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692B1 -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692B1
KR102368692B1 KR1020207011256A KR20207011256A KR102368692B1 KR 102368692 B1 KR102368692 B1 KR 102368692B1 KR 1020207011256 A KR1020207011256 A KR 1020207011256A KR 20207011256 A KR20207011256 A KR 20207011256A KR 102368692 B1 KR102368692 B1 KR 102368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uniform concentration
fixing
wound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078A (ko
Inventor
박주영
한문
허형규
이은희
박찬육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ublication of KR20200123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27Flow controllers controlling delivery of multiple fluids, e.g. sequencing, mixing or via separate flow-p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7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an infusion line after insertion into a pati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 단부에 각각 약액공급기 및 천자바늘이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나선형으로 권선한 균일화부를 갖는 주입튜브와; 상기 균일화부의 권선된 모양이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서로 다른 농도 또는 밀도를 갖는 유체들을 포함하는 약액이 상기 균일화부를 통과하여 균일한 농도로 천자바늘를 통해 인체에 주입되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약액은 마이크로버블 또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고정피스의 조임을 통해 상기 하부판에 안착된 균일화부를 상기 고정브라켓이 가압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튜브의 소정의 길이를 나선형으로 권선하여 균일화부를 제공하여 마이크로버블, 리포좀 등 다양한 유체 상태에서 밀도가 서로 달라 섞이지 못하는 약액을 균일한 농도로 인체에 주입할 수 있어 약물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본 발명은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도 또는 농도가 서로 다른 약물을 혈관에 균일한 농도로 혼합하여 주입할 수 있어 약물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 또는 동물에게 주사액을 일정한 속도로 주입하는 장치는 주로 병원에서 사용되며 링거팩 또는 약물병 등을 높은 곳에 걸고 튜브를 연결하여 천자바늘을 통해 혈관에 주입하게 된다.
한편, 주사액은 액체상태로 제공되었으나, 최근 2종 이상의 약을 혼합한 약액, 에멀젼, 슬러리, 마이크로버블, 리포좀 등의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혼합하여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약액은 균일한 농도로 주입되어야 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혼합 약물을 혈관에 일정한 속도로 주입하거나, 밀도가 서로 다른 약액을 균일한 농도로 인체에 주입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한 필요에 따라 한국 등록특허 제10-1640481호(2016.07.18.자 공고)는 진동을 주어 주입액이 담겨진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내에 구비된 교반수단을 요동시켜 주입액을 교반시키도록 함으로써, 주입액 중에 포함된 목적물질이 충분히 교반된 상태로 균일한 농도를 가지고 주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목적물질의 농도 불균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치명적인 의료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주입액 수위 조절관을 통해 컨테이너와 필터 및/또는 팽창관을 서로 연결하여 이들 내부에 채워진 주입액 수위 및 주입액의 주입 속도를 좀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필터 내부에서 침강성 여과 과정을 거치도록 주입액이 필터 내부를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을 채운 상태로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유도하여 줄기세포 등의 목적물질이 주입액 여과제 등에 의한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여과되며 주입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컨테이너 내에 구비된 교반수단을 요동시켜 주입액을 교반시키도록 함으로써, 주입액 중에 포함된 목적물질이 충분히 교반된 상태로 균일한 농도를 가지고 주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진동을 통하여 교반시킬뿐 실질적으로 인체에 주입시 밀도차에 의해 목적물질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즉, 밀도가 다른 약액에 대해 교반수단을 통해 혼합한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인체에 주입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튜브를 연결하고, 그 단부에 천자바늘을 구비하여 인체에 주입할 경우 튜브를 따라 이동하던 서로 다른 밀도의 약액이 밀도차로 인해 주입시 균일하지 못한 농도로 인체에 주입되어 약액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튜브의 소정의 길이를 나선형으로 권선한 균일화부를 제공하여 마이크로버블, 리포좀 등을 포함하는 밀도 또는 농도가 서로 다른 약액을 균일한 농도로 인체에 주입할 수 있어 약물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 단부에 각각 약액공급기 및 천자바늘이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나선형으로 