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544B1 - 전착방법 - Google Patents

전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544B1
KR102368544B1 KR1020210087563A KR20210087563A KR102368544B1 KR 102368544 B1 KR102368544 B1 KR 102368544B1 KR 1020210087563 A KR1020210087563 A KR 1020210087563A KR 20210087563 A KR20210087563 A KR 20210087563A KR 102368544 B1 KR102368544 B1 KR 10236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product
degreasing
pressur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희
Original Assignee
이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웅희 filed Critical 이웅희
Priority to KR102021008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0Pre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05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 C23C22/06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 C23C22/07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aqueous solutions using aqueous acidic solutions with pH less than 6 containing phosphates
    • C23C22/08Orthophosphates
    • C23C22/12Orthophosphates containing zinc 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7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14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lkaline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2Servicing or operating apparatus or 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전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을 거쳐서 제품에 피막을 형성하되 상기 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되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만들며, 또한 본발명의 전착방법에 의해 전착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착방법{Electrodeposition method}
본발명은 전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되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만들며, 또한 본발명의 전착방법에 의해 전착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전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19713호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금속소재 표면을 표면처리하는 도장작업은 전착도장, 정전분체도장 등이 알려져 있으며, 상기 전착도장방법으로는 랙(Rack, 또는 Hanger) 타입이나 바스켓(Basket) 타입의 전착도장작업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랙타입 또는 바스켓 타입의 전착도장 작업 등은 랙에 표면처리하고자 하는 피도물을 다수 걸어서 이를 전착도료가 수납된 처리조 내에 침강시켜 처리조 내의 전착도료(+)가 피도물(-)에 전착되어 도장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19713호의 청구항 1에는 전처리의 공정은 탕세→ 예비탈지→ 본탈지→ 1차수세→ 2차수세→ 표면조정→ 화성피막→ 3차수세→ 4차수세→순수세→ 건조로 구성되는 전착도장의 화성피막을 형성하는 처리방법에 있어서,
화성피막용 탱크에 피막액을 투입하고, 피막액 속에 피도물을 침지시킨 다음, 피막액을 교반시켜 피막액의 피막제와 피도물의 금속표면 사이에 화학반응을 통해 인산염 피막을 금속표면에 형성하고, 피막액의 전산도 15~25pt, 피막액의 유리산도 0.8~1.5pt, 피막액의 촉진도 0.8~1.2pt의 조건을 만족하여 피막의 중량 및 입도를 관리기준범위 내로 유지함에 따라 피도물 금속표면의 내식성 및 전착도료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피도물의 금속표면의 내식성 및 도료의 밀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인산염 피막의 중량은 2~3g/㎡, 피막의 두께는 3~5㎛, 피막의 입도는 5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의 화성피막처리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14517호에는 피도물(20)에 전착도장을 하기 전에 준비하는 공정 중 탈지 및 수세 단계 이후 화성피막 이전에 이루어지는 표면조정의 전착도장의 방법에 있어서, 피도물(20)을 표면조정챔버(14)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표면조정액용 펌프(21)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표면조정챔버(14)의 내부에 장착된 스프레이 노즐(16)을 통해 표면조정액을 피도물(20)에 분사시키는 단계; 상기 표면조정액이 피도물(20)과 화학반응하여 피도물(20)의 표면입자를 균일하고 치밀하게 하는 단계; 및 수세공정에서 세척되지 않아서 피도물(20)에 잔존하는 알카리 탈지제가 표면조정공정 중 표면조정액에 오염된 정도(오염도 및 알카리도)를 주기적으로 체크함으로써, 표면조정에 의해 피막 결정의 균일성 및 치밀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도장의 전처리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화성피막공정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여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안전사고 