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245B1 - 광접속함체 - Google Patents

광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245B1
KR102365245B1 KR1020170135904A KR20170135904A KR102365245B1 KR 102365245 B1 KR102365245 B1 KR 102365245B1 KR 1020170135904 A KR1020170135904 A KR 1020170135904A KR 20170135904 A KR20170135904 A KR 20170135904A KR 102365245 B1 KR102365245 B1 KR 102365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re
reel
optical cable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864A (ko
Inventor
박동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5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2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연결에 최적화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되,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광접속함체의 구현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광접속함체{FIBER OPTIC SPLICE CLOSURE}
본 발명은, 스마트 광케이블 접속함체(이하, 광접속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 연결에 최적화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되,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광접속함체의 구현 방안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과 전송장치들로 구성되는 광통신 시스템은 교환국에서 기지국/중계기, 또는 광가입자까지 많은 양의 음성 및 비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달해 주는 통신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통신이 발달하고 초고속 정보통신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광케이블이 이용된다.
이러한 광케이블에는 여러 개의 광섬유가 유닛으로 모여 형성된 다수개의 광유닛이 존재한다. 이때, 광섬유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켜 정보를 전달하며 광코어와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광케이블 접속(이하, 광접속)은 광섬유 심선의 코팅이 제거된 상태의 광섬유, 즉 광코어와 클래드층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광케이블은 제작 시 유한한 길이로 제공되고 광케이블 중간에 새로운 장비 추가로 인한 분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교환국과 기지국/중계기 및 일반 광가입자 사이의 광전송선로에는 광접속이 요구된다.
이처럼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현장에서 상호 접속하기 위한 매개체로 광접속함체가 이용되고 있다. 즉, 건물 내외벽이나 전주나 철주 등에 설치된 광접속함체에 의해 광전송선로 상에서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기지국/중계기의 전송장치와 상호 연결된다.
하지만, 기존 광접속함체의 경우 함체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기판 상에 사용코어와 미사용 코어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에, 함체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가 발생된 코어를 추적해야만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추돌, 자연 재해(예: 낙뢰) 등으로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광코어 단절로 인해 국가의 주요 기간망인 이동통신망에 대형 장애를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가 할 수 있다.
물론, 케이블 이중화/코어링 등과 같은 위험관리(Risk Management) 기법이 존재하지만, 구축비용 증가, 전주하중에 따른 추가 포설 불가, 도심 환경 침해에 따른 인허가 불가 등으로 인해 적용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광케이블 연결에 최적화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되,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새로운 광접속함체의 구현 방안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광케이블 연결에 최적화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되,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광접속함체의 구현 방안을 실현하여, 광통신망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의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함체 하우징; 및 상기 함체 하우징을 통해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광케이블을 접속시키는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로서, 상기 베이스기판은, 상기 광케이블의 여유장을 수용하는 코어릴부; 상기 코어릴부 중 특정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와 상기 특정 코어릴부 이외의 다른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를 접속시키는 제1 접속부재부; 및 상기 특정 코어릴부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케이블의 광코어를 접속시키는 제2 접속부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릴부는, 상기 베이스기판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코어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릴은, 상기 회전축부재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해당 코어릴부에 수용된 해당 광케이블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 원형릴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릴은, 각 광케이블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코어를 구비하는 광유닛이 구분되도록 상기 원형릴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광유닛분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릴부가 제1 코어릴부 및 제2 코어릴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와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는 상기 제1 접속부재부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들 또는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들은 상기 제2 접속부재부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접속부재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속부재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들의 접속인 경우, 상기 제2 접속부재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블의 제1 광코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속부재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제2 광코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들의 접속인 경우, 상기 제2 접속부재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제3 광코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속부재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제4 광코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광접속함체에 따르면, 광케이블 연결에 최적화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되,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베이스기판만을 이용해서도 기존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접속함체의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감소됨은 물론, 광케이블의 여유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케이블 선번을 일시에 확인할 수 있어 공간활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전반적인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접속함체에 따르면,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 광코어가 자동으로 풀려 릴리즈되므로, 통신장애 없이 광통신망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어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통신 시스템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어릴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통신 시스템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통신 시스템 환경에서는, 교환국(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광통신망 서비스를 최종 서비스단(예: 가입자)으로 제공하기 위해 교환국과 최종 서비스단(예: 가입자) 사이에 광케이블이 연장되며, 이러한 연장을 위해 건물 내외벽이나 전주나 철주 등과 같은 일정장소에 광케이블 접속함체(이하, 광접속함체)(100)가 설치된다.
