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934B1 -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934B1
KR102364934B1 KR1020210087083A KR20210087083A KR102364934B1 KR 102364934 B1 KR102364934 B1 KR 102364934B1 KR 1020210087083 A KR1020210087083 A KR 1020210087083A KR 20210087083 A KR20210087083 A KR 20210087083A KR 102364934 B1 KR102364934 B1 KR 10236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distribution center
target
or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412A (ko
Inventor
임상호
백현창
이경재
진창근
김웅
김재현
백연희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9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06Q30/0635Processing of requisition or of purchase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방법은, 소스 물류 센터의 정보 및 타겟 물류 센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정보 중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류 센터 간에 기 할당된 주문 정보를 다른 물류 센터로 재할당하여, 주문 처리의 미달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밖에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LOGISTICS INFORMATION AND CONTOROL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물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은 온라인 상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며, 전자상거래에서 거래가 이루어진 상품은 배송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설정한 배송지로 배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상거래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에 따라,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매매를 중개하고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매 중개 서비스 역시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매매 중개 서비스를 위한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은, 생산자로부터 인수받은 상품을 특정 물류 센터의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구매자로부터 상품의 배송 요청이 발생하면 해당 상품을 창고에서 피킹(picking)하여 배송원을 통해 구매자에게 전달(배송)할 수 있다.
한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은,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복수의 물류 센터들을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구매자로부터 상품에 대한 주문 요청이 발생하면,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은 해당 주문의 특성(예: 배송지, 물류 센터의 재고 등)을 고려하여 주문을 처리할 물류 센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물류 센터에 각각의 주문을 배정(할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 기준에 따라 물류센터들 각각에 주문들이 배정되었더라도 특정 물류 센터에서는 배정된 주문들을 적절히 처리하기 어려운 사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 대한 일시적인 주문량 증가 또는 특정 물류 센터에서의 가용 인력(예: 배송원)의 일시적 감소 등의 사유로, 특정 날짜에 A 물류 센터에서 작업할 수 있는 배송원의 수가 A 물류 센터에 배정된 주문 수량에 비해 부족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A 물류 센터에서는 배정된 주문의 작업을 제대로 완료하기 어려우므로, A 물류 센터로 기 배정된 주문의 일부를 상대적으로 가용 인력이 여유로운 다른 물류 센터(예: B 물류 센터)로 이전함으로써 주문 작업의 미달성(예: 예상 발송 날짜(expected shipping date) 미준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주문 정보를 다른 물류 센터로 이전할 때 다수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이전하고, 이전 받는 물류 센터의 상황을 고려하여 주문 정보를 이전함으로써 이전에 따라 효과적으로 물품의 배송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물류 센터로 기 배정된 주문들의 일부를 필요에 따라 효과적으로 다른 물류 센터로 재배정(재할당)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방법은, 소스 물류 센터의 정보 및 타겟 물류 센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정보 중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소스 물류 센터의 정보 및 타겟 물류 센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정보 중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물류 센터로 기 배정된 주문들의 일부를 필요에 따라 다른 물류 센터로 효과적으로 재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물류 센터에서의 주문 작업 미달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예정된 일정대로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구매자의 만족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센터의 상황을 고려하여 대용량의 주문 데이터를 짧은 시간에 이동 시킴으로써 물류 센터 간에 로드 밸런싱이 이루어 질 수 있고, 주문 데이터를 받는 물류 센터의 배송 수행 가능 여부를 기반으로 주문 데이터를 할당함으로써 주문 데이터 이전에 따라 효과적으로 배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조건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진행 정보에 관한 표시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전자 장치(100), 네트워크(5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예: 서버)는, 물류 정보 관리를 위한 다양한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물류 센터로 입고되는 상품의 재고 관리, 물류 센터 내에서의 상품의 이동 관리, 또는 배송을 위한 피킹, 리빈, 및 패킹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관리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킹은 물류 센터에 저장된 물건을 모아서 다음 처리를 할 수 있도록 수거하는 절차이며, 리빈은 피킹된 물건들을 기반으로 하나의 배송 정보에 해당하는 물건을 분류하는 절차이며, 패킹은 피킹되거나 리빈된 물건을 배송할 수 있도록 포장하는 절차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는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웹 페이지로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하위 장치와 연결되어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전자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버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과,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또는 맥OS(Mac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50)는,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또는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미도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50)는, 사용자 단말(200)이 상기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의 동작들은, 전자 