위험이 있고, 비위생적인 작업환경이 되며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되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만들며, 또한 본발명의 전착방법에 의해 전착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전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전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을 거쳐서 제품에 피막을 형성하되 상기 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막은 인산아연계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되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만들며, 또한 본발명의 전착방법에 의해 전착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로딩단계 사진
도 2는 본발명 전착방법의 탕세단계 사진
도 3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예비탈지단계 사진
도 4는 본발명 전착방법의 본탈지 1단계 사진
도 5는 본발명 전착방법의 본탈지 2단계 사진
도 6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수세 1단계 사진
도 7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수세 2단계 사진
도 8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표면조정단계 사진
도 9는 본발명 전착방법의 화성피막단계 사진
도 10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수세3단계 사진
도 11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수세4단계 사진
도 12는 본발명 전착방법의 순수세단계 사진
도 13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전착도장단계 사진
도 14는 본발명 전착방법의 UF1수세단계 사진
도 15는 본발명 전착방법의 UF2수세단계 사진
도 16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UF3수세단계 사진
도 17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최종순수세 단계 사진
도 18은 본발명 전착방법의 건조단계 사진
도 19는 본발명 전착방법의 언로딩단계 사진
도 20은 종래 전착방법에 의한 제품결함사진
도 21은 본발명 전착방법에 의한 정상제품 사진
본발명은 전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을 거쳐서 제품에 피막을 형성하되 상기 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품은 자동차 엔진용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막은 인산아연계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은 로딩단계-탕세단계-예비탈지단계-본탈지 1단계-본탈지 2단계-수세 1단계-수세 2단계-표면조정단계- 화성피막단계-수세3단계-수세4단계-순수세단계-전착도장단계 -UF1수세단계- UF2수세단계-UF3수세단계-최종순수세 단계-건조단계-언로딩단계-검사 및 포장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에 대해 하기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발명의 로딩단계는 제품을 행거에 장착하는 공정이다.
로딩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작업현황판에 기재된 작업지시에 의해 정해진 양을 작업한다.
제품에 따라 사용하는 행거가 다르게 되므로, 행거 기준표에 명시된 내용에 따라, 적합한 행거를 사용한다.
작업 후 걸이가 흔들려도 제품이 탈착되지 않는지 관리자가 확인한 후 HANGER에 걸도록 한다.
특히, 제품이 장착된 걸이는 무거우므로, 컨베어로 이송시에 반드시 생산관리자가 지시한 작업자가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컨베어에 장착 하도록 한다.
2. 탕세단계는 피도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 온도45~60℃, 압력0.5~1.5㎏f/㎠이다.
탕세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금속제품을 HANGER에 일정하게 장착시켜 컨베이어 1차행거에 건다.
콘트롤 판넬에서 콘베어 구동장치를 작동시키고 속도 조절기를 SETTING시킨다.
온도와 펌프순환 압력을 확인하고, 전착관리일지 및 설비일상점검에 기록한다.
탕세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제품이 전처리 공정 내부로 안전하게 진입되는지 확인하며, 탕세공정의 작업시 제품 흔들림으로 인한 낙하의 위험이 없는지 확인한다.
3. 예비탈지단계는 피도체의 먼지,OIL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 알카리POINT 15 ~ 30㎖, 온 도35 ~ 45℃ ,압력0.2~1.0㎏f/㎠이며,
NOZZLE 분사상태(노즐 막힘 없을 것), 분사각도(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을 것),정량공급장치 약품 정량(20~100L)을 확인한다.
투입시간, 대기시간을 확인하며, 유분함유량 2,000ppm이하이다.
본발명의 탈지제는 알칼리용액인 친환경탈지제로서 NC-CLEANER EC155 A를 사용한다. 혼합비는 물 40 ~ 5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나트륨 0 ~ 5중량부, 수산화칼륨 0 ~ 5중량부, 탄산나트륨 1 ~ 10중량부, 규산나트륨 15 ~ 25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이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산 용액은 물 62 ~ 64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1(CAS번호 KE:2010-3-4598) 25 ~ 29중량부, 에폭시 수지2(CAS번호 KE:2010-3-4598) 2 ~ 4중량부, 마이크로겔(CAS번호 M608707) 1 ~ 3중량부, 뷰틸 셀로솔브(뷰틸 옥시톨 2-부톡시에탄올) 0.1 ~ 0.5,아세트 산 (ACETIC ACID 98) 0.1 ~ 1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을 사용한다.
