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374B1 -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374B1
KR102370374B1 KR1020150110238A KR20150110238A KR102370374B1 KR 102370374 B1 KR102370374 B1 KR 102370374B1 KR 1020150110238 A KR1020150110238 A KR 1020150110238A KR 20150110238 A KR20150110238 A KR 20150110238A KR 102370374 B1 KR102370374 B1 KR 10237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device
actuator
axis
axial direction
piezoelectric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749A (ko
Inventor
정혜인
이진원
정종삼
최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0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374B1/ko
Priority to CN201580081480.1A priority patent/CN107736011B/zh
Priority to PCT/KR2015/013956 priority patent/WO2017022906A1/en
Priority to EP15900491.0A priority patent/EP3332543A4/en
Priority to US14/979,610 priority patent/US10341539B2/en
Publication of KR2017001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749A/ko
Priority to US16/443,681 priority patent/US108874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2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scanning movement of lens or cameras
    • H04N5/2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04N5/2254
    • H04N5/2257
    • H04N5/23203
    • H04N5/23216
    • H04N5/23222
    • H04N5/232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일 예시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은 제1 축 및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를 상기 제1 축 또는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상기 촬상 장치의 광축 방향을 따라 접촉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촬상 장치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액추에이터;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hav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user terminal}
영상을 촬상 하기 위한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 중 이동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촬상 장치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촬상 장치와 달리 촬상 장치가 모듈화되어 단말기에 장착된 경우, 촬상 장치의 장착 상태 또는 단마릭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파지 상태에 따라 촬상 장치의 회전이 자유롭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사체의 구도 조정 및 화각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단말 장치에 장착된 촬상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량된 촬상 장치 모듈,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촬상 장치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일 예시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은, 제1 축 및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를 상기 제1 축 또는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상기 촬상 장치의 광축 방향을 따라 접촉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촬상 장치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액추에이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전면부에 배치된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가 수용되며 상기 전면부와 마주보는 후면부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 중 어느 일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 단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접촉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 중 어느 일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 단부가 나머지 일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2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각각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기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촬상 장치에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일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에 압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부의 중심점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축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접촉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 중 어느 일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 단부가 나머지 일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1 액추에이터 및 제1-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2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및 상기 제1-2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제1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전 소자에 소정의 위상을 구비하는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제1 압전 소자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기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촬상 장치에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일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에 압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및 제2 축 방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중심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접촉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 중 어느 일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부가 나머지 일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2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된 십자 형상의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및 상기 제2-2 액추에이터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각각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상기 중심부에 배치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촬상 장치에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가 지지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에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판은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 및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부; 상기 제1 케이스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축 또는 상기 제2 축 중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대해 나머지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내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하며, 인식된 상기 특정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개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개체를 따라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복수의 정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을 상기 특정 개체를 기준으로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보기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입/출력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촬상 장치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의 회전 정도는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특정 개체를 기준으로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정지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를 기준으로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보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 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촬상 장치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의 회전 정도는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다.
도 16a 및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다.
도 19a는 제1 액추에이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b 및 도 19c는 제2-1 액추에이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d 및 도 19e는 제2-2 액추에이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도 20a 내지 도 20c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개시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하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단수형은 문맥상 명확하게 달리 지적하지 않은 이상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여,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터치 또는 "터치 입력"이라 함은 직접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근접(예를 들어, 2 cm 이내)한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개시에 기재된 사용자 단말 장치(1)는 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PDA,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키오스크, 전자 액자, 네비게이션, 디지털 TV, 손목 시계(Wrist watch) 또는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1), 제어부(12), 메모리(13), 입/출력 모듈(16) 및 촬상 장치 모듈(18)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는 표시패널(111) 및 표시 패널(111)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11)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사용자 단말 장치(1)에 포함된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2)는 RAM(121), ROM(122), CPU(123) 및 버스(bus)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121), ROM(122) 및 CPU(123)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123)는 메모리(13)에 액세스하고, 메모리(13)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13)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일 예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1)에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123)가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13)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123)는 메모리(13)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작동을 수행한다.
메모리(13)는 사용자 단말 장치(1)의 작동에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메모리(13)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2)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거나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존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에 출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전달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버튼(161) 및 터치 패널(16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1)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않음), 볼륨버튼(도시되지 않음)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63)은 디스플레이부(11)의 표시 패널(111)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111)과 터치 패널(163)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촬상 장치 모듈(18)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부재로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촬상 장치(100) 및 촬상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모듈(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 모듈(18)은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촬상 장치 모듈(18)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촬상 장치 모듈(18)은 사용자 단말 장치(1) 전면에 배치되고, 다른 촬상 장치 모듈(18)은 사용자 단말 장치(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촬상 장치 모듈(18)은 인접하게(예를 들어, 간격이 1 cm보다 크고, 8 cm 보다 작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상 장치 모듈(18)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서술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18)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촬상 장치(100) 및 상기 촬상 장치(100)를 다축 회전 구동 시키는 복수의 액추에이터 모듈(200)를 포함할 수 다.
