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038B1 -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038B1
KR102371038B1 KR1020210073013A KR20210073013A KR102371038B1 KR 102371038 B1 KR102371038 B1 KR 102371038B1 KR 1020210073013 A KR1020210073013 A KR 1020210073013A KR 20210073013 A KR20210073013 A KR 20210073013A KR 102371038 B1 KR102371038 B1 KR 10237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lation
user terminal
text
user
c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이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진 filed Critical 이승진
Priority to KR1020210073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038B1/ko
Priority to PCT/KR2022/007956 priority patent/WO202225585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06F16/2477Temporal data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3Languag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1Translation eval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설정한 언어를 통해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실시간 번역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번역된 내용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플랫폼서버와;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설정한 언어로 번역되어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플랫폼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번역프로그램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채팅은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미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회의시간을 정하면 그에 따르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어떤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현재는 물론 과거의 텍스트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할 수 있으므로 채팅이 끝난 후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A chat system and translation service that can support multilingual translation}
본 발명은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같은 채팅방을 이용하여 대화를 진행할 때, 본인이 선택한 국적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면서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의 국적 언어로만 표시되도록 하여 외국인과의 빠른 대화 및 대화히스토리의 정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비디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을 비롯한 휴대 단말의 보급률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사용자단말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였다.
이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비즈니스의 글로벌화로 인해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에 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번역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되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1285호는 채팅창 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메시지 말미에 번역할 언어를 선택할 경우, 번역을 제공함으로써 채팅방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한 경우에만 메시지가 번역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8973호의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은 채팅방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언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가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을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된 메시지의 내용을 상기 채팅방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언어로 번역은 채팅방에 포함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언어를 식별하는 식별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됨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메시지가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는 번역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된 메시지의 내용을 상기 채팅방으로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자동 번역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과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서 번역되는 내용이 실제로 번역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검증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상태에서 번역되 내용이 상대방에게 제공되므로 상태방은 이를 제대로 파악하기가 곤란한 것은 물론 채팅 내용에 의해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채팅이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8973호
본 발명은 복수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같은 채팅방을 이용하여 대화를 진행할 때, 본인이 선택한 국적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면서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의 국적 언어로만 표시되도록 하여 외국인과의 빠른 대화 및 대화히스토리의 정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비디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사용자는 이미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회의시간을 설정하면 그에 따르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어떤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현재는 물론 과거의 텍스트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설정한 언어를 통해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실시간 번역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번역된 내용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플랫폼서버와;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설정한 언어로 번역되어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플랫폼서버에서 제공하는 번역프로그램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채팅은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미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회의시간을 정하면 그에 따르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어떤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현재는 물론 과거의 텍스트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랫폼서버는,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다국적자들과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번역프로그램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단말을 통해 통신망을 거쳐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딥런닝서버로 제공하여 적절한 내용이 번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운영서버와; 메시지가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을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운영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번역서버와; 사용자단말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사용자단말에 체크박스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딥런닝서버와; 각 나라의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데이터(단어 및 문장), 사용자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번역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딥러닝서버는 기구성된 표준 API(예를 들어 구글에서 제공한 API)가 제공하는 표준 언어 세트외에 방언이나 사투리 등 음절이나 액센트가 특이한 음율요소를 대하여 번역 세트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보조 API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텍스트는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음성 변환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성은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설정하여 그 방에서는 모두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텍스트나 변환 음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은, 플랫폼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다국적자들과 