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401B1 -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401B1
KR102370401B1 KR1020170090573A KR20170090573A KR102370401B1 KR 102370401 B1 KR102370401 B1 KR 102370401B1 KR 1020170090573 A KR1020170090573 A KR 1020170090573A KR 20170090573 A KR20170090573 A KR 20170090573A KR 102370401 B1 KR102370401 B1 KR 10237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mode
communication
mod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351A (ko
Inventor
이대우
김영기
맹승주
조기호
김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0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통신 방법은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통신 모드를 통해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rminal st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어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단말의 상태를 제어하여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복수개의 통신 모드로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통신 방법은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통신 모드를 통해 제1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통신 모드를 통해 제1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원활하게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상황에서 저전력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을 두 가지 모드에서 동작시키고, 저전력 관리를 위한 통신 모드에서 페이징 메시지 수신을 통한 고성능 통신 모드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대기 전력 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저전력 관리 모드를 적응적으로 동작시켜 단말의 분실과 같은 상황에서 용이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모드 결정과 전환 방법 및 네트워크와 신호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특정 모드 동작에서 기지국과의 신호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특정 모드 동작에서 기지국과의 신호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통신 모드 결정 방법 및 이에 대응한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모드 결정과 전환 방법 및 네트워크와 신호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셀의 커버리지에 따른 단말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라 각 통신 모드의 셀의 커버리지 내에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최소 전력 통신 모드 및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의 경우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단말이 별도의 통신 모드를 통해 낮은 전력을 소비하도록 하는 통신 모드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통신 모드는 MTC, IoT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드와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이동 통신 모드 또는 고사양 통신 모드의 경우 저사양 통신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통신모드를 말할 수 있으며 고성능, 저지연, 고신뢰성을 획득할 수 있는 통신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TE, LTE-A 및 5G 관련 통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통신 모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기 다른 통신 모드가 단말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단말이 상황에 따라 네트워크로부터 하나의 통신 모드를 통해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다른 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경우 본원 발명의 특징과 대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실시 예에서 위에 언급한 통신 모드는 제1통신모드 및 제2통신모드와 같이 언급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은 2G, 3G, 4G, 5G로 발전하고 있다. 각 통신의 세대가 증가함에 따라, data 전송 속도의 증가와, 통신 응답 시간의 단축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통신 속도의 증가와 통신 응답 시간의 단축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도 같이 증가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저전력 통신 기술을 활용해서, 단말 대기 mode에서 단말의 소모 전력을 최소화해서, 단말의 battery 지속 시간을 늘릴 수 있는 발명을 제안한다.
저전력 통신 기술은 일반 이동 통신 기술 대비 더 넓은 coverage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전력 통신 기술을 활용해서 이동통신 out-of-coverage에서의 short data 통신 제공 방안에 대한 발명을 제안한다.
저전력 통신 기술은 일반 이동 통신 기술 대비 극소 전력 소모 mode를 지원한다. 해당 특성을 단말의 도난/분실 방지 기능에 적용해서, 도난/분실 단말의 전원을 off하더라도 단말이 단말의 위치를 망에 등록해서, 단말 소유자에 의한 단말의 위치를 추적 방안에 대한 발명을 제안한다.
실시 예에서 단말은 이동 가능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용 통신 장치를 구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동차,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 단말(terminal 또는 User equipment,UE)(100)이 무선 네트워크(150)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실시 예의 단말(100)은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110), 고속 통신부(high-speed communication block, HSCB)(120), 제어부(130) 및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Low power & Low speed communication block, LPCB)(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블록 전원 제어부(132) 및 타이머(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속 통신부(120)는 고속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140)는 고속 통신부(120)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속 통신부(120) 및 저전력 저속 통신부(140)는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일부 모듈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통신부 및 제어부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110)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110)는 이동 단말의 경우 배터리의 잔량이 적거나 장기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110)는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배터리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단말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블록 전력 제어부(132)는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구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타이머(134)를 통해 각 모드 별도 통신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말(100)은 무선 네트워크(1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152) 및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5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54)는 기지국(152)의 한 요소이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54)는 이동성 관리를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54)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HSC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 및 LPC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은 동일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54)를 통해서도 이루어 질 수 있으나, 각기 전용의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54)를 통해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LTE 시스템을 예로 들면 HSC는 통상적인 MME와 접속을 수행할 수 있으며, LPC는 MTC 전용의 MME를 통해 네트워크와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100)이 네트워크(150)과 접속하기 위해서 기지국(152)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모드 결정과 전환 방법 및 기지국과 신호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200)은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210), 고속 통신부(220), 제어부(230) 및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블록 전원 제어부(232) 및 타이머(2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무선 네트워크(2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252) 및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254)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61에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210)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210)는 단말(200)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을 위한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210)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특정 조건이 만족할 경우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을 위한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상기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을 위한 베터리 상태는 네트워크 및 사용자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262에서 제어부(230)는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을 판단할 경우 HSCB(220)에 통신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HSCB(220)에 통신 경로를 LPCB(240)로 변경하는 것을 알리는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263에서 HSCB(220)는 코어 네트워크(250)에 변경된 통신 경로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B(220)는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에 따라 LPCB(240)로 통신 경로가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달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254)는 기지국(250) 또는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254)일 수 있다. 