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654B1 -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 Google Patents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654B1
KR102368654B1 KR1020200046605A KR20200046605A KR102368654B1 KR 102368654 B1 KR102368654 B1 KR 102368654B1 KR 1020200046605 A KR1020200046605 A KR 1020200046605A KR 20200046605 A KR20200046605 A KR 20200046605A KR 102368654 B1 KR102368654 B1 KR 102368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apsules
present
substance
capsul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673A (ko
Inventor
이명연
최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안오가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안오가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안오가닉스
Priority to KR102020004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54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0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apsule or the structure of the filling; Capsules containing small tablets; Capsules with outer layer for immediate drug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205Amine addition salts of organic acids; Inner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betaine, 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15Organic compounds, e.g. fats, sug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61K9/5042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phthalate or acetate succinate ester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61K9/5047Cellulose ethers containing no ester groups, e.g.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73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Obesit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카테킨, 가르시니아, 엘카르니틴, 엘글루타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각각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되며,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된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질타입 캡슐 또는 연질타입 캡슐에 충진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은 각각 붕해 시간이 상이한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경구용 캡슐은 체중감소 효과가 있는 각각의 물질을 하루 2-3회씩 섭취해야하는 불편이 없고, 1일 1-2회 1종류의 경구용 캡슐 섭취로 체중감량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Capsule for Oral Comprising Green Tea Catechin}
본 발명은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붕해 시간이 상이하고, 각각의 캡슐에는 녹차 카테킨, 가르시니아, 엘카르니틴, 엘글루타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각기 상이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포함된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비만증은 일반적으로 체질량지수(BMI)가 25 kg/m2 이상으로 정의 되는데, 미국의 경우, 대략 20% 정도의 인구가 비만증에 해당되어 사회적으로도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비만증은 고혈압,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가 되기도 한다. 비만에 대한 관리 비용은 매년 100조원 정도에 이른다. 다이어트 열풍이 불고 있고, 비만과 관련하여 몇몇 식품이나 의약품이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효과적인 비만 치료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비만은 인체의 에너지 저장기능 장애라고 할 수 있다. 체중의 증가는 에너지 입출입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남아도는 칼로리가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형태로 지방조직에 축적됨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생합성에 있어서 결정적인 효소는 아실(acyl)CoA: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퍼라아제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DGAT) 라는 효소로서 포유동물의 다양한 조직에서 발견된다. 이 효소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생합성의 주 경로인 글리세롤 포스페이트(glycerol phosphate) 경로의 마직막 단계를 담당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소장에서 흡수된 지방산을 다시 트리글리세라이드로 합성시키는 단계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장기적으로 일상생활의 식이 및 생활습관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치료해 나가야 하므로, 독성을 갖는 의약품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식품의 형태로 장기적으로 섭취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비만환자들의 대부분이 고지혈증이나 당뇨병이 있기 때문에 비만치료 시 이에 관한 개선 효과도 매우 중요하다.
한편, 통상의 경질 캡슐제는 내용물은 1종류 이상의 약리학적 활성 성분 또는 기능성 성분을 과립 또는 마이크로캡슐 형태로 제조하고, 피막은 젤라틴, 셀롤로오스 등으로 제조한다. 젤라틴 경질캅셀은 젤라틴을 기제로 하여 제조된 것이며 젤라틴은 온도변화에 따라 졸(Sol)과 겔(Gel)로 가역적으로 변화 하는 특성이 있고, 인체에 무해하며, 구입이 용이하고 그 필름은 수분함량 13∼16% 사이에서 적당한 강도와 탄력성이 있기 때문에 의약품, 식품용 캅셀 제조에 사용되어 왔다.