또는 물 16 ~ 26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수지 1 (M6-0899)(CAS번호 M60899) 38 ~ 48중량부, 카올린(KAOLIN) 20 ~ 30중량부, 다이뷰틸 산화주석 0.1 ~ 5중량부, 카본 블랙 (CARBORN BLACK) 0.1 ~ 10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을 사용한다.
예비탈지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탕세를 거친 제품을 콘베어로 이동시킨다. SPRAY 상태를 확인하고 SPRAY를 작동시킨다.
예비탈지 탱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알카리도를 측정하고, 예비탈지 공정에서의 온도 및 압력 등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예비탈지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알카리성이므로 피부 및 옷에 접촉을 피한다. 피부접촉시 물로 세척한다.
약품보급은 본 공정에서 알카리도를 1 POINT 올리기 위해서는 NC-CLEANER 150A(16.0kg), 155B(1.6kg)을 투입한다.
4. 본탈지 1단계는 피도체의 먼지,OIL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 알카리POINT 15 ~ 30㎖, 온도45 ~ 55℃,압력0.5~1.5㎏f/㎠, NOZZLE 분사상태(노즐 막힘 없을 것), 분사각도(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을 것), 정량공급장치 약품 정량(20~100L)을 확인한다.
투입시간, 대기시간을 확인하며, 유분함유량 2,000ppm이하이다.
본탈지 1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예비탈지를 거친 제품을 콘베어로 이동시킨다.
순환펌프를 작동시킨다.
본탈지 탱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알카리도를 측정하고, 본탈지 공정에서의 온도 및 압력 등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탈지 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알카리성이므로 피부 및 옷에 접촉을 피한다.
피부접촉시 물로 세척한다.
약품보급은 본 공정에서 알카리도를 1 POINT 올리기 위해서는 NC-CLEANER 150A(24.0kg), 155B(2.4kg)을 투입한다.
5. 본탈지 2단계는 피도체의 먼지,OIL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 알카리POINT 15 ~ 30㎖, 온도45 ~ 55℃,압력0.5~1.5㎏f/㎠, NOZZLE 분사상태(노즐 막힘 없을 것), 분사각도(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을 것), 정량공급장치 약품 정량(20~100L)을 확인한다.
투입시간, 대기시간을 확인하며, 유분함유량 2,000ppm이하이다.
본탈지 2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본탈지 2공정은 본탈지1을 거친 제품을 콘베어로 이동시킨다.
순환펌프를 작동시킨다.
본탈지 탱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알카리도를 측정하고, 본탈지 공정에서의 온도 및 압력 등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탈지 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알카리성이므로 피부 및 옷에 접촉을 피한다.
피부접촉시 물로 세척한다.
약품보급은 본공정에서 알카리도를 1 POINT 올리기 위해서는 NC-CLEANER 150A(24.0kg), 155B(2.4kg)을 투입한다.
6. 수세 1단계는 탈지액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 N. V 5 % 이하압력0.2~1.0㎏f/㎠, NOZZLE분사상태(노즐 막힘 없을 것), 분사각도(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을 것)를 확인한다.
수세 1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SPRAY 펌프 가동으로 SPRAY를 분사한다.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액 LEVEL 조절을 정확히 한다.
NOZZLE 관리를 철저히 한다.
7. 수세 2단계는 탈지액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N. V3 % 이하, 압 력0.5~1.5㎏f/㎠이다.
수세 2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펌프 가동으로 UF 수세를 순환한다.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액 LEVEL 조절을 정확히 한다.
8. 표면조정단계는 피도물의 활성화처리공정이다.
작업조건은 P H8.5 ~ 10.5,알카리 POINT2.0~6.0 ㎖이다.
표면조정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링브로와를 가동하여 순환한다.
시료를 채취하여 알카리도 및 PH를 확인 후 전착관리일지에 기록한다.
특히, PH관리를 특별히 주의 한다.
보급 건욕시 완전 용해 후 투입한다.
약품취급시 보호구를 착용한다.
약품보급의 경우 표면조정제(SURRINE#10L)는 사용량을 결정한 후 용해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공정에서 알카리도를 1 POINT 올리기 위해서는 SURRINE#10L을 0.6kg 투입한다.