촬상 장치(100)는 촬상 센서(130)와 영상광을 촬상 센서(130)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렌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10)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피사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줌 렌즈,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줌 모터(미도시) 또는 AF(Auto focusing) 모터(미도시)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하여 구동되어 서로에 대한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초점 조절을 위한 광학적 구조와 렌즈 구동 구조 및 줌 조절을 위한 광학적 구조와 렌즈 구동 구조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줌 배율 조절, 초점 조절을 위하여 복수의 렌즈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센서(130)는 영상광을 받아서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센서(130)는 씨씨디(CCD; 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와 같은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며, 렌즈부(110)를 통과하여 입사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센서(13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12)에 의해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는 촬상 센서(130)의 전기적 신호를 RGB 데이터로 변환한 후, RGB 데이터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포함하는 YUV 신호와 같은 형태의 원시 데이터(raw data)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12)에 의한 변환 과정은, 예를 들어,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에 포함된 촬상 센서(130)의 구동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자동 이득 제어 회로(Automatic Gain Control 회로)에 의해 노이즈 저감 후의 신호의 게인을 조정하는 단계와, A/D 변환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하는 단계와, 디지털 신호에 대한 픽셀 결함 보정, 게인 보정, 화이트 밸런스 보정, 감마 보정 등의 신호 처리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촬상 장치(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이다. 일 예로서,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전기를 입력 에너지로 사용하여 변위 또는 발생력을 출력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재료에 기계적 변형을 가하면 전기장이 발생하고, 역으로 재료에 전기장이 인가되면 기계적 변형이 발생하는 특징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압전 소자(2000)와 압전 소자(2000) 각각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전극(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압전 소자(2000)는 선형으로 형성되고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압전 소자(2000)들의 기계적 변형으로 인해 그와 접촉하는 접촉체,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압전 소자(2000)가 배치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촬상 장치(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제어부(12)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촬상 장치(100)의 제1 회전 구동과 제2 회전 구동을 개별적으로 수행하거나, 제1 회전 구동과 제2 회전 구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압전 소자(2000)의 배치 및 촬상 장치(100)의 제1 회전 구동과 제2 회전 구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시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110), 촬상 센서(130) 및 상기 렌즈부(110) 및 촬상 센서(130)를 수납할 수 있는 하우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촬상 장치(100)는 제1 케이스부(150)에 수납될 수 있으며, 촬상 장치(100) 및 제1 케이스부(150)는 제2 케이스부(160)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제1 액추에이터 (210), 제2 액추에이터(220) 및 가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40)는 렌즈부(110) 및 촬상 센서(13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로서, 피사체와 마주보는 전면부(141)에 렌즈부(1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부(141)와 마주보는 후면부(142)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40)는 제1 케이스부(150)에 대해 렌즈부(110)의 광축(Z)과 수직 방향인 제2 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케이스부(15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부(140)의 양 측부에는 제2 축(Y)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회전축(14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케이스부(150)는 하우징부(14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이다. 제1 케이스부(150)는 제1 회전축(143)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관통홀(151)을 상부 및 하부에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140)는 제1 케이스부(150)에 대해 제2 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부(150) 및 상기 제1 케이스부(150)에 수납된 촬상 장치(100)는 제2 케이스부(160)에 대해 렌즈부(110)의 광축(Z) 및 제2 축(Y)과 수직 방향인 제1 축(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2 케이스부(16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케이스부(150)의 양 측부에는 제1 축(X)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회전축(15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스부(160)는 제1 케이스부(150)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부재이며, 촬상 장치(100)를 사용자 단말 장치(1)에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2 케이스부(160)는 제2 회전축(152)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관통홀(164)을 양 측부에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케이스부(150) 및 제1 케이스부(150)에 수납된 촬상 장치(100)는 제2 케이스부(160)에 대해 제1 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일 방향으로 변형되어 촬상 장치(100)에 대한 접촉력 및 촬상 장치(10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동 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촬상 장치(100)를 제2 축(Y)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1 액추에이터(211) 및 제2-1 액추에이터(221)와 촬상 장치(100)를 제1 축(X)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제1-2 액추에이터(212) 및 제2-2 액추에이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1 액추에이터(221) 및 제2-2 액추에이터(222)의 일 단부에는 촬상 장치(100)의 일 부분, 예를 들어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제2 액추에이터(220)로부터 생성된 구동력을 촬상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는 광축(Z)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1 접촉부(291) 및 제2 접촉부(29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40)는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촬상 장치(100)와 마주보도록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이다. 일 예로서, 가압부(240)는 제1 액추에이터(210)의 일 단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제2 케이스부(160)에 고정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촬상 장치(100)의 일 부분 예를 들어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와 마주보며 배치되도록 광축(Z)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240)는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에 대한 가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액추에이터 모듈(2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복수 개의 압전 소자(20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소자(20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압전체 구조물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압전 소자(2000)는 티탄산지르콘산납(PZT), 티탄산바륨(BaTiO3), 티탄산바륨스트론튬((Ba,Sr)(TiO3)), 마그네슘산니오브산납(PMN), 티탄산납(PT), 그리고 이들의 고용체 및 완화형 강유전체(relaxor ferroelectric)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박막들로 구성된 다층 압전체 구조물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소자(2000)는 압전체가 적층된 방향과 압전 소자(2000)의 변형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제1 타입의 압전 소자(D31)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제1 액추에이터(210)는 제1 축(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1 액추에이터(211)와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2 액추에이터(2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액추에이터(220)는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1 액추에이터(221)와 제1 축(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2 액추에이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제1-1 액추에이터(211)는 제1 축(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광축(Z) 방향을 따라 적층된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4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는 제1-1 및 제1-2 전극(2110, 2120)이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1 및 제1-2 압전소자(2010, 2020)는 광축(Z)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X)을 따라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액추에이터(211) 