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299B1 -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299B1
KR102364299B1 KR1020200110694A KR20200110694A KR102364299B1 KR 102364299 B1 KR102364299 B1 KR 102364299B1 KR 1020200110694 A KR1020200110694 A KR 1020200110694A KR 20200110694 A KR20200110694 A KR 20200110694A KR 102364299 B1 KR102364299 B1 KR 102364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berthing
fender
ship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윤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진 filed Critical 윤상진
Priority to KR1020200110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PSC 서버장치에 의해, 항만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선박에 대한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 리스트 상의 선박 중, 상기 항만의 미리 설정된 선석 영역 범위 내의 선박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석의 정박 면을 따라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펜더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식별된 선박 중 제1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접안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된 선박의 접안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FOR MANAGING PORT BASED ON BERTH STAT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항만의 선석 영역 내 선박의 접안 또는 이안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최적의 접안 스케줄링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만 운영 효율성을 위해, 항만에 선박이 도착하는 간격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특히, 선박의 위치정보 및 속도 정보를 기초로, 항만에 선박이 도착하는 예정시간을 연산함으로써, 입항 또는 출항 스케줄링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이를 위해 스케줄링 방법은, GPS 정보 및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에 의해 제공되는 선박의 정적 정보를 활용한다.
이와 같이 입항 또는 출항 정보를 바탕으로 스케줄링하는 방법은, 항만의 선석 영역 내에서의 접안 및 이안 상태의 구체적인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노출한다. 즉, 접안을 시도하는 선박의 크기 및 구체적인 접안 면의 면적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선석 영역에 대한 시공간적 측면의 최적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지 못한다. 이러한 한계점은, 복수의 선박이 동시 접안하는 상황에서 최적의 접안 영역을 가이드 하지 못하거나, 동일 접안 영역에 최적의 선박 교체 타이밍을 가이드 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럼에도 선석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출항하는 선박에 대한 접안 상태에 대한 감지 정보를 활용한 최적의 항만 스케줄링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635142 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석 영역에서 접안 또는 이안하는 선박에 대한 접안 상태 감지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접안 스케줄링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선석 영역 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펜더에서 감지되는 접안 상태 정보를 기초로, 선박의 접안 면적을 식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항만으로부터의 거리 정보를 기반으로, 선박의 접안 스케줄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항만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에 접근하는 선박에 대하여, 접안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하되, 기존에 접안 또는 이안을 진행 중인 선박의 접안 상태 감지 결과를 접안 스케줄 리스트에 반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 접안 영역에서 선박이 교체되는 상황에서, 최적의 교체 타이밍을 가이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은, PSC 서버장치에 의해, 항만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선박에 대한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케줄 리스트 상의 선박 중, 상기 항만의 미리 설정된 선석 영역 범위 내의 선박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석의 정박 면을 따라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펜더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식별된 선박 중 제1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접안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된 선박의 접안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석의 정박 면을 따라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펜더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식별된 선박 중 제1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펜더 중 제1 그룹의 펜더에 의해, 상기 제1 선박이 이안 중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된 선박의 접안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 상에서, 상기 식별된 선박 중 제2 선박의 입출항 스케줄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선박의 입출항 스케줄의 체크 결과, 상기 제2 선박이 접안 대상 선박인 경우, 상기 제2 선박에 접안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된 선박 중 제1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펜더의 접안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1 선박의 거리의 변화량 또는 상기 펜더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량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그룹의 펜더는 제1 펜더 및 제2 펜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박이 이안 중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펜더에서 제1 선박의 거리 변화량 및 상기 제1 펜더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펜더에서 제1 선박의 거리 변화량 및 상기 제1 펜더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변화량 및 상기 제2 변화량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선박이 이안 