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257B1 -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257B1
KR102369257B1 KR1020150061877A KR20150061877A KR102369257B1 KR 102369257 B1 KR102369257 B1 KR 102369257B1 KR 1020150061877 A KR1020150061877 A KR 1020150061877A KR 20150061877 A KR20150061877 A KR 20150061877A KR 102369257 B1 KR102369257 B1 KR 10236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water
starch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558A (ko
Inventor
이재한
권준국
조일환
함영재
이경수
윤무룡
박경섭
최효길
김성수
박준규
노은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노루페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노루페인트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5006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5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n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9D1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안료 25~55 중량%; 전분(starch)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릭산, 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스타이렌,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메타르릴산 -부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와 유화중합시켜 제조되며, 유리전이온도가 -40℃ ~ -10℃ 범위인 생분해성 수용성 바인더 고형분 0.1~15 중량%; 분산제 0.1~0.7 중량%; 소포제 0.01~0.3 중량%;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트리실록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습윤제 0.01~2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1 중량%; pH 조절제 0.1~2 중량%; 보존제 0.05~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며, 일정시간 경과 후 강우에 의해 제거 가능하다.

Description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PAINT COMPOSITION FOR OUTDOOR LIGHT INTERCEPTION}
본 발명은 일정시간 동안 생분해 후 수분에 의해 제거 가능한 광산란 도막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 및 건조시켜, 일정시간 생분해 후 수분에 의해 제거 가능한 광산란 도막이 형성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막은 일정시간 경과 후 강우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옥외용 차광 도막으로 온실용 비닐에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들의 좋은 생육을 위해서는 적정한 수분과 온도 그리고 광합성 및 탄소동화작용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광의 균형이 잘 맞아야 한다. 식물들도 일정한 온도 범위 내에서는 광합성 작용을 원활히 하여 고품질의 신선한 농산물을 공급해 주기 때문이다. 고온기 시설내부에 유입되는 태양광은 온실 내부의 온도를 필요 이상으로 상승시켜 재배작물이 고온장해를 받게 되어 정상적인 생장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농가에서는 고온기에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환기, 차광, 증발냉각 등을 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나 온도하강 효과, 활용성, 경제성 등에서 문제점이 있어 간단하고 저비용의 냉방기술이 요구된다.
최근 온실 재료에 자주 사용되는 PO(폴리올레핀)계 필름은 일반 PE(폴리에틸렌)계 필름에 비하여 광투과율이 우수하여 태양광의 과도한 유입에 따른 문제가 쉽게 발생한다. 반면, 과도한 차광은 열매를 성장시키지 못하고 수량을 저하시키기도 하여 도료 조성물의 차단율을 적정한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또한, 온실 내로 유입되는 광질이 불균일할 경우 작물의 크기 및 생장이 불균일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발생한다.
한편, 일반적인 차광용 수성 도료나 수성 페인트류는 비닐 재질 표면의 표면 장력이나 필름막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도포가 어렵고 부착성을 기대하기는 더욱 어렵다.
또한, 차광제는 작물에 맞도록 부피비 2배 내지 13배 정도의 물로 희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희석비가 높아질수록 차광율을 낮출 수 있다. 그러나, 물로 인하여 도료 조성물의 극성이 증가되므로, 비극성인 온실재질에 습윤의 어려움이 증가하게된다. 차광제와 물의 비율(부피비)이 1:9인 경우에는 도료 조성물이 습윤되지 못하는 부분이 많지 않으나, 물이 더 많아지면 수성 타입 차광제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는다. 이에 도료 조성물의 습윤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일부 습윤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오히려 차광제가 과희석되어 습윤이 불가능하고 과도한 기포가 발생하여 불필요하게 소포제의 증량을 야기시키고 불균일한 도막이 형성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시간 동안 생분해 후 수분에 의해 제거 가능한 광산란 도막 형성용 조성물이 비극성 표면을 갖는 기재 상에 도포시 습윤성 향상에 의해 균일한 도막을 형성시켜 온실내부로 유입되는 광을 일정비율로 감소시키고 내부 온도를 적절히 낮추고 재배작물의 생육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무기 안료 25~55 중량%; 전분(starch)으로부터 제조되고 생분해 가능한 수용성 바인더 0.1~15 중량%(고형분);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트리실록산 또는 둘다를 함유하는 습윤제 0.01~2 중량%; 분산제 0.1~0.7 중량%; 소포제 0.01~0.3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1 중량%; pH 조절제 0.1~2 중량%; 선택적으로, 보존제 0.05~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일정시간 생분해 후 수분에 의해 제거 가능한 광산란 도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상기 제1양태에 따른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 및 건조시켜, 일정시간 생분해 후 수분에 의해 제거 가능한 광산란 도막이 형성된 제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유연한 탄성이 있는 비닐 온실 표면에서도 유연성 있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고 일정 기간 동안은 강우에도 도막의 손실 없이 유지가 가능하여 차광 효과를 발휘하고, 장마 등과 같은 우천시나 햇빛 등의 조사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흐린 날에는 차광율을 낮춰서 식물이 필요로 하는 빛을 최대한 조사 시켜 주는 스마트한 차광 도막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산란 도막 형성용 조성물은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 후 수분에 의해 제거 가능한, 전분(starch)으로부터 제조되는 수용성 바인더를 사용한다.
