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567B1 - 감속기 - Google Patents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567B1
KR102368567B1 KR1020170154911A KR20170154911A KR102368567B1 KR 102368567 B1 KR102368567 B1 KR 102368567B1 KR 1020170154911 A KR1020170154911 A KR 1020170154911A KR 20170154911 A KR20170154911 A KR 20170154911A KR 102368567 B1 KR102368567 B1 KR 102368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earing
carrier
fixing
carrier plate
moto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675A (ko
Inventor
정경선
Original Assignee
현대제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유압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 감속기케이싱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링기어; 상기 모터케이싱과 상기 감속기케이싱 사이에 개재되는 메인베어링; 및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베어링을 고정 및 예압하는 캐리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속기 {Reduction Gear}
본 발명은 감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장비는 터닝 프레임과 선회모터 등을 포함한 상부회전체, 주행모터 등을 포함한 하부주행체, 붐과 버킷 등을 포함한 작업장치, 파킹브레이크장치 등 다양한 구성부품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건설장비는 선회 이동 및 주행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작업을 수행한다. 선회 이동은, 작업장치가 향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부회전체가 선회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주행 이동은 하부주행체가 동작함에 따라 건설장비 전체가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건설장비에서, 상부회전체의 선회 동작 및 하부주행체의 주행 동작은 유압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구현된다.
감속기는 본체 차량에 고정되고 내부에 유압모터가 구비된 모터케이싱에 맞물려 회전을 감속하면서 출력하게 된다. 감속기는, 유압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선기어와, 구동축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기어에 치합되고, 캐리어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속도로 공전 및 자전하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와, 감속기케이싱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유성기어와 캐리어장치로부터 감속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감속기케이싱이 회전되도록 하는 링기어를 포함한다.
상기한 감속기는 모터케이싱의 외주에 차체중량과 충격하중을 지지하는 메인베어링이 있으며, 메인베어링은 반경 방향과 축 방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메인베어링 외주에는 링기어와, 링기어와 결합되어 차체를 주행시키는 스프로켓이 장착되는 감속기케이싱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건설장비용 감속기에서, 메인베어링은 예압을 가하여 수명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일반적으로 적용한다. 예압구조 중에서 대표적인 방식인 토크를 통해 예압을 가하는 방식에는 너트링(Nut Ring)을 사용하며, 이는 고정용 구조로 예를 들어 락플레이트(Lock Plate)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즉, 메인베어링은 너트링을 통해 모터케이싱에 체결하고, 너트링을 고정하기 위해 너트링의 일측으로 치형을 갖는 다수의 락플레이트를 모터케이싱의 스플라인에 맞물리도록 일정간격으로 위치시키고, 너트링과 볼트로 체결하였다. 이에 따라 너트링에 풀림 토크가 작용할 경우 고정케이싱의 스플라인에 맞물린 락플레이트가 회전을 막아주어 메인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건설장비용 감속기는, 너트링과 락플레이트 등의 부품 설계와 제작, 조립이 필요함에 따라 제작 비용 및 장착을 위한 추가적인 설계 공간이 필요하고, 조립 시 너트링-락플레이트 간의 체결볼트 위치를 일치시켜야 하는 점에서 조립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베어링의 조립 시에 베어링에 예압을 주기 위한 기존의 너트링과 너트링을 고정하기 위한 락플레이트의 제작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너트링과 락플레이트 등의 부품 설계와 제작 그리고 조립에 따른 공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감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감속기는, 모터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유압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 감속기케이싱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링기어; 상기 모터케이싱과 상기 감속기케이싱 사이에 개재되는 메인베어링; 및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베어링을 고정 및 예압하는 캐리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리어장치는,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캐리어플레이트; 상기 유성기어가 축설되고,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캐리어핀; 및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타측면으로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베어링이 고정 및 예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예압수단은, 상기 캐리어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타측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 상기 제1가이드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체결홀; 및 상기 제1가이드홀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제1체결홀에서 체결되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를 상기 모터케이싱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메인베어링을 고정 및 예압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체결부재는,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반 