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885B1 -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885B1
KR102368885B1 KR1020217006953A KR20217006953A KR102368885B1 KR 102368885 B1 KR102368885 B1 KR 102368885B1 KR 1020217006953 A KR1020217006953 A KR 1020217006953A KR 20217006953 A KR20217006953 A KR 20217006953A KR 102368885 B1 KR102368885 B1 KR 102368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nclosure
wireless node
wireless
mobi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9841A (ko
Inventor
미카일 마이어
요하킴 사스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1002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04W52/244Interferen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e.g. among macro and femto or pico cells or other sector / system interference [O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클로즈된 구조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와 외측 무선 네트워크간 무선 전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릴레이 또는 리피터는 내측 모바일 장치와 외측 무선 네트워크간 전후방 앞뒤로 전송을 릴레이하는데 이용된다. 모바일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용된 릴레이/리피터의 전송 파워 및 그 릴레이/리피터와 통신하는데 이용된 모바일 장치의 전송 파워는 인클로즈된 구조의 침투 손실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ADAPTING OUTPUT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AND THE CORRESPONDING WIRELESS NODE}
본 발명은 인클로즈된(enclosed) 구조 내에 위치된 무선 전송기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광대역 비지니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사용자 장치는 점점 저렴해지고 데이터 비율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앞서 지원되지 않았던 새로운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일반적인 특징이 되고 있다. 이들 새로운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들은 예컨대 사용자가 자동차, 트럭, 기차, 또는 항공기와 같은 차량에 있을 때조차 모바일 네트워크에 일정한 또는 빈번한 액세스를 필요로 한다. 대개 그러한 차량은 빠르게 이동하고 금속 표면에 의해 인클로즈되며, 이는 그러한 차량 내측의 모바일 장치가 가깝게 이웃한 모바일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인클로즈된 차량은 페러데이 케이지(Faraday cage)와 유사하며, 그러한 공지의 페러데이 케이지 효과로 인해 차량으로 그리고 차량으로부터의 무선 전송을 감쇠시킨다. 차량 외에,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벽 또는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구획된 룸들을 갖춘 빌딩 또한 내측 모바일 장치와 외측 모바일 네트워크간 무선 전송을 어렵게 한다.
리피터(repeater) 및 릴레이(relay) 모두는 무선 링크 품질을 향상시키고 모바일 네트워크의 커버리지(coverage)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릴레이의 일반적인 사상은 릴레이 노드(또는 간단한 릴레이)가 송신기로부터의 전송을 수신하고 그 전송을 의도된 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송신기는 기지국 또는 진화된 NodeB(eNB)가 되고, 의도된 수신기는 모바일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가 되거나, 또는 그 반대가 될 수 있다. 리피터는 릴레이와 유사하게 기능한다. 그러나 그들간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러한 차이 중 하나는 릴레이는 종종 전송하기 전에 전송을 디코드하여 재구성하는 반면, 리피터는 단지 전송하기 전에 수신된 전송을 증폭할 뿐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피터는 소정의 링크 레이어(layer) 상호작용, 예컨대 디코딩 없이 전송을 수신하고, 증폭하여, 전송한다. 때때로 리피터는 무선-주파수(RF) 릴레이, 또는 레이어 1(L1) 릴레이와 관련된다. 용어 "L2 릴레이" 또는 "L3 릴레이" 또한 사용된다. 그러한 각기 다른 레이어들은 전송이 릴레이에 의해 또는 의도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프로토콜 스택의 레이어와 관련된다.
리피터 또는 릴레이 노드가 무선 통신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클로저(enclosure) 내에, 예컨대 빌딩 또는 케이지 내에 사용될 수 있다. 빌딩 또는 케이지 외측의 픽-업 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무선 신호를 리피터 또는 릴레이로 공급한다. 상기 리피터 또는 릴레이는 인클로저 내측에 위치된다. 케이지 내측의 제2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그 리피터 또는 릴레이 노드로부터 인클로저 내측에 위치된 의도된 모바일 장치 또는 UE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적으로, 상기 제2안테나와 모바일 장치간 전송은 인클로저 내에 격리되어 외측 무선 신호들과 간섭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상기 인클로저의 금속 표면은 외측 무선 신호를 감쇠시켜 인클로저 내측의 무선 통신에 대한 외측 간섭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러한 내측 무선 전송 및 외측 무선 신호는 완전하게 분리될 수 없다. 그 중 한가지 이유는 상기 인클로저가 종종 개구 또는 구멍, 예컨대 차량의 내려진 창문 또는 빌딩의 열려진 문을 갖기 때문이다.
최근, 자동차 창문은 종종 다양한 이유로 인해 금속 표면으로 처리된다. 금속 표면으로 코팅된 자동차 창문의 위치는 자동차 내측에 위치된 릴레이/리피터의 전송 및 자동차 외측에 위치된 무선 전송기의 전송 모두에 영향을 준다. 창문이 올라가면, 그러한 두 종류의 전송은 어느 정도 분리된다. 창문이 내려가면, 릴레이/리피터 내측으로부터의 전송은 외측 무선 신호와 간섭한다. 또한, 이동하는 자동차의 외측에 위치된 가깝게 이웃한 모바일 장치는 단지 경유되는 내측의 릴레이 노드/리피터와 연결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이는 차량 내에 위치된 릴레이/리피터가 각기 다른 시나리오로 적절하게 동작하고 내측의 릴레이/리피터가 외부 무선 통신과 간섭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도전적인 과제이다.
