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205B1 -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205B1
KR102370205B1 KR1020200034138A KR20200034138A KR102370205B1 KR 102370205 B1 KR102370205 B1 KR 102370205B1 KR 1020200034138 A KR1020200034138 A KR 1020200034138A KR 20200034138 A KR20200034138 A KR 20200034138A KR 102370205 B1 KR102370205 B1 KR 102370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osimeter
work clothes
separa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655A (ko
Inventor
박용후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034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20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2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21F3/02Clot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끈을 구비하는 작업복 고정부; 방사선량계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방사선량계 고정기구; 및 상기 작업복 고정부와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 결합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결합 기구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분리 도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재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 중 어느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연결 끈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에 결합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DEVICE FOR CONNECTING DOSIMETER TO WORKING UNIFORM}
본 발명은 작업복에 방사선량계를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와 같이 방사성 물질에 의한 오염이 상존하는 곳의 작업자는 방사선 관리구역에서 방사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방호복을 작업복으로 착용해야 한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 내의 방사선 관리구역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방사선량계를 의무적으로 작업복에 착용하여 작업자의 일일 피폭방사선량과 연간/월간 누적피폭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있다.
방사선량계에는 작업자가 방사선 관리구역에 출입시 착용하는 개인 피폭방사선량 측정용 측정기로서 매회 작업하는 동안에 피폭되는 방사선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 선량계(ADR)와, 작업자가 방사선 관리구역에 출입시 자동 선량계(ADR)와 함께 착용하는 선량계로서 일정 기간 동안에 방사선에 노출되어 집적되는 총 방사선의 양을 판독기로 측정하는 열형광 선량계(TLD)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자동 선량계와 열형광 선량계를 함께 휴대하고 방사선 관리구역에서 작업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자동 선량계와 열형광 선량계는 작업복에 마련되는 주머니에 수납되어서 보관된다.
방사선량계가 수납되는 작업복의 주머니에는 지퍼 또는 버튼에 설치되어서 수납된 방사선량계의 낙하를 방지하는데, 주머니에 설치된 지퍼 또는 버튼의 노후화로 인해 방사선량계가 낙하하여 방사선계가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방사선량계의 손상은 개인의 방사선 피폭 안정성과 물적 손해로 이어진다. 작업 중 방사선량계의 손상은 당일 작업 중 피폭된 양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잃는 것이며, (주)한국수력원자력에서는 방사선량계 손상 시 개인의 이동 동선을 기입한 문서에 따라서 각 지역별 방사선량을 토대로 개인의 피폭량을 예상하지만 정확한 방법이 아니다. 또한, ADR은 고가의 제품이기 때문에 빈번한 손상은 신규 제품의 구매, 검교정 등에 비용과 소요되는 시간이 발생한다.
아울러, 타인의 방사선량계를 사용하여 방사선 관리구역에 출입하거나, 고의적으로 방사선량계를 다른 곳에 두고 방사선 관리구역을 출입하는 것을 제도적으로 금지하고 있으나 방사선량계의 취급이 쉽기 때문에 방사선량계가 부적절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44314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 (2009.05.07.)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복에 방사선량계를 안정적으로 연결하여 방사선량계의 낙하를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선량계의 부적절한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방사선량계의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끈을 구비하는 작업복 고정부; 방사선량계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방사선량계 고정기구; 및 상기 작업복 고정부와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 결합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결합 기구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분리 도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재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 중 어느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연결 끈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에 결합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끈을 구비하는 작업복 고정부; 및 상기 작업복 고정부와 방사선량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 결합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결합 기구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분리 도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재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 중 어느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연결 끈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방사선량계에 결합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연결 끈 및 제2 연결 끈을 구비하는 작업복 고정부; 제1 방사선량계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방사선량계 고정기구; 상기 제1 연결 끈과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분리 결합 기구; 및 상기 제2 연결 끈과 제2 방사선량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분리 