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915B1 - 변형 방지 개비온 - Google Patents

변형 방지 개비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915B1
KR102365915B1 KR1020200043080A KR20200043080A KR102365915B1 KR 102365915 B1 KR102365915 B1 KR 102365915B1 KR 1020200043080 A KR1020200043080 A KR 1020200043080A KR 20200043080 A KR20200043080 A KR 20200043080A KR 102365915 B1 KR102365915 B1 KR 10236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type support
mesh body
gab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667A (ko
Inventor
박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04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9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망체의 내측에 사각 틀 형상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개비온 벽체를 복수로 쌓아올릴 때 하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하중 대부분을 하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전달받아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므로, 어느 일 개비온 벽체의 망체가 파손되더라도, 옹벽체 전체가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복수로 구성되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막대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서, 망체의 하중을 더욱 지지함과 동시에 시공시에 크레인 고리의 탈착이 간편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며, 개비온 벽체를 원격지의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완성된 개비온 벽체를 쌓아올리고 간단히 고정하면 되므로, 개비온 벽체의 생산 속도가 상승되고 현장에서의 시공 속도 역시 상승되는 변형 방지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된 내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체; 상기 망체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망체의 상호 대향되는 양 측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의 내측면에 동시에 접하는 액자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변형 방지 개비온{Anti-deformed gabion}
본 발명은, 변형 방지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망체의 내측에 사각 틀 형상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개비온 벽체를 복수로 쌓아올릴 때 하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하중 대부분을 하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전달받아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므로, 어느 일 개비온 벽체의 망체가 파손되더라도, 옹벽체 전체가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복수로 구성되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막대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서, 망체의 하중을 더욱 지지함과 동시에 시공시에 크레인 고리의 탈착이 간편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며, 개비온 벽체를 원격지의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완성된 개비온 벽체를 쌓아올리고 간단히 고정하면 되므로, 개비온 벽체의 생산 속도가 상승되고 현장에서의 시공 속도 역시 상승되는 변형 방지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개비온(Gabion, 돌망태)은 하천이나 경사지 등에서 옹벽이나 호안 블록의 대안으로 사용되는 친환경적인 공법으로서, 최근에는 자연미, 예술성, 미관성, 친환경성, 시공성, 장수명 등의 장점을 활용하여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 인테리어 내외벽, 조경용 담장 및 조경 시설물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비온은 기본적으로 철망으로 망태를 구성하여 망태 내에 불규칙한 쇄석을 채워넣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채워진 쇄석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소정 크기로 만들어 다층 구조로 쌓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옹벽을 쌓는 경우, 경우에 따라 4단, 5단 또는 그 이상의 단을 쌓아야 하는데, 이 경우 최하단에 배치된 개비온은 상부의 개비온들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배부름 현상이 나타나거나 심지어 파손되어 옹벽체 자체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개비온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의 망체와 후면의 망체를 와이어로 이어 개비온의 전면 방향 배부름을 방지하는 기술이 공지되었으나, 이러한 와이어를 이용한 방식은 복수의 와이어를 비교적 촘촘히 배치하여야 그 효과가 있기 때문에 쇄석을 망태 내에 넣으면서 와이어를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제작 시간이 오래 걸렸고, 또한, 상부로부터 하중이 점차 가해질수록 내부에 수용된 쇠석들이 미묘하게 움직이면서 배부름 방지를 위해 설치된 와이어가 절단되는 등의 문제가 수시로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와이어를 이용한 구성은, 여러 이유로 하부에 배치된 개비온의 배부름 방지를 위한 와이어가 끊어져 개비온 전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하중을 지탱할 여력이 없어 옹벽체 전체가 무너질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개비온을 여러 단 쌓더라도 하부의 망체에 직접 가해지는 하중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배부름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느 일 개비온이 파손되더라도 옹벽체 전체가 무너지지 않는 변형 방지 개비온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1674974(등록번호) 2016.11.04.
