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311B1 - Drone controller - Google Patents

Drone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311B1
KR102366311B1 KR1020160107524A KR20160107524A KR102366311B1 KR 102366311 B1 KR102366311 B1 KR 102366311B1 KR 1020160107524 A KR1020160107524 A KR 1020160107524A KR 20160107524 A KR20160107524 A KR 20160107524A KR 102366311 B1 KR102366311 B1 KR 10236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lever
main body
controll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8839A (en
Inventor
홍유정
Original Assignee
디스이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2548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53146B1/en
Application filed by 디스이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스이즈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311B1/en
Publication of KR2017002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839A/en
Priority to KR1020210108338A priority patent/KR20210104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이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조작 가능한 드론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론의 움직임을 조작 가능한 드론 컨트롤러에 있어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피봇 운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피봇 운동에 의해 상기 드론은 평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되고, 상기 레버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드론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되는 드론 컨트롤러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controller capable of manipulating the movement or rotation of the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one controller capable of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a drone, comprising: a main body; and a lever capable of pivoting to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drone is flat by the pivot movement of the lever. Disclosed is a drone controller that is operated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drone is operated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by vertical movement of the lever.

Description

드론 컨트롤러{DRONE CONTROLLER}Drone Controller {DRONE CONTROLLER}

본 발명은 드론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드론이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조작 가능한 드론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con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ne controller capable of manipulating the movement or rotation of a drone.

드론 또는 무인비행기 (UAV; unmaned aerial vehicle) 는 사람이 승선하지 않고, 무선으로 조작하여 비행하는 비행체를 말한다. 멀티콥터 드론은 최초로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의 편리성으로 방송등에서 촬영으로 많이 사용되며 최근 드론(무인 비행체)가 상용화되고 있다. 드론은 기체가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신속하며, 경제성이 뛰어나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등의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A drone or unmaned aerial vehicle (UAV) is an air vehicle that is operated wirelessly without a person on board. Multicopter drones were first developed for military use, but due to their convenience in transport and storage, they are often used for shooting in broadcasting, etc. Recently, drones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being commercialized. Drones are lightweight, easy to carry, fast, and economical, so they are being used for aerial photography and low-altitude reconnaissance and search.

또한, 드론은 카메라로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위치에서 촬영을 하거나, 드론에 물건을 싣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물건을 운반하는 용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을 재난 재해 모니터링, 물류 운반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n addition, dron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aking pictures in locations that are difficult for humans to access with a camera, or transporting objects by loading them on the drone and moving them to another place. In addition,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use drones for disaster monitoring and logistics transport.

최근에는 드론은 일반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항공 촬영을 하는 등의 레저 스포츠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종래보다 가볍고, 소형화되며, 고성능의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drones have been spotlighted as leisure sports, such as being carried by general users and taking aerial photography using a camera. These drones are lighter and smaller than the prior art, and are sometimes equipped with high-performance small cameras.

드론은 사람이 승선하지 않는 무인 비행체 이므로, 보통 지상에 있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받아 운용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드론은 사람의 조작이 필요한 수동운전에 의해 조작된다.Since a drone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does not board a person, it is usually operated by wirelessly receiving a manipulation signal from a user on the ground. Until now, most drones are operated by manual operation that requires human operation.

하지만 종래의 드론을 조작하는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파지 (Grab) 한 상태에서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드론의 조종은 그 조작의 난이성 때문에 드론을 사용함에 있어서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판매되는 드론의 종류도 입문용, 중급용, 고급용으로 나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드론 유저들은 드론의 능숙한 조종을 위해 드론 조종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However, it is common for the user to control the conventional drone while holding it with both hands. In addition, the control of drones is a high entry barrier in using drones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For this reason, the types of drones sold are also divided into introductory, intermediate, and high-end models. In addition, drone users are investing a lot of time in drone control for skillful operation of the drone.

그런데, 드론이 레저 스포츠 등으로까지 그 활용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드론 조작의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도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드론 컨트롤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as the field of application of drones expands to leisure sports, etc., the need for a drone controller that can be operated more easily and intuitively even by people who have not received training in drone operation is emerg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연구과정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두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조종하지 않아도 되고, 한 손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드론 컨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the research proces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 controller that does not require a user to control it while holding it with two hands, and can be easily operated with one hand.

또한, 드론이 상승, 하강, 이동, 회전 등을 하도록 조작함에 있어서, 보다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드론 컨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drone controller capable of more intuitively manipulating the drone to ascend, descend, move, rotate, and the lik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드론 컨트롤러는, 드론의 움직임을 조작 가능한 드론 컨트롤러에 있어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피봇 운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피봇 운동에 의해 상기 드론은 평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되고, 상기 레버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드론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된다.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 a drone controller capable of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a drone, includes a main body and a lever capable of pivoting to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drone is operated to move in a planar direction by the pivot movement of the lever, and the drone is operat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v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위치되고, 상기 드론이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조작 가능한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ocated on the main body, the drone may further include an operable button unit to be rotatable about at least one of the X-axis, Y-axis, and Z-axi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하며,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can be gripped by a user with one hand, and can be made in a shape that can be manipulated in the gripped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통과되어 끼어질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 through which a user's finger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le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버튼부가 기준 지점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드론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드론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unit is mov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when the button unit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oint, the drone rotates clockwise,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drone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drone may be operated to rotate counterclockwis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버튼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드론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드론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when the button unit is rotated clockwise, the drone rotates clockwise, and when the button unit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drone rotates counterclockwise. can be manipulated to rotate in a dir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는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버튼키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키는, 상기 본체의 기 결정된 부분에 좌향 및 우향의 두 방향을 이루며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좌향 버튼키를 누르면, 상기 드론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우향 버튼키를 누르면, 상기 드론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n keys formed to be operable by pressing, and the button keys are disposed adjacent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in two directions, left and right. When the left button key is pressed, the drone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when the right button key is pressed, the drone can rotate clockwis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하며,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부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파지 시 사용자의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되는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엄지가 통과되어 끼어질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can be gripped by a user with one hand,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manipulated in a gripped state, and the button unit includes the user's index, middle finger, It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at least one of the ring finger and the small finger, the end of the lever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user's thumb can be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파지 시 엄지 이외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는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so that a finger other than the thumb can be seated when the user grip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싱크(Sync) 버튼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싱크 버튼키는, 누름 조작시 상기 드론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상기 레버의 피봇 방향과 절대 좌표 상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sync button key, wherein the sync button key control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drone in the pivot direction and absolute coordinates of the lever when a pr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can matc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의 단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레버에 밀착되도록 손가락을 감싸는 밴드부를 더 구비하는, 드론 컨트롤러.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lever, and further comprising a band portion surrounding the user's finger so that the user's fing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ver, the drone controll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통과되는 손가락을 감싸는 덮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portio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overing a finge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손가락이 상기 개구부에서 빠져나올 때 걸림되도록 굴곡지는 굴곡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may include a curved jaw that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 and is bent so that a finge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is caught when exiting from the opening.