표면조정제는 실온에서 보관 및 사용하도록 한다.
9. 화성피막단계는 인산아연계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작업조건은 전산도(TA)18.0~24.0 ㎖, 유리산도(FA)0.4~1.5 ㎖
촉진도(ACC)2.0~4.0㎖, 온도35 ~ 45℃
슬러지량 0.6%이하, 압력0.5~1.5㎏f/㎠
정량공급장치 약품 정량(20~100L),투입시간, 대기시간 확인
입자크기15㎛ 이하, 피막중량 1.8~3.0g/㎡ 이다.
화성피막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콘베어로 서서히 이동시킨다.
펌프를 가동하여 약품을 계속 순환시킨다.
시료를 채취하여 전산도, 유리산도, 촉진도, 슬러지량을 측정하여 전착관리일지에 기록하고,압력 및 정량공급장치 작동을 확인하여 일상점검일지에 기록한다.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중독성, 부식성, 인체에 유해하므로 보호구를 착용한다. 약품보급은 전산도(TA) 1POINT를 올리기 위해서는 피막제 SURFDINE 37(R)을 35.0kg 투입한다.
촉진도 1POINT를 올리기 위해서는 촉진제TONER30을 7.5㎏을 투입하여야 한다.
10. 수세3단계는 피막약품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 산오염도10.0㎖ 이하, 압력0.2~1.0㎏f/㎠이다.
NOZZLE분사상태(노즐 막힘 없을 것)분사각도(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을 것)
수세3단계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SPRAY 펌프 가동으로 SPRAY를 분사한다.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도를 측정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다음 공정에 피막 슬러지가 이송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11. 수세4단계는 순수의 오염방지공정이다.
작업조건은 산오염도 5.0㎖ 이하이다.
수세4단계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링브로와를 가동하여 순환한다.
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도를 측정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다음 공정에 피막 슬러지가 이송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12. 순수세 단계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 P H5.5~7.5,압력0.5~1.5㎏f/㎠이다.
순수세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펌프 가동으로 순수세를 순환시킨다.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PH를 측정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순수순도가 50만Ω 이상의 순수를 공급한다.
13. 전착도장단계는 수용성 도료의 전기 착색공정이다.
작업조건은
N.V15 ~ 22 %, 온도28~32℃, 전압260V ±5V, 통전시간 90초, 력 2.0~4.0㎏f/㎠, PH5.7~6.4, MEQ(산이온농도)" 20~30, 전도도 1200 ~ 1800㎲/㎝, ASH(회분) 12~16%이다.
전착도장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순수세된 제품을 TANK안에 DIP시킨다.
펌프를 가동하여 도료를 계속 순환시킨다.
콘베어로 서서히 이동시킨다.
1일 2회 순회하며 여액량, 필터압, 온도, 전압,컨베어 통전시간을 확인 후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N.V(농도)를 분석하여 기록한다.
전착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통전중 출입금지(감전위험)한다.
도료보급은 NV농도에 따른 도료의 투입량은 1% 상승을 위한 도료의 투입기준에 준하여 투입한다.
14. UF1수세단계는 과잉도료 세척공정이다.
작업조건은 N. V1 5 이하, 압력 0.2~1㎏f/㎠이다.
UF1수세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SPRAY 펌프 가동으로 SPRAY를 분사한다.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액 LEVEL 조절을 정확히 한다.
NOZZLE 관리를 철저히 한다.
15. UF2수세단계는 과잉도료를 세척하는 단계이다.
작업조건은 N. V1 3% 이하, 압력 0.5~1.5㎏f/㎠이다.
UF2수세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펌프 가동으로 UF 수세를 순환한다.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액 LEVEL 조절을 정확히 한다.
16. UF3수세단계는 과잉도료를 세척하는 단계이다.
작업조건은 N. V 1 % 이하, 압력 0.5~1.5㎏f/㎠이다.
UF3수세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펌프 가동으로 UF 수세를 순환한다.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액 LEVEL 조절을 정확히 한다.
