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708B1 - 연근수확기 - Google Patents

연근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708B1
KR102369708B1 KR1020210135630A KR20210135630A KR102369708B1 KR 102369708 B1 KR102369708 B1 KR 102369708B1 KR 1020210135630 A KR1020210135630 A KR 1020210135630A KR 20210135630 A KR20210135630 A KR 20210135630A KR 102369708 B1 KR102369708 B1 KR 102369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tus root
pipe
tube
rubb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옥자
김상완
홍성하
Original Assignee
강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자 filed Critical 강옥자
Priority to KR1020210135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물 위에 뜬 상태로 재배지의 물을 흡입한 후 배출하여 연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고 이동이 용이하며 수확비용이 절감되고 인명피해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엔진에 의해 작동되며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양수기; 내측에 엔진과 양수기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수면 위로 부양되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며 상부에 메인프레임이 안착되는 고무튜브;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양수기의 흡입구에 연결되며 고무튜브의 하부로 연장되는 흡입관; 양수기에서 배출되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바닥의 연근이 분리되어 부양되도록 하는 배출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근수확기{Lotus Root Harvester}
본 발명은 연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 위에 뜬 상태로 재배지의 물을 흡입한 후 배출하여 연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고 이동이 용이하며 수확비용이 절감되고 인명피해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연근(蓮根)은 다년생 수생식물인 연(蓮)의 뿌리줄기로서, 땅속으로 길게 뻗어가며 땅속줄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연근은 마디가 있고 희고 가늘지만 겨울에 비대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비대해진 연근을 가을철에서 초봄까지 수확하여 요리재료나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연근은 수중 진흙이나 물이 고인 장소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대부분 수작업을 통해 수확하고 있다. 물론, 굴착기 등을 이용하여 연근 주변의 흙을 걷어낸 상태에서 연근을 발취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연근의 표면에 상처가 생겨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연근의 주변으로 고압의 유체, 즉 물이나 공기를 분사하여 연근 주변의 흙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연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수확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근수확기 개발되고 있다. 즉,
그러나, 기존의 연근수확기는 대부분 습지에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궤도형주행장치에 의해 이동되도록 하고 있어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수확용 엔진과는 별도로 주행용 엔진을 사용함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며, 작업자가 수확장치와 주행장치를 모두 수동으로 조작함에 따른 번거로움과 궤도형 주행장치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 제10-1330932호에는 주행유닛의 엔진과 연결되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엔진 및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도록 상기 주행유닛에 탑재되어 연근 재배지의 물을 펌핑하여 연근이 식재되어 있는 상기 연근 재배지의 토양에 고압의 물을 상기 주행유닛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분사하여 상기 연근 재배지의 토양층을 파쇄하여 토양의 경도를 낮추는 고압수 분사유닛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고압수 분사유닛이 주행유닛의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일정거리 만큼 이동되면 상기 고압수 분사유닛을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 전환수단 및, 상기 고압수 분사유닛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상기 고압수 분사유닛이 접촉되면 상기 주행유닛을 일정 거리만큼 자동 주행시키는 주행유닛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연근 수확을 위한 작업과정 전체를 자동화시켜 연근 수확 시 투입되는 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근 수확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연근 수확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연근 수확장치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1414008호에는 물에 뜨도록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양측으로 설치된 복수의 이동바퀴와, 고압의 물 분사를 위한 고압수분사호스가 거치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수평방향 회전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 회전가이드를 포함하며, 고압 유체의 분사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연근 수확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연근수확장치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제10-2015-0046501호에는 엔진을 탑재하고 있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의하여 회전하는 러버트랙을 포함하는 궤도형 주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근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에서의 동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물펌프와; 상기 물펌프에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지점으로 분사하기 위한 급수파이프; 그리고 연근재배지의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상기 물펌프로 연결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며, 급수파이프가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하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일정 구간 회동 가능한 연근수확기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고,
등록특허 제10-1437958호에는 연근 수확 시 수원으로부터 물을 펌핑하는 펌프수단과, 적출하고자 하는 연근의 주변 흙으로 펌핑수단에 의해 공급된 물을 고압으로 토출하는 토출수단, 및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과 미션이 올려진 차체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는 주행장치를 포함는 연근 수확기에 있어서, 주행장치는 차체의 측면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엔진과 연결된 미션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동륜과, 차체의 측면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종륜을 가지는 동력전달부; 동륜 및 종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동륜 및 종륜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무한궤도 형태의 주행벨트; 및 동륜 및 종륜의 양단에 인접한 외주면 상에 형성되어 주행 시 주행벨트가 동륜 및 종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며, 주행 시 주행벨트가 동륜 및 종륜에서 미끄러지는(slip) 것을 방지하면서 물이 고인 연근 재배지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하는 연근 수확기용 주행장치가 제안 및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1330932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1400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650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43795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물 위에 뜬 상태로 재배지의 물을 흡입한 후 배출하여 연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고 이동이 용이하며 수확비용이 절감되고 인명피해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근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근수확기는, 엔진에 의해 작동되며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양수기; 내측에 엔진과 양수기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수면 위로 부양되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며 상부에 메인프레임이 안착되는 고무튜브;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양수기의 흡입구에 연결되며 고무튜브의 하부로 연장되는 흡입관; 양수기에서 배출되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바닥의 연근이 분리되어 부양되도록 하는 배출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수확기.