또한 HSCB(220)는 코어네트워크로부터 경로 변경과 관련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64에서 HSCB(220)는 제어부(230)에 통신 경로 변경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B(220)는 제어부(230)에 통신 경로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265에서 제어부(230)는 HSCB(220) 및 LPCB(24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최소 전력 통신 모드가 수행됨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HSCB(220) 및 LPCB(24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정보가 선택적으로 전송될 경우 HSCB(220) 및 LPCB(240)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다른 노드에게 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최소 전력 통신 모드는 저전력 저속 통신을 유휴 상태(idle state)에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200)이 유휴 상태 일 때 HSC에서 LPC로 통신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단계 266에서 LPCB(240)는 코어 네트워크(250)와 최소 전력 통신 모드와 관련된 서비스 시작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접속을 위한 추가 절차를 수행하거나 기존 HSCB(220)가 수행하던 통신과 관련된 정보 일부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LPC를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attach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67에서 LPCB(230)는 코어 네트워크(250)와 서비스 시작 등록이 완료되었음 알리는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CB(220)는 LPCB(220)와 관련된 서비스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 268에서 제어부(230)는 블록 전력 제어부(232) 및 타이머(234)를 통해 최소 전력 통신 모드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소 전력 통신 모드의 경우 통신에 필요한 최소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에 전원 공급 중단 또는 최소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의 동작은 LPCB(240)와 관련된 블록에 우선적으로 전원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 최소 전력 통신 모드와 관련된 동작은 LPC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네트워크(250)에 단말(200)과 관련된 정보를 LPC를 통해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LPC와 HSC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정보는 HSC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위치 정보 보고 등의 제어를 위한 정보 전달은 LPC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HSC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LPC를 통해 단말의 위치 정보와 같은 상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시나리오에 따라 일부 단계의 동작이 생략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262 내지 264의 동작이 생략되거나,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특정 모드 동작에서 기지국과의 신호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300)은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310), 고속 통신부(320), 제어부(330) 및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블록 전원 제어부(332) 및 타이머(3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300)은 무선 네트워크(3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352) 및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35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300)은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350) 역시 단말(300)이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단계 361에서 단말(300)은 무선 네트워크(350)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CB(340)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362에서 LPCB(340)는 제어부(330)에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CB(340)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지시자를 제어부(33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63에서 제어부(330)는 데어터 처리에 필요한 블록에 전원 공급을 하고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30)는 블록 전력 제어부(332)를 제어하여 LPCB(340)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LPC 모드를 통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달은 단말의 상태 모니터링 또는 상위 레이어로 할당하는 설정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거나, 특정 사이즈 이하의 데이터 전송, SMS와 같은 적은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LP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350)은 단말(300)에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300)은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전력제어를 수행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특정 모드 동작에서 기지국과의 신호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400)은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410), 고속 통신부(420), 제어부(430) 및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4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블록 전원 제어부(432) 및 타이머(4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400)은 무선 네트워크(4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452) 및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45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400)은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450) 역시 단말이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단계 461에서 단말(400)은 무선 네트워크(450)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CB(440)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는 페이징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페이징은 HSC 모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기반으로 단말(400)은 HS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450)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는 HS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450)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후 HS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454)에 접속할 때 상기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62에서 LPCB(440)는 제어부(430)에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CB(440)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어부(43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63에서 제어부(430)는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블록에 전원 공급을 하고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30)는 블록 전력 제어부(432)를 기반으로 LPCB(440)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30)는 LPCB(440)를 통해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 처리를 위해 HSCB(420)를 통한 이동 통신 망 접속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고속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은 상기 단계 461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페이징 메시지에 HS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450)에 접속을 요청하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HSCB(420)을 통한 이동 통신 망 접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계 461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LP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 보다 HS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430)는 HSCB(420)를 통한 이동 통신 망 접속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30)의 판단 결과 HSCB(420)를 통한 이동통신 망 접속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단계 464에서 제어부(430)는 HSCB(420)를 활성화 하기 위한 신호를 HSCB(464)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65에서 HSCB(420)는 제어부(430)의 제어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4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활성화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HSCB(420)는 무선 네트워크(450)에 접속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450)에 접속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45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는 Attach 요청 메시지를 포함 수 있다. 또한 단계 461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450)에 접속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LP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45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400)을 HSC 모드로 동작시키기 위해 네트워크(450)는 LPC 모드를 통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단말(400)은 HS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이동통신모드와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 동시 지원 단말과 신호 송수신을 위해 아래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모드는 단말이 HSCB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는 단말의 LPCB에 의해 수행 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이동 통신 모드는 HSC 모드로 언급될 수 있으며,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는 LPC 모드로 언급될 수 있다.