즉,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bending)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가 광축(Z) 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제1 접촉부(291)에 촬상 장치(100)에 대한 접촉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1 액추에이터(221)는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축(X) 방향을 따라 적층된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는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에는 제2-1 및 제2-2 전극(2210, 2220)이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는 제1 축(X)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 액추에이터(221) 즉,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가 제1 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촬상 장치(100)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c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제1-2 액추에이터(212)는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광축(Z) 방향을 따라 적층된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의 일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4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에는 제1-3 및 제1-4 전극(2130, 2140)이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는 광축(Z)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액추에이터(212) 즉,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의 일 단부는 제1 축(X)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의 일 단부가 광축(Z)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2 접촉부(292)에 촬상 장치(100)에 대한 접촉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2-2 액추에이터(222)는 제1 축(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축(Y) 방향을 따라 적층된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일 단부는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의 일 단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에는 제2-3 및 제2-4 전극(2230, 2240)이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는 제2 축(Y)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X)을 따라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2 액추에이터(222) 즉,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타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일 단부가 제2 축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촬상 장치(100)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 액추에이터(211) 및 제2-1 액추에이터(221)와, 제1-2 액추에이터(212) 및 제2-2 액추에이터(222)가 변형될 수 있으며, 제1-1 액추에이터(211) 및 제2-1 액추에이터(221)와, 제1-2 액추에이터(212) 및 제2-2 액추에이터(222)에 의해 생성된 접촉력 및 구동력은 제1 및 제2 접촉부(291, 292)에 의해 촬상 장치(100)에 전달되어 촬상 장치(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1 액추에이터(211)와 제2-1 액추에이터(221)을 중심으로 제1 액추에이터(210) 및 제2 액추에이터(220)의 변형에 따라 촬상 장치(100)가 회전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접촉부(291)가 제1 위치(A)에서 제2 위치(B)로 이동하기 위해 제1-1 액추에이터(211) 즉,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1 액추에이터(221) 즉,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된다.
일 예로서,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를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제1-1 압전 소자(201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제1-2 압전 소자(202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수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부(24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제2-1 압전 소자(203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제2-2 압전 소자(204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수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지지되지 않는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가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가 광축(Z)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됨에 따라,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는 광축(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는 제1 축(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1 접촉부(291)는 제1-1 액추에이터(211)로부터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1)을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제2-1 액추에이터(221)로부터 제1 축(X) 방향의 구동력(F21)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촉부(291)는 제1 위치(A)에서 제2 위치(B)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접촉부(291)가 제2 위치(B)에서 제3 위치(C)로 이동하기 위해 제1-1 액추에이터(211) 즉,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1 액추에이터(221) 즉,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된다.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를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제1-1 압전 소자(201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제1-2 압전 소자(202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수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부(24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제2-1 압전 소자(203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수축되고, 제2-2 압전 소자(204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인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지지되지 않는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가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가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됨에 따라,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는 광축(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는 제1 축(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1 액추에이터(221)의 타 단부에 형성된 제1 접촉부(291)는 제1-1 액추에이터(211)로부터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2)을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제2-1 액추에이터(221)로부터 제1 축(X) 방향의 구동력(F22)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촉부(291)는 제2 위치(B)에서 제3 위치(C)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때, 제1 접촉부(291)는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와 접촉하여 서로 지지될 수 있다.
도 7,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접촉부(291)가 제3 위치(C)에서 제4 위치(D)로 이동하기 위해 제1-1 액추에이터(211) 즉,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1 액추에이터(221) 즉,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된다.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를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제1-1 압전 소자(201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수축되고, 제1-2 압전 소자(202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인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부(24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제1-1 액추에이터(211)의 타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제2-1 압전 소자(203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수축되고, 제2-2 압전 소자(204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인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지지되지 않는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가 제2 축(Y)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가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됨에 따라,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는 광축(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는 제1 축(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1 접촉부(291)는 제1-1 액추에이터(211)로부터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3)을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제2-1 액추에이터(221)로부터 제1 축(X) 방향의 구동력(F23)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촉부(291)는 제3 위치(C)에서 제4 위치(D)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위치(C)에서 제1 접촉부(291)는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와 접촉하여 서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제1 접촉부(291)가 제3 위치(C)에서 제4 위치(D)로 이동되는 경우, 제1 접촉부(291)는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에 제1 축(X) 방향의 구동력(F23)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00)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7,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1 접촉부(291)가 제4 위치(D)에서 제1 위치(A)로 이동하기 위해 제1-1 액추에이터(211) 즉,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1 액추에이터(221) 즉,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된다.