전분은 글루코스(포도당)로부터 구성되는 다당류로서 식물체에 의하여 합성되고 전분 입자로서 존재한다. 전분 입자를 구성하는 다당은 2종으로 대별되는데 알맹이의 골격을 이루며 70~80%를 점하는 아밀로펙틴과 안으로 싸여있는 아밀로스이다.
전분을 응용한 바인더를 사용하면, 가소제의 사용 없이도 차광 도막의 형성이 가능하며 장기간 경과 후에도 차광 도막의 탈리 현상 없이 유연성 있는 비닐 표면에서 대처가 가능한 유연성 있는 탄성 차광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내구력을 발휘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전분을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와 유화중합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분은 상기 전분에 포함된 수산기를 아세트산, 지방산, 숙신산, 아디프산 및 이의 염류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에스테르화 변성 전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화 변성 전분을 α-아밀라아제, β-아밀라아제 및 글루코아밀라아제 효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분해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호화 변성 전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전분을 유화 중합시켜 제조되는 수용성 바인더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와 공중합되어 형성된 것이라도, 전분 자체의 성질(생분해성, 미생물 취약, 흡습 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일정 기간 동안은 결합력을 유지하다가, 옥외에 노출되어 다양한 옥외 미생물들에 의해 생분해되므로, 일정시간이 지나면 결합력이 약해서 빗물과 같은 수분에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용성 바인더는 유리전이온도가 -40℃ ~ -1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는 유리전이 온도가 낮을수록 차광 도막과 피도면과의 점착력이 증가하게 된다. 전분을 응용한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Tg)가 -40 ~ -10℃ 범위이면, 반복적으로 계속되는 낮과 밤사이의 온도 차이와 바람 등의 유동적 환경의 변화, 기후 변화 등을 포함하는 외기 상황의 변화에도 도막의 탄성력을 잃지 않고 딱딱하게 변하지도 않아 탈리되지 아니하는 내구력을 발휘할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40℃ ~ -10℃ 범위인 수용성 바인더는, 전분을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와 유화중합시켜 수용성 바인더를 제조할 때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의 종류 및 사용량을 조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은, 미생물에 의해 바인더가 상당히 생분해되기 전에는 내수성을 발휘하면서도, 일정기간이 지나면 옥외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되어 강우와 같은 수분에 의해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바인더에 사용되는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는 유화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릭산, 말레인산, 아크릴로니트릴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질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i-부틸, 아크릴산 t-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경질 모노머는 스타이렌,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i-부틸, 메타르릴산 t-부틸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라디칼 중합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부틸 및 메타크릴산 메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를 예로 들 수 있다.
유화중합 개시제로는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차아황산나트륨, 과황산나트륨, 과산화벤죠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바인더 제조시 사용되는 유화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유화중합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유화제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 가능하다.
상기의 원료들을 이용하여 수용성 바인더 에멀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기에 전분, 효소, 이온교환수를 넣고 전분의 호화를 위해 반응기 온도를 약 80~100℃ 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전분의 호화액을 얻는다.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를, 유화제를 녹여 넣은 이온교환수에 첨가하여 단량체의 유화액을 얻는다. 전분호화액이 들어있는 반응기 온도를 약 80℃로 유지시키고, 여기에 단량체의 유화액과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을 각각 약 2~4 시간 동안 적하하고, 적하 종료 후에도 약 30분 ~ 1시간 30분간 유지 반응한다. 이후 미반응 단량체 제거를 위한 중합개시제를 약 10분 ~ 1시간 30분간 적하한다. 적하종료 후 약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후 냉각함으로써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바인더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수용성 바인더(고형분기준)를 0.1~15 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무기 안료는 광 산란을 통해 차광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한 그 재료에 제한이 없으며, 무기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산칼슘, 탈크, 카오린 클레이, 석회석, 활석, 점토, 규사 및 이산화티탄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CaCO3)일 수 있다. 탄산칼슘은 입자의 크기가 3~20㎛ 정도인 것이 대체로 사용된다. 차광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이산화티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가시광 반사율이 매우 높아 최소한의 필요한 태양광을 투과 시키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안료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5㎛ 범위가 되도록 하는데 입자 크기에 따른 적외선 파장 반사를 일으키기 위함이다.