따라서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 무선 전송기에 대한 무선 링크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진보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인클로즈된 구조 또는 인클로저 내측에 위치된 무선 전송기 또는 무선 트랜시버(transceiver)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클로저 내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에 대한 무선 링크 성능 향상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한 무선 노드는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인클로저의 차폐 효과로 인한 침투 손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그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는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 제1안테나 시스템, 제2안테나 시스템, 추정 회로, 파워 조절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은 기지국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안테나 시스템은 인클로즈된 구조 외측에 위치되며, 반면 상기 제2안테나 시스템은 인클로즈된 구조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안테나 시스템은 외측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인클로즈된 구조 내측에 위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추정 회로는 인클로즈된 공간의 차폐 효과로 인한 침투 손실을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워 조절 회로는 추정된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는 각기 다른 모바일 장치들을 위한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노드는 파워 콘트롤 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워 콘트롤 회로는 그 결정된 침투 손실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을 위한 파워 콘트롤 명령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인클로즈된 구조 내에 위치된 안테나를 갖춘 무선 노드를 포함하는 예시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는 예시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각기 다른 무선 트랜시버들간 무선 전송을 나타낸다.
도 3은 인클로저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들이 겪은 여러 간섭하는 전송들을 나타낸다.
도 4는 인클로즈된 구조 내에 위치된 안테나를 갖춘 무선 트랜시버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는 예시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터널 내에 설치된 릴레이/리피터와 상호작용하는 그 터널을 통해 이동하는 차량 내측에 위치된 무선 트랜시버를 나타낸다.
도 6은 무선 트랜시버가 위치되는 인클로즈된 구조의 구성에 따라 적합한 출력 파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예시의 무선 트랜시버를 나타낸다.
도 1은 인클로저(100) 내에 위치되고 무선 노드(104)에 의해 서브된 모바일 장치(110)를 나타낸다. 상기 인클로저(100)는 차량, 빌딩, 캐빈, 룸 등을 나타낸다. 상기 무선 노드(104)는 (L1/L2/L3) 릴레이 또는 리피터가 될 것이다. 상기 무선 노드(104)는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 및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을 포함한다. 상기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은 외측 무선 노드들, 예컨대 기지국(102)과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기지국은 무선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102)과 통신하기 위해, 인클로저(100) 내측의 모바일 장치(110)는 상기 기지국(102)으로 그리고 그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릴레이하기 위해 무선 노드(104)를 필요로 한다.
상기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은 모바일 장치(110)를 위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노드(104)에 의해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고, 상기 수신된 무선 신호는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에 의해 모바일 장치(110)로 릴레이 또는 전송된다. 또한 상기 외측 안테나 시스템(108)은 모바일 장치(110)를 대신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은 상기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은 수신된 무선 신호를 상기 기지국(102)으로 릴레이하거나 전송한다.
도 2는 무선 노드(104)와, 모바일 장치(110)와, 기지국(102)간 여러 무선 링크를 통해 발생하는 각기 다른 무선 전송을 나타낸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104)와 기지국(102)간 무선 링크는 백홀 링크(backhaul link)와 관련된다. 상기 무선 노드(104)와 모바일 장치(110)간 무선 링크는 로컬 링크와 관련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장치(110)와 기지국(102)간 무선 링크는 광역 네트워크(WAN) 링크와 관련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상기 기지국(102)과 상기 무선 노드(104)의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간 전송된 무선 전송은 Lbackhaul,out로 표시된다. 상기 기지국(102)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에 의해 수신된 무선 전송은 Lbackhaul,in로 표시된다. 상기 기지국(102)과 모바일 장치(110)간 무선 전송은 LWAN로 표시된다. 무선 전송 Lbackhaul,out 및 LWAN은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될 수 있다.