중임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선박이 이안 중임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안 중인 제1 선박의 이안 완료시점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선박에 접안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선박의 입출항 스케줄의 체크 결과, 상기 제1 선박의 이안 완료시점이 상기 제2 선박의 상기 선석 영역 범위 내 진입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인 경우, 상기 제2 선박의 사이즈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제2 선박의 사이즈 및 상기 제2 선박의 입출항 스케줄을 기초로, 상기 제2 선박의 접안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선박의 접안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선박의 접안 영역을 상기 이안 중인 상기 제1 선박이 접안했던 제1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선박의 접안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선박의 접안 영역을 상기 이안 중인 상기 제1 선박이 접안했던 제1 영역과 다른 제2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제2 영역에 상기 제2 선박이 접안을 개시함에 따라,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펜더를 제2 그룹의 펜더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그룹의 펜더에 의해 상기 제2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은, 항만 내의 선석의 정박 면을 따라 부착되어,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펜더와 상기 항만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선박에 대한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 리스트 상의 선박 중, 상기 항만의 미리 설정된 선석 영역 범위 내의 선박을 식별하고, 상기 접안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식별된 선박에 대한 접안 영역 및 접안 스케줄을 생성하는 PSC 서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펜더는, 선박의 접안 또는 이안 시에 상기 선박과 접촉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된, 상기 PSC 서버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영역 중, 상기 선박과 접촉하는 면의 내부에 위치하는 접안 감지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접안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 변화 및 거리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PSC 서버장치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재로 코팅되고, 외부는 상기 접안 또는 이안 시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안 감지부는, 상기 접안 시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량 또는 상기 이안 시에 완화되는 압력 변화량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선박과 접촉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선박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안 감지부는, 상기 센싱 영역을 통해, 상기 선박의 접안 또는 이안 시에 가변하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펜더는, 제1 펜더 및 제2 펜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펜더는 상기 선박의 제1 거리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제2 펜더는 상기 선박의 제2 거리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PSC 서버장치는, 상기 제1 거리 변화 및 상기 제2 거리 변화를 기초로, 상기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석 영역에 최다 선박을 동시 접안 시킬 수 있으므로 항만 운영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영역에 먼저 접안 중인 선박이 출항 타이밍에 맞춰 지체없이 입항 선박을 접안 시킬 수 있어, 동일 시간 내에 한정된 선석 영역에 최다 선박을 접안 시킬 수 있으며, 접안 선박의 대기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SC 서버의 블록(Block)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접안 및 이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거리 기반의 접안 스케줄링 리스트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접안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접안 영역 및 스케줄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펜더 그룹핑 방법의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은, 항만통제국(PSC, Port State Control)의 서버장치(100), 항만 내 선석(50) 및, 선석(50) 상에 선박이 접안하는 면을 따라 상기 선석(50)의 일면에 부착된 복수의 펜더(200, 201, 202, 203, 204, 20N)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항만통제국의 서버장치(100)는 PSC 서버(100)로 약칭될 수 있다.
도 1의 PSC 서버(100) 및 복수의 펜더(200, 201, 202, 203, 204, 20N)은 상호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펜더 상호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도 가능하다.
도 1에서 선석(50)이 1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압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은 복수개의 선석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선석의 길이에 따라 각 선석이 포함하는 펜더의 개수 또는 펜더 간의 간격이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PSC 서버(100)는 항만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선박에 대한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PSC 서버(100)는 항만에 입항 또는 출항 중인 선박 중,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선박으로부터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 및 이하 도면에서 도시된 선박은 모두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선박으로 가정한다.
PSC 서버(100)는, AIS 데이터로부터 선박의 식별자, 속도, 폭, 길이 및 항해 상태 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어도 하나의 선박에 대한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PSC 서버(100)는 선박(10, 15)에 대한 AIS 데이터를 수집하고, 선박(10) 및 선박(15)에 대한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PSC 서버(100)는, 상기 생성한 스케줄 리스트 상의 선박 중, 항만의 미리 설정된 선석(50) 영역 범위(30) 내의 선박을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미리 설정된 선석(50) 영역 범위(30) 내의 선박으로 선박(10)이 도시되었다.