본 발명은, 망체의 내측에 사각 틀 형상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개비온 벽체를 복수로 쌓아올릴 때 하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변형 방지 개비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하중 대부분을 하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전달받아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므로, 어느 일 개비온 벽체의 망체가 파손되더라도, 옹벽체 전체가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변형 방지 개비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복수로 구성되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막대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서, 망체의 하중을 더욱 지지함과 동시에 시공시에 크레인 고리의 탈착이 간편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는 변형 방지 개비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비온 벽체를 원격지의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완성된 개비온 벽체를 쌓아올리고 간단히 고정하면 되므로, 개비온 벽체의 생산 속도가 상승되고 현장에서의 시공 속도 역시 상승되는 변형 방지 개비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공된 내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체; 상기 망체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망체의 상호 대향되는 양 측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의 내측면에 동시에 접하는 액자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된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되는 막대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망체의 하부면과 네 측면을 구성한 후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을 상기 망체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망체의 하부면과 네 측면을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에 결합한 후 상기 망체의 내측으로 돌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덩어리를 수용시키며, 상기 망체의 상부면을 상기 망체의 네 측면 및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막대형 지지 프레임은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와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하단에 양단이 결합되는 막대형 분산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 또는 상기 망체의 전면 방향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 또는 변형 감지 센서; 상기 기울기 센서 또는 상기 변형 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측정값이 설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이를 통보하거나 경보 장치를 구동하여 주변에 대피 알람을 발생시키는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망체의 내측에 사각 틀 형상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개비온 벽체를 복수로 쌓아올릴 때 하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하중 대부분을 하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전달받아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므로, 어느 일 개비온 벽체의 망체가 파손되더라도, 옹벽체 전체가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형 지지 프레임이 복수로 구성되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막대형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서, 망체의 하중을 더욱 지지함과 동시에 시공시에 크레인 고리의 탈착이 간편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비온 벽체를 원격지의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완성된 개비온 벽체를 쌓아올리고 간단히 고정하면 되므로, 개비온 벽체의 생산 속도가 상승되고 현장에서의 시공 속도 역시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 개비온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 개비온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 개비온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 개비온의 분리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 개비온을 다단으로 쌓은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 방지 개비온의 지지 프레임 결합체의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공된 내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덩어리(10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체(100)와, 망체(100)의 내측에 수용되며 망체(100)의상호 대향되는 양 측면과 상면 및 하면의 내측면에 동시에 접하는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망체(100)는, 돌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덩어리(101)를 수용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격자형의 철망으로 이루어진 면체가 네 측면, 하부면 및 상부면(110)의 육면체를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어 구성된다.
망체(100)의 각 면을 이루는 면체의 결합부는 연결 고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면체의 테두리를 상호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망체(100)는 전면 및 후면 방향에 위치되는 면체의 가로 길이가 1m, 세로 길이가 0.5m로 구성되고, 양 측면 방향에 위치되는 면체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0.5m로 구성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망체(100)의 내측에는 망체(100)의 양 측면과 상부면(110) 및 하부면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이 삽입 고정된다.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은, 망체(100)에 가해지는 상방 압력을 지지하여 망체(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망체(1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망체(1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은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각 면의 단면은 수직 하중을 적절히 견디기 위해 H형 또는 'ㅁ'자 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은 바람직하게는 망체(100)의 전면 및 후면 방향의 면체, 상부면(110) 및 하부면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은 복수 개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이 구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은 상호 0.5m 이격되어 있고, 각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은 망체(100)의 측면 방향 면체로부터 0.25m씩 이격되어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각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에 동일한 하중이 분배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바람직하게는 망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면체 가로 방향 끝단으로부터 일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까지의 거리는 상호 인접한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상호간의 거리의 1/2이 되도록 구성된다. 즉, 망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가로 길이가 1m이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이 2개인 경우, 망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면체 가로 방향 끝단으로부터 일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까지의 거리는 0.25m,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상호간의 거리는 0.5m로 구성되는 것이다. 만일, 망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가로 길이가 1.2m이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이 3개인 경우라면, 망체(100)의 전면 똔느 후면 방향의 면체 가로 방향 끝단으로부터 일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까지의 거리는 0.2m이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상호간의 거리는 0.4m로 구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각각이 담당하는 하중이 균분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의 경우 이론적으로는 각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에 동일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지만, 망체(100)의 구조적 특성상 망체(100)는 격자형 철망의 내측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의 덩어리(101)를 수용하고 있는 형태이므로, 완벽한 블럭형 고체가 아닌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지지 기둥에 올려진 플렉시블한 기판과 같이 기둥 사이, 즉,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사이에서 망체(100)가 하방으로 휘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망체(100)의 이러한 휘어짐을 방지하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기 위하여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사이에서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에 양단이 결합되는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이 더 구비된다.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은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사이에 결합되어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사이에서 휘어질 우려가 있는 망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호 인접한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상단 사이 또는 하단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은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상단 중앙부 사이 또는 하단 중앙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망체(100)를 지지하기에 더욱 바람직하며,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하단 사이 뿐만 아니라 상단 사이에도 구비되는 경우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개비온을 설치할 때에 상단에 구비된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에 크레인을 연결할 수 있어 설치의 편의성이 상승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개비온 벽체(10)를 여러단 쌓아 옹벽체를 형성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개비온 벽체(10)의 하중 대부분은 하부에 위치한 개비온 벽체(10)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므로, 어느 일 개비온 벽체(10)의 망체(100)가 파손되더라도, 옹벽체 전체가 무너지지 않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에 의해 버티고 있을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및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을 망체(100)에 결합할 때에는, 우선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과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을 상호 결합한 지지 프레임 결합체(200)를 제작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 결합체(200)를 망체(100)의 상방으로부터 망체(100)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이때, 망체(100)의 상부면(110)은 제거된 상태여야 한다.
