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617B1 - 노이즈 대책부재 - Google Patents

노이즈 대책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617B1
KR102367617B1 KR1020217027892A KR20217027892A KR102367617B1 KR 102367617 B1 KR102367617 B1 KR 102367617B1 KR 1020217027892 A KR1020217027892 A KR 1020217027892A KR 20217027892 A KR20217027892 A KR 20217027892A KR 102367617 B1 KR102367617 B1 KR 10236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ylindrical case
cable
case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6660A (ko
Inventor
다이스케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리켄
Publication of KR2021011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케이블 굴곡에 대해 추종할 수 있는 동시에 노이즈 감쇠 효과의 조절이 용이한 노이즈 대책부재를 제공하는 것. 제1 및 제2관상자성체(20)와,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와,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된 제1연결부(121)와,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된 제2연결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10)는 상기 제1연결부(121) 및 상기 제2연결부(122)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10)의 연결 각도가 관통시키는 상기 케이블(2)의 굴곡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 대책부재(1).

Description

노이즈 대책부재
본 발명은 노이즈 대책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년 4월 16일 일본에 특허 출원된 특허출원 2019-07783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 선행 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하기 위해 도입한다.
종래 자동차의 각부에 배치된 전자부품이나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에 전파되는 노이즈 전류를 감쇠시키기 위하여 고리 모양으로 배치되는 자성체와, 해당 자성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 노이즈 대책부재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자성체와 이 자성체를 격납한 패키지로 이루어지며, 이것의 대략 중심으로 신호선을 관통시켜 장착되는 실드 부품에서 상기 자성체를 노이즈 감쇠량의 대역이 다른 적어도 2개 이상의 자성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 자성체가 상기 신호선에 따라 직선상으로 정렬되도록 하여 동일한 상기 패키지 내에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부품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평5-29152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복수개의 자성체를, 자성체를 하나의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노이즈 대책부재가 케이블 축방향으로 길어진다. 이 때문에 관통시킨 케이블을 굴곡시켰을 때, 노이즈 대책부재에 부하가 걸려 노이즈 감쇠량이 저하되어 버린다. 특히 자동차 전자부품에 구비된 케이블은 좁은 공간에 배선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산업기계용 인버터나 컨버터 등의 전자기기도 최근 소형화되고 있어 케이블이 좁은 공간 내에 굴곡되어 배선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케이블 굴곡 시 노이즈 대책부재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이즈 감쇠량은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관상자성체 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으나, 종래 1개의 케이스에 자성체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자성체 개수를, 자성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단위로밖에 조절할 수 없어서 노이즈 감쇠량의 섬세한 조절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블 굴곡에 대해 추종할 수 있는 동시에 노이즈 감쇠 효과의 조절이 용이한 노이즈 대책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1]단일 케이블을 관통시키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관상자성체와,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를 각각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중공부를 구획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1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2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2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관통되는 상기 케이블의 굴곡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 대책부재.
[2]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에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설치되어 선단부 외주부에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테이퍼 원통형이며 상기제2원통형 케이스의 원통 선단 외주부에 연설한 통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통벽의 내경이 점감하고 선단부가 상기 돌출부와 유감 가능한 내경을 가진 노이즈 대책부재.
[3]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측에는, 원통 선단 외주부에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재하고, 상기 중공부와 연속한 제1 및 제2개구부를 구획한 제1 및 제2원판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원판부 위에 설치되어 곡면을 가진 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원판부 위에 설치되어 상기 스터드부를 움직일 수 있게 감합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노이즈 대책부재.
[4]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에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설치되어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통벽의 외경이 점증한 후 점감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은 상기 제1연결부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진 동부와 선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 외경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선단부를 포함하는 노이즈 대책부재.
[5]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원통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한 형상의 서브케이스가 힌지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를 구성하는 해당 서브케이스에는 복수로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가 1개씩 수용되는 노이즈 대책부재.
[6]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원통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한 형상의 서브케이스가 힌지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를 구성하는 해당 서브케이스에는 복수로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가 1개씩 수용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통벽의 외경이 점증한 후 점감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은 상기 제1연결부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진 동부와 상기 제1연결부 외경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끼리의 연결이 탈착 가능한 노이즈 대책부재.
[7]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관상자성체는 상기 제2관상자성체와 노이즈 감쇠량의 대역이 서로 다른 노이즈 대책부재.
[8]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3° 이상 45° 이하인 노이즈 대책부재.
[9]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상자성체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3mm 이상 30mm 이하인 노이즈 대책부재.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굴곡에 대해 추종할 수 있는 동시에 노이즈 감쇠 효과의 조절이 용이한 노이즈 대책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과 관련된 노이즈 대책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과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2와 관련된 노이즈 대책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와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와 관련된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3과 관련된 노이즈 대책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3과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를 연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형태 3과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를 닫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형태 4와 관련된 노이즈 대책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4와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2와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와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2와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2와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했다. 그 결과, 원통형 케이스를 탈착 가능하고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함으로써 케이블 굴곡에 대해 추종할 수 있는 동시에 노이즈 감쇠 효과의 조절이 용이한 노이즈 대책부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노이즈 대책부재는
단일 케이블을 관통시키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관상자성체와,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를 각각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중공부를 구획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1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2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2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관통시키는 상기 케이블의 굴곡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 대책부재이다.
본 발명의 노이즈 대책부재는 적어도 2개의 원통형 케이스를 연결시켜 이루어진다. 연결된 각 원통형 케이스 안에는 관상자성체가 1개씩 수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연결된 복수의 원통형 케이스 중 어느 1개의 원통형 케이스를 제1원통형 케이스로, 해당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측에 인접한 원통형 케이스를 제2원통형 케이스로 칭한다. 또한 제1원통형 케이스 및 제2원통형 케이스 안에 수용된 관상자성체를 각각 제1관상자성체 및 제2관상자성체로 칭한다.