단계 505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510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capability 정보는 단말의 접속 과정에서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capability 정보는 HSC 모드 및 LPC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15에서 기지국은 수신된 capability 정보를 기반으로 HSC 모드 및 LPC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동시 지원하는 단말일 경우 단계 520에서 기지국은 단말에 이동통신모드와 관련된 셀정보 및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와 관련된 셀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단말일 경우 단계 525에서 기지국은 이동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셀 정보는 delicate signaling 또는 broadcasting signaling을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 정보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에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은 각 셀에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단계 530에서 기지국은 이동 통신 모드 관련 셀을 통해 접속해 있던 단말로부터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를 통해 이동 통신 모드관련 셀 접속 불가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특정 조건에 해당할 경우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를 수행할 것을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은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를 통해 해당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HSC 모드와 관련된 통신 상황이 열악할 경우 단말은 LPC 모드를 통해 HSC 모드로 접속 불가함으로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이 대기모드에서 LPC 모드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기를 결정한 경우 단말은 LPC 모드를 통해 기지국에 이와 같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정보에는 단말이 HSC 모드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면서 사용했던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는 이와 같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에 HSC 모드로 통신하던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LPC 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가 보고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단말은 계속 HSC 모드를 통해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535에서 기지국은 이동 통신 모드 관련 셀에 접속해 있던 단말의 context 정보를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이동 통신 모드에 따른 신호 송수신에 사용되던 단말의 context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은 이 정보를 활용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상기 기지국은 HSC 모드와 LPC 모드에서 사용되는 정보 중 네트워크 노드에서 변경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 모드에서 사용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가 LPC 모드에서 변경된 경우 이와 같은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LPC 모드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을 기반으로 HSC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 관련 셀에 접속할 수 없고, LPC 관련 셀에 접속하는 경우, LPC 셀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HSC 접속을 위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 때는 broadcast를 통한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또는 dedicated signal transmit을 통한 시스템 정보 전달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HSC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LPC의 시스템 정보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말이 HSC에 접속할 경우 별도로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 셀에 접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6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이동통신모드 및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605에서 단말의 전원이 on 되면서 단말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on 이외에도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때 이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전원이 on 되지 않은 경우에도 특정 모드에서 단말이 동작할 때 단말의 일부 모듈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이동 통신 모드는 HSC 모드로 언급될 수 있으며,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는 LPC 모드로 언급될 수 있다.
단계 610에서 단말은 통신 모드와 관련된 capability 보고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통신모드와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 중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와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capability 정보는 HSC 모드 및 LPC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상기 단말이 HSC 모드 및 LPC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판단할 수 있다.. 두 가지 모드 모드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우선 두 모드 모두 지원할 경우 단말은 단계 620에서 이동통신모드및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와 관련된 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드만 지원할 경우 단계 625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통신모드와 관련된 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단말은 이동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이 탐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셀 탐지 여부는 단말의 위치 단말의 상태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단말이 자체적으로 이동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 탐지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에도 해당 셀을 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셀이 탐지되는 것은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잇다.
이동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을 탐지한 경우 단계 640에서 단말은 이동 통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을 탐지하지 못한 경우 단계 635에서 단말은 저전력 자사양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을 탐지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탐지하지 못한 경우 이동 통신 모드 셀 탐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저전력 자사양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을 탐지한 경우 단계 645에서 단말은 저전력 자사양 통신 모드와 관련된 셀을 통해 기지국 및 네트워크 노드 중 적어도 하나에 이동 통신 모드 관련 셀에 접속이 불가함을 알리는 보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또한 실시 예에서 HSC 모드와 관련된 통신 상황이 열악할 경우 단말은 LPC 모드를 통해 HSC 모드로 접속 불가함으로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이 대기모드에서 LPC 모드를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기를 결정한 경우 단말은 LPC 모드를 통해 기지국에 이와 같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정보에는 단말이 HSC 모드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하면서 사용했던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네트워크 노드 중 하나는 이와 같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에 HSC 모드로 통신하던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LPC 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셀 접속 불가 상황의 경우 단말의 선택에 의해 HSC 모드로 접속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50에서 저전력 저사양 동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저전력 저사양 동신 모드로 동작하면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이동 통신 모드 관련된 셀을 탐색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LPC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은 HSC 모드로 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메시지를 기반으로 HSC 모드와 관련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통신 모드 결정 방법 및 이에 대응한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이동통신모드 및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705에서 단말의 전원이 on 되면서 단말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on 이외에도 단말이 기지국에 접속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때 이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전원이 on 되지 않은 경우에도 특정 모드에서 단말이 동작할 때 단말의 일부 모듈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이동 통신 모드는 HSC 모드로 언급될 수 있으며,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는 LPC 모드로 언급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단말은 이동통신모드 및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715에서 단말은 전원이 off 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전원이 off되지 않은 경우 단계 71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이 off 된 경우 단계 720에서 단말은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에서 단말은 저전력 저사양 통신모드와 관련된 블록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은 특정 모드로 동작할 때 전원이 off 된 경우에도 LPC 모드 관련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도난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여 단말에 관련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단말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원이 off 된 경우에도 LPC 모드 관련 모듈을 계속 동작시켜 단말의 위치 보고 등을 기지국에 수행할 수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LPC 모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725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통해 원격 제어 명령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전원 off 상태를 유지하며, 전원 on 되었는지 판단을 할 수도 있다.