본 발명의 드론 컨트롤러에 따르면,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고, 파지한 손만을 이용하여 컨트롤 할 수 있으며, 드론을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조작 및 회전하는 조작을 서로 다른 조작부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레버를 통해 동시에 조작 가능함은 물론 상당히 직관적으로 드론을 컨트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dron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hold the controller with one hand, control it using only the gripped hand, and use different operation units to operate the drone to raise or lower it and to rotate it. On the other h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drone quite intuitively as well as being able to operate it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lever.

또한, 본 발명의 드론 컨트롤러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체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컨트롤러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다른 한 손으로는 비행을 준비하는 드론을 잡거나, 착륙하는 드론을 잡을 수 있는 등 드론 컨트롤러를 파지하지 않은 다른 손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on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ler by gripping the main body with one hand, so with the other hand, the drone controller can be used to hold a drone preparing to fly or a landing dron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other hand that is not gripped is free.

또한, 본체에 배치되는 버튼부는 드론을 수평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드론을 이동시키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 조작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utton unit disposed on the main body can rotate the drone horizont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one can be rotated in place without moving it.

또한, 본체에 배치되는 싱크 버튼키는 드론의 전면 방향과 컨트롤러의 전면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보다 수월하게 사용자가 목적하는 방향으로 드론을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ync button key disposed on the main body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user to more easily operate the drone in a desired direction by matching the front direction of the drone with the front direction of the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를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론 컨트롤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 컨트롤러의 단면을 사선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에 의해 컨트롤 될 수 있는 일반적인 드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드론 컨트롤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is holding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one controller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the drone controller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an oblique lin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eneral drone that can be controlled by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one controller shown in FIG. 5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Reference to an element or layer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ncludes any intervening layer or other element directly on or in the middle of another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드론이라는 용어는 쿼드콥터 (Quadcopter) 등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UAV; unmaned aerial vehicle) 전체를 총칭한다.The term drone as used herein is not limited to quadcopters and the like, and generically refers to the entire unmaned aerial vehicle (UAV) in which a person does not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 (100) 를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론 컨트롤러 (100) 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 컨트롤러 (100) 의 단면을 사선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드론 컨트롤러 (100) 에 의해 컨트롤 될 수 있는 일반적인 드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is holding a dron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one controller 100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drone controller 100 shown in FIG. 1 as viewed from an oblique lin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eneral dron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drone controller 100 shown in FIG. 1 .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 (100) 는 드론이 회전 및 이동하도록 무선으로 조작 가능한 컨트롤러이다. 드론 컨트롤러 (100) 는 본체 (20), 레버 (40) 및 버튼부 (30)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ron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ler that can be operated wirelessly so that the drone rotates and moves. The drone controller 100 includes a main body 20 , a lever 40 , and a button unit 30 .

본체 (20) 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 (20) 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한 상태에서 드론의 조작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20) 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원통형인 본체 (20) 가 일반 성인인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 가능한 둘레를 갖도록 원형의 지름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본체 (20) 둘레의 절반 이상을 손으로 감싸 본체 (20) 를 지지할 수 있다.The body 20 is formed so that a user can grip it with one hand. In addition, the main body 2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allows a user to operate the drone in a state that can be gripped with one hand. For example, the body 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is, the diameter of the circle is determined so that the cylindrical body 20 has a circumference that can be gripped by a general adult user with one hand. For example, the user may support the main body 20 by wrapping at least half of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20 with a hand.

본체 (20) 는 사용자의 오른손 (4) 으로 파지 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본체 (20) 는 사용자의 왼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레버 (40) 는 본체 (20) 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20 may be gripped by the user's right hand 4 , and unlike the drawings, the main body 20 may be gripped by the user's left hand. To this end, the lever 40 may be rotatab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body 20 .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본체 (20) 에는 사용자가 파지 시, 엄지 이외의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도록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 (20) 는 사용자의 각 손가락이 파지되는 방향을 따라 리세스 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본체 (20) 를 파지 시, 본체 (20) 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본체 (20) 의 리세스된 각 부분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된 부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됨으로써, 리세스된 부분의 양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림되게 된다. 이로써, 본체 (20) 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본체 (20) 가 리세스되는 정도는 사용자가 본체 (20) 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이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Meanwhile, unlike shown in the drawings, a recess may be formed in the body 20 so that a finger other than the thumb can be seated when the user grips the body 20 . That is, the body 20 may be recess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each finger of the user is gripped. At this time,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20 , the main body 20 may be formed so that the user's fingers can be seated on each recessed part of the main body 20 . As the user's finger is seated in the recessed portion, the user's finger is caught in the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recessed portion. Accordingly, the main body 2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user's fingers. The extent to which the main body 20 is recessed is such that the user can sufficiently support the main body 20, which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레버 (40) 는 본체 (20) 에 대하여 피봇 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레버 (40) 는 본체 (20) 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레버 (40) 는 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전후 방향 (x1, x2) 및 좌우 방향 (y1, y2) 으로 피봇 운동될 수 있다. 이 때, 드론은 레버 (40) 가 틸팅 되는 방향으로 평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버 (40) 가 상하 이동 되면, 드론은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The lever 40 is pivo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body 20 . And, the lever 4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lever 40 may be pivotally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1, x2)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y1, y2) while the drone is flying. At this time, the drone may be moved in a plan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40 is tilted. And, when the lever 40 moves up and down, the drone may ascend or descend in a vertical direction.