제1 및 제2관상자성체는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내에 각각 수용된다. 제1 및 제2관상자성체는 후술하는 원통형 케이스에 의해 구획되는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단일 케이블을 노이즈 대책부재의 중공부에 관통시켰을 때, 제1 및 제2관상자성체가 케이블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노이즈 대책부재의 노이즈 감쇠 효과가 발휘된다.
각 관상자성체를 구성하는 재료는 보자력이 작고 투자율이 큰 연자성 재료인 것이 바람직한다. 연자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NiZnCu계 페라이트 등의 페라이트; FeNi계 합금(퍼멀로이), 및 Fe-Si계 합금 등의 연자성 금속; Co기 어모퍼스 합금, 및 Fe기 어모퍼스 합금 등의 어모퍼트 합금; 및 Fe기 나노결정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 관상자성체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관상자성체의 중심축 방향)의 길이는 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3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상자성체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3mm 미만이면, 관상자성체의 강도가 불충분하여 취급이 어려워진다. 한편, 관상자성체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30mm를 초과하면, 케이블 굴곡 시에 관상자성체로의 부하가 커진다. 관상자성체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이다. 또한 관상자성체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이다.
연결된 복수의 원통형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관상자성체 중, 적어도 1개의 관상자성체는 적어도 1개의 다른 관상자성체와 서로 종류가 달라도 좋다. 예를 들어 제1관상자성체는 제2관상자성체와 노이즈 감쇠량의 대역이 서로 달라도 좋다. 이와 같이 노이즈 감쇠량의 대역이 서로 다른 자성체를 케이블축 방향으로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노이즈 감쇠량의 대역이 1 종류의 자성체를 이용했을 경우와 비교해서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평균한 노이즈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제1 및 제2관상자성체를 각각 수용함과 동시에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중공부를 구획한다.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는 해당 제1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제2원통형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는 해당 제2원통형 케이스를 편단측에 인접한 제1원통형 케이스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2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관상자성체가 동일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노이즈 대책부재에 의한 노이즈 감쇠량은 원통형 케이스에 수용되는 자성체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에 비례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접한 원통형 케이스끼리를 제1 및 제2연결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노이즈 감쇠량에 따라 원통형 케이스의 연결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케이스끼리의 연결이 탈착 가능함에 따라, 원통형 케이스의 연결 개수를 변화시키면서 노이즈 감쇠량을 측정하여 비용과 노이즈 감쇠량의 균형이 잡힌 원통형 케이스의 연결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1 및 제2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는 관통되는 케이블의 굴곡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란, 제1원통형 케이스 중심축이 제2원통형 케이스 중심축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관통되는 케이블의 굴곡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노이즈 대책부재가 케이블 굴곡을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 굴곡 시에 노이즈 대책부재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관통되는 케이블의 굴곡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케이블의 굴곡에 의해 노이즈 대책부재가 장착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차에 구비된 전자부품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발생하여 전자부품에 연결된 케이블 내를 전파하는 노이즈에는, 저주파수대의 노이즈도 포함된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노이즈 감쇠량이 작아지므로 저주파수대의 노이즈를 감쇠시키기 위해서는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큰 관상자성체가 필요하지만,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큰 관상자성체를 케이블 굴곡에 대해 추종시키는 것은 어려운 동시에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큰 관상자성체를 이용하면 노이즈 감쇠 효과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노이즈 대책부재에서는, 원통형 케이스끼리의 연결이 탈착 가능한 동시에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케이블 굴곡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이즈 대책부재에 의하면 저주파수대의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케이블 굴곡에 대해 추종할 수 있고 노이즈 감쇠 효과의 조절이 용이하므로, 자동차에 구비된 전자부품의 노이즈 대책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에 취할 수 있는 최대 연결 각도를 연결가동각도라고 한다.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가동각도는 3°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가동각도를 3° 이상으로 함으로써 케이블 굴곡에 대해 원통형 케이스가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고 관상자성체에 걸리는 부하가 작아진다. 또한 연결가동각도를 45° 이하로 함으로써 굴곡 시 케이블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결가동각도가 45° 이하이면 제1 및 제2연결부의 케이블축 방향의 길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노이즈 대책부재의 전장을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가동각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또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가동각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좋으나, 원통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한 형상의 서브케이스를 힌지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를 구성하는 해당 서브케이스에는 복수로 분할된 제1 및 제2관상자성체가 1개씩 수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이와 같은 원통형 케이스 및 자성체를 「분할타입」의 원통형 케이스라고 칭한다. 