하향링크 신호를 통해 원격 제어 명령과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단계 735에서 단말은 수신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된 명령은 단말의 위치 정보 송신 및 주위 센서 정보 수신 및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전력만을 소비하면서 네트워크의 제어 명령에 따라 특정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단말이 분실된 경우에도 저전력 저사양 통신 모드를 통해 단말의 위치 정보, 이동성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800)은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810), 고속 통신부(HSCB)(820), 제어부(830) 및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LPCB)(8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블록 전원 제어부(832) 및 타이머(8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속 통신부(820)는 고속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840)는 고속 통신부(820)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속 통신부(820) 및 저전력 저속 통신부(840)는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일부 모듈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840)의 제어에 따라 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통신부 및 제어부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810)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810)는 이동 단말의 경우 배터리의 잔량이 적거나 장기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810)는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배터리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830)는 단말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블록 전력 제어부(832)는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구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타이머(834)를 통해 각 모드 별도 통신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말(800)은 무선 네트워크(8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852) 및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852)는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단말(800)에 전송하고, 단말(800)이 전송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5)는 기지국(852)의 한 요소이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의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5)는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6) 및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8)을 포함할 수 있다.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6) 및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8)는 별도의 노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일한 노드에서 별도의 논리적 노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6) HSC 모드에 대응하는 단말(800)의 통신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고,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8)는 LPC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6)는 MME일 수 있으며,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8)는 MTC 전용의 MME일 수 있다. 각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는 단말(800)의 통신 모드에 따라 별도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8)는 MTC 단말 특성에 대응하는 성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MTC 단말 특성의 경우 단말의 위치 업데이트를 보다 긴 주기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해 별도의 트래킹 에어리어 업데이트 타이머 값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이 LPC 모드로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할 때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8)는 단말의 가입정보 또는 단말이 제공한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 업데이틀 위한 타이머 값을 할당하여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5)는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859)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859)는 단말 가입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5)를 통해 접속한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동일 단말 식별자를 사용하여 HSC 및 LPC 모드로 네트워크(850)에 접속할 경우, 상기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859)는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5)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각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855)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859)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일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모드 결정과 전환 방법 및 네트워크와 신호 교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900)은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910), 고속 통신부(HSCB)(920), 제어부(930) 및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LPCB)(9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30)는 블록 전원 제어부(932) 및 타이머(9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속 통신부(920)는 고속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940)는 고속 통신부(920)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속 통신부(920) 및 저전력 저속 통신부(940)는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일부 모듈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940)의 제어에 따라 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통신부 및 제어부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910)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910)는 이동 단말의 경우 배터리의 잔량이 적거나 장기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910)는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배터리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930)는 단말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블록 전력 제어부(932)는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구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타이머(934)를 통해 각 모드 별도 통신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말(900)은 무선 네트워크(9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952) 및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952)는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단말(900)에 전송하고, 단말(900)이 전송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는 기지국(952)의 한 요소이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의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는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 및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을 포함할 수 있다.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 및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는 별도의 노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일한 노드에서 별도의 논리적 노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는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는 단말 가입 정보(subscription information)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를 통해 접속한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동일 단말 식별자를 사용하여 HSC 및 LPC 모드로 네트워크(950)에 접속할 경우, 상기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는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각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LPC 모드에서 단말(900)이 네트워크(950)에 접속할 때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컨텍스트 정보는 HSC 모드에서 단말(900)이 네트워크에(950) 접속할 때 사용되는 컨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 모드에서 네트워크(950)에서 단말(90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LPC 모드에서 네트워크(950)에서 단말(900)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일부가 동일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단말(900)에 대응하는 동일한 프리픽스(prefix) 값을 가지고, HSC 모드 및 LPC 모드에 대응하는 정보 값이 덧붙여진(appending)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는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에 단말(900)에 정보 전달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961에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910)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910)는 단말(900)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을 위한 정보를 제어부(9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910)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특정 조건이 만족할 경우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을 위한 정보를 제어부(9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상기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을 위한 베터리 상태는 네트워크 및 사용자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962에서 제어부(930)는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을 판단할 경우 HSCB(920)에 통신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HSCB(920)에 통신 경로를 LPCB(940)로 변경하는 것을 알리는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 963에서 HSCB(920)는 코어 네트워크(950)에 변경된 통신 경로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B(920)는 최소 전력 통신 모드 진입에 따라 LPCB(940)로 통신 경로가 