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996B1 - 블로우몰딩장치 - Google Patents

블로우몰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996B1
KR102365996B1 KR1020210095664A KR20210095664A KR102365996B1 KR 102365996 B1 KR102365996 B1 KR 102365996B1 KR 1020210095664 A KR1020210095664 A KR 1020210095664A KR 20210095664 A KR20210095664 A KR 20210095664A KR 102365996 B1 KR102365996 B1 KR 10236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low molding
unit
mol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국
박범석
노태정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엔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엔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엔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8Blow-moul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6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52Moulds having decorating or pri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6Opening, closing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로우몰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강 공급되는 소재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호 결합되어 본체부와 축돌기를 각각 성형하기 위한 본체부성형공간과 축돌기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금형유니트와, 금형유니트들을 상호 접근 및 이격 구동하는 금형유니트구동부와, 본체부성형공간 내에 성형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워와, 금형유니트 내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돌기를 가압하여 가압홈을 형성하는 가압슬라이더와, 가압슬라이더를 가압 및 철회 구동하는 슬라이더구동부를 갖는 싱크마크보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로우몰딩장치 {BLOW MOULDING DEVICE}
본 발명은 본체부와 축돌기를 갖는 성형물을 제작하는 블로우몰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로우몰딩으로 제작된 성형물은 내구성 강화를 위한 와인딩(winding) 작업을 진행한다. 일 예로, 금형유니트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 성형물의 축돌기를 회전장치에 걸고, 축돌기를 회전시키면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등과 같은 보강재로 성형물의 본체의 외주면을 감는 방식으로 와인딩 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와인딩 작업을 수행하면, 성형물의 전반의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파팅라인과 같이 취약 부분에 대한 강도가 보강된다.
다만 와인딩 작업 환경과 성형물의 형상에 따라 축돌기 주변의 소정 영역에 대해서는 와인딩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축돌기 주변의 파팅라인으로 가스 폭발의 염려가 존재한다. 또한 블로우몰딩 과정에서 축돌기의 하단에도 홈이 발생하는데, 홈에 의한 강도 저하를 방지할 방법이 마땅치 않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인딩 작업에 의해 이루지기 어려운 영역에 대한 보강 작업을 수행하여, 내구성과 안전성이 보장된 성형물을 제작할 수 있는 블로우몰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블로우몰딩 작업 중에 보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와인딩 작업에서 보강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대비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인 보강 작업이 가능한 블로우몰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인딩 작업이 곤란한 영역에 대한 보강 작업을 블로우몰딩 단계에서 수행함으로써,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성형물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고 효율적인 보강 작업이 가능한 블로우몰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연장된 축돌기를 갖는 성형물의 성형을 위한 블로우몰딩장치에 있어서, 하강 공급되는 소재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축돌기를 각각 성형하기 위한 본체부성형공간과 축돌기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금형유니트; 상기 금형유니트들을 상호 접근 및 이격 구동하는 금형유니트구동부; 상기 본체부성형공간 내에 성형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워; 상기 금형유니트 내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돌기를 가압하여 가압홈을 형성하는 가압슬라이더와, 상기 가압슬라이더를 가압 및 철회 구동하는 슬라이더구동부를 갖는 싱크마크보정부를 포함하는 블로우몰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와인딩 작업이 곤란한 축돌기에 대한 보강 작업을 블로우몰딩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성형물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고 효율적인 보강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금형유니트구동부, 상기 블로워 및 상기 슬라이더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형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가압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금형유니트구동부와 상기 슬라이더구동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돌기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블로워를 제어하여 상기 성형공기를 주입한다.
이에 의하면, 와인딩 작업이 곤란한 축돌기에 대한 보강 작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강 작업에 의한 내구성 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금형유니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팅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표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파팅라인보정돌기와, 상기 금형유니트 중 상기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파팅라인보정돌기를 수용하는 물림절취부를 갖는다.
이에 의하면, 와인딩 작업이 곤란한 파팅라인에 대한 보강 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성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외표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파팅라인보정돌기와, 상기 파팅라인보정돌기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축선방향으로 승강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슬라이더와, 상기 지지슬라이더의 상기 승강슬라이딩을 구동하는 지지슬라이더구동부를 갖는다.