볼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홀은, 일반 볼트의 나사부에 대응되도록 내주면 전반에 걸쳐 제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예압수단은,상기 캐리어핀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상기 캐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복수 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 상기 제2가이드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가이드홀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제2체결홀에서 체결되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를 상기 모터케이싱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메인베어링을 고정 및 예압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체결부재는,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숄더 볼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홀은, 숄더 볼트의 나사부에 대응되도록 안쪽 일부분의 내주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은,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보다 적어도 예상되는 예압량보다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는, 메인베어링의 조립 시에 베어링 고정 및 예압을 주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도록 캐리어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너트링과 락플레이트의 제작 및 적용이 불필요함에 따라 너트링과 락플레이트 등의 부품 설계와 제작 그리고 조립에 따른 공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속기는, 메인베어링의 조립 시에 베어링 고정 및 예압을 주기 위한 수단으로 제1고정/예압수단과 제2고정/예압수단을 함께 적용하되, 제1고정/예압수단의 제1체결부재로 일반 볼트를 사용하고, 제2고정/예압수단의 제2체결부재로 숄더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리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장치가 결합되는 모터케이싱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캐리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장치가 결합되는 모터케이싱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1)는, 본체 차량에 고정되고 내부에 유압모터(10)가 구비된 모터케이싱(20)에 맞물려 회전을 감속하면서 출력하게 된다. 감속기(1)는, 선기어(100), 유성기어(200), 링기어(300), 메인베어링(400), 캐리어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감속기(1)는 건설장비에서 상부회전체의 선회 이동에 대해 감속 기능을 구현하거나, 하부주행체의 주행 이동에 대해 감속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건설장비 이외에도 감속 기능을 필요로 하는 장비 또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선기어(100)는, 유압모터(10)에 연결된 구동축(30)의 회전력을 유성기어(200)에 전달할 수 있다. 선기어(100)는 구동축(30)에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성기어(200)와 치합될 수 있다.
유성기어(200)는, 구동축(30)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선기어(100)에 치합될 수 있고, 캐리어장치(500)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동일한 속도로 공전 및 자전할 수 있다.
유성기어(2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성기어(200)들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이격되게 하나의 선기어(100)에 모두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성기어(200)들은 선기어(100)를 중심으로 공전할 수 있다. 또한, 유성기어(200)들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이격되게 하나의 링기어(300)에 모두 치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감속기(1)는 유성기어(200)들에 내접하는 위치에 선기어(100)가, 유성기어(200)들에 외접하는 위치에 링기어(300)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유성기어(200)는 선기어(100) 및 링기어(300)에 동시에 맞물림에 따라 선기어(100)를 중심으로 공전함과 동시에 자전할 수 있다.
링기어(300)는, 감속기케이싱(40)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고, 유성기어(200)와 치합되며, 유성기어(200)와 캐리어장치(500)로부터 감속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감속기케이싱(4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베어링(400)은, 모터케이싱(20)의 외주에 차체중량과 충격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메인베어링(400)의 외주에는 링기어(300)와, 링기어(300)와 결합되어 차체를 주행시키는 스프로켓이 장착되는 감속기케이싱(4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베어링(400)은, 모터케이싱(20)과 감속기케이싱(40)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감속기케이싱(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메인베어링(400)은, 앵귤러 볼 베어링(Angular Ball Bearing) 또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Taper Roller Bearing)일 수 있으며, 이러한 베어링은 타 베어링에 대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대신 예압을 필요로 하여 조립 시에 일반적으로 예압을 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베어링(400)의 고정 및 예압을 후술할 캐리어장치(500)에 의해 구현할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한 베어링 예압을 위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캐리어장치(500)와 메인베어링(400)의 경계부분에 심(shim)을 삽입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캐리어장치(500)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200)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유성기어(200)들을 서로 연결함에 따라, 유성기어(200)들이 선기어(100)를 중심으로 동일한 속도로 공전하도록 한다.