변경되었다는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9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954)는 기지국(950) 또는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5)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경로가 변경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정보는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에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900)은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를 통해 이동성 관리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경로 변경을 위해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에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를 통한 접속을 수행함을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정보는 접속을 변경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지시자 및 단말(900)과 관련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HSCB(920)는 코어네트워크로부터 경로 변경과 관련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 경로 변경과 관련된 응답에는 LPC 모드로 네트워크(950)에 접속하기 위한 컨텍스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900)은 차후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 963-1에서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는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에 접속을 변경하는 단말(900) 정보를 전송할 수 있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과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 사이에 직접 연결을 통한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고,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를 통한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900) 정보가 직접 전송되는 경우,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은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에 단말과 관련된 컨텍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후 단말이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를 통해 네트워크(950)에 접속할 경우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활용하여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900) 정보가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를 통해 전송될 경우,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은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에 단말 식별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 인증 및 승인 장치(959)는 상기 단말 식별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차후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이 단말 가입 정보를 요청할 경우 대응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900) HSC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 LPC 모드로 통신하는 경우에 네트워크(950)에서 단말(900) 식별 정보 관리를 통합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단말(900)이 LPC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 HSC 모드로의 접속이 필요할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가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에 페이징 요청을 전송하여 이를 기반으로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6)이 단말에 HSC 모드로 접속을 지시하기 위한 페이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964에서 HSCB(920)는 제어부(930)에 통신 경로 변경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B(920)는 제어부(930)에 통신 경로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965에서 제어부(930)는 HSCB(920) 및 LPCB(94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최소 전력 통신 모드가 수행됨을 알리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HSCB(920) 및 LPCB(94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정보가 선택적으로 전송될 경우 HSCB(920) 및 LPCB(940) 중 적어도 하나의 노드는 다른 노드에게 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최소 전력 통신 모드는 저전력 저속 통신을 유휴 상태(idle state)에서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900)이 유휴 상태 일 때 HSC에서 LPC로 통신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대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단계 966에서 LPCB(940)는 코어 네트워크(950)와 최소 전력 통신 모드와 관련된 서비스 시작과 관련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교환하는 노드는 기지국(952) 및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95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속을 위한 추가 절차를 수행하거나 기존 HSCB(920)가 수행하던 통신과 관련된 정보 일부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의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LPC를 수행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attach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텍스트 정보는 네트워크에서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LPC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식별자 및 HSC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식별자는 각각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통신 모드 접속을 위해 동일한 식별자를 사용하거나, LPC에 대응하는 식별자의 일부가 HSC에 대응하는 식별자의 일부와 동일하거나, HSC에 대응하는 식별자의 일부가 LPC에 대응하는 식별자일 수 있다.
단계 967에서 LPCB(930)는 코어 네트워크(950)와 서비스 시작 등록이 완료되었음 알리는 정보를 제어부(930)에 전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CB(920)는 LPCB(920)와 관련된 서비스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제어부(930)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 968에서 제어부(930)는 블록 전력 제어부(932) 및 타이머(934)를 통해 최소 전력 통신 모드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소 전력 통신 모드의 경우 통신에 필요한 최소 블록을 제외한 나머지 블록에 전원 공급 중단 또는 최소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의 동작은 LPCB(940)와 관련된 블록에 우선적으로 전원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 최소 전력 통신 모드와 관련된 동작은 LPC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네트워크(950)에 단말(900)과 관련된 정보를 LPC를 통해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시나리오에 따라 일부 단계의 동작이 생략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 962 내지 964의 동작이 생략되거나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네트워크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1000)은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1010), 고속 통신부(HSCB)(1020), 제어부(1030) 및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LPCB)(10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30)는 블록 전원 제어부(1032) 및 타이머(10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고속 통신부(1020)는 고속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며, 저전력 및 저속 통신부(1040)는 고속 통신부(1020)보다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속 통신부(1020) 및 저전력 저속 통신부(1040)는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일부 모듈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1040)의 제어에 따라 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통신부 및 제어부는 복수개의 프로세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1010)는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1010)는 이동 단말의 경우 배터리의 잔량이 적거나 장기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부(1010)는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배터리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030)는 단말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블록 전력 제어부(1032)는 통신에 필요한 전력을 구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타이머(1034)를 통해 각 모드 별도 통신 방법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말(1000)은 무선 네트워크(10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기지국(1052) 및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은 LPC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가정하고,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는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일 수 있으나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 역시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052)는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단말(1000)에 전송하고, 단말(1000)이 전송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는 기지국(1052)의 한 요소이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는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1060)과 연결될 수 있다.