17. 최종순수세 단계는 과잉도료를 세척하는 공정이다.
작업조건은 PH5.5 ~ 7.5, 압력 0.2 ~ 1.0 ㎏f/㎠,
NOZZLE분사상태(노즐 막힘 없을 것),분사각도(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을 것)를 확인한다.
최종순수세공정순서는 다음과 같다.
SPRAY 펌프 가동으로 SPRAY를 분사한다.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 및 PH 측정하여 공정관리일지에 기록한다.
수세된 제품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확인한다.
특히, 액 LEVEL 조절을 정확히 한다.
NOZZLE 관리를 철저히 한다.
18. 건조단계는 전착도장 제품의 건조공정이다.
건조공정은 전착도장 제품의 건조를 하는 것이다.
건조온도는 160~200℃, GAS 압력 2~4 Kpa로 실시한다.
건조작업방법순서는 다음과 같다.
순환 FAN을 가동시켜 충분히 프리퍼지시킨다.
GAS 밸브를 OPEN한다.
GAS 압력을 확인하고, BURNER 로 점화시킨다.
공정조건 관리표에 명시된 조건대로, 제품에 맞게 온도를 조정한다. 특히, 컨베이어 속도 저하 또는 온도를 잘못 설정 해서 과다한 건조를 하면 도막이 타면서 변색된다.
19. 언로딩단계
건조로에서 나오는 제품을 호이스트을 사용하여 컨베이어 에서 내린다. 정해진 탈착 장소로 걸이 전체를 이송하여, 걸이에서 제품을 탈착하여, 검사표준서에 따라 검사후 정해진 포장용기에 담는다.
작업이 끝난 후에는 걸이를 정해진 제품걸이에 적치한다.
포장된 제품은 검사를 위해 출고대기장소로 이송 시킨다.
특히 건조로에서 나오는 제품걸이 및 제품은 온도가 높은 상태이므로 취급시 두터운 장갑을 착용한 후 취급하고, 특히 얼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제품이 무거우므로, 컨베이어에서 걸이를 탈착할 때 반드시 안전화를 착용한다.
20. 검사 및 포장단계
작업조건은 외관은 도장불량 없어야 하며,
도장두께(제품)15㎛ 이상 ,
부착성,연필경도,내충격성,
내 유 성, 내 수 성,내염수분무성이 적정하여야 하며,
중금속(Pb,Cd,Hg,Cr6+) 이 없어야 한다.
작업내용은 건조된 제품을 해체시켜 SAMPLING 검사를 한다.
근본적으로는 피도체의 전착상태를 최종 검사 하는 항목으로,각각의 항목에 맞게, 교정받은 계측기를 사용하여 검사한다.
검사후 각각의 고객에 따른 검사성적서 양식을 사용하여 내용을 기록하며, 밀착성의 경우 TEST 결과가 표시된 TAPE를 검사성적서에 부착하여 보낸다.
검사 공정은 다음과 같다.
밀착성시험: 가로,세로 1㎜간격으로 10칸의 흠집을 낸 후 테잎을 붙였다 떼어냈을때 100칸의 도막 중에 떨어지는 도막이 없어야 한다.
경도: HB연필로 시편을 긁었을때 벗겨지거나 긁힘이 없어야 한다.
내식성 시험은 분기별 또는 고객과의 협의사항에 따라 실시하며, 시험시간은 검사표준서에 따라 정해진 방법으로 실시한다.
불합격 제품은 부적합 제품보관장소로 이송시키고 합격된 제품은 출고대기장소로 이송시킨다.반드시 인정받은 검사원이 시험하도록 한다.
특히, 도막두께 측정시 측정기의 영점을 확인 후 검사 한다.
검사 후 이상이 발생하였을 시에는 각 부서장에게 보고하며, 고객에게 유선또는 문서를 통하여 통보하도록 한다.