PSC 서버(100)는 선박(10)에 대하여, 선박(10)에 대한 접안상태 정보를 기초로, 선박(10, 15)에 대한 접안 영역 및 접안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선박(10)이 접안 대상 선박인 경우, PSC 서버(100)는 선석(50) 내의 공백 영역을 탐지하고, 펜더(203) 및 펜더(204)를 접안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선박(10)을 펜더(203) 및 펜터(204)에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PSC 서버(100)는 선박(10)의 AIS 데이터를 기초로, 선석(50) 영역에 접근하는 속도와 정박 기간을 고려하여 접안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으며, 선박(10)의 길이, 폭 등의 정보를 기초로 펜더(203, 204)를 접안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선박(10)이 이안 중인 경우, PSC 서버(100)는 선석(50) 영역 범위로 접근하는 선박(15)의 속도 및 방향을 고려하여, 선박(15)의 접안 영역으로 펜더(203, 203)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PSC 서버(100)는 이안 중인 선박(10) 및 접안 대상인 선박(15)의 속도 및 방향을 고려하여, 양 선박(10, 15) 간의 이안 및 접안의 시간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선박(15)의 접안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로써, 펜더(202, 203)에 선박이 접안되지 않는 공백기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항만 운영의 효율성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반면, PSC 서버(100)는 선박(15)의 사이즈가 선박(10)과 상이하거나, 선박(10, 15)의 이안 또는 접안 속도를 고려 시, 펜더(202, 203)에 선박(15)의 접안이 곤란한 경우, 선석(50) 영역 내의 다른 펜더에 선박(15)이 접안하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펜더(200)는, 항만 내의 선석(50)의 정박 면을 따라 부착되어, 선박의 접안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더의 예시도이다. 선석(50)에는 다수의 펜더가 부착될 것이나, 이하, 펜더(200)를 대표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펜더(200)는 선박(10)의 접안 또는 이안 시에 상기 선박과 접촉하는 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은,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재로 코팅되고, 외부는 선박의 접안 또는 이안 시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타이어와 같은 탄성소재가 하우징에 적용될 수 있다.
펜더(200)의 하우징 내에 접안 감지부(210), 제어부(220) 및 통신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접안 감지부(210)는, 하우징 영역 중, 선박(10)과 접촉하는 면의 내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접안 감지부(210)는 상기 선박(10)과 접촉하는 면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안 감지부(210)는, 선박(10)의 접안 시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량 또는 선박(10)의 이안 시에 완화되는 압력 변화량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이 탄성력을 가진 고무재질인 경우, 선박(10)의 접안 시 가해지는 표면 압력이 고무재질의 하우징에 가해지고, 내면의 접안 감지부(210)의 압력 센서에 상기 표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접안 감지부(210)는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안 감지부(210)는, 선박(10)의 접안 시, 접안 감지부(210)로부터 선박(1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은 거리 센서에 적용된 광, 예를 들어 적외선을 선박(10)의 표면에 전달하기 위한 센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영역은 광 투과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2의 하우징 의 선박(10)이 접안되는 면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 홈이 파인 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홈이 파인 영역의 표면은 광 투과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접안 감지부(210)의 거리 센서는 선박(10)의 접안 또는 이안 시에 가변하는 선박(10)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PSC 서버(100) 및/또는 다른 펜더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통신 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30)와 접안 감지부(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접안 감지부(210)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 변화 및 거리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통신부(230)를 통해 PSC 서버(100) 또는 다른 펜더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SC 서버(100)는 펜더(200)에서 감지한 선박(10)에 대한 접안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선박의 접안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SC 서버(100)의 블록(Block)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SC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외부 디바이스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03)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PSC 서버(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PSC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PSC 서버(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공중 통신망인 인터넷 외에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 및 접속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디바이스는, 펜더(200)뿐만 아니라 기타 외부 단말일 수도 있다.
메모리(10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04)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할 수 있다. 도 3의 메모리(103)는 예를 들어 RAM일 수 있다.