이에 의하면, 파팅라인 보강 작업과 관련하여 상황 적응적인 보강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인딩 작업이 곤란한 영역에 대한 보강 작업을 블로우몰딩 단계에서 수행함으로써,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성형물을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고 효율적인 보강 작업이 가능한 블로우몰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로우몰딩장치의 동작에 후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B를 절단한 절단면도로서, 파팅라인보정돌기에 의해 파팅라인이 보강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파팅라인보정돌기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시예에 관한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로우몰딩장치의 동작에 후속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몰딩장치(1)는 한 쌍의 금형유니트(3)를 통해 성형물(10)을 성형한다. 성형물(10)은 내부에 고압 가스를 충진하는 가스용기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성형물(10)은 통형상의 본체부(13)와, 본체부(13)로부터 Y축방향을 따라 돌출연장된 축돌기(11)를 갖는다.
축돌기(11)는 성형물(10)이 제작된 후 내구성 강화를 위한 와인딩 작업을 위해 성형된다. 일 예로, 회전장치의 축에 축돌기(11)를 결합하여 축돌기(11)를 회전시키면서, FRP 등과 같은 보강재를 성형물(10)의 본체부(13)의 외주면에 감을 수 있다. 이러한 와인딩 작업을 수행하면, 성형물(10) 전반의 강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금형유니트(3)의 간격(G1)으로 인해 성형물(10)에 발생하는 파팅라인을 보강할 수 있다. 파팅라인의 생성과 보강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금형유니트(3)는 하강 공급되는 소재(P)에 대해 X축방향으로 접근과 이격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금형유니트(3)는 상호 마주하는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로 구성되며,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가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로 소재(P)가 하강 공급된다.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는 소재(P)가 충분히 하강 공급되면, X축방향으로 접근하여 상호 결합함으로써, 소재(P)를 압축한다.
설계 방법에 따라 블로우몰딩장치(1)는 금형유니트(3)의 상방에 마련되어, 소재(P)를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 사이로 하강 공급하는 소재공급부(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재공급부(2)는 소재(P)의 원료에 대한 가열 작업과 용융된 소재(P)에 대한 압출 작업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수행하여,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 사이로 소재(P)를 하강 공급할 수 있다. 소재(P)는 원통형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소재(P)는 합성수지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는 본체부성형부(412, 512)와 축돌기성형부(411, 511)를 갖는다.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가 상호 결합하면, 본체부성형부(412, 512)와 축돌기성형부(411, 511)에 대응하는 본체부성형공간(612)과 축돌기성형공간(611)이 형성된다.
본체부성형공간(612)과 축돌기성형공간(611)은 성형물(10)의 본체부(13)와 축돌기(11)를 각각 성형하기 위한 공간이다.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가 상호 결합하면, 축돌기성형공간(611) 내에 제공된 소재(P)가 축돌기성형부(411, 511)에 의해 압축되면서 축돌기(11)가 성형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블로워(6)가 성형공기(61)를 본체부성형공간(612) 내로 주입하면, 본체부성형공간(612) 내에 제공된 소재(P)가 팽창하면서 본체부(13)가 성형된다.
설계 방법에 따라 금형유니트(3)는 블로워성형공간(613)을 더 가질 수 있다.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는 블로워성형부(413, 513)를 가지며,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가 상호 결합하면, 블로워성형부(413, 513)에 의해 블로워성형공간(613)이 형성된다.
블로우몰딩장치(1)는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가 상호 접근하거나, 이격하도록 구동하는 금형유니트구동부(31)를 갖는다. 금형유니트구동부(31)는 유압으로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를 구동하는 유압 액츄에이터, 전기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또는 이들의 혼합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블로우몰딩장치(1)는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성형공간(612) 내에 성형공기(61)를 주입하는 블로워(6)를 갖는다. 블로워(6)는 소정 압력 이상의 성형공기(61)를 주입할 수 있는 컴프레셔(compr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블로워(6)에 의해 성형공기(61)가 주입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부형성공간(612) 내 소재(P)가 팽창하면서, 본체부(13)가 성형된다.
본 실시예 따른 블로우몰딩장치(1)는 축돌기(11)를 가압하여 축돌기(11)에 가압홈(114, 115)을 형성하는 싱크마크보정부(420, 520)를 갖는다.
싱크마크보정부(420, 520)는 제1 가압슬라이더(421)와 제2 가압슬라이더(521)를 각각 갖는다. 제1 가압슬라이더(421)와 제2 가압슬라이더(521)는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 내에 X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돌기(11)의 외주면을 각각 가압한다. 축돌기(11)의 외주면에는 제1 가압슬라이더(421)와 제2 가압슬라이더(521)의 가압에 의해 제1 가압홈(114)과 제2 가압홈(115)이 형성된다.