이때, 광케이블에는 여러 개의 광섬유가 유닛으로 모여 형성된 다수개의 광유닛이 존재한다. 여기서, 광섬유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켜 정보를 전달하며 광코어와 클래드층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광접속은 광섬유 심선의 코팅이 제거된 상태의 광섬유, 즉 광코어와 클래드층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광케이블은 유한한 길이로 제작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광케이블 중간에 새로운 장비 추가로 인한 분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교환국으로부터 기지국/중계기(미도시) 및 최종 서비스단(예: 가입자)가 연결되는 광전송선로에 광접속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처럼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현장에서 상호 접속되도록 하는 매개체로 광접속함체(100)가 이용되고 있다. 즉, 건물 내외벽이나 전주나 철주 등과 같은 일정장소에 설치된 광접속함체(100)에 의해 광전송선로 상에서 광케이블의 광섬유가 기지국/중계기 등의 장치들과 상호 연결된다.
하지만, 기존 광접속함체의 경우 함체 내부에 구비된 베이스기판 상에 사용코어와 미사용 코어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에, 함체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가 발생된 코어를 추적해야만 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추돌, 자연 재해(예: 낙뢰) 등으로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광코어 단절로 인해 국가의 주요 기간망인 이동통신망에 대형 장애를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가 할 수 있다.
물론, 케이블 이중화/코어링 등과 같은 위험관리(Risk Management) 기법이 존재하지만, 구축비용 증가, 전주하중에 따른 추가 포설 불가, 도심 환경 침해에 따른 인허가 불가 등으로 인해 적용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한 기능을 구비한 새로운 광접속함체의 구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광케이블 연결에 최적화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되,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광접속함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광접속함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100)는, 함체의 외부를 형성하는 함체 하우징(1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광케이블(CB)을 접속시키는 베이스기판(12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6개의 광케이블(CB1-CB6), 즉 광접속함체(100)를 중심으로 좌측방향에서 3개의 광케이블(CB1, CB2, CB3)이 인입되며, 우측방향에서 3개의 광케이블(CB4, CB5, CB6)이 인입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함체 하우징(110)은, 본체(110a)와 덮개(110b)를 포함하며 덮개(110b)가 상하 방향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덮개(110b)가 슬라이딩되거나 푸쉬하여 오픈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접속함체(100) 내부에 설치된 베이스기판(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베이스기판(120)은, 적어도 하나의 광케이블(CB1-CB6)의 여유장을 수용하는 코어릴부(130)와, 코어릴부(130) 중 특정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와 특정 코어릴부 이외의 다른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를 접속시키는 제1 접속부재부(140)와, 특정 코어릴부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케이블의 광코어를 접속시키는 제2 접속부재부(150)를 포함한다.
코어릴부(130)는,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CB1-CB6)의 여유장을 수용한다. 여기서, 여유장은,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가 연장되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여분으로 준비하는 광케이불을 일컫는다.
이러한 코어릴부(130)는, 도 4와 같이 베이스기(120)판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부재(131)과, 회전축부재(131)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코어릴(132)을 포함한다.
이때, 코어릴(132)은, 회전축부재(131)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코어릴부에 수용된 해당 광케이블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 원형릴(1321)과, 서로 인접하는 원형릴(1321)에 각각 수용되는 광케이블이 구분되도록 원형릴(1321)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케이블분리홈(1322)을 포함한다.
특히, 원형릴(1321) 상에는, 각 광케이블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코어를 구비하는 광유닛이 구분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광유닛분리홈(①②③④)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유닛이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유닛이 4개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개수만큼의 광유닛분리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코어릴부(130)가 베이스기판(120) 상에 다수개 배치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코어릴부(130)에 제1 코어릴부(130a) 및 제2 코어릴부(130b)가 포함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즉, 광접속함체(100) 내부 베이스기판(120) 상에서 광케이블(CB1-CB3)이 인입되는 측에 제1 코어릴부(130a)가 배치되고, 광케이블(CB4-CB6)이 인입되는 측에 제2 코어릴부(130b)가 배치된다.