이러한 캐리어장치(500)는,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에 고정되며, 메인베어링(400)의 내륜 일측면(400a)을 가압하여 메인베어링(400)을 고정 및 예압할 수 있도록, 캐리어플레이트(510), 캐리어핀(520), 제1고정/예압수단(530), 제2고정/예압수단(5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베어링(400)의 내륜 일측면(400a)과 연장선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 보다는 일정 간격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는 제1고정/예압수단(530)과 제2고정/예압수단(540)으로 캐리어장치(500)를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에 고정시킬 때, 캐리어플레이트(510)가 메인베어링(400)의 내륜 일측면(400a)을 가압함에 따라 메인베어링(400)이 내측으로 일정 거리, 예를 들어 적정한 예압량(mm)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즉,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은, 메인베어링(400)의 내륜 일측면(400a)보다 적어도 예상되는 예압량보다 내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캐리어플레이트(510)는, 중앙에 구동축(30)이 삽입되는 통공(511)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리어핀(520), 제1고정/예압수단(530)의 일부 구성, 제2고정/예압수단(540)의 일부 구성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캐리어핀(520)은, 유성기어(200)가 축설되어 자전함과 동시에 구동축(30)을 중심으로 공정할 수 있도록, 캐리어플레이트(510)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리어핀(520)은, 캐리어플레이트(5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캐리어핀(520)은, 캐리어플레이트(5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에는 제1고정/예압수단(530)의 일부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예압수단(530)은, 캐리어플레이트(510)의 타측면을 1차로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에 고정시키면서, 캐리어플레이트(510)의 타측면으로 메인베어링(400)의 내륜 일측면(400a)을 가압하여 메인베어링(400)이 1차로 고정 및 예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제1체결부재(531), 제1가이드홀(532), 제1체결홀(5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531)는, 제1가이드홀(532) 및 제1체결홀(533)을 통해 캐리어플레이트(510)를 모터케이싱(20)에 고정시키면서 메인베어링(400)을 고정 및 예압할 수 있으며,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반 볼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531)가 볼트인 경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서 볼트 자체의 조임량(체결토크) 체크를 통해 베어링 예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 볼트는 머리,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2체결부재(541)로 적용되는 숄더 볼트 대비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지지하는 기능은 없지만,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지지하는 기능은 탁월하다.
제1가이드홀(532)은, 캐리어핀(520)의 일측 단부로부터 캐리어플레이트(510)의 타측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부재(531)를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가이드홀(532)은, 복수 개의 캐리어핀(520)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체결홀(533)은, 제1가이드홀(532)에 대응되는 위치의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에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부재(531)를 체결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체결홀(533)은, 제1체결부재(531)가 예를 들어 볼트일 경우 볼트의 나사부에 대응되도록 내주면 전반에 걸쳐 제1나사산(533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예압수단(540)은, 캐리어플레이트(510)의 타측면을 2차로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에 고정시키면서, 캐리어플레이트(510)의 타측면으로 메인베어링(400)의 내륜 일측면(400a)을 가압하여 메인베어링(400)이 2차로 고정 및 예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제2체결부재(541), 제2가이드홀(542), 제2체결홀(5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541)는, 제2가이드홀(542) 및 제2체결홀(543)을 통해 캐리어플레이트(510)를 모터케이싱(20)에 고정시키면서 메인베어링(400)을 고정 및 예압할 수 있으며,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숄더 볼트(shoulder bolt)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541)가 숄더 볼트인 경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서 숄드 볼트 자체의 조임량(체결토크) 체크를 통해 베어링 예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숄더 볼트는, 머리, 나사산이 없는 핀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1체결부재(531)로 적용되는 일반 볼트보다는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지지하는 기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핀부가 면압을 지지하게 되므로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지지하는 기능은 탁월하다.
제2가이드홀(542)은, 캐리어핀(520)이 형성되지 않은 캐리어플레이트(510)의 부분에서 캐리어플레이트(510)를 관통하도록 복수 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부재(541)를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홀(542)의 그룹은, 복수 개의 캐리어핀(520)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제2체결홀(543)은, 제2가이드홀(542)에 대응되는 위치의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에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부재(541)를 체결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체결홀(543)은, 제2체결부재(541)가 숄더 볼트일 경우 숄더 볼트의 나사부에 대응되도록 안쪽 일부분의 내주면에 제2나사산(54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캐리어플레이트(510)의 타측면을 모터케이싱(20)의 일측면(20a)에 고정시키면서, 캐리어플레이트(510)의 타측면으로 메인베어링(400)을 내륜 일측면(400a)을 가압하도록, 제1고정/예압수단(530)만 적용할 경우에는 제1체결부재(531)가 일반적인 볼트를 사용하므로,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지지하는 것은 가능하나, 캐리어장치(500)에서 작용하는 하중으로 발생된 토크로 인해 볼트 풀림 및 파손의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예압수단(530)에 더하여 제2체결부재(541)로 숄더 볼트를 사용하는 제2고정/예압수단(540)을 형성함으로써, 볼트와 특수 구조간의 틈새를 최소화 하여,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지지하는 핀 역할과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지지하는 체결력을 동시에 가질 수 있게 한다. 즉, 본 실시예는, 제1고정/예압수단(530)과 제2고정/예압수단(540)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메인베어링(400)을 고정 및 예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 역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메인베어링(400)의 조립 시에 베어링 고정 및 예압을 주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도록 캐리어장치(500)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너트링과 락플레이트의 제작 및 적용이 불필요함에 따라 너트링과 락플레이트 등의 부품 설계와 제작 그리고 조립에 따른 공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메인베어링(400)의 조립 시에 베어링 고정 및 예압을 주기 위한 수단으로 제1고정/예압수단(530)과 제2고정/예압수단(540)을 함께 적용하되, 제1고정/예압수단(530)의 제1체결부재(531)로 일반 볼트를 사용하고, 제2고정/예압수단(540)의 제2체결부재(541)로 숄더 볼트를 사용함으로써,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고,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감속기 10: 유압모터
