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2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28B1
KR102370128B1 KR1020150138979A KR20150138979A KR102370128B1 KR 102370128 B1 KR102370128 B1 KR 102370128B1 KR 1020150138979 A KR1020150138979 A KR 1020150138979A KR 20150138979 A KR20150138979 A KR 20150138979A KR 102370128 B1 KR102370128 B1 KR 10237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pace
transfer
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875A (ko
Inventor
최대진
심혜현
김종필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28B1/ko
Priority to EP16852144.1A priority patent/EP3358283B1/en
Priority to PCT/KR2016/011083 priority patent/WO2017057998A1/ko
Priority to US15/763,916 priority patent/US10443924B2/en
Publication of KR2017003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875A/ko
Priority to KR1020220024589A priority patent/KR102437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86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5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friction
    • E05Y2201/26Mechanical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262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motion
    • E05Y2201/264Brakes; Disengaging means, e.g. clutches; Holders, e.g. locks; Stops; Accessories therefore characterised by type of motion lin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공간,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공간,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바디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도어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속도제어부가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ir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냉장대상물이나 냉동대상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시키는 싸이클(cycle)을 통해 저장공간에 수납된 저장물(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는 장치이다. 즉, 종래의 냉장고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저장공간 내부에 위치된 저장물을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저장공간은 냉장고에 설정된 저장용량에 의해 부피가 제한될 것이므로, 상기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은 냉장고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고려대상 중 하나이다.
상기 저장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종래 냉장고 내부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저장공간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나 저장물을 지지하는 선반 등이 구비되었다.
냉장고에 구비되는 저장공간은 저장물의 부피를 고려하여 드로워 및 선반 등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냉장고의 용량에 따라 최대 부피가 설정되는 저장공간 내부에 설치 가능한 수납부(선반이나 드로워 등)의 개 수나 부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는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새로운 수납장치를 추가하려면, 드로워와 선반 중 일부를 제거하거나, 드로워의 부피를 줄이거나, 선반과 드로워 또는 선반과 선반 사이의 간격을 줄여야 함을 의미한다. 새로운 수납장치의 추가를 위해서는 저장공간 중 일부를 수납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새로운 수납장치의 설치를 위해 선반과 드로워의 부피나 수를 줄이는 등의 설계 변경은 설계 시 의도한 저장물을 드로워나 선반이 수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오히려 저장공간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나아가, 새로운 수납장치의 설치를 위해 선반과 드로워의 부피나 수를 줄이는 등의 설계 변경은 저장공간을 새롭게 설계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 종래 냉장고는 기 설계된 저장공간의 부피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수납장치를 추가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구분하도록 구비된 격벽에 구비됨으로써 저장물의 수납을 위해 설정된 공간을 잠식하지 않고도 별도의 저장공간을 추가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할 뿐 아니라 도어가 투입구의 특정지점을 통과한 때부터 도어의 속도를 감속하는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작동시키는 이송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공간;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공간;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바디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parallel)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도어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속도제어부가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송바디;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하도록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는 이송공간;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타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제어부는 상기 이송바디에 고정되는 실린더; 일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된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송바디;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하도록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는 이송공간;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타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제어부는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랙 기어에 결합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회전 시 저항력을 제공하는 저항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력 제공부는 유체가 저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기어와 상기 회전체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는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기 시작하는 지점과 상기 수용부를 50% 폐쇄하는 지점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랙 기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는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50% 이상 폐쇄하는 지점과 상기 수용부를 90% 폐쇄하는 지점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랙 기어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이송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이송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착탈부로 외력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된 상태 및 상기 체결돌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스풀(spool); 일단은 상기 스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풀에 감긴 금속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가 수용되는 이송부 수용홈;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한 때 상기 이송부 수용홈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송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의 하부면을 지지하되 상기 커버에 고정되지 않는 커버 지지부;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체결돌기; 상기 커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 수용홈은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에 투영된 투영면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송부 수용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 수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너비는 상기 차단벽의 너비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에 고정된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착탈 가능한 슬라이더 체결부; 상기 커넥터 바디와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액체가 상기 이송부 수용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방지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와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차단벽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배수가이더; 상기 커넥터 바디와 상기 배수가이더 사이로 유입되는 액체를 상기 차단벽의 외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커넥터 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상기 차단벽의 일측면에서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경사면;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상기 차단벽의 타측면에서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송바디;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하도록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는 이송공간;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1슬라이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제어부는 상기 이송바디에 고정된 실린더; 일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자유단에 설정된 이동범위 내에서 운동하면,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자유단에 설정된 이동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상기 이동범위 내의 한 지점으로 설정된 기준점에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이 도달하면, 상기 제2슬라이더가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분리되는 방향에 위치된 제1스토퍼를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돌출부;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출부; 상기 제1지지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출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 상기 제2지지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출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 상기 제1지지부에서 상기 제1수용홈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이 상기 기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1돌출부를 상기 제1수용홈에 위치시키는 제1경사부; 상기 제2지지부에서 상기 제2수용홈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이 상기 기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2돌출부를 상기 제2수용홈에 위치시키는 제2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이송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 상기 제1측벽에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이송홈; 상기 제2측벽에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이송홈;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이송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제1돌기;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이송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제2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를 단열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단열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구분하도록 구비된 격벽에 구비됨으로써 저장물의 수납을 위해 설정된 공간을 잠식하지 않고도 별도의 저장공간을 추가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수납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할 뿐 아니라 도어가 투입구의 특정지점을 통과한 때부터 도어의 속도를 감속하는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작동시키는 이송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수납장치 및 상기 수납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냉장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수납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수납장치에 구비된 이송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어가 수용부를 폐쇄한 경우 이송부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어가 수용부를 개방한 경우 이송부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바디 및 이송부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이송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냉장고(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저장물(냉장대상 또는 냉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공간(11, 13), 상기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캐비닛(1)의 내부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저장공간이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으로 구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공간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된다는 것은 제1공간(11)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제2공간(13)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나머지 하나로 구비되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온도로 제어되는 공간으로 구분된 경우를 의미한다.