무기 안료의 양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할 때 25~55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25 중량% 미만이면 광산란을 통해 차광 효과가 미미하며 55 중량% 초과이면 차광 효과가 증가되어 활성광의 투과량이 저하된다.
일정시간 동안 생분해 후 수분에 의해 제거 가능한 광산란 도막 형성용 조성물이 비극성 표면을 갖는 기재 상에 도포시 습윤성 향상에 의해 균일한 도막을 형성시키고, 균일한 차광막의 균일한 광 산란 효과에 의해 작물들에 균일한 광질을 부여시키고자,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에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트리실록산 또는 둘다를 함유하는 습윤제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습윤제는 용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일 수 있다.
플라스틱류나 비닐류 기재 등이 오랜 기간 동안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기름이나 각종 오염 물질 등이 많이 묻으면, 표면 장력이 낮아져, 물을 많이 함유한 수계 조성물을 도포하는 경우 도포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트리실록산 또는 둘다를 함유하는 습윤제를 사용함으로써, 극성이 높은 희석된 수계 조성물과 비극성 표면의 기재 면과 표면 장력 차이를 감소시켜, 수계 조성물이 비극성 기재 표면으로 균일한 습윤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실록산은 변성되는 작용기에 의해 습윤 성능에 차이가 발생하며, 실리콘의 주쇄에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로 변성되고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Dipropyleneglycol monomethylether)와 같은 용제를 포함하는 실록산보다, 프로필렌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이 조성물의 온실 습윤에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한 것이다. 프로필렌옥사이드로 변성된 트리실록산 또한 조성물의 습윤성을 향상시킴에 효과가 있음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알코올 타입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조성물에 과도한 기포를 발생시키고, 조성물의 온실 표면으로의 습윤성 발휘 보다는 조성물 중 원료 간의 습윤성 기능을 증가시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습윤제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1~2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 중량% 미만이면 습윤 효과가 미흡하여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지 못하고, 2 중량% 초과이면 조성물 제조 공정 및 희석 과정 중 과도한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무기 안료 25~55 중량%, 전분(starch)으로부터 제조되고 생분해 가능한 수용성 바인더 고형분 0.1~15 중량% 및 본 발명에 따른 습윤제 0.01~2 중량% 외에, 분산제 0.1~0.7 중량%, 소포제 0.01~0.3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1 중량%, pH 조절제 0.1~2 중량%, 선택적으로, 보존제 0.05~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탄산칼슘과 같은 무기 안료의 분산을 최적화시켜 주고 차광 효과와 저장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분산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 아크릴산, 암모늄염 등이 있다.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분산 효과가 저하되고, 0.7 중량% 초과이면 조성물 제조나 안료 분산 과정에서 기포가 많이 발생하고 도막에서는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소포제는 조성물 제조 과정 중이나 안료의 분산 과정 또는 조성물의 도포 과정 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고 기포 자국으로 인한 차광 효과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소포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변성 실리콘류, 지방산류, 고급 알콜류, 광물류, 고급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디메틸 폴리실록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소수성 실리카 등이 있다.
상기 소포제의 사용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소포력이 약하고, 0.3 중량% 초과이면 불필요한 비용 발생으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점탄성 조절제는 점도를 증가시켜 유화제와 같이 분산 수지 입자의 안정화에 기여하고 조성물 저장 중 안료의 침강방지, 조성물 도포시의 흐름방지 등의 효과를 부여한다. 점탄성 조절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하이드록시 에칠 셀룰로오스, 카르복실 메칠 셀룰로오스, 메칠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이 있다.
상기 점탄성 조절제의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이면 증점력이 부족할 수 있고, 1 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증점으로 고점도 상태가 되어 조성물의 제조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조성물의 pH를 적절히 조절하여 저장 안정성 및 분산 안정성을 부여하는데 기여한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암모니아수,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등이 있다.