무선 전송 Lbackhaul,in 및 다운링크 무선 전송 Lbackhaul,out은 각기 다른 안테나 시스템에 의해 수신된 것과 같은 동일한 전송 신호를 나타낸다. Lbackhaul,in에서의 무선 신호가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에 도달하기 전에 인클로저(100)의 표면을 통과하기 때문에, Lbackhaul,in의 신호 강도는 다운링크 전송 Lbackhaul,out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다. 그러한 차이는 인클로저(100)의 표면을 통과할 때 그 전송 신호에 의해 초래된 침투 손실을 나타낸다. 따라서, Lbackhaul,in의 신호 강도와 다운링크 전송 Lbackhaul,out의 신호 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이 유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 또한 무선 전송 LWAN 및 다운링크 전송 Lbackhaul,out을 이용하여 유도될 수 있다. 다운링크 LWAN은 기지국(102)에 의해 전송되고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인클로저(100)의 표면을 통과한다. 다운링크 Lbackhaul,out의 무선 신호는 그 표면을 통과하지 못한다. 다운링크 LWAN의 신호 강도와 다운링크 Lbackhaul,out의 신호 강도간 차이는 인클로저(100)에 의해 야기된 침투 손실을 반영한다. 그러한 침투 손실은 인클로저(100)에 의해 야기된 감쇠 또는 반사에 기인한다. 또한 그 침투 손실은 인클로저(100)에 의해 야기된 다른 공지의 약화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업링크 무선 전송 LWAN 및 업링크 무선 전송 Lbackhaul, out은, 모바일 장치(110)와 외측 안테나 시스템(104)간 파워 오프셋에 의해 조절된 후,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기 위해 기지국(1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은 다운링크 무선 전송 LWAN 및 다운링크 무선 전송 Llocal를 이용하여 산출될 것이다. 기지국(102)과 무선 노드(104)간 파워 차이를 나타내는 오프셋에 의해 조절된 후, 다운링크 LWAN의 신호 강도와 Llocal의 신호 강도간 차이는 또한 상기 인클로저(100)에 의해 야기된 침투 손실을 반영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침투 손실은 무선 노드(104)에 의해 결정된다.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전송 LWAN 및 Llocal의 신호 강도를 알기 위해, 상기 무선 노드(104)는 서빙(serving)의 기지국(102)으로 그리고/또 무선 노드 자체로 상기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보내진 측정 리포트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104)는 그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으로부터 트레이닝 신호를 보내고 그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에 의해 수신한 바와 같은 그러한 트레이닝 신호(training signal)를 측정함으로써 침투 손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신호들의 신호 강도간 차이는 인클로저(100)에 의해 야기된 침투 손실을 반영한다. 유사하게, 상기 무선 노드(104)는 트레이닝 신호를 전송하고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에 의해 수신한 바와 같은 그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도록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에 지시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110)는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 결정의 목적을 위한 신호를 무선 노드(10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한 신호는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 즉 업링크 전송 Llocal 및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 모두에 의해 수신될 것이다(나타내지 않은 대응하는 신호). 이들 2개의 수신된 신호의 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무선 노드(104)는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104)는 그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으로부터 그리고 때때로 그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으로부터 모바일 장치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장치(110)는 주기적으로 무선 노드(104)에 채널 품질 리포트를 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바일 장치(110)로부터의 채널 품질 리포트를 관측함으로써, 상기 무선 노드(104)는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강도와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강도간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2개의 안테나 시스템간 파워 편차를 나타내는 오프셋에 의해 조절된 후, 상기 신호 강도 차이는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무선 노드(104)는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 업링크 Lbackhaul, out)으로부터 그리고 때때로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 나타내지 않음)으로부터 신호를 기지국(1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지국(102)은, 수신된 업링크 전송 파워의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전송기의 업링크 전송 파워를 콘트롤하기 위해 파워 콘트롤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노드(104)가 상기 기지국(102)으로부터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 및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에 대한 각각의 파워 콘트롤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무선 노드(104)는 상기 파워 콘트롤 명령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접근 방식은 본원에 기술된 여러 실시예들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원에 명확히 기술하진 않았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 또는 지식 내에 속하는 다른 방법 또는 접근 방식들 또한 인클로저의 침투 손실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모바일 장치(110)를 위한 신호 및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전송된 신호만을 나타낸다. 상기 모바일 장치(110)를 위한 신호는 그 모바일 장치(110)에 직접 도달하거나 또는 모바일 장치(110)로 릴레이된다. 상기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전송된 신호 또한 기지국(102)으로 릴레이될 것이다. 도 2는 소정의 외부 무선 노드 또는 기지국(102)과 다른 장치들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과 모바일 장치(110)간 무선 전송들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무선 통신들과 간섭할 수 있다.
도 3은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기지국(112) 및 모바일 장치(114)를 포함한다. 도 3에 있어서, 무선 신호는 실선으로 나타냈고, 간섭하는 전송들은 점선으로 표시했다. 파선은 감쇠된 전송들, 즉 인클로저(100)의 표면을 통과하여 침투 손실을 초래한 전송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었다.