나아가, 상기 저장공간이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된다는 것은 동일한 온도로 제어되는 하나의 공간을 구분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은 하나의 냉장실 또는 하나의 냉동실이 구분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은 서로 연통 가능하게 분리된 상태(공기가 제1공간과 제2공간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이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은 격벽(15)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각 공간(11, 13)에는 저장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개방면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제1공간(11)은 제1개방면(111)을 통해 캐비닛(1)의 외부와 연통하고, 제2공간(13)은 제2개방면(131)을 통해 캐비닛의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면(111) 및 제2개방면(131)은 캐비닛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이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분될 경우, 상기 캐비닛 도어는 상기 제1투입구(111)를 개폐하는 캐비닛 제1도어(미도시), 제2투입구(131)를 개폐하는 캐비닛 제2도어(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이 하나의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구분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이라면, 상기 캐비닛 도어는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을 동시에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캐비닛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밸브,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와 저장공간(11, 13)의 공기를 열교환시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는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므로, 저장공간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며,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열교환부는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의 온도를 상온보다 낮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을 구분하는 격벽(15)에는 수납장치(P)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장치(P)는 상기 격벽(15)에 고정되는 바디(3),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저장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4), 상기 바디(3)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4)를 개폐하는 도어(5)를 포함한다.
일정한 두께(캐비닛의 높이방향 길이, Z축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저장공간 내부를 구분하는 수단이면 무엇이든 상기 격벽(15)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공간(11)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공간(13)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나머지 하나로 구비될 경우, 상기 격벽(15)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분하는 벽이 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격벽(15)에는 단열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디(3)는 상기 단열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공간(11)과 제2공간(13)이 하나의 냉장실 또는 하나의 냉동실이 분할됨으로써 구분되는 공간이라면, 상기 격벽(15)은 단열부의 존재가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상기 바디(3)가 곧 격벽(15)이 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4)는 상기 바디(3)의 표면이 제2공간(13)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공간으로, 저장물은 수용부(4)의 상부면에 형성된 투입구(41)를 통해 수용부(4)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4)는 제1개방면(111)을 향하는 상기 바디(3)의 전방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수납장치(P)가 격벽(15)에 구비될 경우, 상기 수납장치(P)의 인접한 상부에 선반(미도시)이나 드로워(미도시) 등의 별도의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납장치(P)와 상기 별도의 장치 사이의 간격이 좁으면 상기 수용부(4)가 바디의 전방면에 있어야만 사용자가 저장물을 수용부(4)에 투입하거나 수용부(4)에서 인출할 수 있을 것이 때문이다.
상기 수용부(4)는 상기 바디(3)에 일체로 구비된 홈(미도시)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홈 및 상기 홈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트레이(미도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4)가 홈 및 트레이로 구비되면, 수용부(4)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41)를 통해 트레이를 인출한 뒤 세척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4)가 홈만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수용부(4)를 쉽게 청소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바디(3)가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수용부(4)는 격벽(15)에 매립된 상태가 될 것이므로, 상기 수용부(4)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최소화 가능하다.
즉, 상기 바디(3)는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4)는 상기 격벽(15) 속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면, 본 발명에 구비된 수납장치(P)는 제한된 부피를 가진 저장공간(11, 13)을 잠식하지 않고도 저장공간(11, 13)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저장공간(11, 13)의 부피를 잠식하지 않고 수용부(4)가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은 저장물의 수납을 위해 저장공간(11, 13)에 설치된 장치(드로워, 선반 등)의 부피를 변경하지 않고도 저장물의 수납을 위한 공간을 추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기 바디(3)가 격벽(15)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구비(수납장치가 격벽에 구비)되는 것은 수납장치(P)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5)는 상기 투입구(41)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상기 바디(3)의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도어 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51)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도어 바디(51)에는 핸들(53)이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저장공간(11, 13)에는 저장물이 수납되는 드로워(저장공간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저장물이 수납되는 수단)나 저장물을 지지하는 선반(저장공간 내부에 고정되어 저장물을 지지하는 수단)이 저장공간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기 도어(5)가 상부에 위치된 드로워나 선반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수납장치(P)와 드로워 사이의 거리 또는 수납장치와 선반 사이의 거리는 도어(5)의 회전반경보다 길어야만 저장물을 수용부(4)에 투입하거나 수용부에서 인출할 수 있다.