레버 (40) 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통과 가능한 개구부 (11) 를 구비한다. 그리고, 개구부 (11) 는 사용자가 본체 (20) 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본체 (20) 를 오른손 (4) 으로 파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오른손 (4) 의 엄지는 레버 (40) 의 개구부 (11) 를 통해 삽입된다. 삽입된 엄지손가락은 레버 (40) 를 전후 방향 (x1, x2) 및 좌우 방향 (y1, y2) 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레버 (40) 가 전후 방향 (x1, x2) 및 좌우 방향 (y1, y2) 으로 틸팅되면, 드론은 전후 방향 (x1, x2) 및 좌우 방향 (y1, y2) 으로 이동 될 수 있다.The lever 40 has an opening 11 through which a user's finger can pass. In addition, the opening 11 may be disposed so that the user's thumb is inserted while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20 .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user is holding the main body 20 with the right hand 4 . Then, the thumb of the user's right hand 4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11 of the lever 40 . The inserted thumb can tilt the lever 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1, x2)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1, y2). When the lever 40 is til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x1, x2) and the left-right direction (y1, y2), the drone can be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x1, x2) and the left-right direction (y1, y2).

또한, 레버 (40)(더욱 구체적으로는 핑거링 (10)) 는 개구부 (11) 를 통해 통과되는 손가락에 의해 본체 (20) 에서 멀어지는 쪽(상향, z1)으로 가압되거나, 본체 (20) 에서 가까워지는 쪽(하향, z2)으로 가압될 수 있다. 레버 (40) 가 상향 (z1) 으로 가압되면, 드론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향 (z1) 으로 상승할 수 있고, 레버 (40) 가 하향 (z2) 으로 가압되면, 드론은 지면을 기준으로 하향 (z2) 으로 하강할 수 있다. Further, the lever 40 (more specifically the finger ring 10 ) is pres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20 (upward, z1 ) by a finge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11 , or close to the body 20 . It can be pressed to the losing side (downward, z2). When the lever 40 is pressed upward (z1), the drone can ascend upward (z1)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when the lever 40 is pressed downward (z2), the drone moves downward (z2) with respect to the ground. z2) can be descended.

레버 (40) 는 전후 방향 (x1, x2) 또는 좌우 방향 (y1, y2) 으로 틸팅되는 것과 동시에, 상향 (z1) 으로 가압되거나 하향 (z2) 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를 복합조작이라 할 수 있다. 레버 (40) 가 복합조작되면, 드론은 복합조작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40) 가 좌향으로 틸팅되며 동시에 상향 (z1) 으로 가압되면, 드론은 좌향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지면을 기준으로 상승할 수 있다.The lever 40 can be til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x1, x2) or the left-right direction (y1, y2) and simultaneously pressed upward (z1) or downward (z2).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composite operation. When the lever 40 is multi-manipulated, the drone may be moved in a direction to be multi-manipulated. For example, if the lever 40 is tilted to the left and simultaneously pressed upward z1, the drone may move to the left and simultaneously rise with respect to the ground.

버튼부 (30) 는 본체 (20) 에 위치되고, 드론이 회전 가능하도록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다. The button unit 30 is positioned on the main body 20 and is operably formed so that the drone can rotate.

드론은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드론 중에서 드론의 본체가 뒤짚어진 상태에서 비행을 할 수 없는 드론과 드론 자체가 뒤짚어진 상태에서 비행을 할 수 있는 드론이 있을 수 있다. 본체가 뒤짚어진 상태에서 비행을 할 수 없는 드론은 Z축 (r1, r2) 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가 뒤짚어진 상태에서 비행을 할 수 있는 드론은 X축 (r3, r4) 또는 Y축 (r5, r6) 에 대해서도 회전할 수 있다. The drone may be able to rotate about at least one of an X-axis, a Y-axis, and a Z-axis. Among drones, there may be a drone that cannot fly with the body of the drone upside down, and a drone that can fly with the drone itself turned upside down. A drone that cannot fly with its body upside down may be able to rotate about the Z axis (r1, r2). In addition, a drone capable of flying with the body turned upside down can also rotate about the X-axis (r3, r4) or the Y-axis (r5, r6).

버튼부 (30) 는 본체 (20) 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버튼부 (30) 는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기준 지점에 위치한다. 드론은 버튼부 (30) 가 이동 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The button unit 30 may be mov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 The button unit 30 is located at a reference point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drone is made to rotate when the button unit 30 is moved.

버튼부 (30) 가 본체 (20) 에 배치되는 부분은 사용자가 본체 (20) 를 파지 시 검지나 중지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체 (20) 를 파지 시, 검지나 중지가 위치되는 근방에 버튼부 (30) 가 오도록 버튼부 (30) 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오른손 (4) 으로 본체 (20) 를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 중 중지가 버튼부 (30) 에 오도록 버튼부 (30) 를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으로 레버 (40) 를 조작하는 동시에, 검지나 중지로 버튼부 (30) 를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part where the button part 30 is disposed on the body 20 is a part where the index finger or middle finger is disposed when the user grips the body 20 . For example,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20, the button part 3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button part 30 comes to the vicinity where the index or middle finger is located.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 when the user grips the body 20 with the right hand 4 , the button unit 3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middle finger of the user's fingers comes to the button unit 30 .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lever 40 with the thumb and at the same time operate the button unit 30 with the index finger or middle finger.