권선한 균일화부를 갖는 주입튜브와; 상기 균일화부의 권선된 모양이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서로 다른 농도 또는 밀도를 갖는 유체들을 포함하는 약액이 상기 균일화부를 통과하여 균일한 농도로 천자바늘을 통해 인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주입용 약물 균일농도 유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약액은 마이크로버블 또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주입튜브를 권선하여 나선형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균일화부가 상면 중앙에 안착되며, 둘레를 따라 방사 방향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에 대응하여 상기 균일화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1가이드공에 대응하는 제2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제1가이드공과 제2가이드공에 순차적으로 관통 체결하여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의 사이에 구비된 균일화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고정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는 상기 주입튜브를 권선하여 나선형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균일화부가 상면 중앙에 안착되며, 둘레를 따라 방사 방향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가이드공이 관통 형성된 하부판과; 상기 제1가이드공에 각각 관통 체결하는 복수의 고정피스와; 상기 고정피스에 관통 결합하는 관통공을 갖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피스의 조임을 통해 상기 하부판에 안착된 균일화부를 상기 고정브라켓이 가압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고정지그에서 상기 상부판의 중앙 출입구에는 상기 주입튜브의 일 부분을 파지하여 권선된 균일화부의 풀림을 방지하는 걸고리가 더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판의 상부 중앙에는 원형의 단차부가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주입튜브를 상기 단차부의 테두리를 따라 권선하여 균일화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밀도 또는 농도가 서로 다른 유체들을 포함하는 약액을 혼합하여 주입할 때에도 균일한 농도로 인체에 주입할 수 있어 약물의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의 구성을 포함한 각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치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사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양 단부에 각각 약액공급기(100) 및 천자바늘(20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나선형으로 권선한 균일화부(310)를 갖는 주입튜브(300)와, 상기 균일화부(310)의 권선된 모양이 수평면상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통해 마이크로버블(Micro-Bubble)과 같은 기체에 에멀젼, 슬러리와 같은 고체 상태의 약물이나 유체상태의 약물을 탑재한 치료제와 다른 약물을 혼합하여 인체에 동시에 주입하거나, 리포좀(Liposome, 작은 구 형태의 물질로 주머니 형태를 하고 있으며 미세한 물질)과 같은 물질 주머니에 항생물질이 나 항암제 등의 치료제, 약물, 인공수용체 등을 탑재한 운반물질과 액체 상태의 약물을 혼합하여 인체에 동시에 주입할 경우, 지용성의 약물과 수용성의 약물을 포함하는 혼합유체 등 밀도 또는 농도가 서로 다른 유체를 혼합하여 인체에 동시에 주입하더라도 균일한 농도로 혼합하여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액공급기(100)의 작동을 통해 농도 또는 밀도가 서로 다른 약물을 필요로 하는 양으로 일정한 속도로 주입튜브(300)에 공급하여 상기 주입튜브(300)를 따라 천자바늘(200)을 통해 인체의 혈관으로 주사하여 주입하게 된다.
상기한, 약액(L)의 공급 방법을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약액 또는 약물을 공급하는 수단이면 아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에 의하면, 각각 밀도 또는 농도가 다른 약물을 공급하는 두 대의 약액공급기(100)를 배치하여 하나의 약액공급기(100)에는 약물이 탑재된 마이크로버블 또는 리포좀 등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의 약액공급기(100)에서는 약물을 공급하여 주입튜브(300)로 연결되어 약액(L)으로 혼합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에 의하면, 한 대의 약액공급기(100)와 하나의 약액공급팩(110)을 제공하고 주입튜브(300)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약액공급기(100)에 마이크로버블 또는 리포좀 등 약물이 탑재 가능한 기체 또는 유체를 제공하고, 상기 약액공급팩(110)을 통해 이들을 혼합하여 약액(L)으로 혼합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3에 의하면, 각각 농도 또는 밀도가 다른 액체 상태의 약물이 담긴 별도의 약액공급팩(110)을 제공하여 하나는 지용성 다른 하나는 수용성 약물을 동시에 공급하거나, 액체 성분이라도 서로 섞이지 않는 약물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두 종의 약물만을 혼합 공급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지만, 필요에 따라 약액공급기(100) 및/또는 약액공급팩(110)을 다수 연결하여 두 종 이상의 약물을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단일한 약액공급기 또는 약물 공급팩에서 두 종이상의 약물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밀도 또는 농도가 서로 다른 약물(유체)이 혼합된 혼합유체(이하, 약액(L))는 밀도차에 의해 상/하 분리된 상태에서 주입될 수 있으며, 주입튜브(300)가 수직 상태로 이어질 경우 서로 다른 밀도에 의해 상기 약액공급기(100)가 약액(L)을 일정한 속도로 혼합시키더라도 인체 주입시에는 혼합 농도가 불균일한 상태로 주입될 수 있다.