상기 pH 조절제의 사용량은 조성물의 전체 pH를 약 7.0 ~ 9.0 정도의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정도의 양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으로서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도포방법은 제한되지 아니하나, 스프레이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의 기재에, 바람직하게는 옥외용 투명 기재에, 차광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용이하게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비닐 필름과 같은 탄성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경우, 조성물 대 물을 1:2 내지 1:13의 부피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성 기재는 온실용 비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습윤성이 향상된 수계 조성물은 비닐 온실과 같은 비극성이면서 유연성을 가진 탄성 필름의 표면에 보다 균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로부터 형성된 도막의 균일한 차광 및 산란 효과로 인하여, 직접적인 태양광의 도달로 인한 작물의 열화를 방지하고 작물의 균일한 생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막은 일정 기간 동안은 강우에도 도막의 손실 없이 유지가 가능하고, 또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수용성 바인더가 생분해되어 강우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온기 시설재배 농가에서는 재배시기 및 작물을 고려하여 차광율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비닐하우스에서 경사가 심한 측면, 출입구 등에 도포시 기존의 차광도포제는 쉽게 흘러내리는 현상이 많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부분을 현저히 개선하여 도포제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저비용 고효율의 온실냉방 기술로 활용성이 매우 높다.
나아가, 본 발명의 차광제 조성물 사용시, 전체 조성물 대 물을 예컨대 1:9(부피비) 이상의 높은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하여도 조성물의 습윤이 가능하며 차광율을 낮출 수 있으며 균일하게 도포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비닐온실에 사용되는 농업용 필름에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에어 스프레이 도장한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닐온실에 사용되는 농업용 필름에 실시예 2에 따른 조성물을 에어 스프레이 도장한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닐온실에 사용되는 농업용 필름에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을 에어 스프레이 도장한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닐온실에 사용되는 농업용 필름에 비교예 2에 따른 조성물을 에어 스프레이 도장한 것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광산란 도막 형성용 도막이 일정시간 동안 생분해 후 강우에 의해 제거 가능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습윤제로서 BYK사의 BYK-348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 1.5 중량%, 안료로서 오미야의 오미야-N (칼슘 카보네이트) 40 중량%, 수용성 전분 바인더로서 노루홀딩스사의 STE-57 (전분 에멀젼) 10 중량%, 분산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44 (폴리카르본산 나트륨염) 0.5 중량%, 소포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8034 (광물류 및 소수성 실리카) 0.2 중량%, 점탄성 조절제로서 다우케미칼의 ER-4400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0.7 중량%, pH 조절제로서 동광화학의 암모니아수 0.3 중량%, 물 33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습윤제로서 MOMENTIVE사의 Silwet 408 (트리실록산) 1.5 중량%, 안료로서 오미야의 오미야-N 40 중량%, 수용성 전분 바인더로서 노루홀딩스사의 STE-57 10 중량%, 분산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44 0.5 중량%, 소포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8034 0.2 중량%, 점탄성 조절제로서 다우케미칼의 ER-4400 0.7 중량%, pH 조절제로서 동광화학의 암모니아수 0.3 중량%, 물 30 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습윤제로서 BYK의 BYK-346 (에틸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 1.5 중량%, 안료로서 오미야의 오미야-N 40 중량%, 수용성 전분 바인더로서 노루홀딩스사의 STE-57 10 중량%, 분산제로서 한국산 노프코의 NOPCO-44 0.5 중량%, 소포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8034 0.2 중량%, 점탄성 조절제로서 다우케미칼의 ER-4400 0.9 중량%, pH 조절제로서 동광화학의 암모니아수 0.3 중량%, 물 33 중량%를 혼합하여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습윤제로서 다우케미칼의 TRITON X-405 (Alkyl aryl polyether alcohol) 1.5 중량%, 안료로서 오미야의 오미야-N 40 중량%, 수용성 전분 바인더로서 노루홀딩스사의 STE-57 10 중량%, 분산제로서 한국산 노프코의 NOPCO-44 0.5 중량%, 소포제로서 한국산노프코의 NOPCO-8034 0.2 중량%, 점탄성 조절제로서 다우케미칼의 ER-4400 0.7 중량%, pH 조절제로서 동광화학의 암모니아수 0.3 중량%, 물 33 중량%를 혼합하여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 및 이의 사용량을 요약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습윤제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
1.5
트리실록산
1.5
에틸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1.5 알킬 아릴 폴리에스터 알코올
1.5
안료 40 40 40 40
전분 바인더 10 10 10 10
분산제 0.5 0.5 0.5 0.5
소포제 0.2 0.2 0.2 0.2
점탄성 조절제 0.9 0.9 0.9 0.9
pH 조절제 0.1 0.1 0.1 0.1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물로 희석하여 물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시편은 비닐온실에 사용되는 농업용 필름에 조성물을 에어 스프레이 도장하였으며, 이를 도 1 내지 도 4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도 1 내지 도 4 참조).