메시지를 전달하며, 상기 메시지 내용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에 포함된 번역프로그램에 의해 번역이 이루어지고, 상기 번역되어 전달되는 내용이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 통신망을 통해 딥런닝서버로 인가하여 번역내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팅방에 입장한 다국적자들의 나라에 맞게 각 나라를 선택하고, 표시되는 언어를 선택하는 세팅 단계(S10)와;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택한 나라별 언어와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언어를 식별하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의 정보와 함께 식별언어를 플랫폼서버로 인가하는 언어 감별 단계(S20)와; 사용자단말에서 채팅방에서 입력되는 메시지 내용에 대해 텍스트를 번역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번역하고, 입력된 메시지 내용을 플랫폼서버로 인가하는 번역 단계(S30)와; 사용자단말을 통해 입력한 메시지의 내용을 설정한 나라별로 언어와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언어의 설정에 따른 정보값을 번역프로그램을 통해 색출하는 필터링단계(S40)와; 채팅방에 입장한 다국적자들의 순서, 사용자가 나라순서 또는 채팅방에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는 순서에 맞게 사용자단말에 표시될 수 있도록 메시지 내용을 정력하는 구성단계(S50)와;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도록 한 언어로만 표시하는 표시단계(S60);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단계(S50)는 복수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같은 채팅방을 이용하여 대화를 진행할 때, 본인이 선택한 국적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면서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의 국적 언어로만 표시되도록 하여 외국인과의 빠른 대화 및 대화히스토리의 정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비디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0)을 이용하여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채팅방을 설정하고, 설정된 채팅방을 통해 채팅시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51)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입력되는 시간에 텍스트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S52)와; 운영서버로 인가되는 영상과 텍스트는 딥러닝서버로 인가되어 영상과 텍스트의 시간을 체크하고 시간을 기준으로 영상과 텍스트가 매칭하는 단계(S53)와; 딥러닝서버(120)에서 매칭시킨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는 단계(S54)와; 사용자단말에서 선택하면, 운영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사용자단말로 인가할 수 있도록 운영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과 텍스트를 독출하는 단계와(S55)와; 사용자단말에서 선택한 데이터의 전체를 다운로딩하거나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한 데이터를 스트리밍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영상과 텍스트의 전송하는 단계(S56)와; 전송되는 영상 및 텍스트를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는 단계(S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텍스트는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음성 변환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성은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설정하여 그 방에서는 모두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텍스트나 변환 음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채팅방에서 비디오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자의 수화(몸짓으로 표현하는 언어)를 텍스트로 변화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텍스트는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음성 변환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성은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설정하여 그 방에서는 모두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텍스트나 변환 음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메시지 내용의 번역 또는 다국적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단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번역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딥런닝서버에서 판단하고, 이를 체크박스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국인과 채팅을 하는 경우 채팅에 참가한 상대방의 국적을 체크 해 놓으면, 대화의 내용이 본인 국적의 언어와 동시에 상대방 외국인 국가의 언어까지 같이 변환된 내용을 표시해 줌으로써 외부의 번역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번역후 카피 붙여넣기 하여 사용하는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화가 지속되더라도 메시지의 내용을 다시 보려고 할 때 바로 내용 파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메시지의 경우 붙여 넣기기가 또는 직접타이핑이 가능하므로 편리하게 채팅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번에 채팅하는 대화상대가 다른 언어를 사용할 경우, 채팅과 동시에 대화하고 있는 상대의 대화 내용을 상대방의 언어로 변환하여 본인의 언어와 상대방의 언어로 같이 표시해 줌으르써 외국인과의 빠른 대화 및 대화 히스토리의 정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할 수 있으므로 채팅이 끝난 후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사용자는 이미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회의시간을 정하면, 그에 따르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어떤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현재는 물론 과거의 텍스트도 확인할 수 있어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에서 번역문이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은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은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에 의해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선택한 회의시간에 따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은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번역된 내용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번역서버에서 제공하는 번역된 내용을 사용자가 검증함과 동시에 딥러닝서버에서 번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여 당사자가 이를 직접 수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 대화의 내용이 본인 국적의 언어와 동시에 상대방 외국인 국가의 언어까지 같이 변환된 내용을 표시해 줌으로써 외부의 번역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번역후 카피 붙여넣기 하여 사용하는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는 것은 물론 채팅하는 대화상대가 다른 언어를 사용할 경우, 채팅과 동시에 대화하고 있는 상대의 대화 내용을 상대방의 언어로 변환하여 본인의 언어와 상대방의 언어로 같이 표시해 줌으르써 외국인과의 빠른 대화 및 대화 히스토리의 정리가 가능한 것은 물론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에서 번역문이 사용자단말에 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은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에 따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은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번역된 내용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설정한 언어를 통해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실시간 번역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번역된 내용이 적절한지 판단 및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 동시에 회의시간 표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200)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플랫폼서버(100)와,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설정한 언어로 번역되어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플랫폼서버(100)에서 제공하는 번역프로그램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200)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폼서버(100)는 운영서버(110), 딥런닝서버(120), 번역서버(130) 및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서버(110)는 사용자단말(200)에 설치되어 다국적자들과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번역프로그램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통신망을 거쳐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딥런닝서버(120)로 제공하여 적절한 내용이 번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상기 딥런닝서버(120)는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사용자단말(200)에 체크박스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서버(110)를 거쳐 통신망을 통해 전달한다.