결합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 결합 기구와 상기 제2 분리 결합 기구 각각은,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분리 도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재결합이 가능한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에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끈과, 연결 끈과 방사선량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를 구비하는 분리 결합 기구를 포함하며, 제1 결합체와 제2 결합체는 분리 도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재결합이 가능한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가 제공되므로, 방사선량계가 작업복으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낙하되어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분리 결합 기구의 제1 결합제와 제2 결합체가 분리되는 경우 이를 알리는 알람부가 구비되므로, 방사선량계의 부적절한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에 의해 방사선량계가 연결된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사선량계 연결장치를 방사선량계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사선량계 고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사선량계 고정기구의 정면도로서, 일부는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리 결합 기구의 종단면도로서, 분리 방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분리 결합 기구의 종단면도로서, 분리 가능 상태를 분리 도구인 자석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에 의해 방사선량계가 연결된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C)에는 제1 방사선량계(10)와 제2 방사선량계(20)를 수납하기 위한 방사선량계 수납 주머니(P)가 구비되며, 수납 주머니(P)의 개방된 상단은 덮개부(D)에 의해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D)가 버튼(B)에 의해 수납 주머니(P)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수납 주머니(P)의 개방된 상단은 지퍼와 같은 수단으로 개폐가 가능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납 주머니(P)는 두 방사선량계(10, 20)가 각각 수납될 수 있도록 분할된 두 수납 공간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수납 주머니(P) 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100)에 연결된 두 방사선량계(10, 20)가 수납된다.
도 2에는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100)가 두 방사선량계(10, 20)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100)는 작업복(C)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작업복 고정부(110)와, 제1 방사선량계(10)에 고정되는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와, 작업복 고정부(110)와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의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와, 작업복 고정부(110)와 제2 방사선량계(20)의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분리 결합 기구(150b)를 구비한다.
작업복 고정부(110)는 고정 몸체(111)와, 고정 몸체(111)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연결 끈(190a)과 제2 연결 끈(190b)을 구비한다.
고정 몸체(111)는 작업복(C)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몸체(111)가 수납 주머니(P) 안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작업복(C)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고정 몸체(111)의 내부에는 제1 연결 끈(190a)과 제2 연결 끈(190b)이 수용될 수 있는 끈 수용 공간(111a)이 형성된다. 끈 수용 공간(111a)에는 제1 연결 끈(190a)이 권취될 수 있는 제1 권취부(113a)와, 제2 연결 끈(190b)이 권취될 수 있는 제2 권취부(113b)가 형성된다. 제1 권취부(113a)와 제2 권취부(113b)는 작업자의 외력에 의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제1 연결 끈(190a)과 제2 연결 끈(190b)의 외부 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 끈(190a)은 고정 몸체(111)로부터 길게 연장된다. 제1 연결 끈(190a)의 양단은 각각 고정 몸체(111)의 제1 권취부(113a)와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에 고정된다. 제1 연결 끈(190a)은 고정 몸체(111)의 제1 권취부(113a)의 회전에 의해 제1 권취부(113a)에 감긴 길이가 조절되어서 고정 몸체(111)로부터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까지 연장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2 연결 끈(190b)은 고정 몸체(111)로부터 길게 연장된다. 제2 연결 끈(190b)의 양단은 각각 고정 몸체(111)의 제2 권취부(113b)와 제2 분리 결합 기구(150b)에 고정된다. 제2 연결 끈(190b)은 고정 몸체(111)의 제2 권취부(113b)의 회전에 의해 제2 권취부(113b)에 감긴 길이가 조절되어서 고정 몸체(111)로부터 제2 분리 결합 기구(150b)까지 연장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연결 끈(190a)과 제2 연결 끈(190b)이 하나의 고정 몸체(111)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두 연결 끈(190a, 190b) 각각에 대응하여 고정 몸체가 하나 씩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는 제1 방사선량계(10)에 결합되어서 제1 방사선량계(10)에 고정된다.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가 결합되는 제1 방사선량계(10)는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부분이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서,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를 중간 매개로 하여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방사선량계(10)가 자동선량계(ADR:Alarm Dosimeter)인 것으로 설명한다.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는 제1 방사선량계(10)의 측면을 감싸면서 제1 방사선량계(10)에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는 제1 결합 유닛(130)과 제2 결합 유닛(140)을 구비한다. 제1 결합 유닛(130)과 제2 결합 유닛(140)이 결합되어서 제1 방사선량계(1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1 방사선량계(10)에 결합된다.