곧, 본발명은 화성피막 전공정 예비탈지, 본탈지#1, 본탈지#2, 3공정은 알칼리탈지제로써 Ph10.5 ~12.5 수준의 알칼리성이고, 화성피막(ph3~4), 전착공정(UF1,2,3 공정 포함)(ph5.7~6.4)은 산성의 공정이다. 공정 간 알칼리성의 액체가 산성의 액체를 만나게 될 경우 중화반응에 의한 순간 적 열발생으로 제품 표면에 끓음 현상(도료응고)이 발생이 되어, 외관 불량이 발생된다.본발명은 1차헹거 수세를 추가함으로써 알칼리 유입을 원천 차단하는 효과를 내었다. Ph 7을 기준으로 7이하의 경우 산성, 7일 경우 중성, 7이상을 산성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되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시 사용되는 산과 시 사용되는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만들며, 또한 본발명의 전착방법에 의해 전착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을 거쳐서 제품에 피막을 형성하되 상기 화성피막공정 전단계로 알칼리를 사용하는 탈지공정을 거치되, 상기 탈지공정이후 수세공정을 거쳐서 화성피막공정, 전착도장공정시 산과 탈지공정시 사용된 알칼리가 반응하는 것으로,상기 피막은 안산아연계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상기 전착방법은 피도체인 제품을 행거에 장착하는 로딩단계;
    피도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탕세단계;
    피도체의 먼지, 기름 이물질을 제거하는 예비탈지단계;
    피도체의 먼지, 기름 이물질을 제거하는 본탈지 1단계;
    피도체의 먼지, 기름 이물질을 제거하는 본탈지 2단계;
    탈지액을 제거하는 수세 1단계;
    탈지액을 제거하는 수세 2단계;
    피도체의 활성화처리공정인 표면조정단계;
    인산아연계 피막을 형성하는 화성피막단계;
    피막슬러지를 제거하고 순수의 오염방지를 하는 수세3, 4단계;
    이물질을 제거하는 순수세단계;
    전기착색공정인 전착도장단계;
    UF1수세단계, UF2수세단계, UF3수세단계, 최종순수세 단계;
    건조단계;
    언로딩단계;
    검사 및 포장단계;로 이루어지는 전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지공정에 사용되는 탈지제는 물 40 ~ 50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나트륨 0 ~ 5중량부, 수산화칼륨 0 ~ 5중량부, 탄산나트륨 1 ~ 10중량부, 규산나트륨 15 ~ 25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이며, 산 용액은 물 62 ~ 64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1(CAS번호 KE:2010-3-4598) 25 ~ 29중량부, 에폭시 수지2(CAS번호 KE:2010-3-4598) 2 ~ 4중량부, 마이크로겔(CAS번호 M608707) 1 ~ 3중량부, 뷰틸 셀로솔브(뷰틸 옥시톨 2-부톡시에탄올) 0.1 ~ 0.5중량부,아세트 산 (ACETIC ACID 98) 0.1 ~ 1중량부를 혼합한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UF1수세단계,UF2수세단계, UF3수세단계 및 최종순수세단계는 과잉도료를 세척하는 공정이되, 펌프 가동으로 스프레이 분사할 시 압력은 UF1수세단계는 0.2~1.0 ㎏f/㎠, UF2 수세단계는 0.5~1.5 ㎏f/㎠ , UF3 수세단계는0.5~1.5 ㎏f/㎠ ,최종순수세단계는 0.2~1.0 ㎏f/㎠인 것이며,
    상기 로딩단계는 제품을 행거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제품이 장착된 행거는 무거우므로, 컨베어로 이송시에 작업자가 호이스트를 사용하여 컨베어에 장착 하도록 하며,
    상기 탕세단계는 피도체인 제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작업조건은 온도45~60℃, 압력0.5~1.5㎏f/㎠이며, 콘트롤 판넬에서 콘베어 구동장치를 작동시키고 속도 조절기를 세팅(SETTING)시키며, 온도와 펌프순환 압력을 확인하며, 탕세를 하는 것이며,
    상기 예비탈지단계는 피도체인 제품의 먼지,기름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작업조건은 온 도35 ~ 45℃ ,압력0.2~1.0㎏f/㎠이며, 노즐(NOZZLE) 분사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노즐 막힘을 확인하며, 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게 분사각도를 확인하며, 유분함유량 2,000ppm이하로 관리하되, 예비탈지 탱크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알카리도를 측정하고, 예비탈지단계에서의 온도 및 압력을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본탈지 1단계는 피도체인 제품의 먼지,오일(OIL)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작업조건은 온도45 ~ 55℃,압력0.5~1.5㎏f/㎠이며, 노즐(NOZZLE) 분사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노즐 막힘을 확인하며, 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게 분사각도를 확인하며, 유분함유량 2,000ppm이하로 관리하되,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고, 시료를 채취하여 알카리도를 측정하고, 온도 및 