비만 및/또는 경질캡슐 관련 특허 문헌을 살펴보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56315호(발명의 명칭 :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 및 이를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에서는 착즙한 다음 증류 추출하여 얻어진 고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14138호(발명의 명칭 : 피막 강도를 개선시킨 젤라틴 경질캅셀)에서는 건조 젤라틴 100 중량부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대해 PEG 600과 PEG 1500을 40∼60 : 60∼40 중량비로 혼합 용해시킨 PEG 혼합물 1∼10 중량부, 아세틸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로 유화시킨 유화제 0.1∼1.2 중량부 첨가하여 교반 정치시킨 후, 점도를 조절하여 침적 성형시키는 피막 강도가 개선된 젤라틴 경질캅셀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경질캡슐에 충진한 특허문헌은 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건강기능식품 등을 이용하여 체중감량하기 위해서는 녹차 카테킨, 가르시니아, 엘카르니틴, 엘글루타민 및 키토산과 같은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물질,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및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주기적으로 균형 있게 섭취해야하나, 각각의 물질을 하루 2-3회씩 섭취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물질,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및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 각각의 붕해 시간을 달리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고, 붕해 시간을 달리하는 마이크로캡슐을 경구용 캡슐에 충진하여 복용할 경우 1일 1-2회 1종류의 경구용 캡슐 섭취로 상술한 체중감량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경질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건강기능식품 등을 이용하여 체중감량하기 위해서는 녹차 카테킨, 가르시니아, 엘카르니틴, 엘글루타민 및 키토산과 같은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물질,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및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주기적으로 균형 있게 섭취해야하나, 각각의 물질을 하루 2-3회씩 섭취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물질,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및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 각각의 붕해 시간을 달리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고, 붕해 시간을 달리하는 마이크로캡슐을 경구용 캡슐에 충진하여 복용할 경우 1일 1-2회 1종류의 경구용 캡슐 섭취로 상술한 체중감량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녹차 카테킨, 가르시니아, 엘카르니틴, 엘글루타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각각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되며,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된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질타입 캡슐 또는 연질타입 캡슐에 충진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은 각각 붕해 시간이 상이한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1)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제1 물질; 2)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2 물질; 및 3)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제3 물질 각각을 이용하여 펠렛(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각각의 펠렛을 경질타입 캡슐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펠렛은 유동층과립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코팅액은 정제백당, 포도당, 트레할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트리톨,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오스, 감초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라한과 추출물, 옥수수 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탄산수소나트륨, 염화나트륨, 미결정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1)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제1 물질; 2)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2 물질; 및 3)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제3 물질 각각을 이용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각각의 연질캡슐을 연질타입 캡슐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질캡슐은 상기 연질캡슐은 상기 물질과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연질캡슐 외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상기 외피액으로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오일은 CLA(conjugated linole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 DHA(docosahexanoic acid), 정제어유, 물범유, 비타민 E 오일, 달맞이꽃종자유, 소맥배아유, 스쿠알렌, 대두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홍화유, 레시틴, 마늘오일, 다이글리세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물질을 1차 코팅하기 위하여 상기 물질 40-80 중량% 및 상기 오일 20-60 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하며, 상기 외피액은 젤라틴 70 내지 90 중량%, 글리세린 15 내지 25 중량%, D-솔비톨 1 내지 5 중량%, E-V(에칠 바닐린) 0.005 내지 0.1 중량%를 섭씨 90도 내지 110도에서 1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용해시켜 제조되는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녹차 카테킨, 가르시니아, 엘카르니틴, 엘글루타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각각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되며,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된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질타입 캡슐 또는 연질타입 캡슐에 충진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은 각각 붕해 시간이 상이한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인 경구용 캡슐은 체중감소 효과가 있는 각각의 물질을 하루 2-3회씩 섭취해야하는 불편이 없고, 1일 1-2회 1종류의 경구용 캡슐 섭취로 체중감량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경구용 캡슐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인 경구용 캡슐에 포함된 마이크로캡슐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유동층과립기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마이크로캡슐’은 외피 내부에 특정 물질을 포함하고, 그 직경이 0.0001-3 mm인 일체의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캡슐화’는 외피 내부에 특정 물질을 담지하는 일체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경질타입 캡슐’은 내부에 상술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경질 외피로 구성된 일체의 경구용 캡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연질타입 캡슐’은 내부에 상술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고, 연질 외피로 구성된 일체의 경구용 캡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펠렛’상기 마이크로캡슐의 범주에 포함되고, 외피를 분사 코팅 후 건조 방식에 의해 형성한 마이크로캡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연질캡슐’상기 마이크로캡슐의 범주에 포함되고, 외피를 액중적하법에 의해 형성한 마이크로캡슐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유동층과립기’는 외피를 형성하는 물질을 코어에 분사한 다음, 건조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일체의 기구 또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제1 물질, 2)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2 물질, 3)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제3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가 있는 식물 또는 동물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식물 또는 동물의 추출물,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식물 