여기에서, 고무튜브는 상부에 메인프레임이 안착되고 이물질로 인한 고무튜브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평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무튜브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튜브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무튜브에 부착된 하측의 튜브프레임에 흡입관과 배출분사부를 보호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프레임은 상측의 튜브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에 안착되도록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흡입관의 입구부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거름망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출분사부는 양수기의 배출구에 연결된 주배출관과, 중앙 상부에 구비된 수직연결관으로 유입된 물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양측 단부에서 배출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는 회전배출관과, 주배출관과 회전배출관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배출관이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연결관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관과, 양수기에서 배출된 물을 바닥으로 분사하며 물의 분사에 따라 회전배출관이 회전하도록 수평연결관의 양측 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분사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배출관과 회전연결관 사이에 회전연결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가속연결관이 구비되고, 분사관은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배출관은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수평관의 양단에 각각 엘보우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근수확기는 양수기를 이용하여 물을 흡입한 후 배출분사부를 통해 연근이 있는 바닥면에 고압 분사하여 연근을 손실없이 수확할 수 있음은 물론 엔진과 양수기가 장착된 메인프레임이 고무튜브에 안착된 부유식 구조로 이루어져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인명피해가 방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튜브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튜브프레임이 부착됨에 따라 메인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고무튜브의 손상이 최소화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측의 튜브프레임에 원통형의 보호커버가 구비됨에 따라 흡입관과 배출분사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고무튜브의 무게중심이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양수기가 작동하더라도 뒤집히지 않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의 튜브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거치대에 메인프레임의 하부프레임이 설치됨에 따라 양수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관의 입구측에 거름망이 구비됨에 따라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양수기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배출관의 양단에 분사관이 구비되고 주배출관과 회전배출관이 회전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배출관이 회전함에 따라, 보다 넓은 범위에 고압을 물을 분사하여 연근을 수확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배출관과 회전연결관 사이에 구비된 가속연결관과 분사관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압력과 분사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연결관의 단부에 분사관이 연결된 엘보우가 구비됨에 따라 양측 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물을 분사하는 회전연결관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근수확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근수확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근수확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근수확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근수확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근수확기의 이동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근수확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근수확기의 이동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근수확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과, 양수기(20) 및 엔진(25), 고무튜브(30), 흡입관(40), 그리고 분사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프레임(10)은 내측에 엔진(25)과 양수기(20)가 장착되는 것으로, 엔진(25)과 양수기(20)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0)은 고무튜브(30)에 안착되도록 하부에 베이스프레임(15)이 구비되고, 베이스프레임(15)은 고무튜브(30)에 구비된 튜브프레임(35)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6)에 설치 및 고정된다.
양수기(20)는 엔진(25)에 의해 동작되는 것으로, 흡입구에 연결된 흡입관(40)을 통해 물을 흡입한 후 배출구에 연결된 분사배출부(50)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고무튜브(30)는 장치 전체를 수면 위로 부양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며 상부에 메인프레임(10)이 안착된다.