장치(1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50)를 통해 상기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0, 도 2)에 저장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120, 도 2)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네트워크(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에 애플리케이션 형식의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단일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는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에 포함된 구성 중 나머지 일부는 다른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는, 전자 장치(10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물리적 장치는, 사용자 단말(200)의 일부 또는 외부 장치(미도시)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되고, 상기 분산 배치된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프로세서(120), 및 데이터베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전송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100)로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 도 1)로부터 소정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통신 모듈(110)는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을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기준 조건에 따라 복수의 물류 센터들에 다수의 주문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주문의 특성(예: 배송지 주소, 물류 센터의 재고 수량 등)을 고려하여 주문을 처리할 물류 센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물류 센터에서 해당 주문이 처리되도록 주문을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주문을 이전할 물류 센터인 소스 물류 센터(예: 제1물류센터)와, 상기 주문을 이전 받을 물류 센터인 타겟 물류 센터(예: 제2물류센터)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소스 물류 센터와 타겟 물류 센터를 특정하여 해당 정보를 전자 장치(1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물류 센터들에 할당한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정보 또는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물류 센터들에 할당한 주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각각의 물류 센터들에 할당한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통신 모듈(110)을 통해 물류 센터들의 주문 관리 처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다른 장치로부터 물류 센터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물류 센터들에 할당된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이전하고자 하는 주문의 특성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전하고자 하는 주문의 특성에 관한 정보는, 주문의 배송과 관련된 유형 정보,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 정보, 또는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서의 현재 주문 처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이전하고자 하는 주문의 특성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조건에 대응하는 주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컨대 소스 물류 센터에 기 할당된 주문들 중 상기 조건에 대응하는 주문들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러한 조건에 해당하는 주문들에 대하여 다른 물류 센터로 이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문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 주문들을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d는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예: 사용자 단말(200) 또는 별도의 출력 장치(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 중 적어도 일부를 타겟 물류센터에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타겟 물류 센터에서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에 대해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 가능한 적어도 일부의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을 상기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이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는, 타겟 물류 센터에 입고된 재고의 정보, 타겟 물류 센터의 작업 인원 정보, 또는 주문의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특정 주문이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외부 장치(미도시)와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장치(미도시)는,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에서, 고객으로부터 접수되는 신규 주문을 관리 또는 처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특정 시점에서 신규 접수되는 주문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여, 주문을 타겟 물류 센터로 재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 중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주문(이하, "이전 시도 주문")들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특정 시점에서 상기 이전 시도 주문들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예: 수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이전 후보 대상 주문들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상기 이전 시도 주문들에 대하여,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을 시도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소스 물류 센터에 기 할당된 주문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을 시도하는 동작과 관련하여 진행 정보를 출력(예: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을 시도한 결과로서,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 중 적어도 일부(예: 이전 시도 주문들) 중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에 성공(또는 실패)한 주문의 수량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전자 장치(100)의 소정의 저장 공간에 구현된 데이터 구조로서,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이 자유롭게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30)는 데이터의 저장, 검색, 삭제, 편집, 또는 추가 등의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필드 또는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130)는, 물류 센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프로세서(120)의 실행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각 물류 센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30)의 처리를 통해 각 물류 센터의 