제1 코어릴부(130a)는,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CB1-CB3)의 여유장을 수용하게 된다. 이에, 제1 코어릴부(130a)에 구비된 코어릴(132)의 원형릴(1321)에는 해당 광케이블(CB1-CB3)의 여유장이 말아서 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제1 코어릴부(130a)의 원형릴(1321)은, 코어릴부에 수용된 해당 광케이블(CB1-CB3)의 개수(3)에 대응하는 개수(3)만큼의 원형릴(1321a, 1321b, 1321c)을 포함할 것이다. 즉, 광케이블의 개수가 추가/제거된다면 원형릴의 개수도 대응하여 추가/제거되게 된다.
이에, 제1 코어릴부(130a)에 구비된 코어릴(132)의 원형릴(1321a)에는 광케이블(CB1)의 여유장이 수용되며, 원형릴(1321b)에는 광케이블(CB2)의 여유장이 수용되며, 원형릴(1321c)에는 광케이블(CB3)의 여유장이 수용되게 된다.
한편, 제2 코어릴부(130b)는,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CB4-CB6)의 여유장을 수용하게 된다. 이에, 제2 코어릴부(130b)에 구비된 코어릴(132)의 원형릴(1321)에는 해당 광케이블(CB4-CB6)의 여유장이 말아서 감길 수 있게 된다.
앞선 설명과 마찬가지 이유로, 제2 코어릴부(130b)의 원형릴(1321)은, 코어릴부에 수용된 해당 광케이블(CB4-CB6)의 개수(3)에 대응하는 개수(3)만큼의 원형릴(1321a, 1321b, 1321c)을 포함할 것이다.
이에, 제2 코어릴부(130b)에 구비된 코어릴(132)의 원형릴(1321a)에는 광케이블(CB4)의 여유장이 수용되며, 원형릴(1321b)에는 광케이블(CB5)의 여유장이 수용되며, 원형릴(1321c)에는 광케이블(CB6)의 여유장이 수용되게 된다.
전술과 같이 광접속함체(100) 내부 베이스기판(120) 상의 광케이블(CB1-CB6)이 인입되는 양측에 제1 코어릴부(130a) 및 제2 코어릴부(130b)가 위치하고, 해당 코어릴부의 각 코어릴이 광케이블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의 원형릴(1321)이 형성되고 각 원형릴(1321)에는 광유닛분리홈(①②③④)이 형성됨에 따라, 광접속함체(100)에 다수의 광케이불이 인입되어 있거나 또는 새로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모든 광케이블의 여유장이 정해진 위치에 수용될 수 있어 선번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유닛 단위로 접속코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원형릴(1321)이 회전축부재(131)에 수직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컴팩트한 내부구조를 갖는 함체를 구현할 수 있어 공간활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CB1-CB6)간의 연결을 위해서는 광접속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서, 광접속이라 함은, 광케이블에 존재하는 광섬유의 케이블 외피 탈피한 다음 광코어 간의 연결을 위해 접속판에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케이블(CB1-CB6)이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므로, 6개의 광케이블(CB1-CB6)의 광코어 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광접속은, 코어릴부(130) 중 특정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와 특정 코어릴부 이외의 다른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를 접속시키는 제1 접속부재부(140)와, 특정 코어릴부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케이블의 광코어를 접속시키는 제2 접속부재부(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특정 코어릴부는, 도 3에 도시된 2개의 코어릴부(130a, 130b) 중 어떤 코어릴부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특정 코어릴부가 제1 코어릴부(130a)이며, 특정 코어릴부 이외의 다른 코어릴부가 제2 코어릴부(130b)인 것으로 언급하도록 하겠다.
즉,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와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는 제1 접속부재부(140)를 통해 접속되며,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들 또는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들은 제2 접속부재부(150)를 통해 접속된다.