이와 같은 「분할타입」의 원통형 케이스 및 자성체에 대하여는 추후 실시형태 3의 설명에서 상술한다. 후술하는 실시형태 1, 2, 4에서는 원통형 케이스를 하나의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분할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및 제1 및 제2연결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아미드(PA),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 실리콘 수지, 실리콘계 일래스터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에 유리섬유(GF), 탄소섬유(CF), 흑연(GP) 등을 함유시켜 강도나 내열성을 향상한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및 제1 및 제2연결부가 상술한 재료로 구성되면,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원통형 케이스와 제1및 제2연결부는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노이즈 대책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케이블의 외경보다 큼) 내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에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설치되어 선단부의 외주부에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테이퍼 원통형이며 상기제2원통형 케이스의 원통 선단 외주부에 연설한 통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통벽의 내경이 점감하고 선단부가 상기 돌출부와 유감 가능한 내경을 가진 노이즈 대책부재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노이즈 대책부재(1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에서는 설명을 위해 제1원통형 케이스(10a)를 반으로 잘라 제1원통형 케이스(10a)의 내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노이즈 대책부재(1a)는 케이블(2)에 관통시켜 사용되며 복수의 원통형 케이스(10a)를 케이블(2)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연결시켜 이루어진다. 각 원통형 케이스(10a)의 내부에는 각각 관상자성체(20)가 단일 케이블(2)을 관통시키도록 중공부를 따라 수용되어 있다. 제1원통형 케이스(10a)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a)는 제1원통형 케이스(10a)의 편단측에 설치된 제1연결부(121a)가 제2원통형 케이스(10’a)의 편단측에 설치된 제2연결부(122’a)에 대하여 밀어 넣어져 유감함으로써 연결된다. 또한 제1원통형 케이스(10a)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a) 간의 연결은 제1연결부(121a)를 제2연결부(122’a)에서 빼냄으로써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케이스(10a)의 연결 개수는 필요한 노이즈 감쇠량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실시형태 1에 관한 원통형 케이스(10a)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A)는 원통형 케이스(10a)의 사시도이며, (B)는 원통형 케이스(10a)를 제1연결부(121a)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면이며, (C)는 원통형 케이스(10a)를 원통(24a)을 정면으로 해서 본 도면이며, (D)는 원통형 케이스(10a)를 제2연결부(122a)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면이며, (E)는 원통형 케이스(10a)를 도 2(C)에 나타낸 절단위치(A-A)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의 원통형 케이스(10a)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케이블(2)을 관통시키는 중공부(23a)를 구획한다. 원통형 케이스(10a)는 관상자성체(20)를 해당 중공부(23a)를 따라 수용하는 수용부(19a)를 구비한다. 수용부(19a)의 원통형 케이스(10a)의 편단측 및 타단측에는, 원통 외주부에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재하고 중공부(23a)와 연속된 개구부(11a)를 구획한 제1원판부(21a) 및 제2원판부(21’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해당 제1원판부(21a) 및 제2원판부(21’a)에 의해 관상자성체(20)가 수용부(19a) 내에 고정된다. 원통형 케이스(10a)는 편단측에 제1연결부(121a)를 구비하고 타단측에 제2연결부(122a)를 구비한다.
수용부(19a) 내부의 중심축 방향에서의 길이는 내부에 수용되는 관상자성체(20)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mm 이상이고 또한 30mm 이하이다.
제1원판부(21a) 및 제2원판부(21’a)는 케이블(2)을 관통 가능한 개구부(11a)를 구획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원판부(21a) 및 제2원판부(21’a)는 케이블(2)을 관통 가능한 동시에 관상자성체(20)의 양 단부를 피복 가능한 개구부(11a)를 구획한다. 제1원판부(21a) 및 제2원판부(21’a)가 각각 관상자성체(20)의 편단부 및 타단부를 피복함으로써 관상자성체의 파손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연결부(121a)는 케이블(2)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제1원통형 케이스(10a)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15a)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 통벽(15a)은 경사면부(22a)를 사이에 두고 제1원통형 케이스(10a)의 원통(24a)의 선단 외주부에 연결된다. 또한 도 1의 예에서 통벽(15a)의 내경은 증감하지 않고 일정하다.
제1연결부(121a)의 통벽(15a)에는 제1원통형 케이스(10a)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슬릿(13a)이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다. 제1연결부(121a)가 슬릿(13a)을 가짐으로써, 제1연결부(121a)가 제2연결부(122a)의 내부로 밀어 넣어질 때 및 제1연결부(121a)가 제2연결부(122a)의 내부에서 빠질 때, 제1연결부(121a)의 선단부 외경(R2)이 작아지도록 변형된다. 이 밀어 넣기 및 빼내기에 의해 제1원통형 케이스 및 제2원통형 케이스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것으로 원통형 케이스(10a)를 탈착하고 원하는 노이즈 감쇠량에 따라 원통형 케이스(10a)의 연결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연결부(121a)에 슬릿(13a)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케이블(2) 굴곡 시에 제1연결부(121a)가 슬릿(13a)을 통해 변형되어 케이블(2)을 추종하도록 굴곡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1 및 2에서는 슬릿(13a)이 하나의 원통형 케이스(10a)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6개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으나, 슬릿(13a)을 설치하는 간격 및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2의 예에서 슬릿(13a)은 통벽(15a)과 경사면부(22a)의 연결 위치까지 연재하고 있으나, 슬릿(13a)의 길이는 제1연결부(121a) 및 제2연결부(122a) 사이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정하면 된다.