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일 단부를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제1-1 압전 소자(201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수축되고, 제1-2 압전 소자(202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인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부(24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제2-1 압전 소자(203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제2-2 압전 소자(204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수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지지되지 않는 제2-1 액추에이터(221)의 타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1 액추에이터(211)의 타 단부가 제2 축(Y)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벤딩되고, 제2-1 액추에이터(221)의 타 단부가 광축(Z)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됨에 따라, 제1-1 액추에이터(211)의 일 단부는 광축(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는 제1 축(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1 접촉부(291)는 제1-1 액추에이터(211)로부터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4)을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제2-1 액추에이터(221)로부터 제1 축(X) 방향의 구동력(F24)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촉부(291)는 제4 위치(D)에서 제1 위치(A)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 액추에이터(211) 및 제2-1 액추에이터(221)의 변형에 따라 제1 접촉부(291)는 제1 위치(A)에서 제4 위치(D)까지 타원 형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접촉부(291)의 이동 과정에서 촬상 장치(100)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촬상 장치(100)가 제2 축(Y)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6c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시에 따른 제1-2 액추에이터(212)는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광축(Z)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의 일 단부는 가압부(24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에는 제1-3 및 제1-4 전극(2130, 2140)이 각각 연결되어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을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액추에이터(212) 즉,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의 다른 일 단부는 제1 축(X)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제2-2 액추에이터(222)는 제1 축(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축(Y)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일 단부는 제1-3 및 제1-4 압전 소자(2050, 2060)의 일 단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에는 제2-3 및 제2-4 전극(2230, 2240)이 각각 연결되어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을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2 액추에이터(222) 즉,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다른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1-2 액추에이터(212)와 제2-2 액추에이터(222)가 변형됨에 따라, 제1-2 액추에이터(212)와 제2-2 액추에이터(222)에 의해 생성된 접촉력(F1) 및 구동력(F2)은 촬상 장치 (100)에 전달되어 촬상 장치(100)를 제1 축(X)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2를 참조하면, 제2-2 액추에이터(222)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2 접촉부(292)는 제1 위치(A)에서 제4 위치(D)까지 타원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와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제2 축(Y) 방향의 구동력(F23)을 촬상 장치(100)로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00)는 제1 축(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2 액추에이터(212)와 제2-2 액추에이터(222)의 변형에 따른 접촉력 및 구동력과 그에 따른 제2 접촉부(292)의 위치 변화는 도 8a 내지 도 11b에서 서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한 쌍의 제1-1 및 제2-1 액추에이터(211, 221)와 한 쌍의 제1-2 및 제2-2 액추에이터(212, 222)를 이용하여 제1 축(X) 및 제2 축(Y)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제1 가압부(241)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의 중심점(O)에 대칭되도록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추가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제2 가압부(2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제1 가압부(241)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축(X), 제2 축(Y) 및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의 중심점(O)에 대칭되도록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추가된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제2 내지 제4 가압부(242, 243, 244)에 의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복수의 쌍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촬상 장치(100)에 인가되는 접촉력 및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촬상 장치(100)에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을 인가하는 제1 액추에이터(210)와 제1 축(X) 또는 제2 축(Y) 방향의 구동력(F2)을 인가하는 제2 액추에이터(220) 및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지지되는 가압부(240-1, 2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복수 개의 압전 소자(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10)에 포함되는 압전 소자(2000)는 압전 소자(2000)에 구비된 압전체가 적층된 방향과 압전 소자(2000)의 변형 방향이 서로 일치하는 제2 타입의 압전 소자(D33)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액추에이터(210)에 포함되는 압전 소자(2000)는 압전 소자(2000)에 구비된 압전체가 적층된 방향과 압전 소자(2000)의 변형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제1 타입의 압전 소자(D31)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액추에이터(210)는 광축(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1 액추에이터(211)와 제1-2 액추에이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액추에이터(211)는 광축(Z)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1 압전 소자(2010) 및 제1-2 압전 소자(20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1 압전 소자(2010) 및 제1-2 압전 소자(2020)는 가압부(240-1)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1-1 압전 소자(2010) 및 제1-2 압전 소자(2020)에는 제1-1 전극(2110) 및 제1-2 전극(2120)이 연결되어 소정의 위상을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어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압전소자(2010) 및 및 제1-2 압전 소자(2020)는 광축(Z) 방향을 따라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이 제1 접촉부(291)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1 액추에이터(221)는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축(X) 방향을 따라 적층된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는 제1-1 압전 소자(2010)의 일 단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에는 제2-1 및 제2-2 전극(2210, 2220)이 각각 연결되어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을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는 제1 축(X)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Y) 방향을 따라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 액추에이터(221) 즉,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일 단부가 제1 축(X)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 장치에 대한 구동력(F2)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2 액추에이터(212)는 광축(Z) 방향을 따라 압전체가 적층된 제1-3 압전 소자(2050) 및 제1-4 압전 소자(20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3 압전 소자(2050) 및 제1-4 압전 소자(2060)는 가압부(240-2)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1-3 압전 소자(2050) 및 제1-4 압전 소자(2060)에는 제1-3 전극(2130) 및 제1-4 전극(2140)이 연결되어 소정의 위상을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어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3 압전소자(2050) 및 제1-4 압전 소자(2060)는 광축(Z) 방향을 따라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이 제2 접촉부(292)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2 액추에이터(222)는 제1 축(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축(Y)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일 단부는 제1-3 압전 소자(2050)의 일 단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에는 제2-3 및 제2-4 전극(2230, 2240)이 각각 연결되어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을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제2-3 및 제2-4 전극(2230, 2240)는 제2 축(Y) 방향과 직교하는 제1 축(X) 방향을 따라 인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2 