제1 결합 유닛(130)은 제1 방사선량계(10)의 측면 형상의 일부 구간에 대응하여 연장되는 제1 유닛 몸체(131)와, 제1 유닛 몸체(13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두 삽입 날개(135)들을 구비한다.
제1 유닛 몸체(131)는 제1 방사선량계(10)의 측면 형상의 일부 구간을 감싸도록 띠 형태로 연장되는 형상으로써, 제1 유닛 몸체(131)의 양단에 두 삽입 날개(135)들이 일체로 연결된다.
두 삽입 날개(135)들 각각은 제1 유닛 몸체(131)의 양단으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두 삽입 날개(135)들 각각에는 제2 유닛 몸체(140)와의 결합 및 고정을 위한 톱니부(137)가 형성된다. 톱니부(137)는 삽입 날개(135)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속으로 이어지는 복수개 치부(138)들을 구비한다.
제2 결합 유닛(140)은 제1 방사선량계(10)의 측면 형상의 일부 구간에 대응하여 연장되는 제2 유닛 몸체(141)와, 제2 유닛 몸체(141)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결합 고리부(145)를 구비한다.
제2 유닛 몸체(141)는 제1 방사선량계(10)의 측면 형상의 일부 구간(제1 유닛 몸체(131)가 둘러싸는 부분의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구간)을 감싸도록 띠 형태로 연장되는 형상으로써, 제2 유닛 몸체(141)의 양단에는 두 삽입 날개(135)들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 구멍(142)들이 형성된다. 두 삽입 구멍(142)들 각각은 제2 유닛 몸체(141)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2 유닛 몸체(141)의 양단에서 각각 개방되어서 두 삽입 날개(135)가 들어갈 수 있다. 제2 유닛 몸체(141)의 두 삽입 구멍(142)들 각각의 내부에는 삽입 날개(135)의 톱니부(137)와 상호 작용하는 걸림 부재(143)가 설치된다. 걸림 부재(143)는 톱니부(137)의 치부(138)에 대응하는 쇄기 형상으로서, 이웃한 두 치부(138) 사이에 위치하여 삽입 날개(135)가 삽입 구멍(14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삽입 날개(135)가 삽입 구멍(142)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걸림 부재(143)는 삽입 날개(135)가 삽입 구멍(142)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회전(도 4에서 화살표의 회전 방향)이 가능하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걸림 부재(143)가 삽입 날개(135)의 이동에 의해 회전 후 세워진 상태를 회복하도록 도 4의 화살표의 회전 방향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삽입 구멍(142)은 대응하는 삽입 날개(135)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크기와 형태르 갖는다.
결합 고리부(145)는 제2 유닛 몸체(141)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며, 결합 고리부(145)에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가 결합되어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고리부(145)가 제2 유닛 몸체(141)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와는 달리 제1 유닛 몸체(131)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삽입 날개(135)들이 모두 제1 유닛 몸체(131)에 형성되고, 두 삽입 구멍(142)들이 모두 제2 유닛 몸체(141)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두 삽입 날개(135)들은 제1 유닛 몸체(131)와 제2 유닛 몸체(141)에 하나 씩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두 삽입 구멍(142)들도 제1 유입 몸체(131)와 제2 유닛 몸체(141)에 하나 씩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는 작업복 고정부(110)와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의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도 2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는 제1 연결 끈(190a)의 끝단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제1 결합체인 결합핀(160)과,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에 결합되고 결합핀(16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체인 기구 몸체(170)를 구비한다.
결합핀(160)은 핀 머리(161)와, 핀 머리(161)로부터 연장되는 핀 몸체(165)를 구비한다.
핀 머리(161)에는 제1 연결 끈(190a)의 끝단이 결합되어서 고정된다. 핀 머리(161)에는 핀 몸체(165)가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결합된다.