이는 수납장치(P)의 설치 시 저장공간(11, 13)이 잠식됨을 의미하므로, 상기 수납장치(P)의 투입구(41)가 상기 바디(3)의 표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도어 바디(51)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 것은 수납장치(P)의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 바디(51)가 상기 투입구(41)를 개방한 때 상기 도어 바디(51)를 초기위치(도 1의 상태)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을 상기 도어에 제공하는 이송부(7)를 더 포함한다.
저장공간(11, 13)을 잠식하지 않고 수납장치(P)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7)는 바디(3)가 제2공간(13)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되는 이송부 수용홈(31)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은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제1공간의 깊이방향, 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도어 바디(51)는 커넥터(57)를 통해 상기 이송부(7)에 연결되는데, 상기 커넥터(57)는 도어 바디(51)에 고정되는 커넥터 바디(571), 상기 커텍터 바디(571)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7)에 연결되는 슬라이더 체결부(57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7)는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에 구비되는 이송바디(71),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바디(71)에 구비되는 이송공간(S), 상기 이송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72), 상기 도어 바디(51)가 상기 투입구(4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 바디(5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73),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도어 바디(51)의 속도를 감속하는 속도제어부(74)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공간(S)은 이송부 수용홈(31)에 고정되는 베이스(711), 상기 베이스(711)에 의해 형성되는 면들 중 도어 바디(31)에 나란한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측벽(713) 및 제2측벽(71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72)는 상기 이송공간(S)을 따라 왕복 가능한 슬라이더 바디(721),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와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753)를 연결하는 도어 체결부(727)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는 제1체결부(722) 및 제2체결부(723)를 통해 상기 이송바디(71)에 구비된 슬라이더 가이더(92, 94)에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더는 제1측벽(713)에 구비되는 제1가이더(92), 상기 제2측벽(715)에서 연장되는 제2가이더(94)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가이더(92)는 이송공간(S)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더(94)는 이송공간(S)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722)는 상기 이송공간(S)의 상부에 위치되는 슬라이더 바디(721)를 상기 제1가이더(92)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723)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를 제2가이더(94)에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4는 슬라이더 바디(721)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뒤 상기 제1가이더(92)를 향해 절곡된 제1체결부(722), 슬라이더 바디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뒤 제2가이더(94)를 향해 절곡된 제2체결부(723)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는 상기 슬라이더 가이더(92, 94)를 통해 도어 바디(51)의 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51)가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도어 체결부(727)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서 도어 바디(51)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제1리브(727a) 및 제2리브(727c)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573)는 상기 제1리브(727a)와 제2리브(727c)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는 사용자가 도어 바디(51)를 제1공간(11)의 후방으로 밀 때 이송공간(S)의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1공간의 후방에 위치된 도어 바디(51)는 탄성력 제공부(73)가 슬라이더 바디(721)에 복원력을 제공할 때 제1공간(11)의 전방으로 이동할 것이므로, 상술한 슬라이더 체결부(573) 및 도어 체결부(727)의 구조만으로도 상기 이송부(7)는 도어 바디(51)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조만을 가진 이송부(7)는 사용자가 도어 바디(51)를 제1공간(11)의 전방으로 당길 경우, 슬라이더 체결부(573)가 도어 체결부(727)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려면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573)에는 제2리브(727c)를 향해 절곡된 후크(57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리브에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727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절곡부(727d)는 제2리브에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것보다 예각(acute angle)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어 바디(51)의 청소나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 도어 바디(51)는 슬라이더(72)에서 분리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제2리브에 직교하는 제2절곡부(727d)가 구비된 이송부에서 도어 바디(51)를 슬라이더(72)에서 분리하려면, 사용자는 후크(5731)의 자유단이 제2절곡부(727d)이 자유단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까지 도어 바디(51)를 Z축 방향으로 들어 올려야 한다. 그런데, 수납장치(P)의 상부에 드로워나 선반이 위치되어 수납장치(P)의 상부에 공간이 부족하다면, 상기 도어 바디(51)를 분리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상기 제2절곡부(727d)는 제2리브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2절곡부(727d)가 제2리브(727c)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면, 사용자는 후크(5731)를 중심으로 도어 바디(51)를 조금 회전시킨 후 제1공간의 전방(X축 방향)으로 도어 바디(51)를 당기기만 하면 도어 바디(51)를 슬라이더(72)에서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 바디(51)가 후크(5731)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리브(727a)에는 상기 제2절곡부(727d)와 동일한 각도를 가지는 제1절곡부(727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P)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려면 수납장치(P)가 격벽(15)의 상부면에 구비되어야 하고, 격벽(15)의 상부에는 드로워나 선반이 인접하게 구비될 것이다. 