제1연결부(121a)는 통벽 선단부의 외주부에 돌출부(14a)를 가진다. 제1연결부(121a)는 슬릿(13a)에 의해 외경이 작아지도록 변형되고 제2연결부(122a)의 내부에 밀어 넣어진 후, 제2연결부(122a)의 내부에서 원래의 외경으로 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14a)가 제2연결부(122a)의 선단부와 유감한다. 또한 도 1 및 2에서는 돌출부(14a)가 외주부의 전주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으나, 돌출부(14a)를 설치하는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14a)는 예를 들어 통벽 선단부의 외주부 일부분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연결부(122a)는 케이블(2)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테이퍼 원통형이며, 원통형 케이스(10a)의 원통(24a) 선단 외주부에 연설한 통벽을 구비한다. 제2연결부(122a)의 통벽 내경은 원통형 케이스(10a)의 타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점감하며, 해당 통벽의 선단부가 인접한 원통형 케이스(10a)가 구비한 제1연결부(121a)의 돌출부(14a)와 유감 가능한 내경(R3)을 가진다. 또한 여기서 「제2연결부(122a)의 통벽 선단부가 돌출부(14a)와 유감 가능한 내경을 가진다」는 것은 제2연결부(122a)의 통벽(15’a)의 선단부 내경(R3)이 제1연결부(121a)의 통벽(15a)의 외경(R1)보다 크고 돌출부(14a)의 외경(R2)보다 작음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122a)가 원통형 케이스(10a)의 편단측에서 멀어짐에 따라 내경이 점감한 테이퍼 원통형이므로 제2연결부(122a)의 내부에 삽입되어 계합된 제1연결부(121a)가 제2연결부(122a)의 테이퍼 각을 따라 제2연결부(122a) 내부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원통형 케이스(10a)에 대한 제2원통형 케이스(10’a)의 연결 각도가 변화한다. 제1연결부(121a) 및 제2연결부(122a)의 구조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원통형 케이스(10a)에 대한 제2원통형 케이스(10’a)의 연결 각도는 전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대책부재(1a)가 케이블(2)의 모든 방향으로의 굴곡을 추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 케이스(10a)를 개폐하지 않고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a, 10’a)를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케이스(10a) 및 관상자성체(20)를 「분할타입」으로 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관상자성체(20)를 분할타입으로 하지 않고 구성함으로써 특히 높은 노이즈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이즈 대책부재(1a)가 케이블(2)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케이블(2)의 보호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2에서는 하나의 원통형 케이스(10a)에 제1연결부(121a) 및 제2연결부(122a)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냈으나, 본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원통형 케이스(10a)의 양단에 제1연결부(121a)가 설치되어 있고, 제2원통형 케이스의 양단에 제2연결부(122a)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1연결부만을 가진 제1원통형 케이스와 제2연결부만을 가진 제2원통형 케이스를 교대로 연결시킴으로써, 노이즈 대책부재(1a)를 구성할 수 있다. 노이즈 대책부재(1a)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2에 나타낸 것처럼 하나의 원통형 케이스(10a)에 제1연결부(121a) 및 제2연결부(122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1 종류의 원통형 케이스(10a)로 노이즈 대책부재(1a)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노이즈 대책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측에는 원통 선단 외주부에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재하고 상기 중공부와 연속한 제1 및 제2개구부를 구획한 제1 및 제2원판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원판부 위에 설치되어 곡면을 가진 스터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원판부 위에 설치되어 상기 스터드부를 움직일 수 있게 감합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노이즈 대책부재이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노이즈 대책부재(1b)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노이즈 대책부재(1b)는 복수의 원통형 케이스(10b)를 케이블(2)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연결시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케이블(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각 원통형 케이스(10b)의 내부에는 각각 관상자성체(20)가 단일 케이블(2)을 관통시키도록 중공부(23b)를 따라 수용되어 있다. 제1원통형 케이스(10b)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b)는, 제1원통형 케이스(10b)의 편단측에 설치된 제1연결부(121b)와 제2원통형 케이스(10’b)의 편단측에 설치된 제2연결부(122’b)가 감합함으로써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원통형 케이스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4(A)는 원통형 케이스(10b)의 사시도이며, (B)는 원통형 케이스(10b)를 제1연결부(121b)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면이며, (C)는 원통형 케이스(10b)를 원통(24b)을 정면으로 한 동시에 제1연결부(121b)끼리 및 제2연결부끼리 겹친 방향에서 본 도면이며, (D)는 원통형 케이스(10b)를 원통(24b)을 정면으로 한 동시에 제1연결부(121b)끼리 및 제2연결부(122b)끼리 어느 것도 겹치지 않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각각의 원통형 케이스(10b)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케이블(2)을 관통시키는 중공부(23b)를 구획한다. 원통형 케이스(10b)는 관상자성체(20)를 해당 중공부(23b)를 따라 수용하는 수용부(19b)를 구비한다. 수용부(19b)의 원통형 케이스(10b)의 편단측 및 타단측에는 원통 외주부에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재하고 중공부와 연속한 개구부(11b)를 구획하는 제1원판부(21b) 및 제2원판부(21’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 케이스(10b)는 편단측에 제1연결부(121b)를 구비하고 타단측에 제2연결부(122b)를 구비한다.
수용부(19b), 제1원판부(21b) 및 제2원판부(21’b)의 형태는 상술한 실시형태 1의 수용부(19a), 제1원판부(21a) 및 제2원판부(21’a)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제1연결부(121b)는 제1원판부(21b)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연결부(121b)는 곡면을 가진 스터드부(16)를 포함한다. 도 3 및 4의 예에서 스터드부(16)는 구체이며, 원통형 케이스(10b)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기립한 봉부(18)를 사이에 두고 제1원판부(21b)상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을 안정시키는 관점에서 제1연결부(121b)는 스터드부(16)에 더하여 또 하나의 스터드부(16) 또는 소켓부(17)를 제1원판부(21b)상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4의 예에서 제1연결부(121b)는 상술한 스터드부(16)에 더하여 제1원판부(21b)의 원주 방향에서 해당 스터드부(16)와 이간하여 설치된 소켓부(17)를 구비한다. 소켓부(17)는 오목부(26b)가 스터드부(16)의 구체와 구면 접촉하여, 후술하는 제2연결부(122b)가 구비한 스터드부(16)를 움질일 수 있게 감합한다. 또한 소켓부(17)의 형태에 대해서는 제2연결부(122b)의 설명에서 상술한다. 제1연결부(121b)가 구비한 스터드부(16)와 소켓부(17)의 제1원판부(21b) 원주 방향에서의 이간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180°이다.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의 제1원판부(21b) 원주 방향에서의 이간 각도가 180°이므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b) 간의 연결가동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1연결부(121b)를 구성하는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않으나, 케이블(2)의 노이즈 대책부재(1b) 관통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원통형 케이스(10b)를 제1연결부(121b)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경우에,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가 제1원판부(21b)의 내주부보다 안쪽으로 튀어나오지 않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통형 케이스(10b)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원통형 케이스(10b)를 제1연결부(121b)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경우에,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가 제1원판부(21b)의 외주부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지 않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결부(121b)를 구성하는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의 원통형 케이스(10b)의 중심축 방향에서의 위치는, 제1연결부(121b)의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를, 후술하는 제2연결부(122b)의 소켓부(17) 및 스터드부(16)와 각각 연결시켰을 때에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가 각각 구비한 스터드부(16)의 구체가 원통형 케이스(10b)의 중심축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연결부(122b)는 제2원판부(21’b)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2연결부(122b)는 제1연결부(121b)의 스터드부(16)를 움직일 수 있게 감합하는 원통형의 소켓부(17)를 포함한다. 도 3 및 4의 예에서 소켓부(17)는 상술한 스터드부(16)의 구체와 구면 접촉하는 오목부(26’b)를 가지며, 해당 오목부에 제1연결부(121b)의 스터드부(16)가 감합된다. 도 4(D)에 나타낸 것처럼 오목부(26’b)는 스터드부(16)의 구체와 구면 접촉할 수 있도록 오목 구면으로 되어 있다. 소켓부(17)는 통벽에 U자형의 홈이 있다. 소켓부(17)가 통벽에 홈을 가짐으로써, 스터드부(16)가 소켓부(17)에 밀어 넣어질 때 및 스터드부(16)가 소켓부(17)에서 빠질 때, 소켓부(17)의 내경이 커지도록 변형한다. 따라서 밀어 넣기 및 빼내기에 의해 제1원통형 케이스 및 제2원통형 케이스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소켓부(17)가 가지는 홈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2개일 수 있다.