핀 몸체(165)는 핀 머리(161)로부터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서 형성된다. 핀 몸체(165)의 끝단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 몸체(165)는 기구 몸체(170)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기구 몸체(170)는 케이스(171)와, 케이스(171)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동 부재(173)와, 케이스(171)의 내부에 수용되는 탄성 부재(175)와, 케이스(171)의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가압 부재(179)들을 구비한다. 기구 몸체(170)는 방사선량계 고정기구(120)의 결합 고리부(145)와 제1 결합 끈(180a)으로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와는 달리 기구 몸체(170)가 결합 고리부(145)에 직접 결합되어서 고정될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구 몸체(170)가 결합 고리부(145) 측에 결합되고 결합핀(160)이 제1 연결 끈(190a)과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기구 몸체(170)가 제1 연결 끈(190a)과 결합되고 결합핀(160)이 결합 고리부(145) 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케이스(171)는 바닥(171a)과, 바닥(171a)의 가장자리로부터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되는 측벽(171b)을 구비하며, 내부에 이동 부재(173), 탄성 부재(175) 및 복수개의 가압 부재(179)들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171c)을 제공한다. 기구 몸체(170)와 결합핀(16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171c)에 결합핀(160)의 핀 몸체(165)가 수용된다. 케이스(171)에는 결합 핀(160)의 핀 몸체(165)가 내부 공간(171a)과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172)가 바닥(171a)과 대향하는 측벽(171b)의 상단에 형성된다. 케이스(171)의 내부 공간(171c)은 출입구(17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서 차례대로 위치하는 확장부(174a)와 안내부(174b)를 구비한다. 확장부(174a)는 출입구(172)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확장되는 원뿔대 형상이다. 안내부(174b)는 확장부(174a)와 이어지는 원통 형상이다. 확장부(174a)에 복수개의 가압 부재(179)들이 위치하며, 안내부(174b)에 이동 부재(173)와 탄성 부재(175)가 위치한다. 결합핀(160)의 핀 몸체(165)는 확장부(174a)와 안내부(174b) 전체에 걸쳐서 연장된다. 케이스(171)는 두 케이스 부재(171e, 171f)들이 결합되어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두 케이스 부재(171e, 171f)들 중 하나의 케이스 부재(171e)는 바닥(171a)을 형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케이스 부재(171f)는 측벽(171b)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동 부재(173)는 케이스(171)의 내부 공간(171c)에 수용되어서 안내부(174b)에 위치한다. 이동 부재(173)의 중심에는 결합핀(160)의 핀 몸체(165)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통과하는 관통구(173a)가 형성된다. 이동 부재(173)는 탄성 부재(175)에 의해 출입구(172)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힘을 받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부재(173)에는 탄성 부재(175)의 위치를 중앙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탄성 부재(175)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173)는 자석 또는 자성체로 이루어져서 외부의 자력에 의해 탄성 부재(175)에 의한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할 수 있다.
탄성 부재(175)는 케이스(171)의 내부 공간(171c)에 수용되어서 안내부(174b)에 위치한다. 탄성 부재(175)는 이동 부재(173)가 출입구(172) 쪽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부재(173)에 탄성력을 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부재(175)는 결합핀(160)의 핀 몸체(165)가 통과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설명하며, 탄성 부재(175)의 양단은 각각 이동 부재(173) 및 케이스(171)의 바닥(171a)과 접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탄성 부재(175)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바닥(171a)에는 탄성 부재(175)가 끼워지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압 부재(179)들은 케이스(171)의 내부 공간(171c)에 수용되어서 확장부(174a)에 위치한다. 복수개의 가압 부재(179)들은 결합핀(160)의 핀 몸체(165)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복수개의 가압 부재(179)들은 탄성 부재(175)에 의해 가압되는 이동 부재(173)에 의해 출입구(172) 쪽으로 밀려서 확장부(174a)의 경사면과 상호작용하여 핀 몸체(165)와 밀착하게 된다(도 5의 상태). 그에 따라, 결합핀(160)이 기구 몸체(170)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179)는 금속 재질의 볼 형상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에는 결합핀(160)이 기구 몸체(17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분리 도구인 자석(M)을 외부에서 기구 몸체(170)의 바닥(171a)에 근접시키면, 자석 또는 자성체인 이동 부재(173)가 자력에 의해 바닥(171a) 쪽으로 이동하여 복수개의 가압 부재(179)들이 핀 몸체(165)와 접촉하는 힘이 약화되고, 그에 따라 작업자는 결합핀(160)을 당겨서 기구 몸체(17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작업 구역으로부터 나와서 작업 구역 밖에 있는 자석(M)을 이용하여 결합핀(160)과 기구 몸체(170)를 분리시키고, 작업 구역에 들어갈 때는 결합핀(160)을 기구 몸체(170)에 꽂아서 재결합시키게 된다.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는 결합핀(160)과 기구 몸체(170)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알리는 알람 장치를 더 구비한다. 알람 장치는 결합핀(160)과 기구 몸체(170)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179a)와, 접촉식 센서(179a)의 신호에 기반하여 결합핀(160)과 기구 몸체(170)가 분리되었을 때 이를 알리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출력부는 소리를 출력하는 부저인 것으로 설명한다. 출력부는 작업자가 작업 구역으로 입구를 통해 들어갈 때 자동으로 활성화되고, 작업자가 작업 구역으로부터 출구를 통해 나올 때 자동으로 비활성화된다.