또한, 상기 딥런닝서버(120)는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 동시에 회의시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딥런닝서버(120)는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사용자는 이미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회의시간을 정하면 그에 따르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어떤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현재는 물론 과거의 텍스트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번역서버(130)는 메시지가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을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운영서버(110)를 통해 각 사용자단말(200)에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각 나라의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데이터(단어 및 문장 등), 사용자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번역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신망은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운영서버(110)에서 제공하는 번역프로그램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또한, 사용자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다국적자들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메시지 내용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에 포함된 번역프로그램에 의해 1차로 번역이 이루어지고 번역되어 전달되는 내용이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 통신망을 통해 딥런닝서버(120)로 인가하여 번역내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딥런닝서버(120)로 인가된 메시지의 내용이 적절하게 번역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메시지 내용의 일측에 체크박스(210)가 표시되고, 체크박스(210)를 통해 딥런닝서버(120)에서 제공하는 다른 문장 또는 먼저 입력한 내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단말(200)은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고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하며, 이러한 표시는 운영서버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자단말(200)은 이미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회의시간을 선택하면 그에 따르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어떤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현재는 물론 과거의 텍스트도 확인할 수 있도록 운영서버(110)와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통신은 사용자단말(200)에서 재생 플레이되는 동영상, 시간 및 텍스트를 스트리밍하거나 또는 해당 동영상, 시간 및 텍스트를 한번에 다운로드 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200)은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200)은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태블릿, 스마트폰 등과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 단말기 형태로 구성하고, 여기에 상기의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단말(2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메시지 내용 체크박스 및 선택된 나라명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은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의 내용을 번역하여 다국적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단말(200)에 번역된 내용을 표시하는 것은 물론 다국적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을 사용자가 선택한 언어로 번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기 전에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채팅방을 개설한 후 사용자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팅방에 입장한 다국적자들의 나라에 맞게 각 나라를 선택하고, 표시되는 언어 즉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언어를 선택하는 세팅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택한 나라별 언어와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언어를 식별하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200)의 정보와 함께 식별언어를 플랫폼서버(100)로 인가하여 사용자단말(200)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어떠한 것인지 플랫폼서버(10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 감별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단말(200)에서 채팅방에서 입력되는 메시지 내용에 대해 텍스트를 번역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번역하고, 입력된 메시지 내용을 플랫폼서버(100)로 인가하는 번역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번역 단계(S30)에서 메시지의 내용에 대해 통신망을 통해 플랫폼서버(100)의 운영서버(110)로 인가하면, 운영서버(110)는 이를 딥런닝서버(120)로 인가하여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시 분석한다.