스토리지(104)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5) 및 접안 스케줄 리스트(107)를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5)의 예시로 접안 스케줄 생성 소프트웨어(105)가 도시되었다. 접안 스케줄 생성 소프트웨어(105)는, 접안 스케줄 생성 프로그램이나 접안 스케줄 생성 애플리케이션으로 칭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1)에 의해 로드된 접안 스케줄 생성 소프트웨어(105)가 실행됨에 따라 접안상태 기반의 항만 운영 방법의 각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스토리지(104)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안 스케줄 리스트(107)는 상기 접안상태 기반의 항만 운영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결과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접안 스케줄 리스트(107)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접안상태 기반의 항만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접안상태 기반의 항만 운영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접안 및 이안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거리 기반의 접안 스케줄링 리스트의 예시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접안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접안 영역 및 스케줄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각 도 4의 각 단계는,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PSC 서버(100)의 프로세서(101)에 의해 접안 스케줄 생성 소프트웨어(105)를 연산함에 따라 이하의 각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PSC 서버(100)는 항만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선박에 대한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10).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PSC 서버(100)는 항만에 입항 또는 출항하는 선박(10), 선박(12) 및 선박(15)들로부터 AIS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에서,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의 선박(10, 12, 15)의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가 예로써 도시되었다. 선박(17)은 PSC 서버(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에 속하지만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선박일 수 있다. 또는, 선박(17)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밖에 있어, AIS 데이터를 모두 확보 하지 못한 선박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항만의 PSC 서버(100)는, 선박의 식별자(선박코드) 별 입출항 스케줄 및 미리 설정된 거리범위의 등급을 기초로 선박에 대한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의 리스트를 참조하면, 선박(10)이 입항하고 출항하는 타이밍에 선박(12) 및 선박(15)의 입항이 스케줄링되어 있다. 이때, 선박(10)의 출항으로 선석(50) 영역 내에 발생하는 빈 영역에 선박(12) 및 선박(15) 중 어느 선박이 접안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알 수 없다.
이 경우, 선박(10)과 크기가 동일한 선박이 동일 영역에 접안할 수 있을 것이므로, 선박의 사이즈는 접안 영역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된다. 도 7에서는 선박의 사이즈 정보가 반영된 리스트가 예시되었다.
한편, 선박의 운항 방향 및 속도 역시 접안 영역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뒤따라 입항이 예정된 선박(17)에 대한 정보 또한, 선박(12) 및 선박(15)의 접안 영역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PSC 서버(100)가 도 6의 스케줄 리스트 상의 선박 중, 항만의 미리 설정된 선석 영역 범위(30) 내의 선박(10)을 식별할 수 있다(S20). 특히, PSC 서버(100)는 이안 중인 선박(10)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0).
도 5를 참조하면, 선석(50)의 정박 면을 따라 부착된 복수 개의 펜더(200, 201, 202)에 의해 선박(10)의 접안상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펜더(200), 펜더(201), 펜더(202)는, 각각의 펜더에서 감지되는 선박(10)의 접안 면까지의 거리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펜더(200)에서의 멀어지는 선박(10)까지의 거리 변화량과, 펜더(201) 및 펜더(202)에서 각각 선박(10)까지의 거리 변화량이 측정될 수 있다. PSC 서버(100)는 각 펜더에서 감지되는 선박(10)까지의 거리 변화량을 비교함으로써, 선박(10)이 접안 중인지 이안 중인지 판별할 수 있다.
PSC 서버(100)는 측정된 거리 변화량을 바탕으로 선박(10)의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선박의 접안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PSC 서버(100)는 선박(10)이 이안 중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PSC 서버(100)는 도 6의 리스트 상의 입출항 스케줄을 체크함으로써, 선박(12, 15)이 선석(50) 영역 범위(30) 내로 진입 중인 접안 대상 선박임을 식별할 수 있다.
PSC 서버(100)는 선박(12) 및/또는 선박(15)의 접안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특히, PSC 서버(100)는 이안 중인 선박(10)이 접안했던 영역인 펜더(200, 201, 202)를 선박(12)의 접안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S5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변화량 외에, 펜더(200, 201, 202)에 가해지는 압력의 변화량이 감지됨에 따라, PSC 서버(100)는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PSC 서버(100)는 각 펜더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량을 비교함으로써, 선박(10)이 접안 중인지 이안 중인지 식별할 수 있다.