버튼부 (30) 는 본체 (20) 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버튼부 (30) 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장착되어 한쪽 방향으로 가압시 복원력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 (30) 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버튼부 (30) 는 다시 원래의 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 The button unit 30 may be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 At this time, the button part 30 is equipped with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so that restoring force can be generated when pressing in one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button unit 30 is removed, the button unit 30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드론은 버튼부 (30) 의 이동 방향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버튼부 (30) 를 제1 방향 (r1) 으로 밀게 되면, 드론은 시계방향 (r1) 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 (30) 를 제2 방향 (r2) 로 밀게 되면, 드론도 반시계방향 (r2) 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drone may rotate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30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3 and 4 , when the button unit 30 is pushed in the first direction r1 , the drone may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r1 . And, when the button unit 30 is pushed in the second direction r2, the drone may als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2.

한편, 버튼부 (30) 는 본체 (20) 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휠(Wheel)과 같이, 버튼부 (30) 는 본체 (20) 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게 본체 (20) 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버튼부 (30) 를 시계 방향 혹은 제1 방향 (r1) 또는 반시계 방향 혹은 제2 방향 (r2) 으로 회전 시, 드론은 버튼부 (30) 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게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utton unit 3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dy 20 . That is, like a wheel, the button part 30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20 rotatably in place without moving with respect to the body 20 .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unit 30 is rotated clockwise or in the first direction (r1) or counterclockwise or in the second direction (r2), the drone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matc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30 . It can be rotated clockwis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드론 컨트롤러 (100) 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drone controll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레버 (40) 는 핑거링 (10), 로드 (41), 레버 센서 (42), 레버 센서 지지대 (43) 및 힌지 (44) 를 포함한다.The lever 40 includes a finger ring 10 , a rod 41 , a lever sensor 42 , a lever sensor support 43 and a hinge 44 .

핑거링 (10) 은 레버 (40) 의 상부에서 개구부 (11) 가 형성된 링이다. 핑거링 (10) 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 가능하다. 레버 센서 (42) 는 레버 (40) 가 힘을 받아 틸팅되면, 틸팅되는 방향 및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틸팅되는 방향은 전, 후, 좌 및 우에 대한 방향이며 이러한 방향이 복잡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과 우향의 사이를 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레버 (40) 가 틸팅될 수 있다. 또한, 레버 (40) 가 본체 (20) 와 이루는 각도는 조작되지 않았을 때에 90도 인데, 여기에서 틸팅되는 각도에 따라 드론이 이동하는 속도가 변할 수 있다. 더 많이 틸팅 될수록, 더 빠르게 드론이 이동할 수 있다. The finger ring 10 is a ring in which an opening 1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r 40 . A user's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finger ring 10 . The lever sensor 42 may sense a tilted direction and an angle when the lever 40 is tilted by receiving a force. Here, the tilting directions ar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se directions may be manipulated in a complicated manner. For example, the lever 40 may be tilted in an oblique direction directed between the front side and the right side. 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lever 40 and the main body 20 is 90 degrees when not manipulated. Here, the speed at which the drone move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ilted angle. The more tilted, the faster the drone can move.

로드 (41) 는 레버 센서 (42) 와 핑거링 (10) 을 연결하는 막대이다. 한편, 로드 (41) 와 핑거링 (10) 은 힌지 (44) 로 연결될 수 있다. 힌지 (44) 는 핑거링 (10) 에 가해지는 힘을 유연하게 로드 (41) 로 전달할 수 있다. The rod 41 is a rod connecting the lever sensor 42 and the finger ring 10 . Meanwhile, the rod 41 and the finger ring 10 may be connected by a hinge 44 . The hinge 44 can flexibly transmit the force applied to the finger ring 10 to the rod 41 .

레버 센서 지지대 (43) 는 레버 센서 (42) 를 지지하며, 레버 센서 (42) 가 틸팅되는 각도를 파악하여 이동하는 빠르기를 결정할 수 있다. 레버 (40) 가 작은 각도로 틸팅되면 드론은 해당 방향으로 비교적 느리게 이동할 수 있고, 레버 (40) 가 큰 각도로 틸팅되면 드론은 해당 방향으로 비교적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The lever sensor support 43 supports the lever sensor 42 ,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oving speed by determining the angle at which the lever sensor 42 is tilted. When the lever 40 is tilted at a small angle, the drone can move relatively slowly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when the lever 40 is tilted at a large angle, the drone can move relatively quickly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한편, 레버 센서 지지대 (43) 의 하부에는 연장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 지지대는 본체 (20)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대 (51) 와 제1 지지대 (51) 의 단부에서 본체 (20) 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대 (52) 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extension support may be formed under the lever sensor support 43 . The extended suppor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5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20 and a second support 52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20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51 . .

제2 지지대 (52) 와 본체 (20) 의 하부 사이에는 스프링 (55) 에 삽입될 수 있다. 본체 (20) 의 중간 부분에는 칸막이 (53) 가 형성될 수 있다. 칸막이 (53) 와 제2 지지대 (52) 사이에도 스프링 (55) 이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 (55) 은 외부의 힘이 없는 상태에서 연장 지지대가 하부 또는 상부로 치우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 spring 55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upport 5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20 . A partition 53 may be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20 . A spring 55 may also be inserted between the partition 53 and the second support 52 . The spring 55 serves to fix the position so that the extension support is not biased to the lower or upper part in the absence of external force.