주문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물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예: 서버)는, 단계 320에서, 소스 물류 센터의 정보 또는 타겟 물류 센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상기 소스 물류 센터의 정보 또는 타겟 물류 센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320에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물류 센터들 중 소스 물류 센터와 타겟 물류 센터를 특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물류 센터 및 타겟 물류 센터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서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 물류 센터의 물류 처리 상태를 기반으로, 소스 물류 센터 및 타겟 물류 센터를 선택하거나 제안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소스 물류 센터에서 할당된 주문 정보는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34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전자 장치(100)는,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정보 중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전 대상 후보 주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전 대상 후보 주문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조건에 맞는 주문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주문의 배송과 관련된 유형 정보(예: 주문 일자, 예상 발송 일자, 배송 업체 정보),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 정보, 또는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서의 현재 주문 처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주문 정보를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문의 배송과 관련된 유형 정보는, 각 주문의 배송 기한과 관련된 서비스 레벨 정보 또는 주문의 배송 업체 유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있다. 주문의 배송 기한과 관련된 서비스 레벨 정보는, 예컨대 주문일 이내에 배송을 완료하는 당일 배송, 주문일 익일 새벽까지 배송을 완료하는 새벽 배송, 또는 주문일 후 수일 이내에 배송을 완료하는 일반 배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의 배송 업체 유형 정보는, 상기 주문의 배송을 수행할 배송원 또는 배송사의 업체명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 정보는, 각각의 주문이 상품이 피킹된 후 바로 패킹될 수 있는 싱글(single) 주문인지 또는 상품이 피킹된 후 다른 상품과 함께 패킹되어야 하는 멀티(multi) 주문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물류 센터에서의 현재 주문 처리 상태에 관한 정보는, 특정 시점에서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서 해당 주문이 피킹되기 전 상태에 있는지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재할당을 시도하고자 하는 주문의 이전 조건으로서, 전술한 주문의 배송과 관련된 유형 정보,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 정보, 또는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서의 현재 주문 처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소스 물류 센터에 기 할당된 주문들 중 상기 수신된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주문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정보 중 상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주문 정보를 "이전 가능 주문 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외부(예: 사용자 단말(20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이전 가능 주문 정보(예: 이전 가능 주문 수량)에 대응하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수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수량의 범위 내에서,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이전 대상 후보 주문의 수량이,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후술할 단계 360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최종적으로 타겟 물류 센터에 재할당되는 주문의 수량은, 이전 대상 후보 주문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수량이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보다 클 경우, 단계 360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물류 센터 간 주문 이전 명령의 실행이 실패(configuration fail)하였음을 알리는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타겟 물류 센터에서 미리 설정된 재할당 제한 수량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이전 가능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소스 물류 센터에 기 할당된 주문들이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서 미리 설정한 재할당 제한 수량의 범위 내에서만 이전 가능 주문 수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단계 360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단계 360에서,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 시도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주문들에 대해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주문 정보를 상기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타겟 물류 센터에 입고된 재고의 수량과 관련된 정보, 타겟 물류 센터의 작업 인원(예: 배송원)과 관련된 정보, 또는 각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주소지 정보에 기반하여, 각 주문이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0)에 의해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이 시도된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할당에 성공하여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되고, 다른 일부는 할당에 실패하여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360에서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이 완료된 주문 정보는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되며, 상기 단계 360에서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되지 못한, 할당에 실패한 주문 정보는 소스 물류 센터에서 처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타겟 물류 센터로의 할당에 실패한 주문 정보를 재 할당 조건에 부합하는 또 다른 타겟 물류 센터(예: 제3물류 센터)로 할당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물류 센터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주문을 재 할당할 제3물류 센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각각의 동작과 관련하여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전술한 도 3의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단계 411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자 장치(100)로 주문 이전과 관련된 조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의 이전이라 함은, 