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1060)는 별도의 서버로 구성되거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노드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1060)는 HSS의 일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입 정보에 도난 및 분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네트워크(1050)에서 단말(1000)의 도난 또는 분실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 예에서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1060)는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에 단말 도난 및 분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는 단말(100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단말(10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071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또는 블록 전원 제어부(1032)의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원이 오프 되는 경우는 단말이 분실되어 습득자에 의해 전원 오프 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72에서 제어부(1030)은 LPCB(1040)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1000)이 분실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제어부(1030)은 LPCB(1040)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하여 네트워크(1050)과 신호를 송수신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030)는 단말 분실로 판단된 경우에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 분실로 판단된 경우는 전원 오프 이전에 네트워크(1050)으로부터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LPCB(1040)을 동작시키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수신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PCB(1040)을 계속 동작시킴으로써 단말(10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LPCB(1040)를 통해 단말의 위치 정보 등을 네트워크(105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특정 경우 네트워크(105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기반으로 단말(1000)의 다른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활성화 되는 기능은 단말(1000)에 구비된 출력 장치를 통해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출력 장치는 스피커, 라이트 및 진동 출력을 수행하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1030)는 단말 분실로 판단된 경우가 아닌 경우에도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73에서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1060)에 단말(1000)의 분실 또는 도난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1000)의 사용자에 의한 등록 또는 네트워크(1050) 사업자에 의한 등록을 통해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1060)에 단말(1000)의 분실 또는 도난 정보가 등록 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1060)은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에 단말(1000)의 분실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실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는 단말(10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074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는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00)에게 위치 정보 보고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보고 요청 메시지는 단말(1000)를 보고를 지시하기 위한 메시지로 위치 보고 요청 정보 및 위치 보고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75에서 단말(1000)은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00)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1050)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10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기로 네트워크(105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상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1030)는 단말(1000)에 구비된 위치 정보 획득 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1000)은 GPS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1030)의 제어를 기반으로 GPS 모듈을 구동하여 보다 상세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를 네트워크(105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블록 전원 제어부(1032)는 단말의 배터리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배터리 상황을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전력 잔량이 설정되거나 네트워크에서 설정한 값 이하일 경우 보다 긴 주기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1050)에 전송할 수 있도록 단말(10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1000)이 상기 단계 1074의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단말(1000)의 동작을 네트워크(1050)에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1050)의 전원 제어, 통신 관련 제어 및 출력 제어를 네크워크(105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1050)는 단말(1000)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에서 도난 및 분실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분실 되거나 도난 된 경우 보다 용이하게 단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단계 1076에서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1054)는 수신한 정보를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106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한 정보는 단말(1000)의 위치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네트워크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1110에서 단말은 HS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HSC 모드로 접속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attach request를 전송할 수 있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계 1115에서 단말은 단말 상태를 기반으로 LPC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하일 경우 또는 단말의 전원이 꺼진 경우 LP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PC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은 LPC 모드 접속을 위해 새로운 attach request를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HSC 모드에서 사용하던 컨텍스트 정보 중 일부를 활용하여 상기 새로운 attach request를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 1120에서 단말은 LP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지시 정보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HSC 모드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LPC 모드를 통해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일 수 있으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HSC 모드로 접속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에는 HSC 모드로 접속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SC 모드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단계 1125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HS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120에서 수신한 메시지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이에 따라 HSC 모드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 과정에서 상기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를 활용하여 추가로 컨텍스트 정보를 할당 받는 것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 설정된 경우 단말을 LPC 모드로 동작시킴으로써 대기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고, LPC 모드를 통해 HSC 모드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HSC 모드로의 접속이 필요한 경우 단말에게 접속 지시를 함으로써 정보 송수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네트워크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1210에서 단말은 HSC 모드로 네트워크와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이 통상적으로 HS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을 수행한 뒤에 단말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도 기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LP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도 이하의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1215에서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모드 전환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드 전환 지시 정보는 단말이 LP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모드 전환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에도 LP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1220에서 단말은 상기 지시 정보 기반으로 LPC 모드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LPC 모드로 접속하여 단말의 위치 보고를 수행하고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단계 1225에서 단말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기존에 접속한 접속 정보 기준으로 LPC 모드에서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보고하는 주기 및 보고되는 위치 정보의 정밀도 등을 결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230에서 단말은 LPC 모드로 동작하면서 위치 정보 보고 및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시 HSC 모드로 접속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추가적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1300)은 송수신부(1302), 저장부(1304) 및 제어부(1306)을 포함한다.
송수신부(1302)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저장부(1304)는 단말(1300)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송수신부(13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6)은 단말(1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단말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말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기지국(1400)은 송수신부(1402), 저장부(1404) 및 제어부(1406)을 포함한다.
송수신부(1402)는 단말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저장부(1404)는 기지국(1400)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송수신부(14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6)은 기지국(1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지국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지국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 고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 저속 단말 유휴 모드 제어 및 위치 관리 장치 및 도난/분실 단말 등록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실시 예의 네트워크 노드(1500)는 송수신부(1502), 저장부(1504) 및 제어부(1506)을 포함한다.