칸막이 (53) 의 하부와 본체 (20) 의 하부 측에는 각각 제1 센서 및 제2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핑거링 (10) 을 상향 (z1) 으로 가압하는 경우, 칸막이 (53) 와 제2 지지대 (52) 사이의 스프링 (55) 이 압축되게 된다. 이 때 압축된 스프링 (55) 은 제1 센서를 더 큰 힘으로 가압하게 되고, 제1 센서는 드론을 상승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핑거링 (10) 을 하향 (z2) 으로 가압하는 경우, 본체 (20) 의 하부와 제2 지지대 (52) 사이의 스프링 (55) 이 압축될 수 있다. 압축된 스프링 (55) 은 제2 센서를 더 큰 힘으로 가압하게 되고, 제2 센서는 드론을 하강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53 and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0 , respectively. When the user presses the finger ring 10 upward z1, the spring 55 between the partition 53 and the second support 52 is compressed. At this time, the compressed spring 55 presses the first sensor with a greater force, and the first sensor may generate a signal to raise the drone.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finger ring 10 downward (z2), the spring 55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and the second support 52 may be compressed. The compressed spring 55 presses the second sensor with a greater force, and the second sensor may generate a signal to lower the dron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 (200)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드론 컨트롤러 (200) 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on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one controller 200 shown in FIG. 5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 (200) 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드론 컨트롤러 (100) 와 비교하여, 버튼부 (170) 의 구성, 디스플레이 (160) 및 밴드부 (112) 이 추가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rone controll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to the drone controller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unit 170 , the display 160 and the band unit 112 are added.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being, and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or similar,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을 참조하면, 레버 (140) 는 레버의 단부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특히, 엄지 손가락) 이 레버에 밀착되도록 손가락을 감싸는 밴드부 (112) 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부 (112) 는 제1 밴드 (112a)와 제2 밴드 (112b)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lever 140 may further include a band portion 112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lever and surrounding the finger so that the user's finger (especially, the thum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ver. Specifically, the band portion 112 includes a first band 112a and a second band 112b.

제1 밴드 (112a) 및 제2 밴드 (112b)는 레버의 단부에 양 쪽으로 펼쳐져 부착되어 있다. 제1 밴드 (112a) 및 제2 밴드 (112b)는 레버의 단부에 엄지 손가락을 올린 후에 엄지 손가락을 감싸면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제1 밴드 (112a)와 제2 밴드 (112b)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는 서로 대응되게 벨크로들 (113a, 113b)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를 통해 제1 밴드 (112a) 및 제2 밴드 (112b)가 착탈가능하다. The first band 112a and the second band 112b are attached to the ends of the levers spread out on both sides. The first band 112a and the second band 112b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while wrapping the thumb after placing the thumb on the end of the lever. The first band 112a and the second band 112b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with the Velcros 113a and 113b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rst band (112a) and the second band (112b) is detachable through the Velcro.

밴드부는 엄지 손가락을 레버에 밀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함에 있어서 정교함 및 민첩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밴드부는 엄지 손가락을 레버에 밀착시킴으로써, 레버를 조작함에 있어서 레버와 손가락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By making the band part close the thumb to the lever, sophistication and agility can be increas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lever. In addition, the band unit may prevent the lever and the finger from being separated when operating the lever by making the thumb closely adhere to the lever.

버튼부 (170) 는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버튼키 (171, 172, 173, 174)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키들 (171, 172, 173, 174) 은 본체 (120) 의 기결정된 부분에 우향 (171), 좌향 (172), 하향 (173) 및 상향 (174) 의 네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향 버튼키 (174) 를 누르면 드론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승하고, 하향 버튼키 (173) 를 누르면, 드론은 지면을 기준으로 하강하며, 좌향 버튼키 (172) 를 누르면 드론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우향 버튼키 (171) 를 누르면 드론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 (140) 는 드론이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이동하도록 틸팅하여 조작할 수 있다. The button unit 17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 keys 171 , 172 , 173 , 174 that are formed to be press-operable. The button keys 171 , 172 , 173 , and 17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body 120 in four directions of the right direction 171 , the left direction 172 , the downward direction 173 , and the upward direction 174 . . If the up button key 174 is pressed, the drone rises with respect to the ground, if the down button key 173 is pressed, the drone descends based on the ground, and if the left button key 172 is pressed, the drone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press the right button key 171 to rotate the drone clockwise. The lever 140 can be operated by tilting the drone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 (140) 를 상향으로 가압하거나 하향으로 가압 시, 드론이 지면을 기준으로 상승하거나 하향할 수 있는데, 상향 버튼키 (174) 및 하향 버튼키 (173) 는 드론의 상승 및 하강을 추가적으로 미세하게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ver 140 is pressed upward or downward, the drone may ascend or descend with respect to the ground. may play a role in further fine-tuning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버튼키는 우향 (171) 및 좌향 (172) 만 구비되어, 드론을 좌향 또는 우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뒤짚어진 상태에서 비행이 가능한 드론의 경우에는, 드론을 X축이나 Y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드론의 상승 및 하강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레버 (140) 를 상향으로 가압하거나 하향으로 가압하여 조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shown in the drawing, the button key is provided with only a right direction 171 and a left direction 172, so that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drone to the left or right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rone capable of flying in an upside down state,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drone to rotate about the X-axis or the Y-axis. In this case,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drone can be operated by pressing the lever 140 upward or downward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본체 (120) 는 싱크(Sync) 버튼키 (175)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버튼키 (175) 는 버튼부 (170) 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싱크 버튼키 (175) 는 누름 조작시 드론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레버의 피봇 방향과 절대 좌표 상에서 일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레버 (140) 의 피봇 방향과 드론이 이동하는 방향을 서로 일치시킬 수 있다. The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sync button key 175 . The sync button key 175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button unit 170 . When the sync button key 175 is presse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drone can be matched with the pivot direction of the lever on absolute coordinates. In other words, the pivot direction of the lever 14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ne moves may coincide with each other.

드론이 수평 회전시에 사용자가 향하는 방향과 드론의 전면 방향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드론을 전면으로 이동시켰을 때, 드론이 이동하는 방향이 사용자가 목적하는 방향과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가 향하는 전면 방향을 컨트롤러의 버튼부 (170) 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가정한다면, 드론의 전면 방향도 컨트롤러의 버튼부 (170) 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일치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조작하며 겪을 수 있는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drone is horizontally rotated, the direction the user faces and the front direction of the dron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when the user moves the drone to the fro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one moves may be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desired by the user. If it is assumed that the front direction that the user faces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unit 170 of the controller is formed, the front direction of the drone also match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unit 170 of the controller is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duce confusion that the user may experience while operating the controller.