여기서, 제1 접속부재부(140)는,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CB1-CB6)의 인입 방향과 동일하며, 좌우측 방향에서 인입되는 광케이블(CB1-CB6)의 개수(3)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의 수평접속판(140a-14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접속판(140a-140c) 상에는 전술한 원형릴(1321)과 동일하게 각 광케이블(CB1-CB6)에 존재하는 광유닛 중 광접속되는 해당 광유닛이 구분될 수 있도록 분리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접속부재부(140)가 베이스기판(120)의 상단영역(RU)과, 하단영역(RD)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어릴부(130)/광케이블의 개수 등을 고려하여 한 곳의 영역이나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제1 접속부재부(140)에 의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코어릴부(130a)의 광코어와 제2 코어릴부(130b)의 광코어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2 접속부재부(150)는,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CB1-CB6)의 인입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좌우측 방향에서 인입되는 광케이블(CB1-CB6)의 개수(3)에 대응하는 개수만큼의 수직접속판(150a-150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접속판(150a-150c) 역시 전술과 동일하게 각 광케이블(CB1-CB6)에 존재하는 광유닛 중 광접속되는 해당 광유닛이 구분될 수 있도록 분리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접속부재부(150)는, 제1 코어릴부(130a)에 인접하는 위치와, 제2 코어릴부(130b)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제2 접속부재부(150)에 의해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코어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코어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처럼 동일한 코어릴부(130a/130b)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코어 간의 접속을 수행하게 되면, 광코어들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게 될 것이므로, 앞서 언급한 제1 접속부재부(140)와 같이 단독으로 광코어 간의 접속을 수행하기 어렵거나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동일한 코어릴부(130a/130b)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코어 간의 접속을 수행할 때에는 동일한 회전방향을 벗어나 광코어들의 접속방향이 최적화되도록 하는 제3 접속부재(16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제3 접속부재(160)는, 제2 접속부재부(15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 접속부재부(150)와 함께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들을 접속시키거나 또는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들을 접속시킨다. 이러한 제3 접속부재(160)는, 적어도 하나의 여장접속판(160a, 160b)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단영역(RU)의 제1 접속부재부(140)의 인접한 위치에 제3 접속부재(160a)가 배치되며, 하단영역(RD)의 제1 접속부재부(140)의 인접한 위치에 접속부재(160b)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코어들의 접속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면 배치 개수나 위치는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에서 언급한 제1 접속부재부(140), 제2 접속부재부(150), 제3 접속부재(160)는 베이스기판(120) 상에서 광케이블의 개수에 따라서 증설 가능한 탈부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에 따라 형성된 광접속함체(100)를 이용하던 중 차량 추돌, 자연 재해(예: 낙뢰) 등으로 인해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CB1-CB6)의 고장(예: 단절)이 발생하게 되면, 광케이블(CB1-CB6)이 인입되는 양측에 배치된 제1 코어릴부(130a) 및 제2 코어릴부(130b)가 동시에 회전하여 릴리즈될 것이며, 그로 인해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광코어가 단절되지 않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접속부재부(140)가 베이스기판(120)의 상단영역(RU)과, 하단영역(RD)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접속부재부(150)가 제1 코어릴부(130a)에 인접하는 위치와, 제2 코어릴부(130b)에 인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후술하는 광접속 수행 시에는 배치된 것의 일부만이 사용된다. 이처럼 사용되지 않는 일부 구성들은 미리 배치하는 것은 갑작스럽게 광케이블이 증가될 때를 미리 대비하여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와 달리, 실제 함체 하우징(110)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CB1-CB6)의 광접속을 운용할 수 있는 필수 구성만 베이스기판(120) 상에 둔다면 공간활용률이 보다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먼저, 제1 코어릴부(130a)과 제2 코어릴부(130b)에 각각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 간의 광접속의 일례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이블(CB1-CB3)의 광케이블(CB1)과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광케이블(CB4-CB6)의 광케이블(CB4)이 광접속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1 코어릴부(130a)에 구비된 코어릴(132)의 원형릴(1321a)로부터 광케이블(CB1)의 여유장이 릴리즈되고, 제2 코어릴부(130b)에 구비된 코어릴(132)의 원형릴(1321a)로부터 광케이블(CB4)가 릴리즈되게 된다.
이처럼 제1 코어릴부(130a)로부터 릴리즈된 광케이블(CB1)의 광코어는 제1 접속부재부(140)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2 코어릴부(130b)로부터 릴리즈된 광케이블(CB4)의 광코어는 제1 접속부재부(140)의 타단에 연결되게 된다.
이때, 제1 접속부재부(140)에는 수평접속판(140a-140c)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평접속판(140a-140c)은 광접속이 이루어 지는 순서대로 사용된다.
즉, 제1 코어릴부(130a)의 광케이블(CB1)과 제2 코어릴부(130b)의 광케이블(CB4)의 코어망 간의 광접속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다른 광접속이 수행되지 않았다면 광케이블(CB1)의 광코어와 광케이블(CB4)의 코어망은 수평접속판(140a)에 접속될 것이다.