단계(S30)에서 선박(10)이 이안 중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PSC 서버(100)는, 선박(10)의 접안상태 정보를 기초로, 이안 중인 선박(10)의 이안 완료시점을 연산할 수 있다. 이때, PSC 서버(100)는 선박(10)의 사이즈 정보를 상기 연산에 활용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S50)에서, PSC 서버(100)는 선박(12, 15)의 입출항 스케줄의 체크 결과, 선박(10)의 이안 완료시점이 선박(12) 또는 선박(15)의 선석(50) 영역 범위(30) 내 진입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인 경우, 선박(12, 15)의 사이즈를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펜더(200, 201, 202)으로 구성된 제1 펜더 그룹의 접안 영역을 이안 중인 선박(10)이 향후 완벽히 이안을 완료함과 동시에, 소정의 시간 간격 내에 선박(12, 15)가 제1 펜더 그룹의 접안 영역에 접안이 가능한 경우, PSC 서버(100)는 선박(12) 및 선박(15) 중, 제1 펜더 그룹의 접안 영역에 접안 시 가장 공간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선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PSC 서버(100)는 선박(10)과 동일한 사이즈의 선박(12)이 제1 펜더 그룹의 접안 영역에 접안되도록 접안 영역을 설정하고 선박(12)를 가이드할 수 있다.
반면에, 선박(10)과 사이즈가 다른 선박(15)에 대하여, PSC 서버(100)는 제1 펜더 그룹 외의 다른 펜더를 접안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PSC 서버(100)는, 선박(15)의 접안 타이밍이 임박했으나 제1 펜더 그룹에서 선박(10)이 이안하는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도, 상기 다른 펜더를 접안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PSC 서버(100)는 상기 결정된 접안 영역에 상기 제2 선박이 접안을 개시함에 따라, 상기 접안 영역에 포함된 펜더를 제2 펜더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제2 펜더 그룹에 의해 선박(15)의 접안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접안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접안 영역 및 스케줄을 갱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박(10), 선박(12) 및 선박(15)에 대한 도 6의 리스트가 업데이트된 경우가 예시되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갱신된 정보는 선박의 사이즈 정보 및 접안이 이뤄지는 펜더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PSC 서버(100)는 접안 영역을, 선박의 사이즈 및 접안 스케줄에 기초하여 특정 펜더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PSC 서버(100)는, 선박(12)의 경우와 같이, 접안 가능한 복수개의 펜더 그룹을 제안할 수 있으며, 선박(12)의 운항 정보 및 이안 중인 선박의 운항 상태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접안 영역이 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 PSC 서버(100)는 선박(17)과 같이 모든 선박의 이안 후 접안이 예정된 선박에 대하여, 모든 펜더가 제공될 수 있음이 예시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되는, 펜더 그룹핑 방법의 예시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SC 서버(100)는 접안상태 정보를 기초로, 복수개의 펜더 그룹(801, 802, 811, 812)을 생성할 수 있다. 이 중, 몇몇 그룹은, 접안 스케줄에 따라 공통의 펜더 그룹 유지 시간을 갖는 경우가 있다. 즉, 펜더 그룹(801)이 오전 10부터 오후 10시까지 유지되는 동안 펜더 그룹(802)은 오후 12시부터 새벽 2시까지 유지될 수 있으며, 양 그룹은 공존하는 시간 영역이 있다.