싱크 버튼키 (175) 를 누르면 드론의 전면 방향과 컨트롤러에서 버튼부 (170) 의 형성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는 컨트롤러의 버튼부 (170) 의 형성방향이 드론의 전면 방향과 일치되도록 드론이 회전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드론의 전면 방향이 컨트롤러의 버튼부 (170) 의 형성방향이 되도록, 드론 내에서 전면 방향을 컨트롤러의 버튼부 (170) 의 형성방향으로 다시 세팅하는 방식이다. 그 밖에 다른 방식으로도 드론의 전면 방향과 컨트롤러의 버튼부 (170) 의 형성방향을 일치 시킬 수 있다. 한편 싱크 버튼키 (175) 는 도면도 도시된 것과 달리,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sync button key 175 is pressed, the front direction of the drone and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170 in the controller can be matched. Several methods may be used for this method. For example, the first is to rotate the drone so that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170 of the controller coincides with the front direction of the drone. The second is a method in which the front direction in the drone is set back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170 of the controller so that the front direction of the drone becomes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170 of the controller. In other methods, the front direction of the drone and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button unit 170 of the controller can be matched. On the other hand, the sync button key 175 may be formed at a different location, unlike that shown in the drawings.

본체 (120) 는 디스플레이 (16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 는 드론과 컨트롤러의 거리 및 컨트롤러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160) 는 드론의 현재 높이 (H), 드론과 컨트롤러의 직선 거리 (D), 컨트롤러의 배터리 예상 잔여 사용시간 (B) 및 싱크 버튼의 ON, OFF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다른 기타의 필요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The body 12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160 . The display 160 may display the distance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ler and the state of the controller. Specifically, the display 160 may display the current height of the drone (H), the linear distance between the drone and the controller (D), the estimated remaining battery usage time of the controller (B), and ON/OFF status of the sync button. In addition, other necessar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 (300) 는,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드론 컨트롤러 (200) 와 비교하여, 레버 (240) 의 형상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rone controll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drone controller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only in the shape of the lever 240,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 (300) 는 덮개부 (212) 를 더 구비한다.The drone controller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part 212 .

개구부 (211) 의 일측으로 배치되고, 개구부 (211) 를 통해 통과되는 손가락을 감싸는 덮개부 (212) 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핑거링 (210) 을 일측으로 손가락의 삽입 시, 손가락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 (212) 가 구비된다.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211, and further includes a cover portion 212 for wrapping a finge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211. Specifically, when a finger is inserted with the finger ring 210 to one side, a cover portion 212 capable of covering the finger is provided.

덮개부 (212) 는 레버 (240) 를 틸팅시킬 때, 손가락이 닿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레버 (240) 를 틸팅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부 (212) 는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는 방향을 제한하므로, 사용자가 잘못된 방향으로 컨트롤러를 파지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lever 240 is tilted, the cover part 212 may increase the area touched by the fing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tilt the lever 240 more effectively. In addition, since the cover part 212 limi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s thumb is inser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holding the controller in the wrong direction.

한편, 덮개부 (212) 는 개구부 (211) 와 인접한 하부에 형성되고, 개구부 (211) 를 통과하는 손가락이 개구부 (211) 에서 빠져나올 때 걸림되도록 굴곡지는 굴곡턱 (213)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굴곡턱 (213) 은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핑거링 (210) 을 당기는 동작을 할 때,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손가락 관절에 의해 하부를 향해 접힘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굴곡턱 (213) 에 손가락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굴곡턱 (213) 은 사용자가 핑거링 (210) 을 당기는 동작을 할 때, 핑거링 (210) 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굴곡턱 (213) 은 사용자가 핑거링 (210) 을 당기는 동작을 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레버 (240) 를 당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part 21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 211, and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jaw 213 that is bent so that a finge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211 is caught when exiting from the opening 211. there is. When the user pulls the finger ring 210 with his/her thumb, the curved jaw 213 may more effectively engage the finger on the curved jaw 213 as the user's thumb is folded downward by the knuckle. Accordingly, the curved jaw 213 may prevent the user's fing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nger ring 210 when the user pulls the finger ring 210 . In addition, the curved jaw 213 may allow the user to pull the lever 240 more effectively when the user pulls the finger ring 210 .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들 (400, 500, 600, 700) 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드론 컨트롤러 (100) 와 비교하여, 본체 (420, 520, 620, 720) 의 형상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Drone controllers 400 , 500 , 600 , 700 according to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drone controller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main bodies 420 , 520 , 620 , 720 .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or similar, so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본체 (420) 가 위 아래로 길어진 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체 (420) 의 단면은 원형일 수도 있고, 타원형일 수도 있다. 본체 (420) 중에서 핑거링 (410) 과 가까운 상부 측은 직경이 좁게 형성되고, 본체 (420) 의 하부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게 형성된다. 이는 핑거링 (410) 및 버튼부 (430) 를 조작하기 쉽도록 직경을 줄인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그립감을 높이기 위해 하부의 직경이 길어지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body 420 has an oval shape elongated up and down.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420 may be circular or oval. Among the body 420 , the upper side close to the finger ring 410 has a narrow diameter, and the diameter is formed wide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ody 420 . This is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finger ring 410 and the button portion 430 to be easy to operate.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user's grip.

도 9를 참조하면, 본체 (520) 는 구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본체 (520) 의 단면은 원형일 수도 있고, 타원형이어도 무방하다. 본체 (520) 의 그립감을 높이기 위해 중앙부의 직경이 길어지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body 520 has a shape close to a spherical shape.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520 may be circular or elliptical. In order to increase the grip of the body 520, the diameter of the central portion may be increased.

도 10를 참조하면, 본체 (620) 는 단면이 계란형에 가까운 형상의 기둥형태로 이루어진다. 본체 (620) 의 단면은 버튼부 (630) 가 배치되는 곳이 더 두꺼운 형태로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10 , the body 620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having a cross-section close to an oval shape.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620 is formed in a thicker form where the button portion 630 is disposed.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 (720) 는 단면이 대략 원형에 가까운 기둥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 (720) 의 단면의 폭은 핑거링에 가까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가면서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본체 (720) 는 가운데가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본체 (720) 를 그립(grip) 할 때 그립감을 높이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FIG. 11 , the body 720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having a cross-section close to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And, the width of the cross-section of the body 720 may form a shape that is narrowed down from the upper part close to the finger ring to the lower part and then widened again. That is, the main body 720 is formed to have a narrow width in the middle. This is to increase the feeling of grip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720 .