만일, 이전에 다른 광접속이 수행되어 수평접속판(140a)이 사용 중이라면 광케이블(CB1)과 광케이블(CB4)의 코어망 간의 광접속은 수평접속판(140b)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이전에 다른 광접속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즉, 광케이블(CB1)의 광코어는 제1 접속부재부(140) 내 수평접속판(140a)의 일단에 연결되며, 광케이블(CB4)의 광코어는 수평접속판(140a)의 타단에 연결되게 된다.
이에, 다수의 광접속이 수행되더라도 케이블 선번을 일시에 확인할 수 있어 선번관리가 용이해짐은 물론, 광유닛 단위로 접속코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코어릴부(130a/130b)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코어 간의 광접속의 일례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설명의 편의 상,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코어(CB2, CB3) 간의 광접속에 대해 언급하도록 하겠다.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이블(CB1-CB3)의 광케이블(CB2)과 광케이블(CB3)이 광접속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1 코어릴부(130a)에 구비된 코어릴(132)의 원형릴(1321a)로부터 광케이블(CB2)의 여유장이 릴리즈되고, 원형릴(1321b)로부터 광케이블(CB3)의 여유장이 릴리즈되게 된다.
이처럼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이블(CB2)과 광케이블(CB3)의 광코어 간의 광접속을 위해 릴리즈가 되면,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광코어들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광코어 간의 접속을 수행하기 어렵거나 용이하지 않다.
이에, 제1 코어릴부(130a)로부터 릴리즈된 광케이블(CB2)의 광코어는 동일한 회전방향을 벗어나 광코어들의 접속방향이 최적화되도록 하는 제3 접속부재(160)인 여장접속판(160a)을 통해 제2 접속부재부(150)의 일단에 연결된다. 동일하게 제1 코어릴부(130a)로부터 릴리즈된 광케이블(CB3)의 광코어 역시 마찬가지 이유로 제3 접속부재(160)인 여장접속판(160b)을 통해 제2 접속부재부(150)의 타단에 연결되게 된다.
이때, 제2 접속부재부(150)에는 수직접속판(150a-150c)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직접속판(150a-150c)은 광접속이 이루어 지는 순서대로 사용된다.
즉, 제1 코어릴부(130a)의 광케이블(CB2)와 광케이블(CB3)의 코어망 간의 광접속이 이루어지기 이전에 다른 광접속이 수행되지 않았다면 광케이블(CB2)의 광코어와 광케이블(CB3)의 코어망은 수직접속판(150a)에 접속될 것이다.
만일, 이전에 다른 광접속이 수행되어 수직접속판(150a)이 사용 중이라면 광케이블(CB2)과 광케이블(CB3)의 코어망 간의 광접속은 수직접속판(150a)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이전에 다른 광접속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즉, 광케이블(CB2)의 광코어는 제3 접속부재(160)인 여장접속판(160a)을 통해 제2 접속부재부(150) 내 수직접속판(150a)의 일단에 연결되며, 광케이블(CB3)의 광코어는 제3 접속부재(160)인 여장접속판(160b)을 통해 수직접속판(150a)의 타단에 연결되게 된다.
결국,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이블들의 광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접속부재부(150)의 일단에는 제3 접속부재(160)인 여장접속판(160a)을 통해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블(CB2)의 제1 광코어가 연결되며, 제2 접속부재부(150)의 타단에는 제3 접속부재(160)인 여장접속판(160b)을 통해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광케이블(CB3)의 제2 광코어가 연결되게 된다.
전술에서는 제1 코어릴부(130a)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코어(CB2, CB3) 간의 광접속에 대해 언급하였으나,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코어 간의 광접속이 수행된다면 전술과 동일하게 광접속이 수행되게 된다.