상술한 펜더 그룹이 공통적으로 운영되는 시간 대의 경우, 펜더 그룹(801)의 펜더(202)와 펜더 그룹(802)의 펜더(203)의, 거리 센서 및/또는 압력 센서의 측정 값에 따라 동시에 접안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SC 서버(100)는 이 경우, 그룹 내 다른 펜더에서 감지되는 압력 변화량 및/또는 거리 변화량을 기초로 접안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송신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으로서,
    AIS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AIS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선박에 대한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케줄 리스트 상의 선박 중, 항만으로부터 기설정된 선석 영역 범위 내에 정박 중인 제1 선박 및 상기 제1 선박에 할당되어 있는 제1 펜더 그룹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펜더 그룹에 속한 제1 펜더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선박의 제1 거리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펜더 그룹에 속한 제2 펜더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선박의 제2 거리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거리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제1 선박이 이안 중임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제1 선박이 이안 중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거리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제1 선박의 이안 완료 시점을 연산하여 예측하는 단계;
    상기 입출항 스케줄 리스트 상에서, 상기 예측한 이안 완료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상기 기설정된 선석 영역 범위 내에 진입 예정인 복수의 제2 선박을 추출하고, 추출한 제2 선박의 사이즈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 선박 중 상기 제1 선박의 크기와 동일한 사이즈의 제2 선박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상기 제1 펜더 그룹을 할당하고, 나머지 제2 선박에 대해서는 상기 제1 펜더 그룹 외의 다른 제2 펜더 그룹을 할당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선박의 접안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펜더 그룹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동일한 사이즈의 제2 선박의 접안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제2 펜더 그룹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나머지 제2 선박의 접안 상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선박에 할당된 제1 및 제2 펜더 그룹이 상호 이웃하여 위치하고 공통된 운영 시간대를 갖는 경우, 상기 공통된 운영 시간대에서는 각 그룹에서 상호 인접하는 펜더의 거리 센서만을 활성화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선박의 접안 상태가 유지 중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펜더 그룹으로 그룹핑되는 펜더의 개수는, 상기 제2 펜더 그룹이 할당될 상기 나머지 제2 선박의 사이즈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110694A 2020-08-31 2020-08-31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64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94A KR102364299B1 (ko) 2020-08-31 2020-08-31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694A KR102364299B1 (ko) 2020-08-31 2020-08-31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299B1 true KR102364299B1 (ko) 2022-02-16

Family

ID=8047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694A KR102364299B1 (ko) 2020-08-31 2020-08-31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2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029A (ko) * 2010-04-08 2011-10-1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 센서를 이용한 선박 접안 유도시스템
KR20120026693A (ko) * 2010-09-10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팽창식 펜더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KR20130067362A (ko) * 2011-12-14 2013-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ps 정보와 무선 lan 신호를 이용한 선박 접안 유도 방법
KR20140089628A (ko) * 2012-12-31 2014-07-16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16427B1 (ko) * 2016-04-06 2017-03-15 주식회사 케이엘넷 정보망을 이용한 해운 항만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2598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029A (ko) * 2010-04-08 2011-10-1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 센서를 이용한 선박 접안 유도시스템
KR20120026693A (ko) * 2010-09-10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팽창식 펜더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KR20130067362A (ko) * 2011-12-14 2013-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ps 정보와 무선 lan 신호를 이용한 선박 접안 유도 방법
KR20140089628A (ko) * 2012-12-31 2014-07-16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35142B1 (ko) 2012-12-31 2016-06-30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항만운영 스케쥴링 방법
KR101716427B1 (ko) * 2016-04-06 2017-03-15 주식회사 케이엘넷 정보망을 이용한 해운 항만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2598A (ko) * 2018-08-23 2020-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상 상황과 조류를 고려한 선박 접안 스케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3828B (zh) 移动机器人所处状态识别方法以及装置
US20160320774A1 (en) Movement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mobile robot
JP4770602B2 (ja) 電子機器
US7340364B1 (en) Te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01531308B (zh) 电梯的异常检测装置
JP2018182724A5 (ko)
US9921188B2 (en)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CN103116570A (zh) 具有动态可重构监督程序节点的分布式计算架构
CN110888412B (zh) 半导体器件和分析系统
CN107175659B (zh) 机器人避障方法及装置
KR102364299B1 (ko) 접안상태 기반 항만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903134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cibly shutting down system
RU2012154547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дулем контроля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US11841415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peeding of vessel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6499429B (zh) 海洋环境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3226502A1 (zh) 电子围栏告警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7214598A (zh) 基于巡检图像的电缆监测系统及方法
CN105700656B (zh) 待机异常耗电侦测系统及方法
CN109850730A (zh) 特定空间的出入门控制方法、装置和系统
CN113442940A (zh) 监视用于识别车辆环境的车辆系统的方法
CN107202603B (zh) 数据信号的标准图案生成方法及装置
CN111142422A (zh) 一种用于ios系统的传感器信息处理方法
CN111124660A (zh) 虚拟机中闲置资源的分配方法和装置
CN113646786A (zh) 信号选择装置、学习装置、信号选择方法及程序
US20020073260A1 (en) Method for preventing processes between processors from conflicting in a multiprocessor based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