그러나, 주입튜브(300)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여 충분한 시간 동안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농도 또는 밀도가 서로 다른 약물이 상/하 분리되더라도 혼합된 약액(L)이 주입튜브(300)를 따라 수평면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하면서 혼합된 정도가 점차 균일하게 분포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약액(L)은 서로 다른 농도 또는 밀도를 가지는 약물, 마이크로버블 또는 리포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약물, 마이크로버블 또는 리포좀에 탑재된 약재와 혼합된 약액(L)이 주입튜브(300)를 따라 수평면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하면서 혼합된 정도가 점차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혼합된 약액(L)이 충분한 시간 동안 균일한 분포로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 배치된 주입튜브(300)의 길이가 매우 길어지게 되므로 이를 수평면상에서 나선형 모양으로 권선하여 균일화부(3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입튜브(300)는 플라스틱, 비닐, 고무재질 등 유연한 소재로 된 관으로써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균일화부(310)를 수평면상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이를 고정하는 고정지그(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지그(400)의 고정을 통해 상기 균일화부(310)가 수평 면상에서 유지됨에 따라 상기 약액공급기(100)를 통해 공급되는 서로 다른 밀도 또는 농도를 갖는 유체들을 포함하는 약액(L)이 상기 균일화부(310)를 통과화면서 균일한 농도로 분포되어 천자바늘(200)을 통해 인체에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균일화부(310)를 수평면상에서 나선형으로 권선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지그(400)는 아래 실시예를 통해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4에 의하면, 상기 고정지그(400)는 우선, 상기 주입튜브(300)를 권선하여 나선형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균일화부(310)가 상면 중앙에 안착될 수 있으며, 둘레를 따라 방사 방향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가이드공(411)이 관통 형성된 하부판(410)을 구성한다.
상기 하부판(410)은 사각 또는 원형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패널이며,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관통된 제1가이드공(411)이 형성되고, 이 제1가이드공(411)은 둘레를 따라 두 개소 이상 방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410)의 상부에는 하부판(410)과 동일하게 형성된 상부판(4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가이드공(411)과 대응되는 제2가이드공(421)을 갖는다.
이때, 상기 하부판(410)과 상부판(420)의 사이에 주입튜브(300)의 균일화부(310)가 샌드위치 방식으로 고정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피스(430)가 각각 상기 제1가이드공(411)과 제2가이드공(421)에 순차적으로 관통 체결하여 상기 제1가이드공(411) 및 제2가이드공(421)을 따라 전/후진하여 상기 균일화부(310)를 안쪽으로 밀착시켜 상기 하부판(410)과 상부판(420)의 사이에 구비된 균일화부(3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판(420)의 중앙 출입구에는 상기 주입튜브(300)의 일 부분을 파지하여 권선된 균일화부(310)의 풀림을 방지하는 걸고리(423)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410)의 상부 중앙에는 원형의 단차부(413)가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주입튜브(300)를 상기 단차부(413)의 테두리를 따라 권선하여 균일화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판(410)의 중앙에 형성된 단차부(413)에 테두리를 따라 상기 주입튜브(300)를 나선형으로 권선하되, 상기 약액공급기(100)에 연결되는 입구 측을 상기 걸고리(423)에 걸어 상부판(420)의 출입구를 통과시켜 약액공급기(100)에 연결하고,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바깥쪽에 위치되는 주입튜브(300)의 출구 측을 상기 천자바늘(20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한편, 도 6에 의하면, 상기 고정지그(400)는 상기 주입튜브(300)를 권선하여 나선형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균일화부(310)가 상면 중앙에 안착되며, 둘레를 따라 방사 방향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가이드공(411)이 관통 형성된 하부판(410)을 구성한다.