제2 분리 결합 기구(150b)는 작업복 고정부(110)와 제2 방사선량계(20)의 사이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2 분리 결합 기구(150b)는 제2 연결 끈(190b)의 끝단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결합핀(160b)과, 제2 방사선량계(20)에 제2 결합 끈(180a)을 통해 결합되고 결합핀(160b)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 몸체(170b)를 구비하는데, 구체적인 구성은 제1 분리 결합 기구(150a)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방사선량계(20)는 제2 분리 결합 기구(150b)와 결합되는 결합 부분(2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열형광선량계(TLD : Thermoluminescene Dosimeter)인 것으로 설명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110 : 작업복 고정부
111 : 고정 몸체 113a, 113b : 권취부
120 : 방사선량계 고정기구 130 : 제1 결합 유닛
135 : 삽입 날개 137 : 톱니부
138 : 치부 140 : 제2 결합 유닛
142 : 삽입 구멍 143 : 걸림 부재
145 : 결합 고리부 150a, 150b : 분리 결합 기구
160 : 결합핀 161 : 핀 머리
165 : 핀 몸체 170 : 기구 몸체
171 : 케이스 173 : 이동 부재
175 : 탄성 부재 179 : 가압 부재
190a, 190b : 연결 끈

Claims (10)

  1.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끈을 구비하는 작업복 고정부;
    방사선량계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방사선량계 고정기구; 및
    상기 작업복 고정부와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 결합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결합 기구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분리 도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재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 중 어느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연결 끈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에 결합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는 상기 방사선량계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결합 유닛과 제2 결합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 유닛과 상기 제2 결합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결합체 또는 상기 제2 결합체와 결합되는 결합 고리부가 형성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방사선량계의 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1 유닛 몸체와, 상기 유닛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두 삽입 날개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방사선량계의 측면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2 유닛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유닛 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두 삽입 날개들 각각이 삽입될 수 있는 두 삽입 구멍이 형성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 날개에는 복수개의 치부들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유닛 몸체는 상기 삽입 구멍 내에서 상기 톱니부가 걸리는 쇄기 형상의 걸림 부재를 구비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5.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연결 끈을 구비하는 작업복 고정부; 및
    상기 작업복 고정부와 방사선량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 결합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 결합 기구는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분리 도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재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 중 어느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연결 끈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결합체는 상기 방사선량계에 결합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 끈에서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노출되어서 연장되는 부분의 길이가 조절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체는 핀 머리와 상기 핀 머리로부터 연장되는 핀 몸체를 구비하는 결합핀이며,
    상기 제2 결합체는 상기 핀 몸체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핀 몸체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서 상기 핀 몸체를 따라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출입구 쪽을 향해 이동하도록 가압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핀 몸체를 둘러싸는 복수개의 가압 부재들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출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확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압 부재들이 위치하는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가압 부재들은 상기 확장부의 경사진 벽면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핀 몸체를 가압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리 도구는 자석이며,