따라서, 도어 바디(51)를 제1개방면 방향으로 당길 때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573)가 도어 체결부(727)에서 분리되지 않는 한 상기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의 각도는 작을수록 좋을 것이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73)는 투입구(41)를 개방한 상태에 있는 도어 바디(51)를 투입구(41)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력 제공부(73)은 일단은 상기 이송바디(7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 고정된 인장스프링(tension spring)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스프링(constant torque spring, constant force spring, or spiral spring)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탄성력 제공부(73)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가 이송공간(S)의 전방(X축 방향)을 향해 이동할 때 거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 특징으로, 스풀회전축(733)을 통해 이송바디(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스풀(spool, 731), 일단은 스풀(7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더 바디(721)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풀(731)에 감긴 금속판(735)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이송공간(S)의 전방(X축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슬라이더 바디(721)의 이동속도를 감속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실린더 및 피스톤으로 구비되는 댐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형태의 댐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이송바디(71)에 고정되는 실린더, 일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 고정된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내부에 위치된 헤드로 구비될 수 있다(도 10 참고). 상술한 구조를 가진 속도제어부(74)는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헤드가 실린더의 내주면에 마찰할 것이기 때문에 도어 바디(51)의 속도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력 제공부(73)가 도어 바디(51)에 제공하는 복원력이 너무 크면,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어 바디(51)가 바디(3)에 충돌하여 손상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손이 도어 바디(51)에 부딪힐 위험이 있다.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 된다.
도 4의 속도제어부(74)는 슬라이더 바디(721)에 구비된 랙 기어(725)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725)는 이송공간(S)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하부면에 구비된다. 즉, 상기 랙 기어(725)는 제1체결부(722)와 제2체결부(7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724)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상기 랙 기어(725)에 결합 가능한 기어(741), 상기 기어의 회전 시 기어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제공하는 저항력 제공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항력 제공부는 상기 이송바디(71)에 고정되며 유체가 저장되는 케이스(745),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743),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기어(741)와 회전체(743)를 연결하는 회전축(74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741)는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기 시작하는 지점(A1, 도 6 참고)에서 투입구(41)가 50% 폐쇄되는 지점(A2) 사이에서 상기 랙 기어(725)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장치(P)의 상부에 드로워나 선반이 위치된 경우를 가정하면, A1지점까지는 도어 바디(51)가 빠르게 이동하는 것이 투입구(41)의 신속한 폐쇄라는 관점에서 유리하고, A1지점까지 도어 바디(51)가 빠르게 이동해도 앞서 언급한 도어 바디(51)의 빠른 속도 때문에 발생 가능한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이유에서, 상기 기어(741)는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50% 폐쇄하는 지점에서 투입구(41)를 90% 폐쇄한 지점 사이에서 랙 기어(725)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수납장치(P)는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위치고정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6)는 슬라이더 바디(721)와 이송바디(71)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체결돌기(61),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와 이송바디(71)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착탈부(6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체결돌기(61)는 슬라이더 바디(721)에 구비되고, 상기 착탈부(63)는 이송바디(7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착탈부(63)는 상기 체결돌기(61)를 통해 외력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체결돌기(61)와 결합된 상태(도 6 참고) 및 상기 체결돌기(61)에서 분리된 상태(도 5 참고)를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부(63)는 이송바디(71)에 고정되는 착탈부 제1바디(631), 상기 착탈부 제1바디(631) 내부에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체결돌기(61)가 착탈 가능한 착탈부 제2바디(6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부 제1바디(631)에는 착탈부 제2바디(632)가 삽입되는 삽입홀(631f), 착탈부 제2바디(63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31a),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경로(631b, 631c, 631d, 631e)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631a)은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를 삽입홀(631f)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착탈부 제2바디의 이동경로는 상기 삽입홀(631f)에서 착탈부 제1바디(631)의 바닥면(삽입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경로(631b), 상기 제1경로의 일단에서 상기 삽입홀(631f)을 향해 연장되는 제2경로(631c), 제2경로에서 착탈부 제1바디(631)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3경로(631d), 제3경로(631d)에서 삽입홀(631f)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경로(631b)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4경로(631e)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에는 축(632b)을 통해 착탈부 제2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632a), 상기 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경로(631b, 631c, 631d, 631e)에 삽입되는 돌기(632c),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삽입홀(631f)을 통해 착탈부 제1바디(631)의 외부에 노출되는 제1바(632d) 및 제2바(632e)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바디(51)가 제1공간(11)의 후방(-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 바디(721)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61)는 착탈부 제2바디(632)를 착탈부 제1바디(631)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착탈부 제2바디(632)가 가압되면, 돌기(632c)는 제1경로(631b) 및 제2경로(631c)를 따라 이동하여 제2경로(631c)와 제3경로(631d)의 연결지점(제1지점)에 위치하고, 제1바(632d)와 제2바(632e)는 삽입홀(631f)에 간섭되면서 체결돌기(61)를 향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착탈부 제2바디에 구비된 돌기(632c)가 제1지점에 위치되면, 체결돌기(61)는 착탈부 제2바디(632)에 고정된 상태(도 6 참고)가 되므로 상기 도어 바디(51)는 투입구(4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 바디(51)를 제1공간(11)의 후방면을 향해 한 번 더 밀어주면, 상기 체결돌기(61)는 착탈부 제2바디(632)을 가압하므로, 상기 돌기(632c)는 제3경로(631d) 및 제4경로(631e)를 통해 제4경로(631e)와 제1경로(631b)의 연결지점(제2지점)으로 이동한다(도 5 참고).