한편, 본체의 형상은 상술한 도 8 내지 도 11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그립하기 편하면서도 한 손으로 조작하기 편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레버를 조작하는 것과 버튼부를 밀거나 당기는 것이 유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main body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IGS. 8 to 11 ,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hich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venient for a user to grip and manipulate with one hand. In particular, manipulating the lever and pushing or pulling the button portion may be made useful.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2 is a front view showing a drone control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 (800) 는, 도 1에서 설명한 드론 컨트롤러 (100) 와 비교하여, 본체 (820) 에 리세스부 (821) 가 형성되는 것과, 버튼부 (870) 의 형상의 차이나는 것과, 기능버튼부 (880) 가 추가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rone controller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with the drone controller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recess portion 821 is formed in the main body 820 , and the button portion 870 .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 and the addition of the function button unit 880, and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or similar,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론 컨트롤러 (800) 는 본체에 리세스부 (821) 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820) 의 상단 측부터 리세스된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세스부 (821) 는 사용자가 본체 (820) 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에 대한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나머지 손가락들이 리세스부 (821) 에 안착됨으로써, 리세스부 (821) 는 사용자가 본체 (820) 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drone controller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821 is formed in the main body. A curve recessed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body 820 is formed. The recess 821 may intuitively inform the user of the positions of the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while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820 . In addition, since the rest of the user's fingers are seated in the recess 821 , the recess 821 may allow the user to more stably grip the main body 820 .

버튼부 (870) 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네 개의 버튼키 (871, 872, 873, 874) 와 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싱크 버튼키 (875) 를 포함한다. 버튼부 (870) 는 사용자가 본체 (820) 를 파지하였을 때,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 손가락 끝에 놓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button unit 870 includes four button keys 871 , 872 , 873 , 874 form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ync button key 875 disposed adjacent thereto. The button unit 870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placed on the tip of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820 .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네 개의 버튼키 중 제1 버튼키 (871) 및 제2 버튼키 (872) 는 본체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버튼키 (871) 및 제2 버튼키 (872) 는 드론을 회전시키는 회전 버튼키와 드론이 회전되는 축(x축, y축, z축)을 설정하는 회전축 방향 변환 버튼키일 수 있다. 또한, 제3 버튼키 (873) 는 드론의 이동 속도를 상대적으로 느린 상태와 상대적으로 빠른 상태로 변환하는 속도 변환키일 수 있다. 제4 버튼키 (874) 는 드론을 현재상태에서 반대로 뒤짚는 플립(Flip)키 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버튼키 내지 제4 버튼키 (871, 872, 873, 874) 는 각각 모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버튼일 수도 있고, 제1 버튼키 내지 제4 버튼키 (871, 872, 873, 874) 는 각각 모두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버튼일 수도 있으며, 제1 버튼키 내지 제4 버튼키 (871, 872, 873, 874) 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버튼과 누름 조작 가능한 버튼이 혼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누름 조작도 가능하며 동시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버튼키 내지 제4 버튼키 (871, 872, 873, 874) 는 각각의 위치나 이동 또는 누름 조작 시 드론이 조작되는 기능들은 서로 바뀔 수도 있다.The first button key 871 and the second button key 872 among the four button keys that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y left and right. The first button key 871 and the second button key 872 may be a rotation button key for rotating the drone and a rotation axis direction conversion button key for setting an axis (x-axis, y-axis, z-axis) on which the drone is rotated. In addition, the third button key 873 may be a speed conversion key for converting the moving speed of the drone into a relatively slow state and a relatively fast state. The fourth button key 874 may be a flip key that reverses the drone in its current state. On the other hand, unlike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button key to the fourth button key (871, 872, 873, 874) may be buttons that are form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 first button key to the fourth button key (871, 872, 873, 874) may be all buttons formed to be able to operate by pressing, and the first to fourth button keys (871, 872, 873, 874) are buttons that can be moved left and right and press operation. Possible buttons may be mixed and formed. In addition, a pressing operation is also possible, and it may be possible to move left and righ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first to fourth button keys 871 , 872 , 873 , and 874 may change positions or functions by which the drone is operated during movement or pressing operation.

기능버튼부 (880) 는 사용자가 본체 (820) 를 파지하였을 때, 손바닥으로 가리지 않는 부위에 놓이게 된다. 기능버튼부 (880) 는 상하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4개의 기능버튼키 (881, 882, 883, 884) 를 포함한다. 다만, 기능버튼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추가되거나, 같은 버튼키를 복수번 눌러서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기능버튼키의 개수가 더 줄어들 수도 있다.When the user grips the main body 820, the function button unit 880 is placed on a portion not covered with the palm of the hand. The function button unit 880 includes four function button keys 881, 882, 883, and 884 form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owever, the number of function button keys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urther added as necessary, or the number of function button keys may be further reduced by pressing the same button key a plurality of times to perform another function.

기능버튼부 (880) 는 드론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제1 기능버튼키 내지 제4 기능버튼키 (881, 882, 883, 884) 를 포함한다.The function button unit 880 includes first to fourth function button keys 881 , 882 , 883 , and 884 which perform functio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rone.