항목 차광제 : 물(부피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도막 균일성


1:10
1:11
1:12 X
1:13 X X
ㅇ:좋음, ㅁ:보통, X: 나쁨
이상과 같은 물성 시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포 발생이 적으면서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무기 안료 25~55 중량%;
    전분(starch)으로부터 제조되고 생분해 가능한 수용성 바인더 0.1~15 중량%(고형분);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실록산,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변성된 트리실록산 또는 둘 다를 함유하는 습윤제 0.01~2 중량%;
    분산제 0.1~0.7 중량%;
    소포제 0.01~0.3 중량%;
    점탄성 조절제 0.1~1 중량%;
    pH 조절제 0.1~2 중량%;
    선택적으로, 보존제 0.05~0.3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균일성이 증진된 온실용 도막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기재에 도포되는 것이 특징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유리전이온도가 -40℃ ~ -10℃ 범위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바인더는 전분(starch) 또는 호화 변성 전분을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단량체와 공중합시켜 제조된 것이 특징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스프레이용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안료는 평균 입자 크기가 0.5~5㎛ 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폴리 아크릴산 및 암모늄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변성 실리콘류, 지방산류, 고급알콜류, 광물류, 고급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디메틸 폴리실록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수성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는 용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것이 특징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탄성 조절제는 하이드록시 에칠 셀룰로오스, 카르복실 메칠 셀룰로오스 및 메칠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온실용 기재 상에 도포 및 건조시켜, 균일성이 증진된 광산란 도막이 형성된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경우, 조성물 대 물을 1:2 내지 1:13의 부피비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인, 제품.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061877A 2015-04-30 2015-04-30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 KR102369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77A KR102369257B1 (ko) 2015-04-30 2015-04-30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877A KR102369257B1 (ko) 2015-04-30 2015-04-30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58A KR20160129558A (ko) 2016-11-09
KR102369257B1 true KR102369257B1 (ko) 2022-03-03

Family

ID=5752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877A KR102369257B1 (ko) 2015-04-30 2015-04-30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7011A (ja) * 2006-02-23 2014-09-11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除去可能な抗菌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470534B1 (ko) 2013-06-26 2014-12-08 (주)노루페인트 비닐온실용 차광도료 도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795B1 (ko) * 2012-02-27 2014-10-13 (주)노루페인트 비닐온실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7011A (ja) * 2006-02-23 2014-09-11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除去可能な抗菌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1470534B1 (ko) 2013-06-26 2014-12-08 (주)노루페인트 비닐온실용 차광도료 도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558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387B (zh) 水性涂料用粘接材料的制备方法
CN112063249A (zh) 艺术涂料及其制备方法
CN106459299A (zh) 水性分散液和包含其的涂料组合物
CN1311274A (zh) 可去除涂料组合物和制备方法
EP0999736B3 (en) Removable protective coating
CN112534002A (zh) 包含丙烯酸乙基己酯-丙烯酸丁酯-苯乙烯共聚物的水性分散体和乳液涂料
KR101473916B1 (ko)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용 조성물
KR102369257B1 (ko) 옥외용 차광 도막 형성용 조성물
KR101449795B1 (ko) 비닐온실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JP2001262132A (ja)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JP2011116924A (ja)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用塗料
WO2013174934A1 (en) Aqueous latex-based coating components
CN110845930B (zh) 一种自抗菌型聚醚胺衍生物改性苯丙乳液涂料及其制备方法
KR20140048175A (ko) 비닐온실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도막의 형성방법
JPH0478670B2 (ko)
JP4335634B2 (ja) 遮光塗布液
JP3988335B2 (ja) 防曇剤組成物及び農業用樹脂フィルム
JP739443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防汚・防カビ処理方法及び防汚・防カビ性塗料
CN114773930B (zh) 一种手绘墙画的制作方法
US20240228813A9 (en) Biodegradable Shading Paint
JPH03231848A (ja)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フイルム
CN115820092A (zh) 一种低voc抗微生物艺术涂料及其制备方法
JP4451092B2 (ja) 遮光塗布液
JP2003180169A (ja)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CN1311277A (zh) 光线吸收涂布材料及其涂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