상기 하부판(410)은 실시예 4과 같이, 사각 또는 원형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패널이며, 중심에서 바깥쪽 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관통된 제1가이드공(411)이 형성되고, 이 제1가이드공(411)은 둘레를 따라 두 개소 이상 방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고정피스(430)가 상기 제1가이드공(411)에 각각 관통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피스(430)에 관통 결합하는 관통공(441)을 갖는 고정브라켓(4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피스(430)를 상기 제1가이드공(411)을 따라 전/후진하여 상기 하부판(410)의 상부에 안착된 균일화부(310)의 바깥 둘레에 밀착한 후 체결 고정하되, 상기 고정브라켓(440)을 상기 균일화부(310)의 상면에 밀착한 후 체결 고정을 통해 한 몸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피스(430)의 조임을 통해 상기 하부판(410)에 안착된 균일화부(310)를 상기 고정브라켓(440)이 가압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410)의 상부 중앙에는 원형의 단차부(413)가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주입튜브(300)를 상기 단차부(413)의 테두리를 따라 권선하여 균일화부(3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균일화부(310)의 입구 측에 이탈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브라켓(440)의 단부에 상기 상부판(420)의 걸고리(423)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절곡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피스(430)의 체결을 해제하여 상기 고정브라켓(440)을 바깥쪽으로 회전시켜 내측에 공간을 갖도록 하여 상기 단차부(413)의 테두리를 따라 권선하여 균일화부(310)를 형성한 후 다기 상기 고정브라켓(440)의 균일화부(310)의 상부로 회전 위치시킨 후 고정피스(430)의 체결을 통해 균일화부(310)를 하부판(410)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 하부판(410)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주입튜브(300)의 일 부분인 균일화부(310)를 지면과 평행인 수평면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농도 또는 밀도를 갖는 유체들을 포함하는 약액(L)이 상기 균일화부(310)를 거치면서 점차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가지게 되어 상기 균일화부(310)의 천자바늘(200) 측에서는 혼합된 약액(L)의 농도가 균일하게 분포된 상태로 천자바늘(200)에 공급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체내에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된 약액을 주입시 발생되는 효과에 대해서 실험을 통한 결과로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장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된 약액 주입시 뇌혈관장벽(Blood Brain Barrier)가 개방되는 정도의 안정성을 확인한 것으로써, 도 7 좌측의 경우 본 발명의 약물주입장치가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이크로버블을 약액과 함께 체내 주입시켜 초음파에너지를 조사한 경우 MRI로 뇌혈관장벽의 개통을 확인하고 뇌혈관 주위의 조직세포들을 관찰한 결과(Histology)로써, 화살표가 가리키는 음영부분에 적혈구가 관찰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마이크로버블의 혈관내 농도분포가 균일하지 않아 일부 마이크로버블이 집중되어 농도가 높아진 곳에서는 초음파조사에 의하여 뇌혈관이 손상을 받고 적혈구 조직이 혈관밖으로 유출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뇌조직 손상 가능성이 높아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7 우측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장치를 사용하여 마이크로버블이 균일한 농도로 포함된 약액을 체내 주입시켜 초음파에너지를 조사한 경우 MRI로 뇌혈관장벽의 개통을 확인하고 뇌혈관 주위의 조직세포들을 관찰한 결과로써, MRI로 뇌혈관장벽의 개통을 확인한 결과 보다 안정적으로 뇌혈관장벽이 개방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뇌혈관 주위의 조직세포들을 관찰한 결과(Histology) 좌측과 같은 적혈구들이 관찰되지 않고 있어 뇌조직에 대한 손상이 없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즉, 본 약물주입장치를 이용하여 균일한 농도로 마이크로버블이 포함된 약액을 주입하면, 뇌혈관장벽을 뇌조직손상없이 안정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약물전달의 효과를 높이고 위험성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장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이 균일한 농도로 포함된 약액을 주입한후 뇌혈관장벽의 개통시 음향 공동 현상 신호 모니터링(Acoustic Cavitation