도 3에 있어서, Lbackhaul, out, Lbackhaul, in, Llocal, 및 LWAN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일한 무선 전송을 나타낸다. 인클로저(100)의 디커플링 효과(decoupling effect)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으로부터의 전송은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 또는 장치들, 예컨대 기지국(112) 및 모바일 장치(114)에 의해 검출되거나 또는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100) 내측의 무선 전송들은 기지국(112)과 모바일 장치(114)간 무선 통신들과 간섭할 수 있다. 외부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내부 무선 전송들에 의해 야기된 간섭의 레벨은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에 좌우된다. 그와 같은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모바일 장치(110) 및/또는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 즉,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과 연관된 전송기)은 그러한 침투 손실이 저하될 때 낮은 전송 파워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침투 손실이 저하되면, 인클로저의 표면을 통과한 후 강한 간섭의 신호를 유지한다. 상기 모바일 장치(114) 및 무선 노드(112)는 비교적 강한 간섭을 겪을 것이다. 따라서,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 및/또는 모바일 장치(110)의 전송 파워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침투 손실이 높아지면, 상기 모바일 장치(114) 또는 무선 노드(112)는 비교적 약한 간섭을 겪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장치 또는 인클로저 내측에 위치된 장치 또는 노드들, 예컨대 108 및 110의 전송 파워는 비교적 높은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모바일 장치(110) 또는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전송 파워는 인클로저에 의해 야기된 침투 손실에 따라 다이나믹하게 조절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104)는 인클로저의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전송 파워를 지속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전송 파워는 인클로저의 침투 손실이 증가되면 증가될 것이다.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전송 파워는 인클로저의 침투 손실이 감소되면 감소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104)는 인클로저의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을 스위치 온(on) 또는 오프(off)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침투 손실이 강하면,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으로부터의 무선 전송들이 감쇠되어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 또는 장치들, 예컨대 기지국(112) 및 모바일 장치(110)와 강하게 간섭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경우, 상기 무선 노드(104)는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을 턴 온시킨다. 상기 침투 손실이 낮아지면, 상기 무선 노드(104)는 외부 무선 네트워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을 턴 오프시킨다.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전송 파워 외에, 모바일 장치(110)의 전송 파워 또한 침투 손실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모바일 장치(110)는 적절한 파워 레벨을 설정하도록 모바일 장치(110)에 지시하기 위한 파워 콘트롤 명령을 기지국(102)으로부터 수신한다. 예컨대, 상기 기지국(102)은 전송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모바일 장치(110)에 지시한다. 그러한 파워 콘트롤 명령이 무선 노드(104)에 의해 수신 및 전송되기 때문에, 그 무선 노드(104)는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파워 콘트롤 명령을 인터셉트(intercept)하여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침투 손실은 인클로저(100)의 형태, 재료, 및 구성에 기초하여 미리-정해질 수 있다. 그러한 침투 손실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Lbackhaul, out, Lbackhaul, in, Llocal, 및 LWAN와 같은 다양한 무선 전송들의 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이 높으면, 예컨대 모든 창문이 올라가거나 또는 모든 문이 닫히면, 인클로저(100)의 외측에 위치된 장치들이 겪는 간섭은 결과적으로 낮아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무선 노드(104) 또는 모바일 장치(110)의 전송 파워는 비교적 높은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이 낮아지면, 예컨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창문이 내려가거나 또는 문이 열려 있으면, 상기 무선 노드(104) 또는 모바일 장치(110)의 전송 파워는 다른 노드들 상에서의 광범위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레벨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도 4는 무선 노드(104)의 내측 안테나 시스테(108)의 전송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예시의 과정을 나타낸다. 단계 402에서, 인클로저(100)의 차폐 효과로 인한 침투 손실이 결정된다. 그러한 결정된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출력 파워가 조절된다(단계 404).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출력 파워는 시뮬레이션 또는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결정된 테이블 또는 수학 공식을 이용하여 결정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출력 파워는 다이나믹하게, 예컨대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조절될 것이다. 인클로저(100)에 의해 야기된 침투 손실이 가변적일 경우,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출력 파워는 지속적으로 조절될 것이다. 좀더 안정적인 환경, 예컨대 빌딩 내측에 있을 경우, 상기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출력 파워는 단지 간헐적으로 조절되거나 또는 간단히 시스템 구성 중에 한차례 구성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의 출력 파워로 이루어진 그러한 조절 양은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104)는 인클로저(100)의 측정된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을 스위치 온 또는 오프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침투 손실이 매우 낮으면, 상기 인클로저(100)는 본질적으로 그 인클로저(100)의 양측 모두에서 무선 전송에 대한 감쇠를 야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침투 손실이 임계치 이하이면, 상기 무선 노드(104)는 그 전송을 턴 오프할 것이다. 그와 같은 경우, 상기 모바일 장치(110)는 기지국(102)과 직접 통신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만약 무선 장치(104)가 릴레이 노드 또는 리피터가 가깝게 위치된 것을 검출하면, 상기 무선 장치(104)는 또한 그 전송을 턴 다운 또는 턴 오프할 것이다. 예컨대, 도 5에서, 릴레이/리피터(502)는 터널(500)을 따라 설치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한 릴레이/리피터(502)는 터널(500) 내측에 위치된 무선 장치와 외측 무선 네트워크(508)간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차량(506)이 터널(500)에 가까워짐에 따라, 상기 무선 노드(104)는 리피터/릴레이 노드(502)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노드(104)는 그 자신의 전송을 턴 다운 또는 턴 오프한다. 결과적으로, 차량 내측의 모바일 장치(110)는 기지국(508)과 통신하기 위해 릴레이 노드/리피터(502)를 이용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 노드(104)는 인클로저(100)의 결정된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그 자신의 출력 파워를 콘트롤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무선 노드(104)는 그러한 결정된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 내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 및 다른 모바일 장치들의 전송 파워를 콘트롤할 수 있다(도 4의 단계 406).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104)는 모바일 장치(110)의 전송 파워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 기지국(102)에 의해 사용된 파워 콘트롤 명령을 인터셉트한다. 상기 무선 노드는 결정된 침투 손실을 기초하여 그 인터셉트된 파워 콘트롤 명령을 조절한다.
