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275B1 -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275B1
KR102370275B1 KR1020200146378A KR20200146378A KR102370275B1 KR 102370275 B1 KR102370275 B1 KR 102370275B1 KR 1020200146378 A KR1020200146378 A KR 1020200146378A KR 20200146378 A KR20200146378 A KR 20200146378A KR 102370275 B1 KR102370275 B1 KR 102370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urface
coating layer
screw
jig module
re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테크
Priority to KR102020014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only, the slid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09Ball nose end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007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while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013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the machine
    • B23Q2701/01Frames or slideways for lathes; Frames for bor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재생할 습동면을 노출시키는 습동면노출단계와; 노출된 습동면을 황삭 가공하여, 습동면 표면에 황삭홈을 형성하는 황삭가공단계와; 황삭가공의 완료 후 습동면에 세척제를 가하여 습동면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습동면의 세척제를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습동면의 둘레에, 습동면을 둘러싸는 지그모듈을 설치하는 지그모듈설치단계와; 지그모듈이 둘러싸는 습동면 위에, 건조 시 경화되는 성질의 유동성 고분자 성형물질을 투입하는 성형물질적용단계와; 투입된 성형물질을 건조시켜 성형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게 하는 코팅층형성단계와; 코팅층의 형성 후 지그모듈을 해체하는 지그모듈해체단계와; 지그모듈의 해체 후, 코팅층의 표면을 정삭 가공하는 정삭가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은, 각종 공작기계의 습동면 중 노후화된 습동면에 신품 수준의 습동면을 형성함으로써 노후 공작기계에 대한 재사용율을 크게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고하중 환경에서도 두께의 변화가 없어, 수명이 길고 성능 신뢰성이 양호한 습동면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Method for regenerating sliding surface of old machine tool}
본 발명은 노후 공작기계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모된 습동면을 재생하여 신품과 같은 수준의 정밀성을 갖게 하는,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공업 분야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공작기계에는, 예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선반,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보링머신, 그라인딩머신, 세이퍼, 플레이너, 브로칭머신 등 에서부터, 첨단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머시닝센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가공대상물을 절삭 가공하여 원하는 부품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각자의 구조적 특징을 가지며, 가공대상물을 이송시키거나 공구를 이송하기 위한 슬라이딩 구조를 포함하기도 한다. 가령 테이블이나 공구대 또는 심압대나 방진구 등은 수평의 베드에 설치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한다.
상기 베드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테이블이나 공구대, 심압대나 방진구 등은 베드에 면접한 상태로 미끄럼 운동하므로, 베드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피할 수 없다. 공작기계의 사용 시간이 오래될수록 마모가 심해져 동작 정밀성이 떨어지고 생산품의 치수가 부정확해지기 마련이다.
공작기계에서의 슬라이딩부와 관련된 배경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56129호를 통해, 공작기계용 슬라이딩부의 수평안내면 가공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가공방법은,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회전공구가 장착된 주축대가 구비되어 있고 이송이 가능한 테이블이 구비된 공작기계를 통해 가공을 수행함에 있어서, 회전공구의 하단에는 서로가 대칭되는 2개소의 반원호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원호날부를 형성하여 주축대에 장착하는 공구 준비단계와, 테이블의 상면에 이송대의 수평안내면을 수직으로 세워진 회전공구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하는 이송대장착단계와, 공작기계를 구동시켜 회전공구의 하단에 형성된 원호날부를 통해 수평안내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다수의 오일홈을 함몰 가공하는 오일홈 가공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은 일반적인 공작기계에서의 테이블(1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0)이 새들(1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블(10)은 저면의 습동면(12)이 새들(14)에 면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왕복 운동한다. 그런데, 습동면(12)은, 테이블(10)의 사용 시간이 오래됨에 따라 점차 마모될 수밖에 없다. 