Monitoring)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8의 좌측에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와 2차 공진주파수(Second harmonic freq) 사이의 피크 발생부분(점선 네모칸 부분)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피크가 발생하다가 발생하지 않다가 불규칙하게 변화하고 있어 불안정한 공동 현상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혈관내의 마이크로버블의 농도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8의 우측에 본 발명에 따른 약물주입장치를 사용한 경우 기본주파수(Fundamental freq)와 2차 공진주파수(Second harmonic freq) 사이의 피크 발생부분(점선 네모칸 부분)에서 시간의 변화에 따라 피크가 계속 동일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공동 현상 신호가 검출됨을 볼 수 있으는데, 이는 마이크로버블이 혈관 내에서 균일한 농도로 분포하여 뇌혈관장벽이 안정되게 개방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초음파조사에 따른 뇌혈관장벽개방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뇌조직 손상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보다 높은 약물전달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유체 상태에서 밀도 또는 농도가 서로 달라 균일하지 않은 상태로 혼합된 약액(L)을 균일한 농도 분포로 인체에 주입할 수 있어 각 성분의 약물의 복합적인 치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양 단부에 각각 약액공급기 및 천자바늘이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나선형으로 권선한 균일화부를 갖는 주입튜브와; 상기 균일화부의 권선된 모양이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공급기를 통해 공급되는 서로 다른 농도 또는 밀도를 갖는 유체들을 포함하는 약액이 상기 균일화부를 통과하여 균일한 농도로 천자바늘를 통해 인체에 주입되는 약물 주입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약액은 마이크로버블 또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고정피스의 조임을 통해 상기 하부판에 안착된 균일화부를 상기 고정브라켓이 가압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튜브의 소정의 길이를 나선형으로 권선하여 균일화부를 제공하여 마이크로버블, 리포좀 등 다양한 유체 상태에서 밀도가 서로 달라 섞이지 못하는 약액을 균일한 농도로 인체에 주입할 수 있어 약물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에 관련하여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0: 약액공급기
110: 약액공급팩
200: 천자바늘
300: 주입튜브
310: 균일화부
400: 고정지그
410: 하부판
411: 제1가이드공
423: 걸고리
413: 단차부
420: 상부판
421: 제2가이드공
430: 고정피스
440: 고정브라켓
441: 관통공
L: 약액

Claims (6)

  1. 양 단부에 각각 약액공급기(100) 및 천자바늘(20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나선형으로 권선한 균일화부(310)를 갖는 주입튜브(300)와;
    상기 균일화부(310)의 권선된 모양이 수평면상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지그(400)를 포함하되,
    상기 약액공급기(100)를 통해 공급되는 서로 다른 밀도 또는 농도를 갖는 유체들을 포함하는 약액(L)이 상기 균일화부(310)를 통과하여 균일한 농도로 천자바늘(200)을 통해 인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액(L)은 마이크로버블 또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400)는,
    상기 주입튜브(300)를 권선하여 나선형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균일화부(310)가 상면 중앙에 안착되며, 둘레를 따라 방사 방향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가이드공(411)이 관통 형성된 하부판(410)과;
    상기 하부판(410)에 대응하여 상기 균일화부(310)를 커버하며, 상기 제1가이드공(411)에 대응하는 제2가이드공(421)이 관통 형성된 상부판(420)과;
    상기 제1가이드공(411)과 제2가이드공(421)에 순차적으로 관통 체결하여 상기 하부판(410)과 상부판(420)의 사이에 구비된 균일화부(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복수의 고정피스(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400)는,
    상기 주입튜브(300)를 권선하여 나선형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균일화부(310)가 상면 중앙에 안착되며, 둘레를 따라 방사 방향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1가이드공(411)이 관통 형성된 하부판(410)과;
    상기 제1가이드공(411)에 각각 관통 체결하는 복수의 고정피스(430)와;
    상기 고정피스(430)에 관통 결합하는 관통공(441)을 갖는 고정브라켓(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피스(430)의 조임을 통해 상기 하부판(410)에 안착된 균일화부(310)를 상기 고정브라켓(440)이 가압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420)의 중앙 출입구에는,