이때, 상부에 메인프레임(10)이 안착되고 이물질로 인한 고무튜브(30)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평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튜브프레임(35)이 고무튜브(3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무튜브(30)에 부착된 하측의 튜브프레임(35)에 원통 형상의 커버(36)가 구비되어 흡입관(40)과 배출분사부(5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입관(40)은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양수기(20)의 흡입구에 연결되는 것으로, 고무튜브(30)의 하부로 연장됨과 아울러 물이 유입되는 입구부에 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거름망(45)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양수기(20)의 내부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게 된다.
배출분사부(50)는 양수기(20)에서 배출되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바닥의 연근이 분리되어 부양되도록 하는 것으로, 양수기(20)의 배출구에 연결된 주배출관(51)과, 상단부가 주배출관(52)에 연결되며 출구측으로 갈수록 수압이 증가하도록 내경이 점감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가속연결관(52)과, 중앙 상부에 구비된 수직연결관(54')으로 유입된 물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양측 단부에서 배출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배출관(54)과, 가속연결관(52)과 회전배출관(54)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배출관(54)이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연결관(5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관(53)과, 양수기(20)에서 배출된 물을 바닥으로 분사하며 물의 분사에 따라 회전배출관(54)이 회전하도록 수평연결관(54)의 양측 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분사관(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분사관(55)은 가속연결관(52)과 마찬가지로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속연결관(52)과 분사관(55)은 외경은 동일한 상태에서 내경만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내경과 동일하게 외경이 변화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속연결관은 입구측 2.5", 출구측 1.5"의 규격으로 형성되고, 분사관은 입구측 1.5" 출구측 0.5"의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배출관(54)은 직관으로 이루어진 배관의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평관의 양단에 각각 엘보우(54')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연근수확기를 이용하여 연근을 수확하는 것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일정 깊이를 가진 연근재배지에 연근수확기를 위치시키면, 고무튜브(30)의 부력에 의해 연근수확기가 물 위에 떠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엔진(25)을 작동시키면 양수기(20)가 흡입관(40)을 통해 물을 흡입한 후 배출분사부(50)를 통해 연근이 재배되고 있는 바닥면으로 물을 분사하게 된다.
이후, 분사된 물에 의해 연근 주위의 흙이 제거되고, 마디를 기준으로 연근이 끊어진 후 부력에 의해 물 위로 뜨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물 위로 떠오르는 연근을 쉽게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배출관(54)의 양단에 경사지게 구비된 분사관(55)에 의해 회전배출관(54)이 회전연결관(53)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분사하게 되므로,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연근 수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배출관(53)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고무튜브(30)가 이동하게 되고, 기계장치가 모두 물 위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속연결관(52)과 분사관(55)의 내경이 출구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물의 분사압력과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메인프레임 15 : 베이스프레임
16 : 지지대 20 : 양수기
25 : 엔진 30 : 고무튜브
35 : 튜브프레임 36 : 보호커버
40 : 흡입관 45 : 거름망
50 : 분사배출부 51 : 주배출관
52 : 가속연결관 53 : 회전연결관
54 : 회전배출관 54' : 수직연결관
54" : 엘보우 55 : 분사관

Claims (8)

  1. 엔진에 의해 작동되며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양수기;
    내측에 엔진과 양수기가 장착되는 메인프레임;
    수면 위로 부양되도록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며 상부에 메인프레임이 안착되는 고무튜브;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양수기의 흡입구에 연결되며 고무튜브의 하부로 연장되는 흡입관;
    양수기에서 배출되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바닥의 연근이 분리되어 부양되도록 하는 배출분사부;를 포함하되,
    배출분사부는 양수기의 배출구에 연결된 주배출관과, 중앙 상부에 구비된 수직연결관으로 유입된 물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양측 단부에서 배출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는 회전배출관과, 주배출관과 회전배출관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배출관이 회전할 수 있도록 수직연결관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관과, 양수기에서 배출된 물을 바닥으로 분사하며 물의 분사에 따라 회전배출관이 회전하도록 수평연결관의 양측 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분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무튜브는 상부에 메인프레임이 안착되고 이물질로 인한 고무튜브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평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무튜브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튜브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수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고무튜브에 부착된 하측의 튜브프레임에 흡입관과 배출분사부를 보호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수확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메인프레임은 상측의 튜브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지지대에 안착되도록 하부에 구비된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수확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배출관과 회전연결관 사이에 회전연결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가속연결관이 구비되고, 분사관은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수확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배출관은 양측 단부가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수평관의 양단에 각각 엘보우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수확기.