제1 가압슬라이더(421)와 제2 가압슬라이더(521)는 상호 동기화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일 예로, 제1 가압슬라이더(421)는 X축방향으로 제1 거리(D1)만큼의 슬라이딩 이동하고, 동시에 제2 가압슬라이더(521)는 -X축방향으로 제2 거리(D2)만큼의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싱크마크보정부(420, 520)는 제1 가압슬라이더(421)와 제2 가압슬라이더(521)를 가압 및 철회 구동하는 제1 슬라이더구동부(422)와 제2 슬라이더구동부(522)를 각각 갖는다. 제1 슬라이더구동부(422)와 제2 슬라이더구동부(522)는 유압 액츄에이터, 컴프레셔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구동부(422)와 제2 슬라이더구동부(5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압슬라이더(421)와 제2 가압슬라이더(521)가 상호 동기화된 슬라이딩 이동을 하도록 한다.
가압홈(114, 115)이 형성되면, 축돌기성형공간(611) 내 축돌기(11)를 이루는 소재(P)의 밀림현상에 의해 축돌기(11)의 하단에 돌출부(21)가 형성된다. 돌출부(21)는 -Y축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둔덕을 포함한다. 돌출부(21)가 형성된 상태에서 성형공기(61)가 본체부형성공간(612) 내로 주입되면, 소재(P)의 팽창과 함께 돌출부(21)도 팽창하면서 돌출부(21)의 높이가 감소된다.
만일 돌출부(21)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성형공기(61)를 주입하는 관련 비교예를 고려하면, 양측으로 팽창하는 소재(P) 간의 장력에 의해 축돌기 하단에 Y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축돌기는 와인딩 작업 환경 특성상 보강재로 보강되기 어려운 부분인데, 축돌기 하단에 홈이 생성됨으로써, 축돌기를 통해 고압으로 충전된 가스가 균열을 일으키며 새어 나오거나, 파손되면서 상황에 따라 폭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21)를 형성하면, Y축방향으로 돌출부(21)의 높이가 여유를 가지므로, 이후 성형공기(61) 주입에 의해 소재(P)의 팽창과 장력이 발생하더라도, 축돌기(11) 하단에 홈이 생성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1)에 의하면, 와인딩 작업이 곤란한 축돌기(11)의 Y축방향의 길이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성형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성형 후 축돌기(11)에 대한 추가 와인딩 작업을 수행하는 관련 비교예도 고려하면, 축돌기(11)를 보강한다는 측면에서 내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겠지만, 작업적으로나 비용적으로나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강 작업을 블로우몰딩 단계에서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강 작업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우몰딩장치(1)는 금형유니트구동부(31), 블로워(6) 및 슬라이더구동부(422, 522)를 제어하는 제어부(32)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32)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제어부(32)에 연결된 금형유니트구동부(31) 등과 같은 블로우몰딩장치(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어부(32)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2)는 소재(P)가 하강 공급된 상태에서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가 상호 결합하도록 금형유니트구동부(31)를 제어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축돌기(11)를 가압하여 가압홈(114, 115)을 형성하도록 슬라이더구동부(422, 522)를 제어하고, 가압홈(114, 115)을 형성한 후 본체부성형공간(612)으로 성형공기(61)를 주입하도록 블로워(6)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32)를 통해 앞서 설명한 보강 작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강 작업에 의한 내구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잇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B를 절단한 절단면도로서, 파팅라인보정돌기에 의해 파팅라인이 보강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팅라인보정돌기(530)는 제2 금형유니트(5)에 마련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설계 방법에 따라 파팅라인보정돌기(530)가 제1 금형유니트(4)에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는 제1 파팅면(8)과 제2 파팅면(9)을 갖는다. 제1 파팅면(8)과 제2 파팅면(9)은 제1 금형유니트(4)와 제2 금형유니트(5)의 결합 시 소정 간격(G1)을 가질 수 있다.