또는 동물의 추출물,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식물 또는 동물의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녹차 카테킨, 가르시니아, 엘카르니틴, 엘글루타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물질,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 각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물질,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 각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할 경우 체내에서 체지방이 축적되는 원인을 복수의 측면에서 차단할 수 있어, 비만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가 있는 식물 또는 동물의 추출물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언급한 식물 또는 동물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뿐만 아니라 상기 식물 또는 동물 자체를 섭취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된 가공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만일,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을 상기 식물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헥산, (i) 디에틸에테르, 또는 (j) 부틸아세테이트를 식물에 처리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은 바람직하게는 각기 다른 두께의 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위 또는 장에서 소화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각기 다른 두께의 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위 또는 장에서 소화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기존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의 경우 각각 체내에서의 기작이 상이한 다수의 식품 조성물을 1일 2-3 회 복용함에 반해,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각기 다른 두께의 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위 또는 장에서 소화되는 시간을 조절할 경우 1일 1-2 회 복용으로 24 시간 비만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연질캡슐, 펠렛(pelle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이 연질캡슐, 펠렛(pelle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이 연질캡슐, 펠렛(pelle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경우 붕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술한 물질들이 위산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의 붕해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1-12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의 붕해 시간이 0.1-12 시간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술한 물질들의 붕해 시간이 0.01-1 시간일 경우 음식물 섭취 즉시 흡수되는 영양분에 의해 체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붕해 시간이 1-12 시간일 경우 섭취된 음식물이 소화과정에 의해 서서히 흡수되어 체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의 붕해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물질, 상기 제2 물질 및 상기 제3 물질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제1 물질의 붕해시간은 바람직하게는 0.1-1 시간이고, 상기 물질 2 및 물질 3의 붕해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12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물질의 붕해시간은 0.1-1 시간이고, 상기 제2 물질 및 제3 물질의 붕해시간은 1-12 시간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탄수화물 같은 경우 섭취 후 즉시 체내 흡수되어 지방으로 합성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제1 물질의 경우 섭취 즉시 붕해되어 지방합성을 저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고,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2 물질,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제3 물질의 경우 체내에 장시간 체류하면서 지속해서 체지방을 감소시키고,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0001-3 mm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가 0.00001 mm 미만일 경우 마이크로캡슐 제작이 난해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가 3 mm를 초과할 경우 경구용 캡슐에 충진할 수 있는 캡슐의 종류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펠렛은 유동층과립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펠렛은 유동층과립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코팅액은 바람직하게는 정제백당, 포도당, 트레할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트리톨,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오스, 감초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라한과 추출물, 옥수수 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탄산수소나트륨, 염화나트륨, 미결정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백당, 포도당, 락토오스, 말토오스,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트리톨,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정제백당, 포도당, 아스파탐, 수크랄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백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연질캡슐은 상기 물질과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연질캡슐 외피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상기 외피액으로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CLA(conjugated linole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 DHA(docosahexanoic acid), 정제어유, 물범유, 비타민 E 오일, 달맞이꽃종자유, 소맥배아유, 스쿠알렌, 대두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홍화유, 레시틴, 마늘오일, 다이글리세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LA(conjugated linoleic acid), 정제어유, 물범유, 레시틴, 비타민 E 오일, 달맞이꽃종자유, 소맥배아유, 스쿠알렌, 대두유, 마늘오일, 다이글리세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CLA(conjugated linoleic acid) 또는 레시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물질을 1차 코팅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 40-80 중량% 및 상기 오일 20-60 중량%를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외피액은 바람직하게는 젤라틴 70 내지 90 중량%, 글리세린 15 내지 25 중량%, D-솔비톨 1 내지 5 중량%, E-V(에칠 바닐린) 0.005 내지 0.1 중량%를 섭씨 90도 내지 110도에서 1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젤라틴을 이용하여 외피액을 제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젤라틴을 주성분으로 외피액을 제조할 경우 마이크로캡슐이 위산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유효성분 대부분을 장에서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펠릿을 코어로 상기 연질캡슐의 외피를 피복한 복합 마이크로캡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로캡슐이 상기 펠릿을 코어로 상기 연질캡슐의 외피를 피복한 복합 마이크로캡슐 형태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상술한 물질을 설탕을 이용하여 피복한 펠렛을 연질캡슐의 외피로 피복할 경우 마이크로캡슐이 위산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펠렛에 코팅된 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장에서 흡수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코어에는 바람직하게는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물질,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의 코어에는 바람직하게는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및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을 중량기준 1 : 2-3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은 (a) 유동층과립기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물질,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물질; 