송수신부(1502)는 단말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저장부(1504)는 네트워크 노드(1500)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송수신부(15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6)은 네트워크 노드(1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노드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노드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은 네트워크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단계 1605에서 단말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1610에서 상기 단말은 LPC 모드로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것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 모드 및 대기 상태로 있는 유휴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LPC 모드에서 유휴 모드로 대기할 수 있다.
단계 1615에서 상기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및 단말이 기지국에 보고하는 상태 보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보고하는 데이터는 채널 상태 정보 및 단말의 모니터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620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발생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은 발생한 데이터의 크기, 전송의 중요성 및 시간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발생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네트워크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의 용량이 큰 경우, 전송할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은 경우 및 상기 데이터 전송에 저 지연이 필요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HS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요건 중 일부만 만족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LP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데이터 중 HSC 모드의 셀과 관련된 채널 정보를 보고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HSC 모드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성된 상향링크 데이터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또는 네트워크에서 설정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단말은 HSC 모드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데이터의 중요성 정보 및 시간 지연 가능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계 1620에서 LPC 모드로 전송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말은 단계 1625에서 LPC 모드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제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LPC 모드의 유휴 모드에서 연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생성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계 1620에서 HSC 모드로 전송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단말은 단계 1630에서 HSC 모드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HSC 모드 접속을 위한 attach 과정을 네트워크와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HSC 모드로 상기 생성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따.
단계 1635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 상기 단말이 접속해야 할 네트워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잔량이 적을 경우 다시 LPC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SC 모드로 전송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이 수신될 것으로 예상될 경우 HSC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두 모드 모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단계 1640에서 상기 단계 1635에서 선택한 통신 모드로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두 모드 모두를 선택할 경우 타이머 값을 구동하여 일정시간동안 상기 두 모드에 대한 접속을 유지하고, 타이머가 만료될 경우 LPC 모드만으로 네트워크와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셀의 커버리지에 따른 단말의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기지국(1700)은 제1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제1셀(1710) 및 제2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제2셀(1720)을 운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셀(1710) 및 제2셀(1720)은 동일한 기지국 또는 상이한 기지국을 통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1셀(1710)은 HSC를 위한 셀일 수 있으며, 제2셀(1720)은 LPC를 위한 셀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단말(1730) 및 제2단말(1740)은 적어도 하나의 셀 내에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단말(1730)은 제1셀(1710) 및 제2셀(1720)의 커버리지 내에 있고, 제1셀(1710) 및 제2셀(1720) 중 적어도 하나의 셀을 선택하여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1730)은 제1셀(1710)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전의 실시 예에 기술한 이유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2셀(172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단말(1740)은 제1셀(1710)의 커버리지 밖에 있으며, 제2셀(17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2단말(1740)은 제2셀(172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제1셀(1710)의 커버리지 밖에 있으면서 제2셀(1720)의 커버리지 안에 있을 경우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라 각 통신 모드의 셀의 커버리지 내에서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1805에서 단말은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정보 및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대응한 접속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단말은 적어도 하나에 셀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거나, 셀 정보만 획득하고 접속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셀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단말은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 및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에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의 일 예시로 해당 셀의 커버리지 밖에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통신 모드는 HSC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통신 모드는 LPC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810에서 단말은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에 접속 불가하고,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에 접속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단계 1815에서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관련 동작은 접속 가능한 셀과 관련된 동작 및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한 단말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에 접속 불가하고,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에 접속 가능할 경우 단계 1820에서 단말은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로부터 동기(synchronization)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은 상기 획득한 동기 정보를 기반으로 제1통신 모드 또는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단말 대 단말(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획득한 동기 정보를 기반으로 D2D 통신을 위한 발견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825에서 단말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기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에 접속 불가하고,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에 접속 가능한 경우 해당 위치를 기록 함으로써 보다 명확한 셀 커버리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록하는 정보는 위치 정보 이외에도 minimization of drive tests(MDT)를 위해 기록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정보에는 제1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에 접속 불가한 이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획득한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단계 1830에서 단말은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과 신호를 송수신 하는 것은 단말이 제2통신 모드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정 서비스는 제2통신 모드를 사용한 서비스를 포함하며, 제2통신 모드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와 같은 서비스는 VoLTE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협대역(narrow band) 통신을 통한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6)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모드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통신 모드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드에서 사용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통신하기 위한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단말의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와 연관됨; 및