상기 설명에서, 단지 하나의 모바일 장치(110)만을 나타내고 기술했다. 소정 수의 모바일 장치(110)들이 구성될 수 있고 상술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서포트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무선 노드(104)는 하나의 모바일 장치를 위한 파워 콘트롤 명령을 인터셉트하여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무선 노드(104)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를 위한 파워 콘트롤 명령을 인터셉트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104)는 모든 모바일 장치를 위한 동일한 파워 콘트롤 명령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모바일 장치로 그리고 그로부터의 전송들은, 인클로저의 불균일한 차폐 효과로 인해, 모바일 장치의 위치에 좌우되는 각기 다른 침투 손실을 겪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104)는 인클로저(100) 내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각의 모바일 장치에 대한 침투 손실을 결정하고 그 특정 모바일 장치에 대해 결정된 침투 손실을 확인하기 위한 파워 콘트롤 명령을 결정한다.
인클로저(100)의 차폐 효과에 의해 영향받는 모바일 장치(110) 또는 내측 안테나 시스템(108)과 달리,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인클로저(100)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다. 그러한 인클로저(100) 내측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가 있을 경우, 그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의 전송 파워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든 모바일 장치들에 맞추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의 전송 파워는 또한 장치 기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를 대신하여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이 전송함에 따라, 상기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의 전송 파워는 기지국(102)이 특정 모바일 장치로 보낸 파워 콘트롤 명령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다수의 모바일 장치는 동일한 기지국(102)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그러한 다수의 모바일 장치는 각기 다른 기지국에 의해 서브될 것이다. 상기 외측 안테나 시스템(106)의 전송 파워는 모바일 장치로 지향된 파워 콘트롤 명령 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치를 서빙하는 기지국에 따라 조절될 것이다.
도 6은 릴레이 또는 리퍼터로서 실행된 예시의 무선 노드(104)를 나타낸다. 그러한 무선 노드(104)는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a) 및 602(b)), 및 프로세서(608)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a) 및 602(b))은 제1안테나 시스템(604) 및 제2안테나 시스템(606)을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a))은 제1안테나 시스템(604)을 통해 릴레이 노드/리피터(502) 또는 기지국(102)과 같은 다른 무선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b))은 제2안테나 시스템(606)을 통해 모바일 장치(110)와 같은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노드(104)는 인클로저(100)의 표면 상에, 즉 인클로저(100)의 내측 또는 외측 상에 설치된다. 상기 제1안테나 시스템(604)은 인클로저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안테나 시스템(606)은 인클로저(100)의 외측에 위치된다.
무선 노드(104)의 프로세서(608)는 추정 회로(610), 파워 조절 회로(612), 및 저장 장치(6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클로저(100)에 의해 야기된 침투 손실을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워 조절 회로(612)는 제1안테나 시스템(604)의 출력 파워 및/또는 제2안테나 시스템(606)의 출력 파워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104)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 장치(616)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각기 다른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각기 다른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무선 노드(104)가 모바일 장치에 의해 또는 그를 대신하여 무선 노드(104)가 전송함에 따라, 상기 파워 조절 회로(612)는 저장 장치(616)에 저장된 모바일 장치의 설정에 기초하여 무선 노드(104)의 출력 파워를 조절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08)는 파워 콘트롤 회로(614)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파워 콘트롤 회로(614)는 결정된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파워 콘트롤 명령을 조절함으로써 모바일 장치(104)의 전송 파워를 콘트롤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발명의 사상 및 기본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기술한 것과 다른 특정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 프로세스는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에 내장된 적절하게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셀룰러 폰이나 또는 다른 통신 트랜시버로 수행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들 처리 회로는 상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절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프로그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 콘트롤러,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이들 처리 회로는 상술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주문형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술한 바와 같은 모든 고려사항으로 고려됨과 더불어 제한하지 않으며, 수반된 청구항의 목적 및 등가물 범위 내의 모든 변경은 그 안에 포함된다.