파팅라인보정돌기(530)는 제1 금형유니트(4)를 향해 제2 파팅면(9)으로부터 돌출된다. 파팅라인보정돌기(530)는 축심(C)으로부터 소정 반경(D3) 이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축돌기(11)를 사이에 두고 Z축방향으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축심(C)은 축돌기성형공간(611)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제1 금형유니트(4)는 파팅라인보정돌기(5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파팅라인보정돌기(530)를 수용하는 물림절취부(540)를 갖는다. 즉 물림절취부(540)도 파팅라인보정돌기(530)에 대응하도록 소정 반경(D3) 이내에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금형유니트(3) 결합과 성형공기(61) 주입이 진행되면, 팽창된 소재(P)가 본체부(13)를 형성하면서, 본체부(13)의 외표면이 파팅면(8, 9)의 간격(G1)으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성형물(10)에는 파팅면(8, 9)을 따라 파팅면(8, 9)의 간격(G1)에 대응하는 파팅라인이 생긴다.
종래 와인딩 작업 시 보강재가 소정 방향(T)으로 와인딩 되는데, 성형물(10)의 형상에 의해 축심(C)으로부터 소정 반경(D3) 이내에는 보강재가 와인딩 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소정 반경(D3) 이내에 형성된 파팅라인은 보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1)은 금형유니트(3) 결합에 의해 소정 반경(D3) 이내에 마련된 파팅라인보정돌기(530)가 물림절취부(540)에 수용된 상태에서 성형공기(61) 주입이 진행되면, 소정 반경(D3) 이내에서는 본체부(13)의 외표면이 파팅라인보정돌기(530)와 접촉되어, 파팅면(8, 9)의 간격(G1)에 빨려 들어가지 않으므로, 파팅면(8, 9)을 따라 파팅면(8, 9)의 간격(G1)에 대응하는 파팅라인이 생성되는 것을 막는다.
이 경우 파팅라인보정돌기(530)와 물림절취부(540) 사이의 간격(G2)을 따라 파팅라인이 생성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팅라인보정돌기(530)가 물림절취부(54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제1 금형유니트(4) 측의 제1 소재(P1)와 제2 금형유니트(5) 측의 제2 소재(P2)가 상호 겹치면서 중첩부(31)가 형성된다.
즉 중첩부(31)가 형성된 후 성형공기(61)를 주입하면, 소재(P)의 팽창과 장력에 의하더라도 파팅라인보정돌기(530)와 물림절취부(540) 사이의 간격(G2)에 따른 파팅라인이 보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팅라인보정돌기(530)와 물림절취부(540)를 활용하여 파팅라인을 보완할 수 있으므로, 성형물(10)에 대한 내구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강 작업을 블로우몰딩 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성형 후 소정 반경(D3) 이내 파팅라인에 대해 별도의 보강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대비 용이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의 파팅라인보정돌기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실시예에 관한 상태도이다.
도 3과 4에 따른 실시예에서 파팅라인보정돌기(530)은 어느 하나의 금형유니트에 고정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1)의 파팅라인보정돌기(551)는 Y축방향으로 승강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1)는 파팅라인보정부(550)를 갖는다. 파팅라인보정부(550)는 파팅라인보정돌기(551)와, 파팅라인보정돌기(55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Y축방향으로 승강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슬라이더(552)와, 지지슬라이더(552)의 승강슬라이딩을 구동하는 지지슬라이더구동부(553)를 포함한다. 지지슬라이더구동부(553)는 공기압으로 지지슬라이더(552)의 승강슬라이딩을 구동하는 컴프레셔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파팅라인보정돌기(551)가 물림절취부(540)에 수용된 상태에서 파팅라인보정돌기(551)의 하단과 물림절취부(540)의 하단 간의 높이 차이(H1)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슬라이더(552)가 하강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므로, 파팅라인보정돌기(551)의 하단과 물림절취부(540)의 하단 간의 차이(H1)가 발생한 경우라도, 이러한 차이(H1)가 최소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몰딩장치(1)는 파팅라인보정돌기(551)의 하단과 물림절취부(540)의 하단 간의 차이(H1)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는 파팅라인보정돌기(551)와 물림절취부(54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32)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이(H1)를 고려하여 파팅라인보정돌기(551)가 승강슬라이딩 하도록 지지슬라이더구동부(553)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소재(P1)과 제2 소재(P2)가 파팅라인보정돌기(551)에 의해 상호 겹치면서 중첩부(31)가 형성되므로, 파팅라인보정돌기(551)와 물림절취부(540) 사이의 간격을 따라 생성되는 파팅라인이 보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슬라이딩 가능한 지지슬라이더(551)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파팅라인 보강 작업 시 발생한 높이 차이(H1)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상황 적응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블로우몰딩장치
2: 소재공급부
3: 금형유니트
4: 제1 금형유니트
5: 제2 금형유니트

Claims (5)

  1. 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연장된 축돌기를 갖는 성형물의 성형을 위한 블로우몰딩장치에 있어서,
    하강 공급되는 소재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축돌기를 각각 성형하기 위한 본체부성형공간과 축돌기성형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금형유니트;
    상기 금형유니트들을 상호 접근 및 이격 구동하는 금형유니트구동부;
    상기 본체부성형공간 내에 성형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워;