이때, 딥런닝서버(120)에서 번역 내용 분석은 번역된 용량과 기저장된 데이터 용량을 비교하여 비슷한 용량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메시지 내용에 따른 아스키코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드인지를 판단해 번역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비교 및 분석하는 과정을 별도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딥런닝서버(120)는 번역서버(130)와 연동하여 최근에 사용자단말(200)에서 사용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다른 사용자단말(200)에서 수정되어 인가된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번역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또한, 상기 딥런닝서버(120)는 번역된 메시지의 내용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번역서버(130)로 인가하여 번역을 수행하도록 하며, 이때 번역서버(130)는 번역된 내용을 다시 딥런닝서버(120)로 인가하여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 기 데이터와 비교하여 적절하게 번역된 것으로 판단되면, 운영서버(110)를 통해 통신망을 거쳐 사용자단말(200)로 인가하여 체크박스(310) 형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입력한 메시지의 내용을 설정한 나라별로 언어와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언어의 설정에 따른 정보값을 번역프로그램을 통해 색출하는 필터링단계(S4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필터링단계(S40)에서 상기 딥런닝서버(120)에서 번역한 메시지의 내용을 함께 필터링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의 내용이 다국적자들에게 번역되어 제공될 때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채팅방에 입장한 다국적자들의 순서, 사용자가 나라순서 또는 채팅방에 메시지의 내용을 입력하는 순서에 맞게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메시지 내용을 정렬하는 구성단계(S50)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구성단계(S50)에서는 딥런닝서버(120)에서 번역되어 인가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박스(210) 형태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단계(S50)는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 및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사용자는 이미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회의시간을 설정하면 그에 따르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어떤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현재는 물론 과거의 텍스트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0)을 이용하여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채팅방을 설정하고, 설정된 채팅방을 통해 채팅시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여 실시간으로 운영서버(110)로 인가하여 자장되도록 한다.(S51) 또한, 운영서버(110)에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데이터는 통신망을 통해 채팅방에 입장한 타 사용자들이 이를 확인할 수 있으로 실시간 스트리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입력되는 시간에 텍스트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고, 이를 운영서버로 실시간으로 인가하여 저장되도록 한다.(S52) 또한, 운영서버(110)에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데이터는 통신망을 통해 채팅방에 입장한 타 사용자들이 이를 확인할 수 있으로 실시간 스트리밍이 이루어진다.
상기 운영서버(110)로 인가되는 영상과 텍스트는 딥러닝서버(120)로 인가되어 영상과 텍스트의 시간을 체크하고 시간을 기준으로 영상과 텍스트를 매칭시킨다.(S53) 상기 시간에 맞게 매칭된 영상과 텍스트는 추후 사용자가 시간대를 선택하면, 선택한 시간대의 영상과 함께 텍스트가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딥러닝서버(120)에서 매칭시킨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S54)하고,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40)의 영상을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하면, 상기 운영서버(110)는 인터넷망을 통해 사용자단말(200)로 인가하여 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55)
상기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영상과 텍스트의 전송(S56)은 두가지 방식에 의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첫번째는 해당 사용자단말(200)에서 독출한 데이터의 전체를 다운로딩한 후 사용자단말(200)에서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한 데이터를 스트리밍에 의해 사용자단말(200)에 인터넷망을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데이터 전송방식은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과 텍스트는 블록체인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 방식을 이용하여 저장하는 경우 그 해당 데이터의 인위적인 가공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블록체인 방식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두가지 전송방식 중 어느 한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영상 및 텍스트를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한다.(S57) 이때 전송되는 영상은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는 스크롤바를 이용하여 영상과 덱스트가 저장된 시간이 동시에 표시되며, 이러한 시간의 표시는 텍스트 일측에 표시되거나 또는 스크롤바의 이동에 따라 저장된 시간이 표시된다. 그리고 스크롤바에는 저장된 영상의 총 시간이 표시되며, 이러한 저장시간을 기준으로 스크로바를 이동하며 영상의 데이터량을 저장시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단계(S50)를 통해 인가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사용자가 설정한 언어로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는 표시단계(S60)를 수행하고, 상기 표시단계(S60)에서 번역된 메시지 내용과 함께 체크박스(210) 형태로 다른 번역 내용을 제공하여 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가 체크박스(210)에서 표시된 내용이 사용자가 설정한 나라의 다국적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도록 선택하였다면,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은 선택된 메시지의 내용이 포함된 메시지데이터의 헤더에 체크박스(210)를 통해 선택하였다는 코드데이터를 포함하여 운영서버(110)로 인가해 다국적자들의 사용자단말(2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국인과 채팅을 하는 경우 채팅에 참가한 상대방의 국적을 체크 해 놓으면, 대화의 내용이 사용자(본인) 국적의 언어와 동시에 상대방 외국인 국가의 언어까지 같이 변환된 내용을 표시해 줌으로써 외국인과의 대화에 어려움이 없이 메시지의 전달을 이어나갈 수 있다.