소스 물류 센터에 기 할당된 주문 정보 중 일부가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타겟 물류 센터로 다시 할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 정보는 소스 물류 센터 정보, 타겟 물류 센터 정보 또는 소스 물류 센터에서 이전 대상이 되는 주문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조건 정보와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에서 전자 장치(100)는 각 물류 센터에 대응하는 별도의 서버들과 통신을 통해 도 4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은 각 물류 센터 별로 그에 대응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는 상기 물류 센터에 대응하는 각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주문 이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주문 정보를 재할당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물류 센터인 소스 물류 센터와 타겟 물류 센터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소스 물류 센터에서 타겟 물류 센터로 이전하고자 하는 주문의 조건과 관련된 정보(조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전하고자 하는 주문의 "조건 정보"는, 주문의 배송과 관련된 유형 정보,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 정보, 또는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서의 현재 주문 처리 상태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소스 물류 센터의 정보와 이전 대상 후보 주문과 관련된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 중 적어도 일부를 재할당 받을 수 있는 후보군 타겟 물류 센터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후보군 타겟 물류 센터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최종 타겟 물류 센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계 421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주문 이전과 관련된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이전 가능 주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들 중 상기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주문들을 "이전 가능 주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는,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들 중 상기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주문들이라도, 타겟 물류 센터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예: 재할당 허용 수량)에 기반하여, 상기 조건 정보에 부합하는 주문들 중 일부만을 상기 "이전 가능 주문"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단계 422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 측으로 "이전 가능 주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수신된 "이전 가능 주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출력 장치(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예: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가능 주문" 정보는, 소스 물류 센터에서 타겟 물류 센터로 주문을 이전 할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12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이전 가능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된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전 주문 목표(target) 수량에 해당하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의 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단계 421에서 확인된 주문 정보에 대해서 단계 412에서 입력된 수량 정보를 만족할 때까지 타겟 물류 센터로 해당 주문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전 가능 주문 정보에 포함된 주문 정보에 대해서 주문 이전이 수행되는 동안에 피킹, 리빈 및 패킹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423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의 수량과 "이전 가능 주문" 수량을 비교하고, "이전 대상 후보 주문"의 수량이 "이전 가능 주문"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 한하여 단계 424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423에서 "이전 대상 후보 주문"의 수량이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보다 큰 경우, 전자 장치(100)는 단계 424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의 수량이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보다 큰 경우, 재할당 명령에 관한 실패를 안내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이전 가능 주문" 수량을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수량으로 대체하여 다음의 단계 424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424에서, 전자 장치(100)는,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주문 정보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상기 타겟 물류 센터로 이전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는 주문 정보를 "이전 시도 주문"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후술할 단계 426에서, "이전 시도 주문" 정보의 범위 내에서 상기 타겟 물류 센터로의 할당을 시도할 수 있다.
단계 425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전 시도 주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상기 "이전 시도 주문"에 대한 정보를 외부(예: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이전 시도 주문"정보는, 상기 "이전 시도 주문" 정보를 판단하는 시점에서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을 시도할 경우, 주문의 할당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문 수량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426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예컨대 이전 시도 주문 정보에 대하여,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을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단계 424 및 단계 426을 수행함에 있어서, 외부 장치(미도시)와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여, "이전 시도 주문" 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이전 시도 주문" 정보를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미도시)는, 고객으로부터 접수되는 신규 주문을 관리 또는 처리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신규 주문 정보를 고려하여, 소스 물류 센터에 기 할당되었던 특정 주문이 타겟 물류 센터로 이전 할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술한 외부 장치(미도시)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부분적인 구성에 해당할 수도 있다.