액추에이터(222) 즉,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일 단부는 광축(Z)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일 단부가 제2 축(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촬상 장치에 대한 구동력(F2)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제1-1 액추에이터(211) 및 제2-1 액추에이터(221)와 제1-2 액추에이터(212)와 제2-2 액추에이터(222)가 변형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액추에이터(211)와 제2-1 액추에이터(221)에 의해 생성된 접촉력(F1) 및 구동력(F2)은 제2-1 액추에이터(221)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1 접촉부(291)를 타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액추에이터(212)와 제2-2 액추에이터(222)에 의해 생성된 접촉력(F1) 및 구동력(F2)은 제2-2 액추에이터(222)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제2 접촉부(292)를 타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접촉부(291) 및 제2 접촉부(292)가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와 제1 접촉부(291) 및 제2 접촉부(292)가 상호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촬상 장치(100)는 제1 축(X) 또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1 액추에이터(211) 및 제2-1 액추에이터(221)와 제1-2 액추에이터(212)와 제2-2 액추에이터(222)의 변형에 따른 접촉력(F1) 및 구동력(F2)과 그에 따른 제1 접촉부(291) 및 제2 접촉부(292)의 위치 변화는 도 8a 내지 도 11b에서 서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a는 제1 액추에이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b 및 도 19c는 제2-1 액추에이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d 및 도 19e는 제2-2 액추에이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촬상 장치(100)에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을 인가하는 제1 액추에이터(210)와 제1 축(X) 또는 제2 축(Y) 방향의 구동력(F2)을 인가하는 제2 액추에이터(220) 및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가 지지되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에 광축(Z) 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는 가압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판(250)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 장치(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가압판(250)은 광축(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중심부에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251-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0, 220)는 복수 개의 압전 소자(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10) 및 제2 액추에이터(220)에 포함되는 압전 소자(2000)는, 압전 소자(2000)에 구비된 압전체가 적층된 방향과 압전 소자(2000)의 변형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제1 타입의 압전 소자(D31)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제1 액추에이터(210)는 제1 축(X) 및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된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축(Z)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1 압전 소자(2010)의 중심부에 광축(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접촉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는 복수개의 지지부(251-25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는 가압판(2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및 제1-2 전극(2110, 2120)이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10) 즉, 제1 축(X) 방향으로 연장된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제1 부분(2011, 2021)은 제2 축(Y)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된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제2 부분(2012, 2022)은 제1 축(X)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10)의 중심부는 광축(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액추에이터(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접촉부(290)는 광축 방향의 접촉력(F1)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어 제1-1 압전 소자(2010)가 제1 축(X) 및 제2 축(Y)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제1-2 압전 소자(2020)가 제1 축(X) 및 제2 축(Y) 방향을 따라 수축되는 경우,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제1 부분(2011, 2021)은 제2 축(Y)을 중심으로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에 인접하는 광축(Z)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의 제2 부분(2012, 2022)은 제1 축(X)을 중심으로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에 인접하는 광축(Z)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10)의 중심부는 광축(Z)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액추에이터(210)의 중심부에 배치된 접촉부(290)에는 광축(Z) 방향의 접촉력(F1)이 인가될 수 있다.
제2-1 액추에이터(221)는 제1 축(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축(Y)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 사이에 배치된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및 제2-2 전극(2210, 2220)이 각각 연결되어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을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 액추에이터(221) 즉,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는 광축(Z)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중심부는 제2 축(Y)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b 및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어 제2-1 압전 소자(203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제2-2 압전 소자(2040)가 제1 축(X) 방향을 따라 수축되는 경우,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는 광축(Z)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제2-1 및 제2-2 압전 소자(2030, 2040)의 중심부는 제2 축(Y)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10)의 중심부에 배치된 접촉부(290)에는 제2 축(Y) 방향의 구동력(F2)이 인가될 수 있다.
제2-2 액추에이터(222)는 제2 축(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1 축(X)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제1-1 및 제1-2 압전 소자(2010, 2020) 사이에 배치된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3 및 제2-4 전극(2230, 2240)이 각각 연결되어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을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2 액추에이터(222) 즉,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는 광축(Z)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중심부는 제1 축(X)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d 및 도 1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기장이 인가되어 제2-3 압전 소자(207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인장되고, 제2-4 압전 소자(2080)가 제2 축(Y) 방향을 따라 수축되는 경우,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는 광축(Z)을 중심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제2-3 및 제2-4 압전 소자(2070, 2080)의 중심부는 제1 축(X)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10)의 중심부에 배치된 접촉부(290)에는 제1 축(X) 방향의 구동력(F2)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10) 및 제2-1 액추에이터(221)와 제2-2 액추에이터(222)가 변형됨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210)와 제2-1 액추에이터(221)에 의해 생성된 접촉력(F1) 및 구동력(F2)은 제1 액추에이터(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접촉부(290)를 타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210)와 제2-2 액추에이터(222)에 의해 생성된 접촉력(F1) 및 구동력(F2)은 제1 액추에이터(2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접촉부(290)를 타원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접촉부(290)가 타원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우징부(140)의 후면부(142)와 접촉부(290)가 상호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촬상 장치(100)는 제1 축(X) 또는 제2 축(Y)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10) 및 제2-1 액추에이터(221)와 제1-2 액추에이터(212)와 제2-2 액추에이터(222)의 변형에 따른 접촉력 및 구동력과 그에 따른 제1 접촉부(291) 및 제2 접촉부(292)의 위치 변화는 도 8a 내지 도 11b에서 서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1을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촬상 장치(100)는 촬상 센서(130)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촬상 장치(100)는 도 20a에 도시된 전체 영상 중에서 특정 개체(P), 예를 들어 사람이 포함된 영역을 제1 영상(710)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720에서 제어부(12)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 개체(P)의 인식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 장치(100)에 의해 도 20a에 도시된 전체 영상 중에서 특정 개체(P), 예를 들어 사람이 포함된 영역을 제1 영상(710)이 촬영된 경우, 제어부(12)는 제1 영상(710) 내에 포함된 사람을 디바이스가 인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영상 내에 포함된 사람을 인식할 수 있다.