또한, 대화가 지속되더라도 메시지의 내용을 다시 보려고 할 때 바로 내용 파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메시지의 경우 붙여 넣기기가 또는 직접타이핑이 가능하므로 채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번에 채팅하는 다국적자들(대화상대)이 다른 언어를 사용할 경우, 채팅과 동시에 대화하고 있는 상대의 대화 내용을 상대방의 언어로 변환하여 본인의 언어와 상대방의 언어로 같이 표시해 줌으르써 외국인과의 빠른 대화 및 대화 히스토리의 정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해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플랫폼서버 110: 운영서버
120: 딥런닝서버 130: 번역서버
140: 데이터베이스 200: 사용자단말
210: 체크박스

Claims (14)

  1.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설정한 언어를 통해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실시간 번역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단말에서 번역된 내용이 적절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플랫폼서버와;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설정한 언어로 번역되어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플랫폼서버에서 제공하는 번역프로그램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이 설치되는 사용자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채팅은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에서 다양한 언어로 구사되는 언어의 텍스트를 스트리밍으로 표시하며 동시에 회의 시간을 같이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미 지나간 스트리밍 텍스트에 대하여 회의시간을 정하면 그에 따르는 텍스트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어떤 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현재는 물론 과거의 텍스트도 확인하고,
    상기 플랫폼서버는, 사용자단말에 설치되어 다국적자들과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번역프로그램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단말을 통해 통신망을 거쳐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딥런닝서버로 제공하여 적절한 내용이 번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운영서버와;
    메시지가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메시지의 내용을 복수의 사용자 각각으로부터 설정된 언어로 번역하여 운영서버를 통해 각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번역서버와;
    사용자단말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사용자단말에 체크박스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딥런닝서버와;
    각 나라의 언어로 번역하기 위한 데이터(단어 및 문장), 사용자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번역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딥러닝서버(120)에서 영상과 텍스트를 시간에 맞게 매칭시킨 데이터는 블록체인 방식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40)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의 인위적인 가공을 방지하고,
    상기 시간은 텍스트 일측에 표시되거나 또는 스크롤바의 이동에 따라 저장된 시간이 표시, 저장된 영상의 총 시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딥러닝서버는 기구성된 표준 API(예를 들어 구글에서 제공한 API)가 제공하는 표준 언어 세트외에 방언이나 사투리 등 음절이나 액센트가 특이한 음율요소를 대하여 번역 세트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보조 API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음성 변환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은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설정하여 그 방에서는 모두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텍스트나 변환 음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플랫폼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다국적자들과 메시지를 전달하며,
    상기 메시지 내용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에 포함된 번역프로그램에 의해 번역이 이루어지고,
    상기 번역되어 전달되는 내용이 적절하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 통신망을 통해 딥런닝서버로 인가하여 번역내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7. 삭제
  8.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0)을 이용하여 비디오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채팅방을 설정하고, 설정된 채팅방을 통해 채팅시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51)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입력되는 시간에 텍스트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S52)와;
    운영서버로 인가되는 영상과 텍스트는 딥러닝서버로 인가되어 영상과 텍스트의 시간을 체크하고 시간을 기준으로 영상과 텍스트가 매칭하는 단계(S53)와;
    딥러닝서버(120)에서 영상과 텍스트를 시간에 맞게 매칭시킨 데이터는 블록체인 방식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40)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54)와;
    사용자단말에서 선택하면, 운영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사용자단말로 인가할 수 있도록 운영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과 텍스트를 독출하는 단계와(S55)와;
    사용자단말에서 선택한 데이터의 전체를 다운로딩하거나 사용자단말(200)에서 선택한 데이터를 스트리밍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인터넷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영상과 텍스트의 전송하는 단계(S56)와;
    전송되는 영상 및 텍스트를 사용자단말(200)에 표시하는 단계(S5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는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음성 변환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은 사용자가 채팅방에서 설정하여 그 방에서는 모두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텍스트나 변환 음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에서 비디오를 통하여 제공되는 화자(話者)의 수화(몸짓으로 표현하는 언어)를 텍스트로 변화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언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채팅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메시지 내용의 번역 또는 다국적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단에서 입력된 메시지 내용의 번역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를 딥런닝서버에서 판단하고, 이를 체크박스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의 번역 제공방법.