제1연결부(121b)가 스터드부(16)에 더하여 또 하나의 스터드부(16) 또는 소켓부(17)를 구비하는 경우, 제2연결부(122b)는 소켓부(17)에 더하여 스터드부(16) 또는 또 하나의 소켓부(17)를 제2원판부(21b)상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4의 예에서 제2연결부(122b)는 상술한 소켓부(17)에 더하여 제2원판부(21’b)의 원주 방향에서 해당 소켓부(17)와 이간하여 설치된 스터드부(16)를 구비한다. 스터드부(16)의 형태에 대해서는 제1연결부(121b)에서 설명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연결부(122b)가 구비한 스터드부(16)와 소켓부(17)의 제2원판부(21’b) 원주 방향에서의 이간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가 인접한 제1연결부(121b)의 소켓부(17) 및 스터드부(16)와 각각 감합할 수 있도록, 인접한 제1연결부(121b)가 구비한 스터드부(16)와 소켓부(17)의 제1원판부(21b)의 원주 방향에서의 이간 각도와 대응시켜 설정될 필요가 있다. 도 3 및 4의 예에서 제2연결부(122b)가 구비한 스터드부(16)와 소켓부(17)의 제2원판부(21’b) 원주 방향에서의 이간 각도는, 제1연결부(121b)가 구비한 스터드부(16)와 소켓부(17)와 마찬가지로 180°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켓부(17)가 스터드부(16)를 보유하면서 스터드부(16)가 곡면을가짐으로써 소켓부(17)의 내부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b, 10’b) 간의 연결 각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노이즈 대책부재(1b)가 케이블(2)의 굴곡을 추종할 수 있다.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b, 10’b) 간의 탈착은 소켓부(17)에 대한 스터드부(16)의 밀어 넣기 및 빼내기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케이스(10b)를 탈착하여 노이즈 감쇠량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형태는 도 3 및 4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여도 좋다. 도 12에,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의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를 구비한 원통형 케이스(10’’b)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 제1연결부(121’’b) 및 제2연결부(122’’b)는 원주형의 스터드부(16’) 및 해당 원주형의 스터드부(16’)의 원호 일부를 감싸도록 감합하는 소켓부(17’)를 제1원판부(21b)의 원주 방향에서 180° 이간하여 포함한다.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는 원판부(21b)와 연속하고 원통형 케이스(10b)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기립한 봉부(18’)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원주형의 스터드부(16’)는 원주의 평면부가 원판부(21b)의 지름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소켓부(17’)는 원통의 원호 일부를 감싸도록 커브한 오목부를 가지며, 해당 커브의 지름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이 원판부(21b)의 지름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해당 구성에서도 스터드부(16’)를 구체로서 구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b, 10’b) 간의 연결가동각도가 크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가 노이즈 대책부재(1b) 내에서 케이블 신장 방향에 대하여 직렬로 나란히 연결되는 형태를 나타냈으나,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를 배치하는 위치를 원통형 케이스(10b)의 편단측과 타단측으로 변화시켜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원통형 케이스(10b)의 편단측 및 타단측에서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를 배치하는 위치를 미량씩 변화시킨 형태로 해도 좋다. 도 13(A)은 해당 형태의 원통형 케이스의 사시도이며, (B)는 해당 형태의 원통형 케이스를 제1연결부(121b)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면이다. 본 형태에서 제1연결부(121b) 및 제2연결부(122b)를 구성하는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는 각각 원판부(21b) 및 (21’b)의 지름 방향에서 180°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13(B)에 나타낸 것처럼, 본 형태에서는 원통형 케이스를 제1연결부(121b)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경우에, 제1연결부(121b)를 구성하는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의 중심을 묶은 선에 대하여 제2연결부(122b)를 구성하는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의 중심을 묶은 선이 소정 각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해당 형태에 따르면 나선형으로 굴곡하는 노이즈 대책부재(1b)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 케이스(10b)를 개폐하지 않고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b, 10’b)를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원통형 케이스(10b) 및 관상자성체(20)를 「분할타입」으로 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관상자성체(20)를 분할타입으로 하지 않고 구성함으로써, 특히 높은 노이즈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케이블(2)에 대한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원통형 케이스(10b)를 「분할타입」으로 해도 좋다. 도 14에 원통형 케이스(10b)의 원통을 분할면(25b)을 따라 반으로 나눈 2개의 서브케이스로 구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4(A)는 원통형 케이스(10b)를 닫은 형태를, 도 14(B)는 원통형 케이스(10b)를 연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제1연결부(121b) 및 제2연결부(122b)가 각각 구비한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는 2개의 서브케이스 위에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구성에 따르면,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가 원통형 케이스(10b)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제1연결부(121b) 및 제2연결부(122b)가 각각 구비한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는 원통형 케이스(10b)의 분할면(25b)에 대해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도 기재한 것처럼 제1원통형 케이스(10b)의 양단에 제1연결부(121b)가 설치되어 있고, 제2원통형 케이스(10’b)의 양단에 제2연결부(122’b)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1연결부(121b)만을 가진 제1원통형 케이스(10b)와 제2연결부(122’b)만을 가진 제2원통형 케이스(10’b)를 교대로 연결시킴으로써 노이즈 대책부재(1b)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5, 12~14에서는 제1연결부(121b, 121’b) 및 제2연결부(122b, 122’b)가 각각 스터드부(16) 및 소켓부(17)를 구비한 예를 나타냈으나, 본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제1연결부(121b)는 하나의 스터드부(16)에 더하여 또 하나의 스터드부(16)를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제2연결부(122b)는 하나의 소켓부(17)에 더하여 또 하나의 소켓부(17)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노이즈 대책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원통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한 형상의 서브케이스가 힌지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를 구성하는 해당 서브케이스에는 복수로 분할된 상기 제1및 제2관상자성체가 1개씩 수용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통벽의 외경이 점증한 후 점감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은 상기 제1연결부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진 동부와 상기 제1연결부 외경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및 제2원통형 케이스끼리의 연결이 탈착 가능한 노이즈 대책부재이다.