=6544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087A KR102371254B1 (ko) 2017-09-13 2017-09-13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53505B2 (ko)
KR (1) KR102371254B1 (ko)
DE (1) DE102017222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89645A1 (en) 2019-09-03 2021-03-10 HUSCO Automotive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poppet valve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956A (ja) * 2000-04-14 2001-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遮断装置
KR100718091B1 (ko) 2004-12-30 2007-05-14 베어코리아 주식회사 수온조절기 및 그 설치구조
JP2008169987A (ja) * 2007-01-15 2008-07-24 Yamatake Corp アクチュエータ
JP5766209B2 (ja) * 2010-01-14 2015-08-19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液体回路のための制御バルブユニット
KR101577213B1 (ko) 2015-07-06 2015-12-15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다방향 전환밸브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802B1 (ko) * 1998-03-23 2002-05-09 윤종용 유량 조절 밸브
KR100410679B1 (ko) * 2000-12-28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의 외부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서모스탯
KR102044994B1 (ko) * 2013-04-17 2019-1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안전밸브의 고착방지를 위한 제어방법
JP6254402B2 (ja) 2013-09-19 2017-12-2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流量制御弁
WO2016129274A1 (ja) 2015-02-10 2016-08-18 日本放送協会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半導体チップ
KR101713742B1 (ko) * 2015-08-25 2017-03-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KR20180019410A (ko) * 2016-08-16 2018-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을 갖는 엔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5956A (ja) * 2000-04-14 2001-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遮断装置
KR100718091B1 (ko) 2004-12-30 2007-05-14 베어코리아 주식회사 수온조절기 및 그 설치구조
JP2008169987A (ja) * 2007-01-15 2008-07-24 Yamatake Corp アクチュエータ
JP5766209B2 (ja) * 2010-01-14 2015-08-19 マン ウント フンメ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液体回路のための制御バルブユニット
KR101577213B1 (ko) 2015-07-06 2015-12-15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다방향 전환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22154A1 (de) 2019-03-14
US10753505B2 (en) 2020-08-25
US20190078703A1 (en) 2019-03-14
KR20190029958A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9515B2 (ja) エンジンのバルブ劣化判定方法
JP5152595B2 (ja) 車両用冷却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4561529B2 (ja) 内燃機関冷却装置の故障検出システム
JP2009257198A (ja) 内燃機関の診断装置
CA2935034C (en) Engine having active exhaust valve posi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JP3645827B2 (ja) 内燃機関のサーモスタット故障判定装置
KR102371254B1 (ko) 냉각수 제어밸브 유닛의 제어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4097354A1 (ja) 冷間始動時のエンジン暖機方法
JP4030916B2 (ja) 内燃機関用温度センサの故障診断装置
JP7192172B2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JP4677973B2 (ja) エンジン冷却系の故障診断装置
JP2010096020A (ja) 電動ウォーターポンプの制御装置
CN106246392B (zh) 内燃机的控制装置
EP3032080A1 (en) Control method for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KR101543188B1 (ko) 차량용 냉각시스템 제어방법
JP2009287454A (ja) 内燃機関冷却装置の故障検知装置
KR102371255B1 (ko) 냉각수 제어 밸브유닛의 제어방법
JP423956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507651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1179435A (ja)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JP2012072669A (ja) 内燃機関制御システム
US20120138696A1 (en) Control method for electric thermostat and control apparatus thereof
KR102109684B1 (ko) 물 펌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365179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7192173B2 (ja) エンジン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