KR1020210073013A 2021-06-04 2021-06-04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2371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013A KR102371038B1 (ko) 2021-06-04 2021-06-04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PCT/KR2022/007956 WO2022255850A1 (ko) 2021-06-04 2022-06-03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013A KR102371038B1 (ko) 2021-06-04 2021-06-04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038B1 true KR102371038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013A KR102371038B1 (ko) 2021-06-04 2021-06-04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1038B1 (ko)
WO (1) WO20222558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850A1 (ko) * 2021-06-04 2022-12-08 이승진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060A (ja) * 1992-10-08 1994-04-28 Ricoh Co Ltd 遠隔会議システム
KR20180108973A (ko) 2017-03-24 2018-10-0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US10614173B2 (en) * 2011-12-12 2020-04-07 Google Llc Auto-translation for multi user audio and video
KR102138663B1 (ko) * 2019-03-29 2020-07-28 이승진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번역 제공방법
KR102212298B1 (ko) * 2020-11-09 2021-02-05 주식회사 라젠 인공지능 기반의 비장애인과 청각장애인 간 화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5064A (ko) * 2011-12-09 2013-06-19 김성헌 음성인식정보를 수화정보로 자동변환시켜 제공하는 시스템
KR101271285B1 (ko) * 2011-12-28 2013-06-04 (주)카카오 채팅창 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는 방법
KR102371038B1 (ko) * 2021-06-04 2022-03-04 이승진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1060A (ja) * 1992-10-08 1994-04-28 Ricoh Co Ltd 遠隔会議システム
US10614173B2 (en) * 2011-12-12 2020-04-07 Google Llc Auto-translation for multi user audio and video
KR20180108973A (ko) 2017-03-24 2018-10-0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KR102138663B1 (ko) * 2019-03-29 2020-07-28 이승진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번역 제공방법
KR102212298B1 (ko) * 2020-11-09 2021-02-05 주식회사 라젠 인공지능 기반의 비장애인과 청각장애인 간 화상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850A1 (ko) * 2021-06-04 2022-12-08 이승진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850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7503B2 (en) Interactive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s
CN111930940B (zh) 一种文本情感分类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2135153B1 (en) Method, apparatus, serve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e with predictive text input
US20080126077A1 (en) Dynamic modification of a messaging language
US9286292B2 (en) Real-time jargon trans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7430616A (zh) 语音查询的交互式再形成
KR101406981B1 (ko) 다국어 메시지 번역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06340B2 (en) Caller deflection and response system and method
CN107943798A (zh) 检查输入文本语言并自动同步翻译的系统及方法
CN112929253A (zh) 一种虚拟形象交互方法和装置
KR102371038B1 (ko)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2138663B1 (ko) 다국어 번역 지원이 가능한 채팅시스템 및 번역 제공방법
KR102101817B1 (ko) 인터넷 상에 공개된 동영상을 이용한 어학 학습 지원 장치
WO2015023138A1 (ko) 음성인식 기반의 메시징 통역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77051B2 (en) Service server apparatu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program
CN112863495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419192B1 (ko)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동작방법
US11012382B2 (en) State display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chatbot
CN110456920A (zh) 一种基于语义分析的内容推荐方法和装置
CN112149432A (zh) 篇章机器翻译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20180128653A (ko) 대화 검색 방법, 대화 검색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 및 대화 관리 서버
CN112632241A (zh) 智能会话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Almeida et al. Implementing and evaluating a multimodal and multilingual tourist guide
KR20200134454A (ko) 음성 합성 기반 자동 매칭 기능을 구비한 재능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091675A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