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노이즈 대책부재(1c)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노이즈 대책부재(1c)에서 제1원통형 케이스(10c)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c)는 제1원통형 케이스(10c)의 편단측에 구비된 제1연결부(121c)가 제2원통형 케이스(10’c)의 편단측에 구비된 제2연결부(122’c)에 삽입되어 유감함으로써 연결된다.
도 7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관한 원통형 케이스(10c)를 연 상태를 나타낸다. 도7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원통형 케이스(10c)는 원통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한 형상의 서브케이스(101c)가 힌지부(102c)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원통형 케이스(10c)에는 원통형 케이스(10c)를 닫은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계류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서브케이스(101c)에는 관상자성체(20)를 중심축을 따라 분할한 관상자성체(분할 관상자성체)(200)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원통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반으로 나눈 형상의 서브케이스(101c)를 나타내고 있으나, 원통형 케이스(10c)를 구성하는 서브케이스(101c)의 개수 및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서브케이스(101c) 내에 수용되는 분할 관상자성체(200)의 개수 및 형태는 원통형 케이스(10c)를 구성하는 서브케이스(101c)의 개수 및 형태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10c)를 「분할타입」으로 함으로써, 케이블(2)에 대한 탈착이 용이해지고 케이블(2)을 결선한 상태에서도 원통형 케이스(10c)를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 등을 사용하면서도 해당 전자기기 등에 배선된 케이블(2)에 장착된 노이즈 대책부재(1c)를 구성하는 원통형 케이스(10c)의 연결 개수를 변겅하여 노이즈 감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원통형 케이스(10c)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8(A)는 원통형 케이스(10c)의 사시도이며, (B)는 원통형 케이스(10c)를 제2연결부(122c)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면이며, (C)는 원통형 케이스(10c)를 원통(24c)을 정면으로 해서 본 도면이며, (D)는 원통형 케이스(10c)를 제1연결부(121c)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면이며, (E)는 원통형 케이스(10c)를 도 8(C)에 나타낸 절단위치(A-A)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원통형 케이스(10c)를 닫은 상태에서 각각의 원통형 케이스(10c)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중공부(23c)를 구획한다. 원통형 케이스(10c)를 닫은 상태에서 원통형 케이스(10c)에는 관상자성체(20)를 해당 중공부(23c)를 따라 수용하는 수용부(19c)가 구성된다. 수용부(19c)의 원통형 케이스(10c)의 편단측 및 타단측에는 원통형 케이스(10c)를 닫은 상태에서 원통 외주부에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재하고 중공부와 연속한 개구부(11c)를 구획하는 제1원판부(21c) 및 제2원판부(21’c)가 각각 구성된다. 원통형 케이스(10c)는 편단측에 제1연결부(121c)를 구비하고 타단측에 제2연결부(122c)를 구비한다.
제1연결부(121c)는 제1원통형 케이스(10c)를 닫은 상태에서 케이블(2)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원통형 케이스(10c)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제1원통형 케이스(10c)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통벽의 외경이 점증한 후 점감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연결부(121c) 통벽의 외경은 구면형의 커브를 그린다.
제2연결부(122c)는 제2원통형 케이스(10’c)를 닫은 상태에서 원통형을 이루며, 제2원통형 케이스(10’c)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통벽은 동부와 선단부로 이루어진다. 제2연결부(122c) 통벽의 동부는 제1연결부(121c)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진다. 또한 도 6~8에서 나타낸 예에서 제2연결부(122c)의 통벽은 내경(R5)이 증감하지 않고 일정하다. 해당 통벽 선단부의 내경(R6)은 제1연결부(121c) 외경의 최대 지름(R4)보다 작은 동시에 케이블(2)을 관통 가능한 내경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높은 연결가동각도와 연결 각도의 전 방향으로의 변화를 양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연결부(122c)가 제1연결부(121c)를 보유하면서 제1연결부(121c)가 점증한 후 점감하는 외경을 가짐으로써, 제2연결부(122c)의 내부에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c, 10’c) 간의 연결 각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노이즈 대책부재(1c)가 케이블(2)의 굴곡을 추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원통형 케이스(10c)에 대한 제2원통형 케이스(10’c)의 연결 각도는 전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이즈 대책부재(1c)가 케이블(2)의 모든 방향으로의 굴곡을 추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이즈 대책부재(1c)가 케이블(2)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케이블(2)의 보호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도 기재한 것처럼 제1원통형 케이스(10c)의 양단에 제1연결부(121c)가 설치되어 있고, 제2원통형 케이스(10’c)의 양단에 제2연결부(122’c)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1연결부(121c)만을 가진 제1원통형 케이스(10c)와 제2연결부(122’c)만을 가진 제2원통형 케이스(10’c)를 교대로 연결시킴으로써 노이즈 대책부재(1c)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노이즈 대책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에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설치되어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통벽의 외경이 점증한 후 점감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동부가 제1연결부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지며 선단부가 상기 제1연결부 외경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노이즈 대책부재이다.