S730단계에서 영상 내에서 특정 개체(P)가 인식된 경우, 제어부(12)는 영상 내에서 특정 개체(P)가 인식된 영역을 중심으로 촬상 장치(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는 액추에이터 모듈(2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촬상 장치(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체(P)가 사람이며, 제어부(12)가 영상 내에 포함된 사람을 인식한 경우,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도 20b 내지 도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움직이는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촬상 장치(10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상 장치(100)는 특정 개체(P), 예를 들어 사람이 기준점으로 포함된 제2 영상(720) 및 제3 영상(730)을 생성할 수 있다.
S740단계에서 촬상 장치(100)가 회전하는 동안, 촬상 장치(100)는 특정 개체(P)를 기준으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S740 단계에서 알림음이나 아이콘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촬영하기에 적당한 시점임을 알린 후,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특정 개체(P)를 기준점으로 촬상 장치(100)의 위치가 결정되면 즉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23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촬상 장치(100)는 촬상 센서(130)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계 S820에서 제어부(12)는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특정 개체(P)의 인식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S810 및 단계 S820은 상술한 단계 S710 및 S7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S830단계에서 영상 내에서 특정 개체(P)가 인식된 경우, 제어부(12)는 영상 내에서 특정 개체(P)가 인식된 영역을 중심으로 촬상 장치(10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는 액추에이터 모듈(2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촬상 장치(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체(P)가 사람이며, 제어부(12)가 영상 내에 포함된 사람을 인식한 경우,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사람을 중심으로 촬상 장치(10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특정 개체(P)는 단수인 경우뿐만 아니라 복수 개로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개체(P)가 획득된 영상 내에 포함된 제1 사람(P1) 및 제2 사람(P2)인 경우, 제어부(12)는 획득된 영상 내에 포함된 제1 사람(P1) 및 제2 사람(P2)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액추에이터 모듈(200)은 미가공 영상에서 제1 사람(P1) 및 제2 사람(P2)을 기준으로 촬상 장치(10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S840단계에서 촬상 장치(100)는 특정 개체(P)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정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모듈(16)을 통해 파노라마 모드 또는 와이드 셀피의 촬상 모드가 입력된 경우, 촬상 장치(100)는, S830 단계에서 촬상 장치(100)가 회전하는 동안, 소정의 시간간격을 사이에 두고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정지 영상(810, 820, 830)을 생성할 수 있다.
S850단계에서 제어부(12)는 특정 개체(P)를 기준점으로 복수 개의 정지 영상(810, 820, 830)을 합성하여 하나의 합성 영상(840)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에 의해 소정의 시간 간격을 사이에 두고 촬상된 복수 개의 정지 영상(810, 820, 830)은 특정 개체(P), 예를 들어 제1 사람(P1) 및 제2 사람(P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는 복수 개의 정지 영상(810, 820, 830)에 포함된 제1 사람(P1) 및 제2 사람(P2)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정지 영상(810, 820, 830)을 합성하여 보다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는 합성 영상(840)을 생성 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을 촬상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25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촬상 장치(100)는 촬상 센서(130)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촬상 장치(100)는 사용자(M)가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기 위하여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보기 영상(91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M)가 미리보기 영상(910)을 바라보게 되면, 촬상 장치(100)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M)의 시선이 카메라의 렌즈부(110)를 향하지 않으므로 부자연스러운 사용자(M)의 모습이 촬영될 수 있다.
S920단계에서 입/출력 모듈(16)을 통해 촬상 장치(100)의 회전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미리보기 영상(5910)을 통해 촬상 장치(100)의 회전 정도 및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입/출력 모듈(16)을 통해 촬상 장치(100)의 회전 정도 및 회전 방향에 대한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입/출력 모듈(16)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이용하여 촬상 장치(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한 제어 신호를 촬상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근거리 무선 통신부(162)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E, NFC, RFID, 와이파이, 비콘, 지그비 통신 및 UWB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촬상 장치(1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출력 모듈(16)은 터치 패널(16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의 방향 및 이동 거리는 촬상 장치(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대한 입력 신호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촬상 장치(100)의 회전 정도로 환산될 수 있으며, 환산 상수 α값의 설정 범위에 따라 촬상 장치(100)의 회전 정도는 보다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수학식 1]
회전 각도 =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L) x α
S930단계에서 입/출력 모듈(16)에 의해 촬상 장치(100)의 회전에 대한 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액추에이터 모듈(2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장치(10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2)는 액추에이터 모듈(2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촬상 장치(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S940단계에서 입/출력 모듈(16)을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장치(100)의 위치가 결정된 경우, 촬상 장치(100)는 정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S940 단계에서 알림음이나 아이콘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촬영하기에 적당한 시점임을 알린 후, 정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촬상 장치(100)의 위치가 결정되면 즉시 정지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1)

  1. 제1 축 및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촬상 장치;
    상기 촬상 장치를 상기 제1 축 또는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모듈;
    전면부에 배치된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가 수용되며 상기 전면부와 마주보는 후면부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상기 촬상 장치의 광축 방향을 따라 접촉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촬상 장치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 중 어느 일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 단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접촉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 중 어느 일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 단부가 나머지 일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촬상 장치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각각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는,
    촬상 장치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기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촬상 장치에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촬상 장치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일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에 압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촬상 장치 모듈.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와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부의 중심점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촬상 장치 모듈.