KR1020210135630A 2021-10-13 2021-10-13 연근수확기 KR10236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630A KR102369708B1 (ko) 2021-10-13 2021-10-13 연근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630A KR102369708B1 (ko) 2021-10-13 2021-10-13 연근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708B1 true KR102369708B1 (ko) 2022-03-03

Family

ID=80819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630A KR102369708B1 (ko) 2021-10-13 2021-10-13 연근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70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777A (ja) * 1994-09-07 1996-03-19 Sanko Pump Seisakusho:Kk 水中曝気噴水ポンプ
JP2006223154A (ja) * 2005-02-16 2006-08-31 New Delta Ind Co 蓮根掘取装置
KR101330932B1 (ko) 2012-09-06 2013-11-18 김동우 연근 수확장치
KR101414008B1 (ko) 2013-05-24 2014-08-06 이승몽 연근수확장치
KR101437958B1 (ko) 2013-12-27 2014-09-11 곡성군(관리부서:곡성군농업기술센터) 연근 수확기용 주행장치
KR20150046501A (ko) 2013-10-22 2015-04-3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연근 수확기
JP2020065996A (ja) * 2018-10-22 2020-04-30 塩田工業株式会社 回転式水質浄化装置
CN112056077A (zh) * 2020-09-25 2020-12-11 华中农业大学 一种水陆两用式挖藕机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777A (ja) * 1994-09-07 1996-03-19 Sanko Pump Seisakusho:Kk 水中曝気噴水ポンプ
JP2006223154A (ja) * 2005-02-16 2006-08-31 New Delta Ind Co 蓮根掘取装置
KR101330932B1 (ko) 2012-09-06 2013-11-18 김동우 연근 수확장치
KR101414008B1 (ko) 2013-05-24 2014-08-06 이승몽 연근수확장치
KR20150046501A (ko) 2013-10-22 2015-04-30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연근 수확기
KR101437958B1 (ko) 2013-12-27 2014-09-11 곡성군(관리부서:곡성군농업기술센터) 연근 수확기용 주행장치
JP2020065996A (ja) * 2018-10-22 2020-04-30 塩田工業株式会社 回転式水質浄化装置
CN112056077A (zh) * 2020-09-25 2020-12-11 华中农业大学 一种水陆两用式挖藕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5900B2 (en) Pool cleaner
US5933899A (en) Low pressure automatic swimming pool cleaner
US4589986A (en) Pool cleaner
US4558479A (en) Pool cleaner
CN105917838B (zh) 一种履带式自行走莲藕采收机及方法
EP0948689A1 (en) Swimming pool cleaner
KR20090103652A (ko) 갯벌 썰매에 의한 패류 채취장치
CN209339209U (zh) 一种园林施工用挖沟装置
EP0570576A4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underwater pipes
CN107710926A (zh) 一种秸秆集中沟埋还田一体机
KR102369708B1 (ko) 연근수확기
CN108040575A (zh) 一种可调节吃水深度的挖藕机
AU577447B2 (en) Suction harvester for aquatic plants and animals
KR20180051339A (ko) 수중 청소장치 및 방법
CN1281110C (zh) 多刀切割灌丛的割草机
CN113209702B (zh) 市政污水处理装置
CN108934398B (zh) 一种挖藕机
CN211793413U (zh) 一种用于水利工程喷灌设备
CN212087417U (zh) 一种谷物种植用具有调节喷洒范围的浇灌装置
KR101649077B1 (ko) 원자력발전소의 취수구 퇴적물 제거장치
AU2015101063A4 (en) Automatic swimming pool cleaner concepts
KR20210044002A (ko) 도로 먼지 제거장치
CN218653133U (zh) 一种具有吸砂泵起降功能的桥式吸砂机
CN109121653B (zh) 一种清洗系统及具有清洗系统的挖藕机
RU2795054C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я фильтр для дождевальной маши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