습동면(12)이 마모되면 테이블(10)의 높이가 낮아지고 정밀한 가공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노후 공작기계의 경우 마모된 부분을 보수하여 재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가령, 에는, 마모된 부분에 리니어 베어링을 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리니어 베어링은 그 자체가 탄성을 가지므로, 고하중 하에서 두께가 미세하게 변화하므로, 베어링으로서의 성능이 미흡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56129호 (공작기계용 슬라이딩부의 수평안내면 가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노후화된 습동면에 신품 수준의 신뢰성이 양호한 고수명 습동면을 제공할 수 있는,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은, 재생할 습동면을 노출시켜 수평을 유지하는 습동면노출단계와; 상기 습동면노출단계를 통해 상부로 노출된 습동면을 황삭 가공하여, 습동면 표면에 황삭홈을 형성하는 황삭가공단계와; 상기 황삭가공의 완료 후 습동면에 세척제를 가하여 습동면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습동면의 세척제를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습동면의 둘레에, 습동면을 둘러싸는 지그모듈을 설치하는 지그모듈설치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이 둘러싸는 습동면 위에, 건조 시 경화되는 성질의 유동성 고분자 성형물질을 투입하는 성형물질적용단계와; 투입된 성형물질을 건조시켜 성형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게 하는 코팅층형성단계와; 코팅층의 형성 후 지그모듈을 해체하는 지그모듈해체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의 해체 후, 코팅층의 표면을 정삭 가공하는 정삭가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단계에 선행되는 과정으로서, 태핑드릴을 이용해 습동면에 다수의 암나사구를 형성하는 태핑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설치단계와 성형물질적용단계의 사이에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상기 암나사구에 스크류를 결합하되 스크류가 습동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시키는 스크류장착단계와, 상기 코팅층형성단계 후, 상기 스크류를 암나사구로부터 분리하여 코팅층에 잔류구멍을 남기는 스크류분리단계와, 상기 정삭가공단계 후, 잔류구멍에 오일을 주입하여, 오일이 암나사구와 잔류구멍에 채워지게 하는 오일링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장착단계를 통해 암나사구에 결합된 상태의 스크류의 상단부는, 상기 코팅층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단계에 선행되는 과정으로서, 태핑드릴을 이용해 습동면에 다수의 암나사구를 형성하는 태핑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설치단계와 성형물질적용단계 사이에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습동면 상부에 나일론메시를 배치하는 나일론메시 설치단계와, 상기 암나사구에 스크류를 결합시키되, 스크류로 나일론메시를 고정시키는 스크류장착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나일론메시와 스크류는, 상기 코팅층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코팅층에 매몰된다.
아울러, 상기 황삭홈은, 삼각바이트를 이용해 절삭 가공된 커팅홈으로서 최대 깊이는 1.5mm 내지 2mm이고,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3.5mm 내지 4mm의 범위 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은, 각종 공작기계의 습동면 중 노후화된 습동면에 신품 수준의 습동면을 형성함으로써 노후 공작기계에 대한 재사용율을 크게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고하중 환경에서도 두께의 변화가 없어, 수명이 길고 성능 신뢰성이 양호한 습동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작기계의 테이블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은, 공작기계에 포함되는 다양한 형상의 습동면을 재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습동면을 재생하는 이유는, 공작기계의 노후화에 따른 손상부위, 말하자면, 부분적으로 파인 부분이나 마모된 부분을 평탄화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습동면 자체는 공작기계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서로에 대해 밀착한 상태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모든 슬라이딩 면을 포괄한다. 슬라이딩 면은 마찰면이다.
이러한 습동면 재생방법은, 재생할 습동면을 노출시켜 수평을 유지하는 습동면노출단계와; 상기 습동면노출단계를 통해 상부로 노출된 습동면을 황삭 가공하여, 습동면 표면에 황삭홈을 형성하는 황삭가공단계와; 상기 황삭가공의 완료 후 습동면에 세척제를 가하여 습동면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습동면의 세척제를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습동면의 둘레에, 습동면을 둘러싸는 지그모듈을 설치하는 지그모듈설치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이 둘러싸는 습동면 위에, 건조 시 경화되는 성질의 유동성 고분자 성형물질을 투입하는 성형물질적용단계와; 투입된 성형물질을 건조시켜 성형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게 하는 코팅층형성단계와; 코팅층의 형성 후 지그모듈을 해체하는 지그모듈해체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의 해체 후, 코팅층의 표면을 정삭 가공하는 정삭가공단계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12)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도, 도 2는 재생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후술할 제1,2,3실시예에서의 습동면(12)은, 도 1을 통해 예를 든, 테이블(10) 저면의 습동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재생방법은, 습동면노출단계(101), 황삭가공단계(103), 세척단계(105), 건조단계(107), 지그모듈설치단계(109), 성형물질적용단계(111), 코팅층형성단계(113), 지그모듈해체단계(115), 정삭가공단계(117)를 포함한다.
습동면노출단계(101)는, 습동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장물을 제거하여 습동면을 노출시키고 수평을 유지하는 과정이다. 가령, 습동면(12) 위에 지그(jig)가 고정되어 있다면 지그를 분리하여 습동면의 전면(全面)을 개방하는 것이다. 아울러 수평을 유지시키는 이유는, 후술할 유동성 성형물질(29)의 적층을 위한 것이다. 습동면노출단계(101)시 습동면에 붙어 있는 오일이나 기타 불순물도 제거한다.