Claims (30)

  1. 무선 노드(104)의 무선 통신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노드는 무선 트랜시버(602)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트랜시버(602)는 인클로저(100) 내에 위치된 제1안테나(108)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인클로저(100)의 차폐 효과로 인한 침투 손실을 결정하고;
    상기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트랜시버(602)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며,
    상기 인클로저(100)의 차폐 효과로 인한 침투 손실 결정은, 2개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고, 하나의 신호는 인클로저를 통과하고, 하나의 신호는 인클로저를 통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선 노드(104)는 릴레이 또는 리피터인,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선 트랜시버(602)의 출력 파워는 제1안테나(108)를 통해 인클로저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와 통신하도록 무선 트랜시버에 의해 사용된 전송 파워인,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침투 손실에 기초한 무선 트랜시버(602)의 출력 파워의 조절은:
    상기 침투 손실이 증가할 때 출력 파워를 증가시키고;
    상기 침투 손실이 감소할 때 출력 파워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클로즈된 공간(100)의 침투 손실의 결정은:
    상기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2안테나(106)에서 수신된 기지국(102)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제1신호 강도를 얻고;
    상기 기지국(102)으로부터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추정된 신호 강도인 제2신호 강도를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신호 강도와 제2신호 강도간 차이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의 결정은:
    상기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제1무선 전송기에 의해 전송된 제1신호 및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제2무선 전송기에 의해 전송된 제2신호를 상기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제1신호의 제1신호 강도 및 제2신호의 제2신호 강도를 추정하고;
    상기 제1신호 강도와 제2신호 강도간 차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차이 및 상기 제1무선 전송기와 제2무선 전송기간 파워 오프셋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수신 안테나는 모바일 장치(110)의 수신 안테나이며, 제1신호는 무선 노드(104)의 제1안테나(108)에 의해 전송되고,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의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2안테나(106)에 의해 전송되거나 또는,
    수신 안테나는 모바일 장치(110)의 수신 안테나이며, 제1신호는 인클로저(100)의 내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안테나에 의해 전송되고,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의 외측에 위치된 기지국(102)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의 결정은:
    상기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1안테나(108)에 의해 제1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2안테나(106)에 의해 제2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신호의 제1신호 강도 및 제2신호의 제2신호 강도를 추정하고;
    상기 제1신호 강도와 제2신호 강도간 차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차이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전송되거나 또는,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기지국(102)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침투 손실의 결정은:
    인클로저(100)의 한 측면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안테나로부터 무선 노드(104)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클로저(100)의 다른 측면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또 다른 안테나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신호의 신호 강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의 신호 강도를 추정하며;
    상기 신호 강도들간 차이에 기초하여 침투 손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침투 손실의 결정은: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채널 품질 리포트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품질 리포트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 내로부터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된 제1신호의 제1신호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품질 리포트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 외측으로부터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된 제2신호의 제2신호 강도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신호 강도 및 파워 오프셋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침투 손실의 결정은: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1안테나(108)로부터 제1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2안테나로부터 제2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신호의 제1신호 강도 및 제2신호의 제2신호 강도를 추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침투 손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기지국(102)에 의해 수신되며, 제1 및 제2신호 강도의 추정은 기지국(102)으로부터 수신된 파워 콘트롤 명령에 기초하거나 또는,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수신되며, 제1 및 제2신호 강도의 추정은 모바일 장치(110)로부터의 채널 품질 리포트에 기초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선 노드(104)가 무선 전송기(502)에 대해 이동할 때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전송기(502)로부터의 전송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송이 제1임계치보다 강할 때, 무선 노드(104)의 무선 트랜시버(602)의 출력 파워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검출된 전송이 제2임계치보다 약할 때, 무선 노드(104)의 무선 트랜시버(602)의 출력 파워를 턴 온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지향되는 파워 설정 신호를 기지국(102)으로부터 수신하고;
    파워 콘트롤 명령을 생성하기 위해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설정 신호를 조절하며;
    상기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상기 파워 콘트롤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각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된 파워 콘트롤 명령은 대응하는 모바일 장치가 겪은 차폐 효과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각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된 파워 콘트롤 명령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의 저장된 설정에 따라 더 조절되며, 상기 저장된 설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를 위한 파워 전송 레벨을 지정하는, 무선 노드의 무선 통신 향상 방법.
  15.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로서,
    기지국(102)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1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되고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에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102)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110)로 그리고 그들로부터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안테나 시스템(604);
    상기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되고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에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102)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110)로 그리고 그들로부터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안테나 시스템(606);
    상기 인클로저(100)의 차폐 효과로 인한 침투 손실을 추정하도록 구성된 추정 회로(610); 및
    상기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파워 조절 회로(612)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100)의 차폐 효과로 인한 침투 손실 결정은, 추정 회로가 2개의 신호를 비교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하나의 신호는 인클로저를 통과하고, 하나의 신호는 인클로저를 통과하지 않는, 무선 노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무선 노드(104)는 릴레이 또는 리피터인, 무선 노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무선 트랜시버(602)의 출력 파워는 인클로저(100) 내측의 모바일 장치(110)와 통신하도록 무선 트랜시버(602)에 의해 사용된 제1안테나 시스템(604)의 전송 파워인, 무선 노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파워 조절 회로(612)는:
    침투 손실이 증가할 때 제1안테나 시스템(604)의 전송 파워를 증가시키고;
    침투 손실이 감소할 때 제1안테나 시스템(604)의 전송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노드.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추정 회로(610)는: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2안테나 시스템(606)에서 수신된 기지국(102)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제1신호 강도를 얻고;
    상기 기지국(102)으로부터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추정된 신호 강도인 제2신호 강도를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신호 강도와 제2신호 강도간 차이를 산출하도록 구성된, 무선 노드.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추정 회로(610)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제1무선 전송기에 의해 전송된 제1신호 및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제2무선 전송기에 의해 전송된 제2신호를 상기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하고;
    상기 제1신호의 제1신호 강도 및 제2신호의 제2신호 강도를 추정하고;
    상기 제1신호 강도와 제2신호 강도간 차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차이 및 상기 제1무선 전송기와 제2무선 전송기간 파워 오프셋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안테나는 모바일 장치(110)의 수신 안테나이며, 제1신호는 무선 노드(104)의 제1안테나 시스템(604)에 의해 전송되고,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의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2안테나 시스템(606)에 의해 전송되거나 또는,
    수신 안테나는 모바일 장치(110)의 수신 안테나이며, 제1신호는 인클로저의 내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1안테나(604)에 의해 전송되고,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의 외측에 위치된 기지국(102)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노드.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추정 회로(610)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1안테나 시스템(604)에 의해 제1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2안테나 시스템(606)에 의해 제2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신호의 제1신호 강도 및 제2신호의 제2신호 강도를 추정하고;
    상기 제1신호 강도와 제2신호 강도간 차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차이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에 의해 전송되거나 또는,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기지국(102)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노드.