20: 모터케이싱 30: 구동축
40: 감속기케이싱 100: 선기어
200: 유성기어 300: 링기어
400: 메인베어링 500: 캐리어장치
510: 캐리어플레이트 511: 통공
520: 캐리어핀 530: 제1고정/예압수단
531: 제1체결부재 532: 제1가이드홀
533: 제1체결홀 533a: 제1나사산
540: 제2고정/예압수단 541: 제2체결부재
542: 제2가이드홀 543: 제2체결홀
543a: 제2나사산

Claims (7)

  1. 모터케이싱 내부에 구비되는 유압모터에 연결된 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
    감속기케이싱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링기어;
    상기 모터케이싱과 상기 감속기케이싱 사이에 개재되는 메인베어링; 및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베어링을 고정 및 예압하는 캐리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장치는,
    중앙에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까지 연장되는 크기를 갖는 캐리어플레이트;
    상기 유성기어가 축설되고,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캐리어핀;
    상기 복수 개의 캐리어핀에 대응되어 마련되며, 베어링의 축방향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반 볼트 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제1고정/예압수단;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고정/예압수단 각각의 사이에 마련되며, 캐리어 토크에 의한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숄더 볼트 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제2고정/예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고정/예압수단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캐리어핀 각각의 사이에 상기 캐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복수 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
    상기 제2가이드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상기 제2가이드홀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제2체결홀에서 체결되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타측면으로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베어링을 고정 및 예압하는 제2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예압수단은,
    상기 캐리어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타측면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
    상기 제1가이드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체결홀; 및
    상기 제1가이드홀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제1체결홀에서 체결되어,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타측면을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캐리어플레이트의 타측면으로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베어링을 고정 및 예압하는 제1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홀은,
    일반 볼트의 나사부에 대응되도록 내주면 전반에 걸쳐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홀은,
    숄더 볼트의 나사부에 대응되도록 안쪽 일부분의 내주면에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케이싱의 일측면은,
    상기 캐리어플레이트가 상기 메인베어링의 내륜 일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메인베어링이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이동되는 거리보다 적어도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KR1020170154911A 2017-11-20 2017-11-20 감속기 KR102368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911A KR102368567B1 (ko) 2017-11-20 2017-11-20 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911A KR102368567B1 (ko) 2017-11-20 2017-11-20 감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75A KR20190057675A (ko) 2019-05-29
KR102368567B1 true KR102368567B1 (ko) 2022-03-02

Family

ID=6667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911A KR102368567B1 (ko) 2017-11-20 2017-11-20 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0707A (ja) * 2013-07-23 2015-02-02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型モータ内蔵車輪用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2737U (ja) * 1992-02-03 1993-08-20 帝人製機株式会社 減速機ケース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0707A (ja) * 2013-07-23 2015-02-02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型モータ内蔵車輪用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75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2817B2 (ja) 車輪駆動装置
JP5832413B2 (ja) 車輪駆動装置
US20160169360A1 (en) Differential device
US9903464B2 (en) Differential device
US10006532B2 (en) Differential device
EP2843139B1 (en) Drive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EP1673253B1 (en) An arrangement for driving a wheel of a vehicle, and a planet carrier
CN103032554B (zh) 具有多功能套筒轴的变速箱
US20140260743A1 (en) Wheel driving apparatus
JP2016080152A5 (ko)
KR102368567B1 (ko) 감속기
JP6740726B2 (ja) ハブ軸受
JPH0425193B2 (ko)
KR100972214B1 (ko) 건설장비 차량의 액슬 허브 감속 장치
US9810306B2 (en) Differential device
CN108473052B (zh) 轮毂单元
JP6587892B2 (ja) 差動装置
KR102554077B1 (ko) 액추에이터
JP6182428B2 (ja) 遊星歯車減速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078882A1 (en) Reduction gear
US20160116047A1 (en) Differenti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026065A (ja) 減速機
JP5764157B2 (ja) 作業車両のアクスル装置及び作業車両
JP2022549409A (ja) 分離された内輪/一体型ベアリングを備えた掘削駆動機
KR10069213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차동기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