단계 426에서,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 시도된 "이전 시도 주문"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할당에 성공하고, 다른 일부는 할당에 실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된 주문은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서 처리되도록 하고,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의 할당에 실패한 주문은 소스 물류 센터에서 처리되도록 하거나, 다른 물류 센터에 할당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이전 시도 주문 정보에 대해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 시도 할 때 소스 물류 센터에서 해당 주문 정보에 대해서 피킹, 리빈 및 패킹 중 적어도 하나가 시도된 경우, 해당 주문 정보는 이전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단계 427에서, 전자 장치(100)는 단계 426에서 수행된 타겟 물류 센터로의 주문 할당 시도의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계 427에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최종적으로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의 수량,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 시도된 주문의 수량, 사용자가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을 요청한 주문의 수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에서, 전자 장치(100)는,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 완료된 주문의 수량이, 사용자로부터 할당 요청된 주문 수량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 할당을 계속 진행하고,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 완료된 주문의 수량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할당 요청된 주문 수량과 동일하면,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을 할당하는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 완료된 주문의 수량이, 사용자로부터 할당 요청된 주문 수량보다 작더라도,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을 시도한 주문의 수량이 단계 424에서 판단된 "이전 시도 주문"의 수량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을 할당하는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 완료된 주문의 수량이, 사용자로부터 할당 요청된 주문 수량보다 작더라도,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을 시도한 주문의 수량이 단계 421에서 판단된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을 할당하는 동작을 중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 완료된 주문의 수량이 사용자로부터 할당 요청된 주문 수량보다 작은 경우, 할당을 시도한 주문의 수량이 상기 "이전 시도 주문" 수량이나 상기 "이전 가능 주문" 수량에 도달하게 되면, 잔여 주문 수량 부분에 대하여 다른 물류 센터(예: 제3물류센터)로 할당을 시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진행 중인 타겟 물류 센터로의 주문 할당 동작을 중단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을 할당하는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주문 할당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조건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200)(또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물류 센터 간 주문 이전과 관련된 조건 정보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조건 정보 입력 화면을 참조하여, 주문 정보 재 할당과 관련된 각 조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스 물류 센터는 이미 선택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서 소스 물류 센터와 대상 물류 센터를 같은 화면에서 선택하여 주문 이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따른 조건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타겟 물류 센터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511)(예: 타겟 물류 센터의 지점 명칭, FC1, FC2, FC3),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할 주문의 배송사 종류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512)(예: A사, B사, C사),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할 주문의 배송의 서비스 레벨과 관련된 유형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513)(예: 당일 배송, 새벽 배송, 일반 배송 등),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할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예컨대, 쉽먼트 유형)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514)(예: 전체, X, Y),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할 주문의 요청 수량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516), 및 상기 주문 요청 수량의 단위를 입력할 수 있는 항목(515)(예: PARCEL, UNIT)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식별번호 511 내지 515의 항목을 우선 입력하고, 체크(CHECK) 버튼(530)을 누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서 상기 체크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이전 가능 주문" 정보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이전 가능 주문"정보, 예컨대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 정보(미도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상기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 정보(미도시)를 확인한 후, 상기 "이전 가능 주문"의 수량보다 작거나 같은 범위 내에서, 식별번호 516의 요청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에서 시도(TRY) 버튼(55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입력된 요청 수량(516)을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수량 정보로서, 전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진행 정보에 관한 표시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은, 물류 센터 간 주문 이전 실행과 관련된 진행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화면을 사용자 단말(200)(또는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화면은, 물류 센터 간 주문 이전이 실행 중인 사항의 정보(611)를 나타내는 "진행 목록"과, 물류 센터 간 주문 이전이 완료된 사항의 정보(621 내지 623)를 나타내는 "완료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 목록"의 식별번호 611에서는, 복수의 물류 센터들 중"FC1"을 타겟 물류 센터로 하여 주문 할당이 요청된 경우의 실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행 목록"에서는, 식별번호 610의 "진행 상태"항목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 할당이 시도된 주문의 수량(이관 시도), 현재까지 상기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 할당이 완료된 주문의 수량(이관 성공), 또는 특정 시점에서 주문 할당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이전 대상 후보 주문"수량(이관 가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식별번호 611을 통해, 사용자는,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들 