상기 착탈부 제2바디에 구비된 돌기(632c)가 제2지점에 위치되면, 체결돌기(61)는 착탈부 제2바디(632)에서 분리되므로, 슬라이더 바디(721)는 탄성력 제공부(73)의 복원력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도어 바디(51)는 투입구(41)를 폐쇄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수납장치(P)는 이송부 수용홈(31)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수납장치(P)에는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75)는 상기 슬라이더(72)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한 때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75)는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 바디(751), 상기 이송바디(71)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 바디(75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7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바 바디(751)는 슬라이더 바디에 구비된 커버 고정부(726)를 통해 슬라이더(72)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 지지부(753)는 상기 이송바디(71)에는 고정되지만 상기 커버 바디(751)에는 고정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커버 지지부(753)는 슬라이더 바디(721)와 함께 이동하는 커버 바디(751)를 지지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위치고정부의 착탈부(63)는 상기 커버 지지부(75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서 이송부 수용홈으로 낙하하는 이물질이 이송부 수용홈(3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은 상기 커버 바디(751)가 상기 바디(3)에 투영된 투영면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바디(71)의 중심과 이송부 수용홈(31)의 중심이 동일할 경우, 상기 커버 바디의 너비(L3, Y축 방향에 대한 커버 바디의 길이)는 이송부 수용홈(31)의 너비(Y축 방향에 대한 이송부 수용홈의 길이)보다 크게 구비되고, 커버 바디의 길이(X축 방향에 대한 커버 바디의 길이)는 이송부 수용홈의 길이(X축 방향에 대한 이송부 수용홈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측면에서 상기 이송부 수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디(3)에는 이송부 수용홈(31)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차단벽(3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 바디의 너비(L3)는 차단벽(33)의 너비(L2)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바디(751)의 상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차단벽(33)의 외부에 낙하되어야 이송부 수용홈(3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기 바디(3)에는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X축 방향)에 나란한 상기 차단벽(33)의 양측면 중 일면에서 바디(3)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제1경사면(35), X축 방향에 나란한 차단벽(33)의 양측면 중 타면에서 상기 바디(3)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진 제2경사면(3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개폐하거나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도어 바디(51)와 슬라이더 바디(721)를 연결하는 커넥터(57)가 이송부 수용홈(31)을 통과하므로, 상기 커넥터(57)에도 이송부 수용홈(31)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가 필요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방지부는 커넥터 바디(571)와 슬라이더 체결부(573) 사이에 위치하여 커넥터(57)로 낙하하는 이물질(액체나 고체)을 이송부 수용홈(31)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유입방지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571)와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573)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너비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배수가이더(577), 상기 커넥터 바디(571)와 배수가이더(577) 사이에 위치하는 커넥터 경사면(574, 57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가이더(577)의 너비(L1)는 이송부 수용홈(31)의 너비나 차단벽의 너비(L2)보다 길게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커넥터 경사면은 상기 커넥터 바디(571)와 배수가이더(577)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차단벽(33)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상기 커넥터 경사부가 배수가이더(577)의 중앙에서 배수가이더(577)의 가장자리 일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커넥터 제1경사면(574), 배수가이더(577)의 중앙에서 배수가이더의 가장자리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커넥터 제2경사면(575)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조로 구비된 수납장치(P)는 도어(5)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도어 바디(51)의 일측면이 이동한 거리가 도어(5)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도어 바디(51)의 타측면이 이동한 거리와 동일하지 않으면,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개폐하지 못하거나 도어 바디(51)를 이동시키는데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어 바디(51)가 바디(3)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할 때 비틀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수납장치(P)에는 도어 바디(5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55)는 도어 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551), 상기 바디(3)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55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롤러 수용홈(5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수용홈(553)은 바디(3)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5)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야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수납장치(P)에 