황삭가공단계(103)는, 상부로 노출된 습동면을 황삭(荒削)하여, 습동면 표면에 황삭홈(12a)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황삭홈(12a)을 형성하는 이유는 성형물질(29)과 습동면(12)과의 고정력을 상승시키기 위해서이다.
황삭은 거친 절삭을 의미한다. 이러한 황삭가공은 삼각바이트(도 3a의 21)로 수행할 수 있다. 황삭홈(12a)은 대략 V노치홈의 형상을 취하며 최대 깊이는 1.5mm 내지 2mm 일 수 있다. 황삭홈(12a)의 패턴은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가령, 삼각바이트(21)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진시켜, 말하자면, 나선형 패턴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세척단계(105)는, 황삭을 마친 습동면(12)에 시너 등의 세척액을 가하여 절삭칩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세척단계(105)를 위하여 시너 등의 솔벤트를 분사하는 세척노즐(도 3b의 23)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단계(107)는, 세척된 습동면(12)을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건조방식은 다양하다. 가령 통풍건조나 자연건조 일 수 있고, 도 3c와 같이 건조기(25)를 이용해 강제로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어지는 지그모듈설치단계(109)는, 건조된 습동면(12)의 둘레에, 습동면을 둘러싸는 지그모듈(27)을 설치하는 과정이다. 지그모듈(27)은 후술할 유동성 성형물질(29)이 습동면(12)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지그모듈(27)은 상부로 개방되며 측부로 막힌 공간부(27a)를 제공한다.
성형물질적용단계(111)는, 지그모듈이 둘러싸는 습동면(12) 위에 유동성 고분자 성형물질을 투입하는 과정이다. 성형물질은 처음에는 유동성을 가지지만, 건조되면 완전히 경화되어 딱딱한 습동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성형물질로서, 독일 Diamant Metallplastic GmbH of Moenchengladbach사의 MOGLICE를 사용할 수 있다. 모그리스(MOGLICE)는 경화된 후, 낮은 마찰계수를 가지며 마치 강철과 같이 높은 강도의 표면을 제공한다.
성형물질의 투입량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성형물질(29)이 습동면(12) 위에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에서 두께가 3.5mm 내지 4mm 범위가 될 수 있게 함이 좋다.
코팅층형성단계(113)는, 공간부(27a)에 투입된 성형물질(29)을 건조시켜, 성형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31)이 형성되게 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코팅층형성단계(113)는, 공간부(27a)에 투입된 성형물질(29)을 24시간 이상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과정이다. 성형물질은 공간부(27a) 내에서 서서히 경화되며 그동안 내부의 기포를 외부로 배출한다. 코팅층성형단계(113)를 통해 3.5mm 내지 4mm 두께의 코팅층(31)이 형성된다. 상기 두께는 습동면(12)과 코팅층(31) 상면의 평균 두께이다.
상기 코팅층(31)의 형성이 완료되었다면 지그모듈해체단계(115)를 통해, 테이블(10)로부터 지그모듈(27)을 떼어낸다.
이어지는 정삭가공단계(117)는, 지그모듈의 해체 후, 코팅층(31)의 표면을 정삭 가공하는 과정이다. 정삭 가공은 코팅층(31)의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하는 과정으로서, 가령, 연삭기(33)를 이용한 연삭가공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정삭가공단계(117)를 통해 코팅층(31)의 표면의 미세한 요철은 모두 삭제되고 정확한 두께의 습동면이 형성된다.
상기 정삭가공단계가 완료 된 후, 코팅층(31) 상면에 오일웨이(oil way)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과정을 의미하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습동면 재생방법은, 제1실시예에 비해, 태핑단계(104), 스크류장착단계(110), 스크류분리단계(116), 오일링단계(119)가 더 포함된다.
태핑단계(104)는, 세척단계(105)에 앞서 진행되며, 태핑드릴(도 5b의 35)을 이용해 습동면(12)에 다수의 암나사구(12c)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태핑드릴(35)은 암나사구를 형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절삭공구이다. 태핑단계(104)를 위해 태핑머신이 사용될 수 있다.
암나사구(12c)는 스크류(도 5h의 41)가 끼워지는 구멍으로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암나사구(12c)의 형성 개수나 깊이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태핑단계(104)를 수행함에 의해 발생한 절삭칩은 세척단계(105)를 통해 제거된다.