중에, 배송사 정보가 "A사"또는 "C사" 중 어느 하나이고, 배송 서비스 레벨 유형이 "새벽 배송" 또는 "일반 배송"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며, 주문의 패킹과 관련한 쉽먼트 유형이 "X"에 해당하는 주문의 일부를 "FC1"의 타겟 물류 센터에 할당하도록 시도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조건에서 80 [PARCEL]의 수량만큼의 주문 할당을 요청했으며, 현재까지 36 [PARCEL]의 주문이 할당 시도되었고, 그 중 18 [PARCEL]의 주문이 "FC1"의 타겟 물류 센터로 할당에 성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진행 중인 주문 이전 할당 기능을 중단하기 위한 정지(STOP) 버튼(65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 정보 관리 시스템(1)은, 상기 진행 중인 주문 이전 할당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완료 목록"에서도, 식별번호 620의 "진행 상태"항목과 관련하여, 최종적으로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 할당이 시도된 주문 수량(이관 시도), 최종적으로 타겟 물류 센터에 주문 할당이 완료된 주문 수량(이관 성공), 또는 특정 시점에서 주문 할당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이전 대상 후보 주문" 수량(이관 가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번호 621 내지 6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 목록"에서는, 각 타겟 물류 센터의 정보(예: 식별번호 621의 "FC3", 식별번호 622의 "FC2", 식별번호 623의 "FC1"), 배송사 유형 정보(예: A사, B사, C사, D사), 배송 서비스 레벨의 유형 정보(예: 당일 배송, 새벽 배송, 일반 배송 등), 주문의 패킹 관련 쉽먼트 유형 정보(예: X, Y), 할당 요청된 주문 수량 및 단위(예: PARCEL, UNIT) 정보, 작업자 정보(예: JOHN), 또는 할당에 소요된 시간과 관련된 정보(예: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9)

  1. 전자 장치의 물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소스 물류센터의 정보 및 타겟 물류센터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스 물류센터에 기 할당된 주문들 중 주문 일자, 주문의 배송 기한과 관련된 서비스 레벨, 및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주문들을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재할당할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입고된 재고의 수량 정보 및 상기 타겟 물류센터의 작업 인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 중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서 처리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문을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문을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재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재할당하는 시점에 상기 소스 물류센터에서 피킹 작업이 수행된 주문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주문을 상기 재할당 대상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류 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문을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재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물류센터로부터 상기 타겟 물류센터로 재할당이 진행 중인 주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소스 물류센터로부터 상기 타겟 물류센터로 재할당이 완료된 주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할당과 관련된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류 정보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할당과 관련된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주문의 배송과 관련된 유형 정보,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 정보, 주문 수량 단위 정보, 및 재할당 요청 주문 수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할당과 관련된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재할당이 진행 중인 주문에 대한 재할당 중단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할당이 진행 중인 주문에 대한 재할당 중단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진행 중인 재할당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류 정보 관리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할당과 관련된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재할당에 소요된 시간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재할당을 요청한 작업자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관리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할당과 관련된 진행 정보는,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의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관리 방법.
  8.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소스 물류센터의 정보 및 타겟 물류센터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소스 물류 센터에 할당된 주문들 중 주문 일자, 주문의 배송 기한과 관련된 서비스 레벨, 및 주문의 패킹과 관련된 처리 유형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주문들을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재할당할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입고된 재고의 수량 정보 및 상기 타겟 물류센터의 작업 인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전 대상 후보 주문들 중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서 처리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주문을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재할당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문을 상기 타겟 물류센터에 재할당하는 시점에 상기 소스 물류센터에서 피킹 작업이 수행된 주문을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주문을 상기 재할당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210087083A 2020-08-06 2021-07-02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6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083A KR102364934B1 (ko) 2020-08-06 2021-07-02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805A KR102275004B1 (ko) 2020-08-06 2020-08-06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10087083A KR102364934B1 (ko) 2020-08-06 2021-07-02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805A Division KR102275004B1 (ko) 2020-08-06 2020-08-06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412A KR20220018412A (ko) 2022-02-15
KR102364934B1 true KR102364934B1 (ko) 2022-02-18

Family