및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물질 각각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정제백당 코팅액을 분사하여 펠렛(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펠렛을 젤라틴 70 내지 90 중량%, 글리세린 15 내지 25 중량%, D-솔비톨 1 내지 5 중량%, E-V(에칠 바닐린) 0.005 내지 0.1 중량%를 섭씨 90도 내지 110도에서 1 시간 내지 5 시간 동안 용해시켜 제조한 외피액으로 코팅하여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복합 마이크로캡슐을 경구용 캡슐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된 추출물 또는 물질은 비만 예방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비만 완화 효과 및 비만 치료 효과가 뛰어나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만 예방 효과 및 비만 치료 효과가 탁월한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등의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중 경피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경구형 제형인 경우 성인 기준으로 0.1-100 ㎎/kg 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일당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사용할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관절 통증 완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탁월한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경구용 캡슐 외피 10 제1 물질이 포함된 마이크로캡슐 20
제3 물질이 포함된 마이크로캡슐 30 제2 물질이 포함된 마이크로캡슐 40
펠렛 50 펠렛코어 51
펠렛외피 52 연질캡슐 60
연질캡슐 코어 61 연질캡슐 외피 62
복합 마이크로캡슐 70 복합 마이크로캡슐 코어 71
복합 마이크로캡슐 펠렛외피 72 복합 마이크로캡슐 연질캡슐 외피 73
경구용 캡슐 100

Claims (10)

  1. 녹차 카테킨, 가르시니아, 엘카르니틴, 엘글루타민, 키토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각각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되며,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에 캡슐화된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질타입 캡슐 또는 연질타입 캡슐에 충진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은 각각 붕해 시간이 상이한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1)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제1 물질;
    2)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2 물질; 및
    3)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제3 물질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은 각기 다른 두께의 코팅제를 코팅함으로써 위 또는 장에서 소화되는 시간을 조절하며,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은 연질캡슐, 펠렛(pelle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제1 물질 1의 붕해시간은 0.1-1 시간이고, 상기 제2 물질 및 제3 물질의 붕해시간은 1-12 시간이며,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의 붕해 시간은 상기 제1 물질, 상기 제2 물질 및 상기 제3 물질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하며,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직경은 0.00001-3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a) 1)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제1 물질; 2) 체지방을 감소시키는 제2 물질; 및 3)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키는 제3 물질 각각을 이용하여 펠렛(pellet)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제조한 각각의 펠렛을 경질타입 캡슐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펠렛은 유동층과립기를 이용하여 상기 물질에 코팅액을 분사하여 제조되며,
    상기 코팅액은 정제백당, 포도당, 트레할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크실리톨, 에리트리톨, 사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오스, 감초추출물, 스테비아 추출물, 라한과 추출물, 옥수수 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탄산수소나트륨, 염화나트륨, 미결정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프로멜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1항의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200046605A 2020-04-17 2020-04-17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KR102368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05A KR102368654B1 (ko) 2020-04-17 2020-04-17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05A KR102368654B1 (ko) 2020-04-17 2020-04-17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73A KR20210128673A (ko) 2021-10-27
KR102368654B1 true KR102368654B1 (ko) 2022-02-28

Family

ID=7828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605A KR102368654B1 (ko) 2020-04-17 2020-04-17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6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4189A (ja) * 2003-09-03 2007-03-01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異なる放出プロフィールを有する活性物質ぺレット含有カプセル
JP2007330124A (ja) * 2006-06-13 2007-12-27 Kenko Tsusho Kk 肥満及び生活習慣病の防止・改善をする為の健康食品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4189A (ja) * 2003-09-03 2007-03-01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異なる放出プロフィールを有する活性物質ぺレット含有カプセル
JP2007330124A (ja) * 2006-06-13 2007-12-27 Kenko Tsusho Kk 肥満及び生活習慣病の防止・改善をする為の健康食品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73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20084B (zh) 包含土茯苓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肥胖、高脂血症或脂肪肝的预防或治疗用药剂学组合物
KR101837679B1 (ko) 싸리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일주기 리듬 장애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CN102178885B (zh) 一种用于醒酒的药物组合物
CN102068494A (zh) 对化学性肝损伤有治疗作用的保健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415697B1 (ko)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20210128665A (ko) 복수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CN108143755B (zh) 一种防治2型糖尿病及其并发症的紫茉莉根总黄酮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368654B1 (ko) 녹차 카테킨을 포함하는 경구용 캡슐
CN101926791A (zh) 一种水飞蓟宾二偏琥珀酸酯盐的磷脂复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JP4516958B2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20120132653A (ko) 쌀겨 추출물 또는 쌀겨 분말의 수면 장애, 불안 또는 우울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신규 용도
KR20010066713A (ko) 다이어트 인삼제품 제조방법
JP6369931B2 (ja) 抗肥満剤
CN101822705A (zh) 桔梗总皂苷及单体桔梗皂苷d在解酒药物中的应用
JP2007070263A (ja) 糖尿病予防用組成物
KR102023053B1 (ko) 붉은 멍게 튜닉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CN102370716A (zh) 绞股蓝首乌养生保健药
CN102861278B (zh) 具有降血脂活性的益智有效部位提取物及其制备和用途
CN108498563B (zh) 一种壳聚糖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6210703A (ja) 時計遺伝子発現促進用組成物
CN110339229B (zh) 一种降黏清血组合物及其应用
CN108904807A (zh) 二甲双胍复配组合物及其应用
Marchyshyn et al. Study of hypoglycemic activity of extract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 & Endl.) root tubers
BR112020004364A2 (pt) método para preparar um extrato botânico de ácido abscísico
WO2008075649A1 (ja) 発毛促進用飲食物、医薬部外品、医薬組成物ならびに発毛促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