  22.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추정 회로(610)는:
    인클로저(100)의 한 측면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안테나 시스템으로부터 무선 노드(104)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클로저(100)의 다른 측면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또 다른 안테나 시스템에 의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신호의 신호 강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의 신호 강도를 추정하며;
    상기 신호 강도들간 차이에 기초하여 침투 손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무선 노드.
  23. 청구항 15에 있어서,
    추정 회로(610)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채널 품질 리포트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 품질 리포트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 내로부터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된 제1신호의 제1신호 강도를 결정하고;
    상기 채널 품질 리포트에 기초하여 인클로저 외측으로부터 모바일 장치(110)로 전송된 제2신호의 제2신호 강도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신호 강도 및 파워 오프셋에 기초하여 인클로저(100)의 침투 손실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노드.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추정 회로(610)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1안테나 시스템(604)으로부터 제1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노드(104)의 제2안테나 시스템(606)으로부터 제2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신호의 제1신호 강도 및 제2신호의 제2신호 강도를 추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침투 손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기지국(102)에 의해 수신되며, 제1 및 제2신호 강도는 기지국(102)으로부터 수신된 파워 콘트롤 명령에 기초하여 추정되거나 또는,
    제1신호 및 제2신호는 인클로저(100) 내측에 위치된 모바일 장치(110)에 의해 수신되며, 제1 및 제2신호 강도는 모바일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리포트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무선 노드.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파워 조절 회로(612)는:
    무선 노드(104)가 무선 전송기(502)에 대해 이동할 때 인클로저(100) 외측에 위치된 무선 전송기(502)로부터의 전송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송이 제1임계치보다 강할 때, 무선 노드(104)의 무선 트랜시버의 출력 파워를 턴 오프시키고;
    상기 검출된 전송이 제2임계치보다 약할 때, 무선 노드(104)의 무선 트랜시버의 출력 파워를 턴 온시키도록 구성된, 무선 노드.
  26.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파워 콘트롤 회로(6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워 콘트롤 회로(614)는: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지향되는 파워 설정 신호를 기지국(102)으로부터 수신하고;
    파워 콘트롤 명령을 형성하기 위해 침투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파워 설정 신호를 조절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의 전송 파워를 콘트롤하기 위해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상기 파워 콘트롤 명령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무선 노드.
  27. 청구항 15항에 있어서,
    각각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바일 장치로 전송된 파워 콘트롤 명령은 대응하는 모바일 장치가 겪은 차폐 효과에 따라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무선 노드.
  28. 청구항 15에 있어서,
    각기 다른 모바일 장치를 위한 각기 다른 설정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장치(6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기 다른 설정은 각기 다른 모바일 장치를 위한 파워 전송 레벨을 지정하고 각기 다른 모바일 장치에 대한 무선 트랜시버 시스템(602)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도록 파워 조절 회로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노드.