    상기 제1 통신 모드와 관련된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상태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제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원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드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제2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드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의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의 커버리지 내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동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제1 통신 모드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제2 통신 모드에 대한 제2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하면,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상기 제1 통신 모드에서 사용된 단말의 컨텍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통신하기 위한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 상기 단말의 식별자는 상기 제1 통신 모드와 연관됨,상기 제1 통신 모드와 관련된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제1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의 상태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제2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전원 오프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통신 모드 관련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제2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1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의 커버리지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셀의 커버리지 내부에 위치할 경우, 상기 단말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동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동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 모드에 기반하여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70090573A 2016-07-15 2017-07-17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70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0068 2016-07-15
KR1020160090068 2016-07-15
KR20160154390 2016-11-18
KR1020160154390 2016-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351A KR20180008351A (ko) 2018-01-24
KR102370401B1 true KR102370401B1 (ko) 2022-03-04

Family

ID=6095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73A KR102370401B1 (ko) 2016-07-15 2017-07-17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04145B2 (ko)
EP (1) EP3474608B1 (ko)
KR (1) KR102370401B1 (ko)
WO (1) WO2018012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6265B2 (en) * 2016-07-05 2020-1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resource operation preferred by us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CN112637939B (zh) * 2019-10-08 2021-11-30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降低ue功耗的方法和装置
CN111278093B (zh) * 2020-01-17 2023-09-29 芯安微众(上海)微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设备及其通讯系统
KR102348948B1 (ko) * 2020-01-29 2022-01-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머신 타입 통신을 위한 송신 전력의 제어를 위한 평균장 게임 프레임워크 기반 기법
WO2021212414A1 (zh) * 2020-04-23 2021-10-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获取和提供配置信息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032536A1 (zh) * 2020-08-12 2022-02-1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2367717A (zh) * 2020-10-22 2021-02-12 嘉兴润邦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iot的防下线直连式物联网系统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577A (ja) * 2005-03-29 2006-10-12 Fujitsu Ltd デュアルモード通信方法およびデュアルモード通信端末
US20110195743A1 (en) * 2008-09-12 2011-08-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943B1 (ko) 2005-01-11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무선 단말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및 그 장치
US8270965B2 (en) * 2007-04-05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over cellular networks to reduce the Wi-Fi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US9807819B1 (en) * 2009-09-04 2017-10-3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ross-technology session continuity
US8804988B2 (en) * 2010-04-13 2014-08-12 Starkey Laboratories, Inc. Control of low power or standby modes of a hearing assistance device
GB201009649D0 (en) * 2010-06-09 2010-07-21 Roke Manor Research Mobile device and method
CA2803976A1 (en) * 2010-06-28 2012-01-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radio access technology selection
KR20120080403A (ko) 2011-01-07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스템 신호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40034289A (ko) 2011-07-12 2014-03-19 인텔 코포레이션 사물 지능 장치들을 위한 자원 스케줄링
US9344967B2 (en) 2012-06-04 2016-05-17 Intel Corporation Deep sleep in 1x M2M devices
US9462562B2 (en) 2013-09-30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r equipment assisted tim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of small cells
US9301252B2 (en) * 2013-11-11 2016-03-2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modems
WO2015105389A1 (ko) 2014-01-10 2015-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5170831A1 (ko) 2014-05-08 2015-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파워 세이브 모드 기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20160081019A1 (en) 2014-09-12 2016-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devices
US9668204B2 (en) 2014-09-19 2017-05-30 Qualcomm Inc. Collaborative demand-based dual-mode Wi-Fi network control to optimize wireless power and performance
US9860825B2 (en) * 2014-12-22 2018-01-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obile hardware identity in an environment with multiple radio access networks
US20170086166A1 (en) * 2015-09-22 2017-03-23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message monitoring in electronic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577A (ja) * 2005-03-29 2006-10-12 Fujitsu Ltd デュアルモード通信方法およびデュアルモード通信端末
US20110195743A1 (en) * 2008-09-12 2011-08-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949A1 (ko) 2018-01-18
KR20180008351A (ko) 2018-01-24
EP3474608B1 (en) 2023-08-30
EP3474608A4 (en) 2019-07-03
US20190313340A1 (en) 2019-10-10
EP3474608A1 (en) 2019-04-24
US11304145B2 (en)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40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10314119A1 (en) System and method of ue-centric radio access procedure
US9775105B2 (en) Optimization on network assisted proximity services discovery management
KR102394118B1 (ko) 단말 모니터링 설정 방법 및 장치
JP6553063B2 (ja) ネットワーク制御ノードに向けたユーザ装置プロパティの指示
JP7147862B2 (ja) 無線端末、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これらの方法
JP2021119719A (ja) 端末装置、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20201762A1 (en) Mobile-Terminated Early Data Transmission
US20220279469A1 (en) Method for operating ue comprising plurality of sim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897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479256B (zh) 在寻呼消息中包含数据的方法和设备
US11510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DU session connection
WO2018001086A1 (zh) 承载寻呼消息载波的确定、寻呼消息的发送方法及装置
KR102521218B1 (ko) 셀룰러 사물 인터넷 장치의 전력 절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2207731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aging resource selection and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acquisition in wireless networks
EP4338541A1 (en) Sending system information block information before pc5-radio resource control setup
CN116056028A (zh) 通信方法和装置
KR2021013839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bs 수신을 위한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