구비되는 이송부(7)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 역시 탄성력 제공부(73)와 속도제어부(74)가 구비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력 제공부(73)는 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속도제어부(74)는 실린더(741), 일단은 헤드(745, 도 10 참고)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고 자유단(7433)은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하는 피스톤(7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이송부(7)는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이송바디(71),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X축 방향)에 나란하도록 상기 이송바디(71)에 구비되는 이송공간(S),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7433)이 연결된 제1슬라이더(77), 상기 도어 바디(51)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73)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2슬라이더(78)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더(78)는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7433)이 기 설정된 기준점(P2, 도 10 참고)을 통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슬라이더(77)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이송바디(71)는 바디에 구비된 이송부 수용홈(31) 내부에 고정되는 베이스(711), 도어 바디(31)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베이스(711)의 마주보는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측벽(713) 및 제2측벽(715)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공간(S)은 베이스, 제1측벽 및 제2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이송공간(S) 내부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77)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지지부(716)와 제2지지부(717)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슬라이더(77)는 상기 제1지지부(716)와 제2지지부(717) 사이에 위치하며, 피스톤 체결부(771)를 통해 피스톤의 자유단(7433)에 연결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더(77)에는 제2슬라이더(78)가 수용되는 안착부(773)가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부(773)는 제2슬라이더(78)가 수용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 제1스토퍼(773a) 및 제2스토퍼(773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773a)는 제2슬라이더(78)가 제1슬라이더(77)에서 분리되는 방향에 위치된 스토퍼로 정의되고, 상기 제2스토퍼(773b)는 피스톤의 자유단(7433)에 가까운 스토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더(78)는 도어 바디(51)가 결합되는 도어 체결부(783), 상기 탄성력 제공부(73)의 일단이 고정되는 스프링 체결부(7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체결부(783)는 도 4에 도시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송부 수용홈(31)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송부 수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바디(571)는 상기 제2슬라이더(78)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고정부의 체결돌기(61)는 상기 제2슬라이더(78)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기(61)가 결합되는 착탈부(63)는 이송바디(71)나 바디(7)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이송부(7)는 높이조절부(81, 82, 83, 84, 85, 86)를 통해 제2슬라이더(78)를 제1슬라이더(77)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슬라이더(77)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77)를 제1지지부(716)에 지지시키는 제1돌출부(81, 도 10 참고), 상기 제1슬라이더(77)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를 제2지지부(717)에 지지시키는 제2돌출부(82), 상기 제1지지부(716)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출부(81)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85), 상기 제2지지부(717)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출부(82)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86), 상기 제1지지부(716)에서 제1수용홈(85)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경사부(83), 상기 제2지지부(717)에서 제2수용홈(86)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 제2경사부(84)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높이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7433)이 상기 기준점(P2)에 도달하면, 상기 제1돌출부(81) 및 제2돌출부(82)를 제1수용홈(85) 및 제2수용홈(86)로 이동시켜 제1스토퍼(773a)를 제1지지부(716)와 제2지지부(717)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스토퍼(773a)는 제2슬라이더(78)가 제1슬라이더(77)에서 분리되는 방향에 위치된 스토퍼이므로, 상기 제1스토퍼(773a)를 제1지지부(716)와 제2지지부(717)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하면, 제2슬라이더(78)는 제1슬라이더의 안착부(773)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7433)이 상기 기준점(P2)을 통과하도록 사용자가 도어 바디(51)를 제1공간(11)의 후방(-X축 방향)으로 밀어주면, 상기 도어 바디(51)는 체결돌기(61)가 착탈부(63)에 결합할 때까지 제2슬라이더(78)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체결돌기(61)가 착탈부(63)에서 분리되면, 상기 도어 바디(51)는 탄성력 제공부(73)에 연결된 제2슬라이더(78)에 의해 제1슬라이더(77)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슬라이더(78)는 제1슬라이더에 구비된 제2스토퍼(773b)에 충돌하며, 제2슬라이더와 제2스토퍼의 충돌 시 제1돌출부(81)와 제2돌출부(82)는 상기 제1수용홈(85)과 제2수용홈(86)에서 인출된다.