    상기 이동 부재는 분리 도구의 자력에 의해 이동하는 자석 또는 자성체인,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리 결합 기구는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의 분리를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와, 상기 접촉식 센서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결합체의 분리 상태를 알리는 알람부를 더 구비하는,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10.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에 고정되는 고정 몸체와, 상기 고정 몸체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연결 끈 및 제2 연결 끈을 구비하는 작업복 고정부;
    제1 방사선량계에 결합되어서 고정되는 방사선량계 고정기구;
    상기 제1 연결 끈과 상기 방사선량계 고정기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분리 결합 기구; 및
    상기 제2 연결 끈과 제2 방사선량계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분리 결합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분리 결합 기구와 상기 제2 분리 결합 기구 각각은, 제1 결합체와, 상기 제1 결합체에 결합되는 제2 결합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체와 상기 제2 결합체는 분리 도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재결합이 가능한,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KR1020200034138A 2020-03-20 2020-03-20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KR102370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38A KR102370205B1 (ko) 2020-03-20 2020-03-20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138A KR102370205B1 (ko) 2020-03-20 2020-03-20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655A KR20210117655A (ko) 2021-09-29
KR102370205B1 true KR102370205B1 (ko) 2022-03-03

Family

ID=7792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138A KR102370205B1 (ko) 2020-03-20 2020-03-20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2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548A (ja) 2001-10-10 2003-04-23 Mitsubishi Heavy Ind Ltd 計測線量対応振動警報器
JP2006225810A (ja) 2005-02-18 2006-08-31 Univ Kurume 放射線療法用衣服
JP2010151547A (ja) 2008-12-24 2010-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線量計拡張ユニット及び視覚警告型線量計ならびに線量計拡張方法
KR101565028B1 (ko) 2014-08-20 2015-11-02 주식회사 액트알엠티 방사선 관리구역용 작업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314Y1 (ko) 2008-10-29 2009-05-07 주식회사 텍시빌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1548A (ja) 2001-10-10 2003-04-23 Mitsubishi Heavy Ind Ltd 計測線量対応振動警報器
JP2006225810A (ja) 2005-02-18 2006-08-31 Univ Kurume 放射線療法用衣服
JP2010151547A (ja) 2008-12-24 2010-07-08 Mitsubishi Heavy Ind Ltd 線量計拡張ユニット及び視覚警告型線量計ならびに線量計拡張方法
KR101565028B1 (ko) 2014-08-20 2015-11-02 주식회사 액트알엠티 방사선 관리구역용 작업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655A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996A (en) Protective eyewear including an integral thermoluminescent dosimetry chip for measuring facial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KR102370205B1 (ko) 작업복용 방사선량계 연결 장치
EP2506937B1 (en)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disconnectable lifeline
EP2400258B1 (en) Tape rule and end hook therefor
AU2004272012B2 (en) Dorsal pad assembly for use with a safety harness
EP0942893B1 (en) Tape rule blade hook shock absorber
EP3111997A1 (en) Improvements to powered air breathing apparatus
CN110191853B (zh) 设备绳
EP1365091A1 (en) Flexible shackle with a replaceable shackle and a replaceable lock core
SE503217C2 (sv) Buntningsband
KR200444314Y1 (ko) 방사선 관리구역 작업복
US6097033A (en) Dosimeter probe
US2385052A (en) Ammunition belt tension meter
US2855519A (en) Tamperproof film badge
US4426756A (en) Shoelace knot retainer
PT2063733E (pt) Dispositivo à prova de adulteração
KR101870746B1 (ko) 허리 벨트 탈착용 스마트 기기
CN212586440U (zh) 一种万用表用防护壳及其万用表
EP0970347B1 (en) Withdrawable graduated tape measuring instrument including a safety device
KR100911745B1 (ko) 방사선 조사기용 콜리메이터의 교체가 용이한 콜리메이터 장전장치
KR101565028B1 (ko) 방사선 관리구역용 작업복
CN215575469U (zh) 一种带温湿度实时监测的局部放电检测装置
CA2663158C (en) Dorsal pad assembly for use with a safety harness
CN213177619U (zh) 一种带有防护机构的便携式气体检测仪
US20220365229A1 (en) Wearable Radon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