이후, 지지 프레임 결합체(200)와 망체(100)의 전면 및 후면 방향의 면체 및 하부면을 용접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견고히 결합한다. 그리고나서 망체(100)의 내측으로 돌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덩어리(101)를 넣어 수용시킨다. 망체(100)의 내측으로 덩어리(101)들이 모두 수용되면 망체(100)의 상부면(110)을 상단에 안착시킨 후 상부면(110)과 네 측면 및 지지 프레임을 용접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견고히 결합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개비온 벽체(10)가 제조되며, 이러한 제조는 별도의 공장에서 제조하여 현장으로 수송하는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장 제조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한정된 공간의 현장에 개비온 벽체(10)를 구성하기 위한 각 자재들을 적재할 필요도 없고, 각종 공구 및 작업 동선의 확보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현장에서는 수송된 개비온 벽체(10)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적재한 후 고정만 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특히, 도로변의 옹벽체를 개비온으로 형성하는 경우, 부득이 도로의 통행을 통제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공장 조립 현장 시공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도로의 통행 통제 시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개비온 벽체(10)가 이미 완성된 상태이므로 수중에도 크레인을 이용하여 내려놓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의 수중 시공이 난해했던 문제 역시 해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은 망체(100)가 하방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지만, 망체(100)에 의해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사이 중앙부에 편중되는 하중을 분산시키지는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이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221)과,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221)과 평행하도록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222)로 구성되며,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221)의 중앙부와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하단에 양단이 결합되는 막대형 분산 프레임(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막대형 분산 프레임(230)의 하단부는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하단 중앙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사이에 편중되는 하중이 막대형 분산 프레임(230)에 의해 다시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으로 전달되고, 본 발명의 개비온 벽체(10)를 다단으로 쌓아올렸을 경우 중앙부에 편중되던 하중이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을 따라 지면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개비온 벽체(10)의 변형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반 침하, 토사 유출, 부식 등 여러 이유에 의해 개비온 벽체(10)의 조합으로 형성된 개비온 옹벽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또는 개비온 옹벽이 쓰러지는 경우 대형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개비온 옹벽의 이상 징후를 포착하고 이를 경고하여 인명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또는 망체(100)의 전면 방향에 기울기 센서 또는 변형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는 개비온 옹벽이 기울어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측정값을 생성하고, 변형 감지 센서는 통상의 스트레인 게이지 등으로 구성되어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 또는 망체(100)의 일부가 부풀어오르는 것을 감지하여 측정값을 생성한다.
이러한 기울기 센서 또는 변형 감지 센서로부처 측정된 측정값은 컨트롤 박스에 전송되며, 컨트롤 박스는 측정값이 설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이를 통보하거나 경보 장치를 구동하여 주변에 대피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컨트롤 박스 및 경보 장치 등은 상용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을수도 있지만, 통상 도로변 등에 설치되는 개비온 옹벽의 특성상 태양광 패널이 구비된 축전지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 전원의 공급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망체(100)의 내측에 사각 틀 형상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이 구비되고, 개비온 벽체(10)를 복수로 쌓아올릴 때 하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10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10)의 하중 대부분을 하부에 적재된 개비온 벽체(10)의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이 전달받아 지면으로부터 지지되므로, 어느 일 개비온 벽체(10)의 망체(100)가 파손되더라도, 옹벽체 전체가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이 복수로 구성되고 액자형 지지 프레임(210)의 사이에 막대형 지지 프레임(220)이 구비되어서, 망체(100)의 하중을 더욱 지지함과 동시에 시공시에 크레인 고리의 탈착이 간편하여 시공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비온 벽체(10)를 원격지의 공장에서 생산하고 현장에서는 완성된 개비온 벽체(10)를 쌓아올리고 간단히 고정하면 되므로, 개비온 벽체(10)의 생산 속도가 상승되고 현장에서의 시공 속도 역시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10 : 개비온 벽체
100 : 망체 101 : 덩어리
110 : 상부면
200 : 지지 프레임 결합체 210 : 액자형 지지 프레임
220 : 막대형 지지 프레임 221 :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
222 : 하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 230 : 막대형 분산 프레임

Claims (7)

  1. 중공된 내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내부에 돌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덩어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망체;
    상기 망체의 내측에 수용되며, 상기 망체의 상호 대향되는 양 측면과 상부면 및 하부면의 내측면에 동시에 접하는 액자형 지지 프레임;
    을 포함하되,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은 복수 개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호 이격된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에 양단이 결합되는 막대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여서,
    상기 망체의 하부면과 네 측면을 구성한 후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을 상기 망체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망체의 하부면과 네 측면을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에 결합한 후 상기 망체의 내측으로 돌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덩어리를 수용시키며, 상기 망체의 상부면을 상기 망체의 네 측면 및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에 결합하여 구성되되,
    상기 막대형 지지 프레임은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과, 상기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막대형 지지 프레임의 중앙부와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의 하단 중앙에 양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 사이 중앙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에 전달하는 막대형 분산 프레임;을 포함하는 변형 방지 개비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형 지지 프레임 또는 상기 망체의 전면 방향에 설치되는 기울기 센서 또는 변형 감지 센서;
    상기 기울기 센서 또는 상기 변형 감지 센서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측정값이 설정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에 이를 통보하거나 경보 장치를 구동하여 주변에 대피 알람을 발생시키는 컨트롤 박스;
    를 포함하는 변형 방지 개비온.