상기 제1돌출부(81)와 제2돌출부(82)가 상기 제1수용홈(85)과 제2수용홈(86)에서 인출되면, 제2슬라이더는 제1슬라이더와 함께 투입구(41)를 향해 이동하는데, 제1슬라이더(77)에는 속도제어부(74)가 연결되어 있어 도어 바디(51)의 이동속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기준점(P2)은 피스톤 자유단(7433)의 이동범위(P1) 내의 한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도 10은 상기 기준점(P2)이 피스톤 자유단(7433)의 이동범위 한계점으로 설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준점(P2)은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폐쇄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투입구(41)가 50% 폐쇄되는 지점 사이에 위치되게 하는 피스톤 자유단(7433)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준점(P2)은 상기 도어 바디(51)가 투입구(41)를 50% 폐쇄하는 지점에서 투입구(41)를 90% 폐쇄한 지점 사이에 위치되게 하는 피스톤 자유단(7433)의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7)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77)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더 가이더(91, 93, 95, 9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더는 상기 이송바디의 제1측벽(713)에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이송홈(91), 상기 제2측벽(715)에 상기 도어 바디(51)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이송홈(93), 상기 제1슬라이더(77)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이송홈(91)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제1돌기(95), 상기 제1슬라이더(77)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이송홈(93)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제2돌기(97)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냉장고 1: 캐비닛 11: 제1공간
13: 제2공간 15: 격벽 P: 수납장치
3: 바디 31: 이송부 수용홈 33: 차단벽
35: 제1경사면 37: 제2경사면 4: 수용부
41: 투입구 5: 도어 51: 도어 바디
55: 가이더 57: 커넥터 571: 커넥터 바디
573: 슬라이더 체결부 5731: 후크 574:커넥터 제1경사면
575:커넥터 제2경사면 577:배수가이더 6: 위치고정부
61: 체결돌기 63: 착탈부 7: 이송부
71: 이송바디 S: 이송공간 711: 베이스
713: 제1측벽 715: 제2측벽 72: 슬라이더
721: 슬라이더 바디 722: 제1체결부 723: 제2체결부
725: 랙 기어 726: 커버 고정부 727: 도어 체결부
73: 탄성력 제공부 74: 속도제어부 741: 기어
742:회전축 743:회전체 745:케이스
746:유체 75: 커버 751: 커버 바디
753: 커버 지지부 92: 제1가이더 94: 제2가이더

Claims (21)

  1.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공간;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공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공간;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구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냉장대상물 또는 냉동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바디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parallel)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도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 및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도어의 이동속도를 감속하는 속도제어부가 구비된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일단이 고정되는 이송바디;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하도록 상기 이송바디에 구비되는 이송공간; 및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타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부는 상기 이송바디에 고정되는 실린더; 일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된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랙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속도제어부는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랙 기어에 결합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회전 시 저항력을 제공하는 저항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력 제공부는
    유체가 저장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기어와 상기 회전체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기 시작하는 지점과 상기 수용부를 50% 폐쇄하는 지점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랙 기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50% 이상 폐쇄하는 지점과 상기 수용부를 90% 폐쇄하는 지점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랙 기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이송바디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돌기;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이송바디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착탈부로 외력이 입력될 때마다 상기 체결돌기와 결합된 상태 및 상기 체결돌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제공부는
    상기 이송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스풀(spool);
    일단은 상기 스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도록 상기 스풀에 감긴 금속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2항과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바디가 수용되는 이송부 수용홈;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한 때 상기 이송부 수용홈의 상부에 위치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커버의 하부면을 지지하되 상기 커버에 고정되지 않는 커버 지지부;
    상기 슬라이더에 구비되는 체결돌기;
    상기 커버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수용홈은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에 투영된 투영면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수용홈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 수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너비는 상기 차단벽의 너비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된 커넥터 바디;
    상기 커넥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착탈 가능한 슬라이더 체결부;
    상기 커넥터 바디와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액체가 상기 이송부 수용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입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방지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와 상기 슬라이더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차단벽의 너비보다 더 큰 너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배수가이더;
    상기 커넥터 바디와 상기 배수가이더 사이로 유입되는 액체를 상기 차단벽의 외부 공간으로 안내하는 커넥터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상기 차단벽의 일측면에서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경사면;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에 나란한 상기 차단벽의 타측면에서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2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1슬라이더; 및
    상기 제1슬라이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 제공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제어부는
    상기 이송바디에 고정된 실린더;
    일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하고 자유단은 상기 제1슬라이더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위치된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자유단에 설정된 이동범위 내에서 운동하면,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고,
    상기 제1슬라이더가 상기 자유단에 설정된 이동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2슬라이더는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
    상기 이동범위 내의 한 지점으로 설정된 기준점에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이 도달하면, 상기 제2슬라이더가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분리되는 방향에 위치된 제1스토퍼를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돌출부;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돌출부;
    상기 제1지지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돌출부가 수용되는 제1수용홈;
    상기 제2지지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돌출부가 수용되는 제2수용홈;
    상기 제1지지부에서 상기 제1수용홈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이 상기 기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1돌출부를 상기 제1수용홈에 위치시키는 제1경사부;
    상기 제2지지부에서 상기 제2수용홈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이 상기 기준점에 도달하면 상기 제2돌출부를 상기 제2수용홈에 위치시키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간을 형성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
    상기 제1측벽에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이송홈;
    상기 제2측벽에 상기 도어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이송홈;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이송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제1돌기;
    상기 제1슬라이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이송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더 제2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 사이를 단열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단열부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50138979A 2015-10-02 2015-10-02 냉장고 KR10237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979A KR102370128B1 (ko) 2015-10-02 2015-10-02 냉장고
EP16852144.1A EP3358283B1 (en) 2015-10-02 2016-10-04 Refrigerator
PCT/KR2016/011083 WO2017057998A1 (ko) 2015-10-02 2016-10-04 냉장고
US15/763,916 US10443924B2 (en) 2015-10-02 2016-10-04 Refrigerator
KR1020220024589A KR102437382B1 (ko) 2015-10-02 2022-02-24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979A KR102370128B1 (ko) 2015-10-02 2015-10-02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589A Division KR102437382B1 (ko) 2015-10-02 2022-02-24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75A KR20170039875A (ko) 2017-04-12
KR102370128B1 true KR102370128B1 (ko) 2022-03-07

Family

ID=584276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979A KR102370128B1 (ko) 2015-10-02 2015-10-02 냉장고
KR1020220024589A KR102437382B1 (ko) 2015-10-02 2022-02-24 수납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589A KR102437382B1 (ko) 2015-10-02 2022-02-24 수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43924B2 (ko)
EP (1) EP3358283B1 (ko)
KR (2) KR102370128B1 (ko)
WO (1) WO2017057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861B1 (ko) * 2019-01-21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5111859A (zh) * 2022-02-28 2022-09-2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5111860A (zh) * 2022-02-28 2022-09-27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5347A (ja) 2005-03-28 2006-10-12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856A (en) 1904-03-22 1905-05-02 John Oswald Clothing-table.