ID=768649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805A KR102275004B1 (ko) 2020-08-06 2020-08-06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10087083A KR102364934B1 (ko) 2020-08-06 2021-07-02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805A KR102275004B1 (ko) 2020-08-06 2020-08-06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20044304A1 (ko)
JP (2) JP6974558B1 (ko)
KR (2) KR102275004B1 (ko)
AU (1) AU2020281078A1 (ko)
PH (1) PH12020552126A1 (ko)
WO (1) WO2022030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462B1 (ko) * 2022-02-28 2022-08-09 쿠팡 주식회사 물류 센터 간 주문 정보를 이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429827B1 (ko) * 2022-03-02 2022-08-08 쿠팡 주식회사 패킹 정보 제공을 위한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139128A (ko) * 2022-03-25 2023-10-05 쿠팡 주식회사 주문 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39569A (ko) * 2022-03-28 2023-10-05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164432A (ko) * 2022-05-25 2023-12-04 쿠팡 주식회사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0767A (ko) * 2022-06-24 2024-01-03 쿠팡 주식회사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649919B1 (ko) * 2023-01-10 2024-03-22 쿠팡 주식회사 피킹 공정의 할당 처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13B1 (ko) * 2007-09-13 2010-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배달작업 계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7482B1 (ko) * 2017-07-11 2018-02-08 씨제이대한통운(주) 슈트별 물류 배정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0121A (ja) * 1996-10-23 1998-05-12 Yamato Syst Kaihatsu Kk 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JP3981171B2 (ja) * 1996-12-12 2007-09-26 富士通株式会社 商品の配送管理システム
KR20020050789A (ko) * 2000-12-21 2002-06-27 구자홍 인터넷을 이용한 공동 구매 및 판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02207799A (ja) * 2001-01-05 2002-07-2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受発注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4430294B2 (ja) * 2001-11-21 2010-03-10 旭通信株式会社 作業進捗状況に応じた班別作業仕分け修正システム
JP2004155567A (ja) * 2002-11-07 2004-06-03 Canon Inc 販売方法、販売システム、サーバ、販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販売プログラム及び回収方法
KR20040075798A (ko) * 2004-07-15 2004-08-30 주식회사 코텍전자 물류지원 시스템의 표시장치
US9767499B2 (en) * 2012-09-28 2017-09-19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upply chain orchestration system with configure-to-order item matching
JP5784160B2 (ja) * 2014-01-31 2015-09-24 ニチユ三菱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荷役作業割当システムおよび荷役作業割当方法
US20160210683A1 (en) * 2015-01-19 2016-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rder Offload
US20160328781A1 (en) * 2015-05-05 2016-11-10 Bby Solutions, Inc Delayed order delivery fulfillment
KR101735018B1 (ko) * 2015-11-09 2017-05-12 쿠팡 주식회사 배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8181113A (ja) * 2017-04-18 2018-11-15 丸市倉庫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10664322B1 (en) * 2019-07-25 2020-05-26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configured for balancing workload among multiple computing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13B1 (ko) * 2007-09-13 2010-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배달작업 계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27482B1 (ko) * 2017-07-11 2018-02-08 씨제이대한통운(주) 슈트별 물류 배정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412A (ko) 2022-02-15
US20230153892A1 (en) 2023-05-18
PH12020552126A1 (en) 2021-07-19
AU2020281078A1 (en) 2022-02-24
JP7395225B2 (ja) 2023-12-11
JP6974558B1 (ja) 2021-12-01
WO2022030672A1 (ko) 2022-02-10
JP2022031050A (ja) 2022-02-18
KR102275004B1 (ko) 2021-07-09
JP2022031269A (ja) 2022-02-18
TW202207104A (zh) 2022-02-16
US20220044304A1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934B1 (ko) 물류 정보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60940B1 (ko) 물류 관리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US6820038B1 (en) Component provisioning or issuance in a maintenance, repair or overhaul environment
KR102262394B1 (ko)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동 할당 및 재할당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US97542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tative item identification based on facility operations
KR20200106323A (ko) 피킹셀 통합 피킹 기능을 구비한 물류 관리 시스템
WO2014145676A1 (en) Overnight productivity dashboard
TWI828555B (zh) 用於物流處理之系統及設備及用於提供物流處理資訊之方法
CN112258120A (zh) 仓库资源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
US20160019493A1 (en) Overnight productivity dashboard
TWI838596B (zh) 管理物流資訊之電子設備及其控制方法
JP7013535B1 (ja) アイテムピッキング情報を提供する電子装置及びその方法
CN112308496A (zh) 一种移库系统及移库方法
KR102430462B1 (ko) 물류 센터 간 주문 정보를 이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KR102210662B1 (ko) 가입고 기능을 구비한 물류 관리 시스템
KR102218284B1 (ko) 적응적 로케이션 설정 기능을 구비한 물류 관리 시스템
JP3992133B2 (ja) バックオーダー処理システム
CN114066366A (zh) 多品配货订单处理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H11116014A (ja) リール部品の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並びに在庫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CN114819855A (zh) 配送任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3233735A (ja) カタログ受注システムとカタログ受注方法とカタログ受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