스크류장착단계(110)는, 각 암나사구(12c)에 스크류(41)를 결합하되,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의 상단부가 습동면(1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시키는 과정이다. 특히 스크류(41) 상단부의 돌출높이는 코팅층(31) 보다 높다. 즉, 스크류(41)가 코팅층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스크류장착단계(110)는, 지그모듈설치단계(109)와 성형물질적용단계(111)의 사이에 진행된다.
도 5h는 각 암나사구(12c)에 스크류(41)가 나사 결합하고, 습동면(12)에 대한 코팅층(31)의 적층이 완료된 모습을 보여준다. 스크류(41)의 상단부가 코팅층(31)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스크류분리단계(116)는, 코팅층형성단계(113)의 완료 후, 스크류(41)를 암나사구(12c)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코팅층(31)에 잔류구멍(31a)을 남기는 과정이다. 도 5i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41)가 빠져나간 자리에 잔류구멍(31a)이 남겨져 있다. 아울러 잔류구멍(31a)의 하부에는 암나사구(12c)가 위치한다. 암나사구(12c)가 잔류구멍(31a)을 통해 상부로 개방된 것이다.
오일링단계(119)는 정삭가공단계(117) 후, 잔류구멍에 오일을 주입하여, 오일이 암나사구(12c)와 잔류구멍(31a)에 채워지게 하는 과정이다. 채워진 오일은, 테이블(10)의 슬라이딩 운동 시 마찰력을 더욱 감소시킨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습동면 재생방법은, 지그모듈설치단계(109)와 성형물질적용단계(111) 사이에 나일론메시설치단계(121)가 포함된다. 나일론메시설치단계(121)는 습동면(12)의 상부에 나일론메시(43)를 깔아 배치하는 과정이다. 나일론메시(43)는 나일론사를 직조한 망상 원단으로서, 질긴 인장능력을 가져 코팅층(31)의 깨짐을 방지한다.
나일론메시설치단계(121)에 이어지는 스크류장착단계(110)는, 마련되어 있는 암나사구(12c)에 스크류(41)를 결합시키되, 스크류(41)로 나일론메시를 고정시켜 나일론메시(43)가 들뜨거나 전후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과정이다. 나일론메시(43)를 고정시키기 위해 나일론메시의 씨실과 날실을 벌려 구멍을 확장하고 그 구멍에 스크류(41)를 끼울 수 있다.
특히 제3실시예의 재생방법에서는, 스크류(41)가 나일론메시(43)와 함께 코팅층(31)에 매몰된다. 정삭가공단계(117)를 수행 후 스크류(41)나 나일론메시(4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재생방법으로 형성된 코팅층(31)은, 내부에 나일론메시(43)가 내장되므로, 코팅층(31) 자체가 인장능력을 가지게 되어, 매우 양호한 내충격 능력을 보유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테이블 12:습동면 12a:황삭홈
12c:암나사구 14:새들 21:삼각바이트
23:세척노즐 25:건조기 27:지그모듈
27a:공간부 29:성형물질 31:코팅층
31a:잔류구멍 33:연삭기 35:탭핑드릴
41:스크류 43:나일론메시

Claims (7)

  1. 재생할 습동면을 노출시켜 수평을 유지하는 습동면노출단계와;
    상기 습동면노출단계를 통해 상부로 노출된 습동면을 황삭 가공하여, 습동면 표면에 황삭홈을 형성하는 황삭가공단계와;
    상기 황삭가공의 완료 후 습동면에 세척제를 가하여 습동면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세척된 습동면의 세척제를 제거하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습동면의 둘레에, 습동면을 둘러싸는 지그모듈을 설치하는 지그모듈설치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이 둘러싸는 습동면 위에, 건조 시 경화되는 성질의 유동성 고분자 성형물질을 투입하는 성형물질적용단계와;
    투입된 성형물질을 건조시켜 성형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게 하는 코팅층형성단계와;
    코팅층의 형성 후 지그모듈을 해체하는 지그모듈해체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의 해체 후, 코팅층의 표면을 정삭 가공하는 정삭가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에 선행되는 과정으로서, 태핑드릴을 이용해 습동면에 다수의 암나사구를 형성하는 태핑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설치단계와 성형물질적용단계의 사이에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상기 암나사구에 스크류를 결합하되 스크류가 습동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시키는 스크류장착단계와,
    상기 코팅층형성단계 후, 상기 스크류를 암나사구로부터 분리하여 코팅층에 잔류구멍을 남기는 스크류분리단계와,
    상기 정삭가공단계 후, 잔류구멍에 오일을 주입하여, 오일이 암나사구와 잔류구멍에 채워지게 하는 오일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장착단계를 통해 암나사구에 결합된 상태의 스크류의 상단부는, 상기 코팅층의 상부로 돌출된,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에 선행되는 과정으로서, 태핑드릴을 이용해 습동면에 다수의 암나사구를 형성하는 태핑단계와,
    상기 지그모듈설치단계와 성형물질적용단계 사이에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습동면 상부에 나일론메시를 배치하는 나일론메시 설치단계와,
    상기 암나사구에 스크류를 결합시키되, 스크류로 나일론메시를 고정시키는 스크류장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메시와 스크류는, 상기 코팅층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코팅층에 매몰되는,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삭홈은,