    상기 주입튜브(300)의 일 부분을 파지하여 권선된 균일화부(310)의 풀림을 방지하는 걸고리(42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410)의 상부 중앙에는,
    원형의 단차부(413)가 더 돌출 형성되어 상기 주입튜브(300)를 상기 단차부(413)의 테두리를 따라 권선하여 균일화부(31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KR1020207011256A 2019-04-15 2020-04-14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KR102368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3496 2019-04-15
KR1020190043496 2019-04-15
PCT/KR2020/005030 WO2020213921A1 (ko) 2019-04-15 2020-04-14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078A KR20200123078A (ko) 2020-10-28
KR102368692B1 true KR102368692B1 (ko) 2022-03-02

Family

ID=7283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256A KR102368692B1 (ko) 2019-04-15 2020-04-14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8692B1 (ko)
WO (1) WO202021392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4008B2 (ja) * 2009-11-13 2014-05-0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静止型流体混合器及び静止型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JP2011104481A (ja) * 2009-11-13 2011-06-02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流体混合器
JP2011104483A (ja) * 2009-11-13 2011-06-02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静的流体混合器及び静的流体混合器を用いた装置
KR101640481B1 (ko) * 2016-05-25 2016-07-18 김준우 의료용 주입장치
KR101799812B1 (ko) * 2016-05-31 2017-11-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믹서가 결합된 3d 프린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세포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21A1 (ko) 2020-10-22
KR20200123078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338B2 (en) Medical microbubble generation
US8470298B2 (en) Method of preparing a medium with bubbles formed therein for contemporaneous injection
CN109069288B (zh) 医用冰浆生产和递送系统和方法
EP2964372B1 (en) A mixing apparatus
JP2002537950A (ja) 医療用超音波イメージングに用いられる撹拌装置及び該撹拌装置と組み合わされた流体調合システム
JP2002523188A (ja) 機械式流体撹拌装置を組み込んだ注射器及び注入器
JP2002523187A (ja) 磁性流体撹拌装置を組み込んだ注射器及び注入器
US6770051B2 (en)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KR102368692B1 (ko) 균일한 농도로 혈관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 장치
CN108289862A (zh) 调节氟碳化合物纳米乳液的粒径
JP5995127B2 (ja) 薬剤注入装置
KR20210019350A (ko) 나노버블발생장치
JP2007530224A (ja) 懸濁液中に懸濁可能な薬剤を維持する装置及び方法
US103688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foam
WO2015197546A1 (en) Injection assembly, method to inject a suspension, a method to swill a transporting vial, a transporting case for transporting a cartridge, a cartridge for use in the transporting case, and a transporting vial for use in the injection assembly
JP6544533B2 (ja) ソノポ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2586466B1 (ko)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KR102528533B1 (ko) 나노버블용해장치
KR102586467B1 (ko) 나노버블발생용 용해장치
KR20190122361A (ko) 나노버블이 적용된 수조시스템
KR102515903B1 (ko) 나노버블시스템
KR102565367B1 (ko) 나노버블발생장치
Unger Targeting and delivery of drugs with ultrasound contrast agents
JPH04319355A (ja) 超音波無菌乳化システム
TWM581905U (zh) 氣水混合裝置及包含其之足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