압력을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본탈지 2단계는 피도체인 제품의 먼지,오일(OIL)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작업조건은 온도45 ~ 55℃,압력0.5~1.5㎏f/㎠이며, 노즐(NOZZLE) 분사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노즐 막힘을 확인하며, 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게 분사각도를 확인하며, 유분함유량 2,000ppm이하로 관리하되, 순환펌프를 작동시키고, 시료를 채취하여 알카리도를 측정하고, 온도 및 압력을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수세 1단계는 탈지액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작업조건은 압력0.2~1.0㎏f/㎠이며, 노즐(NOZZLE) 분사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노즐 막힘을 확인하며, 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게 분사각도를 확인하며, 스프레이(SPRAY) 펌프 가동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수세 2단계는 탈지액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작업조건은 압력0.5~1.5㎏f/㎠이며,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표면조정단계는 피도물인 제품의 활성화처리 공정으로, 작업조건은 PH8.5 ~ 10.5이며, 링브로와(Ring Blower)를 가동하여 순환하고, 시료를 채취하여 PH를 확인 후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화성피막단계는 인산아연계 피막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작업조건은 전산도(TA)18.0~24.0 ㎖, 유리산도(FA)0.4~1.5 ㎖, 촉진도(ACC)2.0~4.0㎖, 온도35 ~ 45℃, 슬러지량 0.6%이하, 압력0.5~1.5㎏f/㎠, 입자크기15㎛ 이하, 피막중량 1.8~3.0g/㎡ 이며,
    화성피막공정순서는 콘베어로 피도물인 제품을 이동시키며, 펌프를 가동하여 약품을 계속 순환시키며, 시료를 채취하여 전산도, 유리산도, 촉진도, 슬러지량을 측정하여 공정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수세3단계는 피막약품의 슬러지를 제거하는 공정으로, 작업조건은 압력0.2~1.0㎏f/㎠이며, 노즐(NOZZLE) 분사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노즐 막힘을 확인하며, 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게 분사각도를 확인하며, 스프레이 펌프 가동으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것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도를 측정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수세4단계는 순수의 오염방지공정으로, 링브로와를 가동하여 순환시키며, 시료를 채취하여 오염도를 측정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순수세 단계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작업조건은 P H5.5~7.5,압력0.5~1.5㎏f/㎠이며, 펌프를 가동하여 순수를 순환시키며, 압력을 확인 후 일상점검에 기록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PH를 측정하여 공정 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전착도장단계는 수용성 도료의 전기 착색공정으로, 작업조건은
    온도28~32℃, 전압260V ±5V, 통전시간 90초, 압력 2.0~4.0㎏f/㎠, PH5.7~6.4, MEQ(산이온농도)" 20~30, 전도도 1200 ~ 1800㎲/㎝, ASH(회분) 12~16%이며, 전단계에서 순수세된 제품을 탱크안에 담그며(DIP), 펌프를 가동하여 도료를 계속 순환시키고, 콘베어로 제품을 이동시키며,순회시키는 것이며,
    상기 과잉도료를 세척하는 공정인 최종순수세 단계는 작업조건은 PH5.5 ~ 7.5이며, 노즐(NOZZLE) 분사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노즐 막힘을 확인하며, 체인, 레일에 분사되지 않게 분사각도를 확인하며, 스프레이펌프 가동으로 스프레이분사하며, 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분석 및 PH 측정하여 공정관리일지에 기록하는 것이며
    상기 건조단계는 전착도장 제품의 건조공정으로서, 건조온도는 160~200℃, 가스 압력 2~4 Kpa로 실시하며, 순환팬을 가동시켜 프리퍼지(pre-purge)시킨 후, 가스밸브를 열고, 가스압력을 확인하고, 버너(BURNER) 로 점화시키며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며,
    상기 언로딩단계는 건조로에서 나오는 제품을 호이스트을 사용하여 컨베이어 에서 내린후, 정해진 탈착 장소로 행거 전체를 이송하여, 행거에서 제품을 탈착하여, 검사후 정해진 용기에 담는 것이며,
    상기 검사 및 포장단계는 작업조건은 외관은 도장불량 없어야 하며,