    상기 금형유니트 내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돌기를 가압하여 가압홈을 형성하는 가압슬라이더와, 상기 가압슬라이더를 가압 및 철회 구동하는 슬라이더구동부를 갖는 싱크마크보정부를 포함하는 블로우몰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유니트구동부, 상기 블로워 및 상기 슬라이더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형유니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가압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금형유니트구동부와 상기 슬라이더구동부를 제어하는 블로우몰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돌기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블로워를 제어하여 상기 성형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우몰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유니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해 상기 어느 하나의 파팅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표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파팅라인보정돌기와, 상기 금형유니트 중 상기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파팅라인보정돌기를 수용하는 물림절취부를 갖는 블로우몰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표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파팅라인보정돌기와, 상기 파팅라인보정돌기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축선방향으로 승강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슬라이더와, 상기 지지슬라이더의 상기 승강슬라이딩을 구동하는 지지슬라이더구동부를 갖는 블로우몰딩장치.
KR1020210095664A 2021-07-21 2021-07-21 블로우몰딩장치 KR10236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64A KR102365996B1 (ko) 2021-07-21 2021-07-21 블로우몰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664A KR102365996B1 (ko) 2021-07-21 2021-07-21 블로우몰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996B1 true KR102365996B1 (ko) 2022-02-25

Family

ID=8049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664A KR102365996B1 (ko) 2021-07-21 2021-07-21 블로우몰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182B1 (ko) * 2022-03-23 2022-12-20 신병천 가스 저장용기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8922A1 (en) * 2002-06-21 2007-02-08 Vital Signs, Inc. Breathing bag including integrally formed connector and distensible portions
KR20110111008A (ko) * 2010-04-02 2011-10-10 윤화현 부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20052197A (ko) * 2009-06-24 2012-05-23 카우텍스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플라스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중공 성형 공구
KR20130117748A (ko) * 2010-07-02 2013-10-28 카우텍스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취입 주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8922A1 (en) * 2002-06-21 2007-02-08 Vital Signs, Inc. Breathing bag including integrally formed connector and distensible portions
KR20120052197A (ko) * 2009-06-24 2012-05-23 카우텍스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플라스틱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중공 성형 공구
KR20110111008A (ko) * 2010-04-02 2011-10-10 윤화현 부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20130117748A (ko) * 2010-07-02 2013-10-28 카우텍스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취입 주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182B1 (ko) * 2022-03-23 2022-12-20 신병천 가스 저장용기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996B1 (ko) 블로우몰딩장치
RU2717523C2 (ru) Балл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тверждения композитных деталей
US5595693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injection molding speed condition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04508980A (ja) 伸張ロッドの改善された制御を備えた伸張−吹込み装置
KR102163446B1 (ko) 2축연신 블로우성형장치
CN102485469A (zh) 拉伸吹塑方法和拉伸吹塑机
JPH0592440A (ja) 圧縮成形における樹脂材料の品質判定法
CN117429024A (zh) 超声塑化注射成型设备及其控制方法
JP4998987B2 (ja) タイヤ加硫成型装置及び加硫成型方法
CN109228045B (zh) 一种囊体硫化模具
JP2010064392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3326781A1 (en) Apparatus for forming plastic fuel tank for vehicle
JPS605459B2 (ja) 空気タイヤの製造方法
CN109318444B (zh) 一种高强度高弹性双密度模内发泡橡塑托盘及其制作工艺
US20070193327A1 (en) Di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re
JP5753427B2 (ja)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ト装置
KR101011210B1 (ko) 그린타이어 성형기의 가변형 롤오버캔
KR102476037B1 (ko) 자동차 부품용 인 몰드 그레이닝 금형장치
JP6400373B2 (ja) タイヤの加硫成形方法
CN208601785U (zh) C型胶囊硫化机
JP2006051643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装置
JP4064750B2 (ja) タイヤ加硫装置
KR102520668B1 (ko) 타이어 제조 장치 및 타이어 제조 방법
JP7006130B2 (ja) ビード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18058454A (ja) ゴムクローラ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