  29. 삭제
  30. 삭제
KR1020217006953A 2012-09-28 2013-09-27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102368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07139P 2012-09-28 2012-09-28
US61/707,139 2012-09-28
PCT/IB2013/058954 WO2014049573A1 (en) 2012-09-28 2013-09-27 Method for adapting output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and the corresponding wireless node
KR1020157010737A KR102227739B1 (ko) 2012-09-28 2013-09-27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737A Division KR102227739B1 (ko) 2012-09-28 2013-09-27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841A KR20210029841A (ko) 2021-03-16
KR102368885B1 true KR102368885B1 (ko) 2022-02-28

Family

ID=498870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953A KR102368885B1 (ko) 2012-09-28 2013-09-27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KR1020157010737A KR102227739B1 (ko) 2012-09-28 2013-09-27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737A KR102227739B1 (ko) 2012-09-28 2013-09-27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86536B2 (ko)
EP (1) EP2901775B1 (ko)
JP (1) JP6742727B2 (ko)
KR (2) KR102368885B1 (ko)
CN (1) CN104782195B (ko)
WO (1) WO2014049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8022B2 (en) * 2010-04-13 2014-09-16 Radeum,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pairing a wireless devic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GB2509546B (en) * 2013-01-08 2015-01-07 Broadcom Corp Wireless communication
US9825662B2 (en) * 2014-04-25 2017-11-21 International Electronics Machines Corporation Wireless transmission through faraday cage enclosure
DE102014221956A1 (de) * 2014-10-28 2016-05-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ahrzeug,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für einen Relay-Sendeempfänger und eine Netzwerkkomponente
IT201600070964A1 (it) * 2016-07-07 2018-01-07 Inst Rundfunktechnik Gmbh Ricezione inhouse migliorata di segnali trasmissivi rispondenti a una specifica di standard per telefonia mobile
US10735838B2 (en) * 2016-11-14 2020-08-04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Transparent wireless bridges for optical fiber-wireless network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CN109151968B (zh) * 2017-06-16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确定方法、设备及系统
EP3637872A4 (en) * 2017-10-12 2020-08-0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FER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DE102019206467A1 (de) * 2019-05-06 2020-11-12 Robert Bosch Gmbh Endgerä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Endgeräts, Industriemaschine, und Verfahren zum Einrichten einer Industriemas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2729A1 (ja) 2010-09-28 2012-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リソース決定方法、無線基地局と通信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KR101156269B1 (ko) * 2004-07-29 2012-06-13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4074A (ja) * 1992-03-31 1993-10-29 Fujitsu Ltd 移動無線装置用リピータ装置
DE19902407A1 (de) * 1999-01-22 2000-08-17 Mikom Gmbh Mikrotechnik Zur K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stellung der Verstärkung eines Repeaters
US7246045B1 (en) * 2000-08-04 2007-07-17 Wireless Valley Communic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visualizing and comparing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performance
BR0214273A (pt) * 2001-11-20 2007-03-13 Qualcomm Inc repetidora controlada por potência de link reverso
US7236128B2 (en) * 2004-06-23 2007-06-26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radio emitters using self-calibrated path loss computation
US8744510B2 (en) * 2007-03-13 2014-06-03 Pranav Dayal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JP4564040B2 (ja) * 2007-11-12 2010-10-2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端末
US8072914B2 (en) 2008-05-08 2011-12-06 At&T Mobility Ii Llc Location survey for power calibration in a femto cell
US20100258746A1 (en) * 2009-04-08 2010-10-14 Yun-Chung Na Massive parallel generation of nonclassical photons via polaritonic superfluid to mott- insulator quantum phase transition
WO2012042730A1 (ja) * 2010-09-28 2012-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リソース決定方法、通信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WO2012040878A1 (en) * 2010-09-30 2012-04-05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8532566B2 (en) * 2011-06-08 2013-09-10 Andrew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desensitization of a base station transceiver for mobile wireless repeater systems
US11057838B2 (en) 2011-12-09 2021-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ng output power of a radio transmitting entity
US9143196B2 (en) * 2012-11-14 2015-09-2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Enhanced wireless signal distribution using in-building wi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269B1 (ko) * 2004-07-29 2012-06-13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방법
WO2012042729A1 (ja) 2010-09-28 2012-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リソース決定方法、無線基地局と通信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82195B (zh) 2019-06-14
EP2901775A1 (en) 2015-08-05
JP6742727B2 (ja) 2020-08-19
KR20210029841A (ko) 2021-03-16
WO2014049573A1 (en) 2014-04-03
JP2015536086A (ja) 2015-12-17
CN104782195A (zh) 2015-07-15
KR20150063114A (ko) 2015-06-08
KR102227739B1 (ko) 2021-03-12
US20140094214A1 (en) 2014-04-03
EP2901775B1 (en) 2016-09-21
US9386536B2 (en)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8885B1 (ko) 무선 전송기 및 그 대응하는 무선 노드의 출력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US8687514B2 (en) Base station device and interference suppression method
KR101608056B1 (ko) 전이중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의 매체접근 제어 방법
US8867383B2 (en) Method for associating mobile stations with repeaters in controlling base station
TWI631833B (zh) 資料傳輸模式設定方法及應用其之基站裝置以及終端裝置
KR20120027207A (ko) 간섭에 종속하여 리피터 이득 결정
EP3075202B1 (en) A method in a network and network node for co-scheduling in a network
US20180041234A1 (en)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oscillations in a signal booster device,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US11057838B2 (en) Adapting output power of a radio transmitting entity
US974341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36044B1 (ko) 릴레이 시스템의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CN105682210A (zh) 针对认知无线电系统中主用户接收机的信噪比估计方法
US20120015601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lay device,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771436B1 (ko)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의 전이중 통신방법
Chang et al. Positioning receiver using full-duplex amplify-and-forward relay
KR101016345B1 (ko) 주파수 재사용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시스템 및 방법
CN111107027A (zh) 一种高性能同频全双工自干扰抵消方法
CN109104698B (zh) 分布式的通信方法及其系统
JP5639452B2 (ja) 無線中継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2140056A1 (en) Techniques for dynamic beamforming mitigation of millimeter wave blockages
KR20130047189A (ko) 해양 텔레매틱스 환경에서 동일 주파수 무선중계기에서의 간섭제거 방법
JP2013074501A (ja) 中継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3098586A (ja) 中継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3184047A1 (en)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with sub-band repe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