    제품 도장두께는 15㎛ 이상이 되어야 하며, 부착성, 연필경도, 내충격성, 내유성, 내수성, 및 내염수분무성이 적합하여야 하며, 작업내용은 건조된 제품을 해체시켜 SAMPLING 검사를 하는 것으로, 검사 공정은 밀착성시험은 가로,세로 1㎜간격으로 10칸의 흠집을 낸 후 테잎을 붙였다 떼어냈을때 100칸의 도막 중에 떨어지는 도막이 없어야 하며, 경도는 HB연필로 시편을 긁었을때 벗겨지거나 긁힘이 없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착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10087563A 2021-07-05 2021-07-05 전착방법 KR10236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63A KR102368544B1 (ko) 2021-07-05 2021-07-05 전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63A KR102368544B1 (ko) 2021-07-05 2021-07-05 전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544B1 true KR102368544B1 (ko) 2022-02-25

Family

ID=8049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563A KR102368544B1 (ko) 2021-07-05 2021-07-05 전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339A (ko) * 2011-10-20 2013-04-30 (주)세정 전착도장방법
KR20180106516A (ko) * 2017-03-20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착 도장 방법
JP2020020009A (ja) * 2018-08-01 2020-02-06 神東アクサルタ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チオン性電着塗料の塗装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3339A (ko) * 2011-10-20 2013-04-30 (주)세정 전착도장방법
KR20180106516A (ko) * 2017-03-20 2018-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착 도장 방법
JP2020020009A (ja) * 2018-08-01 2020-02-06 神東アクサルタ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チオン性電着塗料の塗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6652A (en) Chromate-free protective coatings
US8475883B2 (en) Corrosion-protection agent forming a layer of paint and method for current-free application thereof
JPH10510006A (ja) 化成被覆された金属表面の処理の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US20110024001A1 (en) Zirconium-Vanadium Conversion Coating Compositions For Ferrous Metals And A Method For Providing Conversion Coatings
MX2007006021A (es) Proceso quimico para vidrio antirreflejante por inmersion en solucion acida para produccion simultanea y continua.
US20090014094A1 (en) Methods for Reducing Hexavalent Chromium in Trivalent Chromate Conversion Coatings
KR102368544B1 (ko) 전착방법
US20070119520A1 (en) Method for treating or pre-treating components comprising aluminum surfaces
US20210062346A1 (en) Process for selective phosphating of a composite metal construction
US3003247A (en) Process for drying metal articles
Marceau Phosphoric acid anodize
JP2006053130A (ja) 化成被膜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US4328047A (en) Method for inducing a passive surface on beryllium
CN113322455A (zh) 一种用于铝硅合金表面黑色磷化的磷化试剂和磷化方法
CA1081407A (en) Treating zinc with aqueous tannin and silica or alumina
JPH03285821A (ja) 酸化チタン被膜の製造方法
US4364775A (en) Aqueous oxidative scrubber systems for removal of mercury
US4400416A (en) Method of surface treatment and an apparatus used in said surface treatment
JPH0219477A (ja) 金属表面処理法
JP6738001B1 (ja) 電着塗装ラインに於ける電着塗装の前処理方法
US3644152A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oducing a black matte finish on ferrous metals
JP3903352B2 (ja) 外気より隔離された作業用小室
JPH02301579A (ja) 冷間プレス部品の表面処理方法
JPS61291997A (ja) 鋼板の塗装方法
JPH03297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