US2037276A (en) * 1933-07-07 1936-04-14 Sgonina Carl Insecticide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235454A (en) * 1940-04-27 1941-03-18 Koropchak Vladimir Refrigerator cabinet door construction
US2711944A (en) * 1949-05-21 1955-06-28 George W Meek Refrigerator drawer and latch
JPH0237276A (ja) * 1988-07-27 1990-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冷蔵庫の自動オープナ装置
JP2945719B2 (ja) * 1990-06-19 1999-09-06 株式会社ニフコ 引出し装置
JP3114879B2 (ja) * 1991-01-14 2000-12-0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引出し装置
KR200151186Y1 (ko) * 1997-03-14 1999-07-15 윤종용 냉장고 서랍식 용기의 개폐장치
KR19990053424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내장형 선반을 구비한 냉장고
JP4439025B2 (ja) 1998-12-18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IT250443Y1 (it) * 2000-09-19 2003-09-10 Salice Arturo Spa Dispositivo per la chiusura decelerata di parti di mobile scorrevoli
KR20050072298A (ko) 2004-01-06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535831B1 (ko) 2004-04-28 2005-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4295197B2 (ja) 2004-11-10 2009-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20070262686A1 (en) * 2006-05-10 2007-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826717B1 (ko) * 2006-08-04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002367B2 (en) * 2006-08-24 2011-08-23 Winiamando Inc. Food refrigerator
KR20100028841A (ko) 2008-09-05 2010-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5443721B2 (ja) 2008-09-16 2014-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KR101580447B1 (ko) * 2009-10-26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30011827A (ko) 2011-07-22 201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936332B2 (en) 2011-10-04 2015-01-2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30055177A (ko) * 2011-11-18 201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2216907A1 (de) * 2012-09-20 2014-03-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Behälter
DE102013203724A1 (de) * 2013-03-05 2014-09-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Zusatznutzraum
WO2014201615A1 (zh) 2013-06-18 2014-12-24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用于果蔬室的抽屉结构
WO2015072591A1 (ko) 2013-11-13 2015-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228776B2 (en) * 2014-02-24 2016-01-05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pantry compartment
KR20160099523A (ko) * 2016-08-10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5347A (ja) 2005-03-28 2006-10-12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879A (ko) 2022-03-14
WO2017057998A1 (ko) 2017-04-06
US10443924B2 (en) 2019-10-15
US20180283071A1 (en) 2018-10-04
KR102437382B1 (ko) 2022-08-30
EP3358283A1 (en) 2018-08-08
EP3358283A4 (en) 2019-06-12
EP3358283B1 (en) 2022-03-16
KR20170039875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7382B1 (ko) 수납장치
EP3029401B1 (en) Refrigerator
US9464841B2 (en) Refrigerator
EP3343156B1 (en) Refrigerator
US10641544B2 (en) Refrigerator
EP3497387B1 (en) Refrigerator
EP3217126B1 (en) Refrigerator
KR101351033B1 (ko) 냉장고
US8549872B2 (en) Refrigerator
US8950836B2 (en) Refrigerator
KR102583505B1 (ko) 냉장고
KR20200077957A (ko) 냉장고
KR101283190B1 (ko) 도어에 증발기가 설치된 냉장고
KR20130103944A (ko) 분리판을 구비하는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0684066B2 (en) Refrigerator
US20160370103A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KR100965358B1 (ko) 냉장고
KR102163918B1 (ko) 냉장고
KR2011013657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