    삼각바이트를 이용해 절삭 가공된 커팅홈으로서 최대 깊이는 1.5mm 내지 2mm인,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3.5mm 내지 4mm 인,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KR1020200146378A 2020-11-04 2020-11-04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KR102370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78A KR102370275B1 (ko) 2020-11-04 2020-11-04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78A KR102370275B1 (ko) 2020-11-04 2020-11-04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275B1 true KR102370275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378A KR102370275B1 (ko) 2020-11-04 2020-11-04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27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452B1 (ko) * 1999-09-15 2002-08-14 우순덕 플런져 펌프용 플런져 및 그 가공방법
KR20040016614A (ko) * 2002-08-19 2004-02-2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스케이트용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3996A (ko) * 2002-09-12 2004-03-20 화천기공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슬라이딩부의 수직안내면 가공방법
KR100456129B1 (ko) 2002-09-12 2004-11-08 화천기공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슬라이딩부의 수평안내면 가공방법
KR20040110892A (ko) * 2003-06-20 2004-12-31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슬라이딩 노즐 플레이트 재활용방법
KR101358188B1 (ko) * 2012-05-30 2014-02-11 주식회사 지우기술 Cvd 챔버의 일렉트로드 및 이의 재생 방법
JP2015137385A (ja) * 2014-01-21 2015-07-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摺動部の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452B1 (ko) * 1999-09-15 2002-08-14 우순덕 플런져 펌프용 플런져 및 그 가공방법
KR20040016614A (ko) * 2002-08-19 2004-02-25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스케이트용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3996A (ko) * 2002-09-12 2004-03-20 화천기공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슬라이딩부의 수직안내면 가공방법
KR100456129B1 (ko) 2002-09-12 2004-11-08 화천기공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슬라이딩부의 수평안내면 가공방법
KR20040110892A (ko) * 2003-06-20 2004-12-31 주식회사 포스코 주조용 슬라이딩 노즐 플레이트 재활용방법
KR101358188B1 (ko) * 2012-05-30 2014-02-11 주식회사 지우기술 Cvd 챔버의 일렉트로드 및 이의 재생 방법
JP2015137385A (ja) * 2014-01-21 2015-07-30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摺動部の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289B2 (en) Polisher brush having wire-shaped grinding elements
US6862785B2 (en) Coupling device particularly for vehicle wheels undergoing surface finishing
CN110091177A (zh) 一种内排屑深孔钻削滚压复合加工机床
CN109605057A (zh) 一种机械配件打磨与钻孔一体化设备
KR102303108B1 (ko) 금형 제조 방법
KR102370275B1 (ko) 노후 공작기계의 습동면 재생방법
US5630685A (en) Toolhead assembly for machine tools
KR101326249B1 (ko) 공작물의 홀 가공장치
JP2010149271A (ja) 角部加工工具
CN204321843U (zh) 一种用于复杂孔面磨粒流抛光的通用夹具
CN111761502A (zh) 一种固液两相磨粒流研抛皮带轮的夹具
CN215469792U (zh) 一种数控卧式深孔钻床的自动跟刀架装置
CN217552097U (zh) 基于卧式机床的缸筒内壁抛光设备
RU171196U1 (ru) Дорн для местного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ого упрочнения
CN109397000B (zh) 沟槽管件毛边去除装置
CN204736087U (zh) 一种钻头挤压珩磨装置
CN109530802B (zh) 一种液压切槽夹具、数控带锯床及其切槽工艺
CN209110199U (zh) 一种煤矿支柱用液压缸内缸深孔镗床刀头
CN109382714A (zh) 一种小孔精加工方法
CN220095051U (zh) 一种铣削刀具
CN212794384U (zh) 一种数控磨床加工用磨削设备
CN220093643U (zh) 便携式泵阀箱与阀座工作面应急修复加工装置
CN211516689U (zh) 一种夹具
CN218556687U (zh) 一种用于倒角机的可翻转夹具
TWM628842U (zh) 工具修補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