  11. 제1 축 및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촬상 장치;
    상기 촬상 장치를 상기 제1 축 또는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모듈;
    전면부에 배치된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가 수용되며 상기 전면부와 마주보는 후면부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상기 촬상 장치의 광축 방향을 따라 접촉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촬상 장치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광축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접촉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 중 어느 일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일 단부가 나머지 일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촬상 장치 모듈.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1 액추에이터 및 제1-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및 상기 제1-2 액추에이터는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제1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일 단부가 지지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되며, 일 단부가 지지된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전 소자에 소정의 위상을 구비하는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제1 압전 소자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인장되거나 수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는,
    촬상 장치 모듈.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의 상기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촬상 장치에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촬상 장치 모듈.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일 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에 압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촬상 장치 모듈.
  18. 제1 축 및 상기 제1 축과 직교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촬상 장치;
    상기 촬상 장치를 상기 제1 축 또는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모듈;
    전면부에 배치된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가 수용되며 상기 전면부와 마주보는 후면부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은,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과 직교하는 상기 촬상 장치의 광축 방향을 따라 접촉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촬상 장치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및 제2 축 방향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중심부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접촉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또는 상기 제2 축 방향 중 어느 일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부가 나머지 일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촬상 장치 모듈.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1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 및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된 십자 형상의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1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2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축 방향을 따라 적층된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모듈.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및 상기 제2-2 액추에이터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촬상 장치 모듈.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와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각각에 소정의 위상차를 구비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압전 소자 중 어느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장되고, 나머지 하나는 연장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되는,
    촬상 장치 모듈.
  23.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의 상기 중심부에 배치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촬상 장치에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에 접촉되는,
    촬상 장치 모듈.
  24.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가 지지되고, 상기 광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에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모듈.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촬상 장치 모듈.
  2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 및 상기 액추에이터 모듈을 수용하는 제1 케이스부;
    상기 제1 케이스부를 수용하는 제2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 축 또는 상기 제2 축 중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 케이스부는 상기 제2 케이스부에 대해 나머지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촬상 장치 모듈.
  27. 제1 항에 따른 촬상 장치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영상 내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하며, 인식된 상기 특정 객체를 기준으로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시키는,
    사용자 단말 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개체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특정 개체를 따라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시키는,
    사용자 단말 장치.
  31.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장치가 회전하는 동안 복수의 정지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정지 영상을 상기 특정 개체를 기준으로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2. 제28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 시키는,
    사용자 단말 장치.
  33.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보기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입/출력 모듈을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 시키는,
    사용자 단말 장치.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촬상 장치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가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회전 정도는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6.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7. 제26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영상 인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특정 개체를 기준으로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38. 제37 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정지 영상을 상기 특정 객체를 기준으로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39. 제26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서 획득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보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40.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촬상 장치를 회전 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촬상 장치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는 상기 터치 입력의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41.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의 회전 정도는 상기 터치 입력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0150110238A 2015-08-04 2015-08-04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37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38A KR102370374B1 (ko) 2015-08-04 2015-08-04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CN201580081480.1A CN107736011B (zh) 2015-08-04 2015-12-18 拍摄装置模块、包括拍摄装置模块的用户终端以及操作用户终端的方法
PCT/KR2015/013956 WO2017022906A1 (en) 2015-08-04 2015-12-18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ser terminal
EP15900491.0A EP3332543A4 (en) 2015-08-04 2015-12-18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ser terminal
US14/979,610 US10341539B2 (en) 2015-08-04 2015-12-28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ser terminal
US16/443,681 US10887495B2 (en) 2015-08-04 2019-06-17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238A KR102370374B1 (ko) 2015-08-04 2015-08-04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749A KR20170016749A (ko) 2017-02-14
KR102370374B1 true KR102370374B1 (ko) 2022-03-04

Family

ID=5794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238A KR102370374B1 (ko) 2015-08-04 2015-08-04 촬상 장치 모듈, 이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341539B2 (ko)
EP (1) EP3332543A4 (ko)
KR (1) KR102370374B1 (ko)