도 9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노이즈 대책부재(1d)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9에서는 설명을 위해 원통형 케이스(10d)를 반으로 잘라 원통형 케이스(10d)의 내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제1원통형 케이스(10d)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d)는 제1원통형 케이스(10d)의 편단측에 구비된 제1연결부(121d)가 제2원통형 케이스(10’d)의 편단측에 구비된 제2연결부(122’d)에 삽입되어 유감함으로써 연결된다.
도 10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관한 원통형 케이스(10d)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A)는 원통형 케이스(10d)의 사시도이며, (B)는 원통형 케이스(10d)를 제2연결부(122d)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면이며, (C)는 원통형 케이스(10d)를 원통을 정면으로 해서 본 도면이며, (D)는 원통형 케이스(10d)를 제1연결부(121d)가 설치되어 있는 측에서 본 도면이며, (E)는 원통형 케이스(10d)를 도 10(C)에 나타낸 절단위치(A-A)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3과 동일하게, 각각의 원통형 케이스(10d)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케이블(2)을 관통시키는 중공부(23d)를 구획한다. 원통형 케이스(10d)는 관상자성체(20)를 해당 중공부(23d)를 따라 수용하는 수용부(19d)를 구비한다. 수용부(19d)의 원통형 케이스(10d)의 편단측 및 타단측에는 원통 외주부에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재하고 중공부(23d)와 연속한 개구부(11d)를 구획하는 제1원판부(21d) 및 제2원판부(21’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원통형 케이스(10d)는 편단측에 제1연결부(121d)를 구비하고 타단측에 제2연결부(122d)를 구비한다.
제1연결부(121d)는 케이블(2)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제1원통형 케이스(10d)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어 있다. 제1연결부(121d) 통벽의 외경은 제1원통형 케이스(10d)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점증한 후 점감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연결부(121d) 통벽의 외경은 구면형의 커브를 그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3과는 달리, 제1연결부(121d)의 통벽에 제1원통형 케이스(10d)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슬릿(13d)이 설치되어 있다. 제1연결부(121d)가 슬릿(13d)을 가짐으로써, 제1연결부(121d)가 제2연결부(122d)의 내부로 밀어 넣어질 때 및 제1연결부(121d)가 제2연결부(122d)의 내부에서 빠질 때, 제1연결부(121d)의 선단부 외경이 작아지도록 변형된다. 이 밀어 넣기 및 빼내기에 의해 제1원통형 케이스(10d)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d) 간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원통형 케이스(10d)를 탈착하고 원통형 케이스(10d)의 연결 개수를 용이하게 증감시켜 노이즈 감쇠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연결부(121d)에 슬릿(13d)이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케이블(2) 굴곡 시에 제1연결부(121d)가 슬릿(13d)을 통해 변형되어 케이블(2)을 추종하도록 굴곡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9 및 10에서는 슬릿(13d)이 하나의 원통형 케이스(10d)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6개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으나, 슬릿(13d)을 설치하는 간격 및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연결부(122d)는 원통형을 이루며, 제2원통형 케이스(10’d)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통벽은 동부와 선단부를 포함한다. 해당 통벽의 동부가 제1연결부(121d)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진다. 또한 도 9 및 10에서 나타낸 예에서 제2연결부(122d)의 통벽의 동부는 내경(R8)이 증감하지 않고 일정하다. 해당 통벽 선단부의 내경(R9)은 제1연결부(121d) 외경의 최대 지름(R7)보다 작은 동시에 케이블(2)을 관통 가능한 내경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높은 연결가동각도와 연결 각도의 전 방향으로의 변화를 양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연결부(121d)가 통벽에 슬릿을 가지기 때문에 원통형 케이스(10d)를 개폐하지 않고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10d, 10’d)를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상자성체(20)를 분할타입으로 하지 않고 구성함으로써, 특히 높은 노이즈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이즈 대책부재(1d)가 케이블(2)의 전면을 덮는 것으로 케이블(2)의 보호 기능도 겸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도 기재한 것처럼 제1원통형 케이스(10d)의 양단에 제1연결부(121d)가 설치되어 있고, 제2원통형 케이스(10’d)의 양단에 제2연결부(122’d)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1연결부(121d)만을 가진 제1원통형 케이스(10d)와 제2연결부(122’d)만을 가진 제2원통형 케이스(10’d)를 교대로 연결시킴으로써 노이즈 대책부재(1d)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노이즈 대책부채는 자동차에 구비된 전자부품이나 발전장치, 전원장치, 통신기기및 OA/FA기기 등의 케이블에 장착되어, 이것들의 전자부품이나 전자기기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발생하여 케이블 내를 전파하는 노이즈를 억제하는 노이즈 대책부재로서 특히 효과적이다.