KR1020200043080A 2020-04-09 2020-04-09 변형 방지 개비온 KR102365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080A KR102365915B1 (ko) 2020-04-09 2020-04-09 변형 방지 개비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080A KR102365915B1 (ko) 2020-04-09 2020-04-09 변형 방지 개비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667A KR20210125667A (ko) 2021-10-19
KR102365915B1 true KR102365915B1 (ko) 2022-02-22

Family

ID=7822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080A KR102365915B1 (ko) 2020-04-09 2020-04-09 변형 방지 개비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070B1 (ko) 2022-07-01 2022-12-29 김도언 디스플레이 개비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90B1 (ko) * 2022-07-27 2023-02-20 전금화 적층 구조식 모듈 옹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04B1 (ko) * 2011-10-20 2013-03-18 박현옥 붕괴 사전 인식을 위한 지오그리드 기반 지반 변형 감지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34B1 (ko) * 2005-07-15 2007-08-23 오종철 황토패널의 구조
KR100720746B1 (ko) * 2005-10-13 2007-05-22 이영상 개비온과 그 제조장치 및 시공방법
KR101674974B1 (ko) 2015-08-05 2016-11-10 박덕철 벽체 마감용 개비온
KR20190025119A (ko) * 2017-08-29 2019-03-11 주식회사 원일개발 중량체와 결합되는 잠제(潛堤)형 해양침식방지 개비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304B1 (ko) * 2011-10-20 2013-03-18 박현옥 붕괴 사전 인식을 위한 지오그리드 기반 지반 변형 감지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3070B1 (ko) 2022-07-01 2022-12-29 김도언 디스플레이 개비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667A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915B1 (ko) 변형 방지 개비온
US4426176A (en) L-Shaped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such L-shaped concrete blocks
JP5372289B1 (ja) 境界壁構造物
JPH08218401A (ja) もたれ式擁壁用ブロック及び同ブロックを使用したもたれ式擁壁の築造法
KR101649874B1 (ko) 조형석을 이용한 옹벽
KR200437825Y1 (ko) 철거가 용이한 토류판
KR101327166B1 (ko) 형상유지형 직육면체 백
CN111270678A (zh) 一种支撑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752078B1 (ko) 옹벽블럭
KR100797185B1 (ko) 옹벽용 또는 흙막이용 토류벽 조성장치 및 방법
KR100448438B1 (ko)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CN202139603U (zh) 仓储式塔吊基础
CN212001179U (zh) 一种采空区坍塌修复的边坡支护结构
KR101799952B1 (ko) 강재 시스템 가설벽을 이용한 물재하용 제방 축조 공법
JP3196933U (ja) 地盤改良補助部材、地盤改良補助部材の作製キットおよび改良地盤構造体
WO2011111002A1 (en) Block for construction and method to build walls with said block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JP6279892B2 (ja) 壁面構築用型枠およびそれを用いた壁面の構築方法
CN213773450U (zh) 一种塔吊挡土墙施工装置
KR101222690B1 (ko) 개비온 블록
KR20130062586A (ko) 옹벽용 블럭 및 옹벽용 블럭의 옹벽시공방법
JP3183291U (ja) 浄化槽保護用コンクリート体の構造
KR200245413Y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102153322B1 (ko)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KR101009823B1 (ko) 반분리형 노치부를 갖는 빅 스톤 옹벽블럭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