즉,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광케이블들의 접속인 경우, 제2 접속부재부(150)의 일단에는 제3 접속부재(160)인 여장접속판(160a)을 통해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제3 광코어가 연결되며, 제2 접속부재부(150)의 타단에는 제3 접속부재(160)인 여장접속판(160b)을 통해 제2 코어릴부(130b)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제4 광코어가 연결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접속함체에 따르면, 광케이블 연결에 최적화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되,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베이스기판만을 이용해서도 기존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접속함체의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감소됨은 물론, 광케이블의 여유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케이블 선번을 일시에 확인할 수 있어 공간활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작업시간 단축을 통해 전반적인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광접속함체에 따르면,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 광코어가 자동으로 풀려 릴리즈되므로, 통신장애 없이 광통신망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어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도출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광접속함체에 따르면, 광케이블 연결에 최적화된 광접속함체를 제공하되, 광케이블 고장(예: 단절) 시에도 통신장애 없이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광접속함체의 구현 방안을 실현하여, 광통신망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광접속함체
110: 함체 하우징 120: 베이스기판
130: 코어릴부
131: 회전축부재 132: 코어릴
1321: 원형릴 1322: 분리홈
140: 제1 접속부재부 150: 제2 접속부재부
160: 제3 접속부재

Claims (6)

  1. 함체 하우징; 및
    상기 함체 하우징을 통해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광케이블을 접속시키는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로서,
    상기 베이스기판은,
    상기 광케이블의 여유장을 수용하는 코어릴부;
    상기 코어릴부 중 특정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와 상기 특정 코어릴부 이외의 다른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를 접속시키는 제1 접속부재부; 및
    상기 특정 코어릴부에 수용된 2 이상의 광케이블의 광코어를 접속시키는 제2 접속부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릴부는,
    상기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 원형릴을 포함하며,
    상기 원형릴은,
    각 광케이블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코어를 구비하는 광유닛이 구분되도록 상기 원형릴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광유닛분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릴부는,
    상기 베이스기판으로부터 돌출된 회전축부재; 및
    상기 회전축부재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원형릴을 포함하는 코어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릴부가 제1 코어릴부 및 제2 코어릴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와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는 상기 제1 접속부재부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들 또는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들은 상기 제2 접속부재부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재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속부재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광코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들의 접속인 경우, 상기 제2 접속부재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블의 제1 광코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속부재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제2 광코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들의 접속인 경우, 상기 제2 접속부재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제3 광코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2 접속부재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코어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의 제4 광코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
KR1020170135904A 2017-10-19 2017-10-19 광접속함체 KR102365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04A KR102365245B1 (ko) 2017-10-19 2017-10-19 광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904A KR102365245B1 (ko) 2017-10-19 2017-10-19 광접속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864A KR20190043864A (ko) 2019-04-29
KR102365245B1 true KR102365245B1 (ko) 2022-02-18

Family

ID=6628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904A KR102365245B1 (ko) 2017-10-19 2017-10-19 광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2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2218A (ja) * 2008-09-17 2010-04-02 Nippon Tsushin Denzai Kk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101229845B1 (ko) * 2011-07-28 2013-02-05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289Y1 (ko) * 2010-01-08 2011-10-26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광케이블 접속함체용 트레이
KR20170033754A (ko) * 2015-09-17 2017-03-27 (주) 엘티엔 광접속함체의 여장 관리 유닛 및 이에 포함된 여장처리포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2218A (ja) * 2008-09-17 2010-04-02 Nippon Tsushin Denzai Kk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101229845B1 (ko) * 2011-07-28 2013-02-05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864A (ko)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2834B (zh) 通信网络和操作通信网络的方法
JP4156708B2 (ja) 波長分割多重分波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のための運転方法
KR102585840B1 (ko) 능동형 패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통합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KR20170003727A (ko) 케이블 배선
CN109387906B (zh) 光交叉连接设备、光传送系统和光传送方法
KR102365245B1 (ko) 광접속함체
JP3708013B2 (ja) 光通信システム
US20050161245A1 (en) Home and building information system
CN206818935U (zh) 数据中心用迷你光缆
US11438677B2 (en) Distribution frame device for communications and data technology
JP4142984B2 (ja) 光ファイバ配線方法
KR102664169B1 (ko) 이더넷 신호의 층간 경로 설정이 가능한 능동형 패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배선반 시스템
KR200482793Y1 (ko) 광섬유 케이블 분배함 및 광케이블 카드
JP3563620B2 (ja) 光集線装置
CN209895041U (zh) 铁路区间光通信箱
CN116047691B (zh) 机场围界安保设施通信光缆同缆多环的施工方法、结构
CN218848400U (zh) 电力光缆分束式接头装置
CN202351476U (zh) 一种托盘式光纤熔接存储一体化单元
JP2005191727A (ja) Opgwシステム
CN110089052B (zh) 网络节点和通信网络
CN211018846U (zh) 一种分布式远程监控终端
JP4530963B2 (ja) 光アクセス方式切替方法
KR200447136Y1 (ko) 광복합가공지지철선(opsw)용 분기 박스
KR101166527B1 (ko) 광복합가공지지철선 및 광케이블용 분기 함체
JPS63217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