1a,b,c,d 노이즈 대책부재
2 케이블
10a,b,c,d,10’a,b,c,d 원통형 케이스
101c 서브케이스
102c 힌지부
11a,b,c,d 개구부
121a,b,c,d,121’b 제1연결부
122a,b,c,d,122’b 제2연결부
13a,d 슬릿
14a 돌출부
15a (제1연결부의) 통벽
15’a (제2연결부의) 통벽
16,16’ 스터드부
17,17’ 소켓부
18 봉부
19a,b,c,d 수용부
20 자성체
21a,b,c,d,21’a,b,c,d 원판부
22a 경사면부
23a,b,c,d 중공부
24a,b,c,d 원통부
25b 분할면
26b,26’b 오목부
200 분할 관상자성체

Claims (9)

  1. 단일 케이블을 관통시키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관상자성체와,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를 각각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중공부를 구획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1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2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2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관통되는 상기 케이블의 굴곡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에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설치되어 선단부 외주부에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테이퍼 원통형이며,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원통 선단 외주부에 연설한 통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통벽의 내경이 점감하고 해당 통벽의 선단부가 상기 돌출부와 유감 가능한 내경을 가진 노이즈 대책부재.
  2. 단일 케이블을 관통시키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관상자성체와,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를 각각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중공부를 구획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1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2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2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관통되는 상기 케이블의 굴곡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이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에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연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설치되어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통벽의 외경이 점증한 후 점감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은 상기 제1연결부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진 동부와 상기 제1연결부 외경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선단부를 포함하는 노이즈 대책부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원통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한 형상의 서브케이스가 힌지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를 구성하는 해당 서브케이스에는 복수로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가 1개씩 수용되는 노이즈 대책부재.
  4. 단일 케이블을 관통시키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관상자성체와,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를 각각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시키는 중공부를 구획한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1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 설치되어 해당 제2원통형 케이스를 해당 편단측에 인접한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와 연결시키는 제2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관통되는 상기 케이블의 굴곡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는 원통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한 형상의 서브케이스가 힌지부에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를 구성하는 해당 서브케이스에는 복수로 분할된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가 1개씩 수용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원통형 케이스의 편단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기 통벽의 외경이 점증한 후 점감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원통형을 이루며, 상기 제2원통형 케이스의 중심축을 둘러싸도록 통벽이 설치되고 해당 통벽은 상기 제1연결부를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가진 동부와 상기 제1연결부 외경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동시에 상기 케이블을 관통 가능한 내경을 가진 선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원통형 케이스의 개폐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끼리의 연결이 탈착 가능한 노이즈 대책부재.
  5.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상자성체는 상기 제2관상자성체와 노이즈 감쇠량의 대역이 서로 다른 노이즈 대책부재.
  6.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원통형 케이스 간의 연결 각도가 3° 이상 45° 이하인 노이즈 대책부재.
  7.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관상자성체의 지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각각 3mm 이상 30mm 이하인 노이즈 대책부재.
  8. 삭제
  9. 삭제
KR1020217027892A 2019-04-16 2020-04-10 노이즈 대책부재 KR102367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77830A JP6871298B2 (ja) 2019-04-16 2019-04-16 ノイズ対策部材
JPJP-P-2019-077830 2019-04-16
PCT/JP2020/016189 WO2020213540A1 (ja) 2019-04-16 2020-04-10 ノイズ対策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660A KR20210116660A (ko) 2021-09-27
KR102367617B1 true KR102367617B1 (ko) 2022-02-25

Family

ID=7283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892A KR102367617B1 (ko) 2019-04-16 2020-04-10 노이즈 대책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71298B2 (ko)
KR (1) KR102367617B1 (ko)
CN (1) CN113557580B (ko)
WO (1) WO202021354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3728A (ja) 2005-10-31 2007-05-17 Tdk Corp 磁性部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797U (ko) * 1989-09-05 1991-04-24
JPH0529152A (ja) 1991-07-20 1993-02-05 Sony Corp シールド部品
JPH0547566A (ja) * 1991-08-16 1993-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信号弁別器
JP2518040Y2 (ja) * 1991-09-30 1996-11-20 太陽誘電株式会社 磁性コアケース
JPH07230915A (ja) * 1994-02-17 1995-08-29 Hotsukoo Kk ノイズ吸収具
CN202042579U (zh) * 2011-01-14 2011-11-1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滤波装置
DE102014112614A1 (de) * 2014-09-02 2016-03-03 Schaffner Emv Ag Filterbauteil mit wicklungslosen magnetischem Ringkern
CN205752806U (zh) * 2016-06-28 2016-11-30 陕西华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屏蔽效果良好的快速插拔式连接器界面结构
CN208445226U (zh) * 2018-06-13 2019-01-29 岳西县创奇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冰箱用线束固定卡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3728A (ja) 2005-10-31 2007-05-17 Tdk Corp 磁性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660A (ko) 2021-09-27
JP2020177974A (ja) 2020-10-29
JP6871298B2 (ja) 2021-05-12
WO2020213540A1 (ja) 2020-10-22
CN113557580B (zh) 2022-07-12
CN113557580A (zh)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3197A1 (en) Optical connector
JP6057176B2 (ja) ホルダー
EP1630920B1 (en) Protector
JP4791396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その組付方法
US20170001580A1 (en) Wire harness
US10243336B2 (en) Electric wire insertion member
CN109314380B (zh) 护线套及线束
CN104242178A (zh) 车门用配线装置
JP6083344B2 (ja) ノイズ吸収具
US20180072128A1 (en) Active roll stabilizer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y
US10586630B2 (en) Wire harness
KR102367617B1 (ko) 노이즈 대책부재
WO2012172700A1 (ja) 経路維持部材付コルゲートチューブ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WO2018139199A1 (ja) ホルダー
CN103154796B (zh) 光连接器用套筒及光连接器
JP6940313B2 (ja) ワイヤハーネス保護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897822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711545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ワイヤーハーネス、サブハーネス
JP2017195724A (ja) ワイヤハーネス用外装部材
JP5952527B2 (ja) グロメットへのワイヤハーネスの挿通方法
JP2013179731A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
JP6897823B2 (ja) ワイヤハーネス
WO2014077010A1 (ja) 光ケーブルのコネクタ端末構造及び光コネクタ
EP3748793B1 (en) Corrugated tube and wire harness
JP2024156320A (ja) 電線保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