CN (1) CN107736011B (ko)
WO (1) WO2017022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7715A (zh) * 2016-06-06 2019-03-15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载体辅助跟踪
JP7325233B2 (ja) * 2019-06-10 2023-08-14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溶接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13315890B (zh) * 2021-05-08 2023-04-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模组、电子设备及其拍摄方法和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1614A1 (en) * 2006-08-03 2008-02-07 Yu-Cheng Huang Device with a lens-rotation mechanism
JP2008164870A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Corp 圧電素子を用いた駆動機構と該駆動機構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9044856A (ja) * 2007-08-08 2009-02-26 Toshiba Corp 圧電モータおよびカメラ装置
JP2010074476A (ja) * 2008-09-18 2010-04-02 Sony Corp カメ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7877B2 (ja) 1976-12-20 1984-09-12 富士通株式会社 レ−ザ保護回路
GB8709916D0 (en) * 1987-04-27 1987-10-21 Gec Avionics Imaging systems
US5502598A (en) * 1992-11-12 1996-03-26 Olympus Optical Co., Ltd. Lens frame supporting mechanism
JPH07234447A (ja) * 1993-12-28 1995-09-05 Canon Inc 撮影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JPH10313424A (ja) * 1997-05-12 1998-11-24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H1118000A (ja) 1997-06-25 1999-01-2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US6078440A (en) 1997-06-25 2000-06-20 Minolta Co., Ltd.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 driving device including an actuator and friction member
US6639625B1 (en) * 1997-07-16 2003-10-28 Minolta Co., Ltd. Image sensing device
US6727954B1 (en) * 1998-08-12 2004-04-27 Minolta Co., Ltd. Electronic camera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100585607B1 (ko) * 2004-11-04 2006-06-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용 렌즈 배럴 장치
TWI260905B (en) 2005-05-17 2006-08-21 Jin-Chiuan Huang Lens turning device for mobile phone with camera function
JP2006343699A (ja) * 2005-06-10 2006-12-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撮像装置
JP4046125B2 (ja) * 2005-06-21 2008-02-13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回転機構、鏡胴ユニット、こ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
US9200157B2 (en) * 2006-09-06 2015-12-01 Solvay Advanced Polymers, L.L.C. Aromatic polycarbonate composition
US8089694B2 (en) * 2007-08-24 2012-0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ptical device stabilizer
JP4543339B2 (ja) * 2007-12-14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GB2458905A (en) * 2008-04-01 2009-10-07 Johnson Electric Sa Omni-directional camera system
US7786648B2 (en) 2008-08-18 2010-08-31 New Scale Technologies Semi-resonant driving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20100079673A (ko) * 2008-12-31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8340654B2 (en) * 2009-05-26 2012-12-25 Lextech Lab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and control for portable device
CN101997940B (zh) * 2009-08-19 2014-07-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CN102025898B (zh) 2009-09-10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镜头
CN102035427B (zh) * 2009-09-25 2014-04-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致动器、相机模组及便携式电子装置
WO2011100480A1 (en) * 2010-02-10 2011-08-18 Brian Lamb Automatic motion tracking, event detection and video image capture and tagging
US10560621B2 (en) * 2010-11-19 2020-02-11 Symbo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networked camera
TWI440894B (zh) * 2011-01-14 2014-06-11 Tdk Taiwan Corp 鏡頭模組之防震裝置
JP5817175B2 (ja) * 2011-03-29 2015-11-18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モジュール、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4041235A1 (en) * 2012-09-14 2014-03-20 Nokia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KR102045957B1 (ko) * 2013-01-18 2019-1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의 촬영 방법 및 장치
TWI575354B (zh) 2013-06-26 2017-03-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便攜式電子裝置
JP2015036716A (ja) * 2013-08-12 2015-02-23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US9599836B2 (en) * 2013-09-13 2017-03-21 Sunming Technologies (Hk) Limited Compact electromagnetic actuator
US20150134651A1 (en) * 2013-11-12 2015-05-14 Fyusion, Inc. Multi-dimensional surround view based search
KR102129797B1 (ko) * 2014-01-13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041375A1 (en) * 2014-08-07 2016-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compact microscope with autofocu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1614A1 (en) * 2006-08-03 2008-02-07 Yu-Cheng Huang Device with a lens-rotation mechanism
JP2008164870A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Corp 圧電素子を用いた駆動機構と該駆動機構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9044856A (ja) * 2007-08-08 2009-02-26 Toshiba Corp 圧電モータおよびカメラ装置
JP2010074476A (ja) * 2008-09-18 2010-04-02 Sony Corp 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36011B (zh) 2020-07-07
US20170041514A1 (en) 2017-02-09
US10341539B2 (en) 2019-07-02
EP3332543A4 (en) 2018-07-04
WO2017022906A1 (en) 2017-02-09
EP3332543A1 (en) 2018-06-13
US10887495B2 (en) 2021-01-05
US20190312995A1 (en) 2019-10-10
KR20170016749A (ko) 2017-02-14
CN107736011A (zh) 201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11879B (zh) 成像装置模块及其操作方法、以及包括该模块的终端设备
EP38186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cameras for digital photography
KR102348504B1 (ko) 복수 개의 카메라들 간의 시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757322B2 (en) Method of setting initial position of camera, camera, and camera system
US10382688B2 (en) Image stabilization for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EP2961153B1 (en) Image pickup device
US20140218587A1 (en) Double sided camera module
US8982246B2 (en) Imaging apparatus and camera body having optical zoom function and digital zoom function
KR102465248B1 (ko)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50070539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10887495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module, user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user terminal
KR20190029095A (ko)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637063B (zh) 用于基于用户的手势控制功能的方法和拍摄装置
EP3661189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effect,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CN113228616A (zh) 具有多单元结构的相机模块和包括其的便携式通信装置
KR20210071253A (ko) 카메라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101009A (ko)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방법 및 그 장치
US11611708B2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digital imag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13711124A (zh) 折叠式相机和包括该折叠式相机的电子设备
KR102412591B1 (ko) 다른 노출값을 갖는 복수의 영상들을 이용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917295B2 (en) Method for correcting shaking at high magnif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5076055A1 (ja) 撮像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撮像モジュールの駆動方法
KR20160113682A (ko) 이미지의 생성을 위해 다수의 서브-이미지를 캡처하기 위한 카메라
CN116530090A (zh) 使用多个相机拍摄照片的方法及其装置
JP2015035686A (ja) カメラ装置、監視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