제1 기능버튼키 (881) 를 누름 조작시 드론이 사용자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따라오는 기능을 하는 팔로우(Follow)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기능버튼키 (882) 는 누름 조작시, 드론이 처음 출발했던 위치나, 현재 사용자의 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백 홈(Back Hom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기능버튼키 (883) 는 누름 조작시, 드론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위치를 고정하는 공중 정지(Hover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4 기능버튼키 (884) 는 누름 조작시, 한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계속하여 원형으로 도는 라운딩(Round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1 기능버튼키 내지 제4 기능버튼키 (881, 882, 883, 88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각각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1 기능버튼키 내지 제4 기능버튼키 (881, 882, 883, 884) 가 수행하는 기능들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When the first function button key 881 is pressed, the drone may perform a follow function, which functions to follow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user. When the second function button key 882 is pressed, it may perform a Back Home function of returning the drone to a location where the drone first started or a location of a current user. The third function button key 883 may perform a hovering function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drone in a state in which it is floating in the air during a pressing operation. The fourth function button key 884 may perform a rounding function of continuously turning in a circ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round a point during a pressing operation. However, at least one of the first function button key to the fourth function button key (881, 882, 883, 884) may be movabl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 first function button key to the fourth function button key 881 , 882, 883, 884) may be interchang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6)

객체의 움직임을 조작 가능한 객체 컨트롤러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대한 피봇 운동 가능한 레버;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의 피봇 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가 평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작시키는 조작 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레버의 상하 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객체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조작시키는 조작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컨트롤러.
In the object controller capable of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an object,
main body;
a lev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capable of pivot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It is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in response to the pivot movement of the lever, a manipul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object to move in the planar direction is generated, and in response to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ever, the object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bject controll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틸팅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객체의 평면 방향 이동 속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컨트롤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e direction movement speed of the object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lever is til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위치되고, 상기 객체가 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조작 가능한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컨트롤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controll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utton located on the main body and operable to rotate the object about at least one of an x-axis, a y-axis, and a z-ax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컨트롤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utton unit is an object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main body rotatabl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객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버튼부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객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컨트롤러.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button unit rotates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dy, the object rotates clockwise, and when the button unit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dy, the object rotates counterclockwise. controll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누름 조작 시 상기 객체는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위치를 고정하는 공중 정지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컨트롤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button part is formed to be operable by pressing,
The object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button part is pressed, the object is suspended in the air and the position is fixed in a state of being suspended in the air.
KR1020160107524A 2015-09-04 2016-08-24 Drone controller KR1023663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524A KR102366311B1 (en) 2015-09-04 2016-08-24 Drone controller
KR1020210108338A KR20210104012A (en) 2016-08-24 2021-08-17 Dron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489A KR101653146B1 (en) 2015-09-04 2015-09-04 Drone controller
KR1020160107524A KR102366311B1 (en) 2015-09-04 2016-08-24 Drone controll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489A Division KR101653146B1 (en) 2015-09-04 2015-09-04 Drone controll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338A Division KR20210104012A (en) 2016-08-24 2021-08-17 Drone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839A KR20170028839A (en) 2017-03-14
KR102366311B1 true KR102366311B1 (en) 2022-02-22

Family

ID=8049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524A KR102366311B1 (en) 2015-09-04 2016-08-24 Drone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31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64B1 (en) 2017-03-07 2020-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Pattern form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orientation of Zenithal Bi-stable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orientation substrate including the pattern using the same method and mask substrate used at forming of the pattern
KR101897597B1 (en) 2017-06-19 2018-09-13 주식회사 스카이텍 Remot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for drone control
KR101938836B1 (en) 2017-06-28 2019-01-16 (주)자이언트드론 The system which supports a control process of a drone
KR102195803B1 (en) 2018-12-21 2020-12-28 주식회사 스카이텍 A drone system for line installation by using remote controll right transfer
CN109992037A (en) * 2019-05-08 2019-07-09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A kind of unmanned plane control stick
KR102245828B1 (en) 2019-05-15 2021-04-28 주식회사 스카이텍 Dron system for power line inspection that can intercept electromagnetic wa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4921A1 (en) * 2000-05-18 2002-08-08 Philippe Louvel Electrical remote-control and remote-power flying saucer
US20060137931A1 (en) * 2004-12-23 2006-06-29 Caterpillar Inc. Steering system with joystick mounted controls
JP2012006587A (en) 2010-06-22 2012-01-12 Parrot Method for evaluating horizontal speed of drone, particularly of drone capable of performing hovering flight under autopilot
JP2012198883A (en) * 2011-03-08 2012-10-18 Parrot Method of piloting multiple rotor rotary-wing drone to follow curvilinear tur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8414A (en) * 1986-10-27 1988-05-13 Fanuc Ltd Manual speed control method for unattended carrying vehicle
JPH11154031A (en) * 1997-11-24 1999-06-08 Futoshi Shiomi Joy stick capable of inputting components of three systems at a time with one fi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04921A1 (en) * 2000-05-18 2002-08-08 Philippe Louvel Electrical remote-control and remote-power flying saucer
US20060137931A1 (en) * 2004-12-23 2006-06-29 Caterpillar Inc. Steering system with joystick mounted controls
JP2012006587A (en) 2010-06-22 2012-01-12 Parrot Method for evaluating horizontal speed of drone, particularly of drone capable of performing hovering flight under autopilot
JP2012198883A (en) * 2011-03-08 2012-10-18 Parrot Method of piloting multiple rotor rotary-wing drone to follow curvilinear tu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839A (en)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146B1 (en) Drone controller
KR102366311B1 (en) Drone controller
US20210060419A1 (en) Input apparatus for a computer
CN109313487B (en) Object controller
US20170158328A1 (en) Handheld aircraft with adjustable components
US20200257286A1 (en) Dial structure, remote controller employ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
CN109478363A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ed with convertible remote controler
US10751608B2 (en) Full body movement control of dual joystick operated devices
KR20210104012A (en) Drone controller
US11181938B2 (en) Full body movement control of dual joystick operated devices
CN209575734U (en) Game console
KR102052578B1 (en) One-hand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one
KR102385079B1 (en) Object controller
KR101996306B1 (en) RC controller
KR101980601B1 (en) Remote control device
KR101941277B1 (en) Drone controller
KR102183827B1 (en) Object controller
Chen et al. Design of drone remote-control system using human motion recognition
WO2018101890A1 (en) Electronic input device
TWI669000B (en) Multi-axis aerial camera self-timer mode control method
GB2613543A (en) A control device and a vehicle
CN106178537A (en) A kind of force feedback aircraft remot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