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219B1 -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219B1
KR102364219B1 KR1020210182171A KR20210182171A KR102364219B1 KR 102364219 B1 KR102364219 B1 KR 102364219B1 KR 1020210182171 A KR1020210182171 A KR 1020210182171A KR 20210182171 A KR20210182171 A KR 20210182171A KR 102364219 B1 KR102364219 B1 KR 10236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leg
unit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21018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는: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 가능한 캐비닛유닛,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매트리스를 구비하는 베드유닛,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가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여 캐비닛유닛과 베드유닛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회전안내부, 및 베드유닛을 프레임에 대해 회동 허용하여 베드유닛을 사용 상태로 펼치거나 또는 미사용 상태로 접도록 안내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HYBRID-FURNITURE WITH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디에 대해 프레임을 평면상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프레임의 일측에 베드유닛(bed-unit)을 구성하며 타측에 캐비닛유닛(cabinet-unit)을 구성함에 따라, 프레임의 회전을 통해 베드유닛 또는 캐비닛유닛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의 가구의 활용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에 관한 것이다.
1인 또는 2인이 거주하는 소형단위의 세대의 증가 추세에 따라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원룸 또는 오피스텔 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형 생활주택은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시행된 주거 형태로서 단지형 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3종류가 있으며, 국민주택 규모의 300세대 미만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1~2인 가구와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하여 필요한 곳에 신속하고 저렴하게 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각종 주택건설 기준과 부대시설 등의 설치 기준을 적용하지 않거나 완화한 주택정책이다. 이 주거 형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도시지역에서만 건축할 수 있고 기반시설이 부족하여 난개발이 우려되는 비도시지역은 해당되지 않으며, 1세대 당 주거 전용면적 85㎡ 이하인 국민주택 규모의 300세대 미만으로 구성된다.
또한, 원룸형은 세대별 주거 전용면적이 14㎡ 이상 50㎡ 이하인 주거 형태로서 세대별로 독립된 주거가 가능하도록 욕실과 부엌을 설치하되 욕실을 제외한 부분을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하여야 하며, 세대를 지하층에 설치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1348호(등록일: 2014.07.18.)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0039호(공개일: 2009.10.06.)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협소한 실내를 갖는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원룸 또는 오피스텔의 경우에는 주거생활에 필요한 침대, 옷장, 수납함, 책상 등이 필요하지만 제한된 공간을 활용하기는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아울러, 기존의 협소한 실내를 갖는 도시형 생활주택이나 원룸 또는 오피스텔의 경우, 작은 침대가 구비됨에 따라, 방문한 외부인을 위한 침대가 구비되지 않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디에 대해 프레임을 평면상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프레임의 일측에 베드유닛(bed-unit)을 구성하며 타측에 캐비닛유닛(cabinet-unit)을 구성함에 따라, 프레임의 회전을 통해 베드유닛 또는 캐비닛유닛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의 가구의 활용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측의 다리를 미사용 상태로 접거나 또는 사용 상태로 펼치는 동작만으로 프레임에 베드유닛을 펼치거나 세울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미사용 상태에서 베드유닛이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 가능한 캐비닛유닛;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고, 매트리스를 구비하는 베드유닛;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여, 상기 캐비닛유닛과 상기 베드유닛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회전안내부; 상기 베드유닛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동 허용하여, 상기 베드유닛을 사용 상태로 펼치거나 또는 미사용 상태로 접도록 안내하는 힌지부; 및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캐비닛유닛 또는 상기 베드유닛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전후진 이동 가능한 걸림핀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걸림핀을 수용하는 걸림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은 상기 캐비닛유닛 또는 상기 베드유닛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디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재; 베이스패드; 상기 롤러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프레임의 회전 궤적을 따라 상기 베이스패드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한다.
상기 베드유닛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의 일부를 수용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를 힌지 연결하는 수용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전측에 반대되는 후측에 구비되는 제 1다리;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서 자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다리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하부를 보강하고, 상기 수용부를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보강부재; 상기 지지대를 상기 보강부재 또는 상기 수용부에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힌지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 및 상기 지지대에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을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보강부재에 연결하며, 탄성적으로 압축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대가 세워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압축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다리와 상기 지지대는 연동조작부에 의해 사용상태와 미사용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조작부는, 상기 지지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동빔; 상기 연동빔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제 1다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다리의 미사용시 상기 지지대의 타측으로 자연 이동된 상기 연동빔을 상기 제 1다리의 사용 상태로 회동에 연동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측으로 강제로 이동시키는 제 1걸고리; 미사용 상태의 상기 제 1다리가 임의적으로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다리가 상기 지지대와의 힌지 부위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가압탄성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에 구비되어, 세워진 상기 지지대에 삽입된 채 하향된 상기 연동빔을 상기 보강부재에 구속하고, 상기 연동빔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다리 방향으로 이동시 세워진 상기 지지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제 2걸고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바디에 대해 프레임을 평면상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프레임의 일측에 베드유닛(bed-unit)을 구성하며 타측에 캐비닛유닛(cabinet-unit)을 구성함에 따라, 프레임의 회전을 통해 베드유닛 또는 캐비닛유닛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의 가구의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측의 다리를 미사용 상태로 접거나 또는 사용 상태로 펼치는 동작만으로 프레임에 베드유닛을 펼치거나 세울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미사용 상태에서 베드유닛이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캐비닛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캐비닛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베드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베드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베드유닛의 힌지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베드유닛의 힌지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프레임을 바디에 구속하는 걸림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캐비닛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캐비닛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베드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베드유닛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작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베드유닛의 힌지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베드유닛의 힌지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의 프레임을 바디에 구속하는 걸림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100)는 바디(110), 프레임(120), 캐비닛유닛(130), 베드유닛(140), 회전안내부(150) 및 힌지부(16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캐비닛유닛(130)을 내부에 수용하여 노출을 방지하거나, 프레임(120)의 타측에 구비되는 베드유닛(140)을 내부에 수용하여 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바디(110)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입체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바디(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프레임(120)은 일측에 캐비닛유닛(130)을 구비하고,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베드유닛(140)을 구비한다. 그래서, 프레임(120)이 바디(1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고, 캐비닛유닛(130) 또는 베드유닛(140)이 전방을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가구(100)는 프레임(120)을 평면상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캐비닛유닛(130)과 베드유닛(140)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캐비닛유닛(130)은 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캐비닛유닛(130)을 구성하는 후판이 프레임(120)의 일측에 결합될 수도 있고, 프레임(120)이 캐비닛유닛(130)의 후판 자체일 수도 있다. 아울러, 캐비닛유닛(1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베드유닛(140)은 일측에 캐비닛유닛(130)을 구비한 프레임(120)의 타측에 구비되고, 매트리스(14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베드유닛(14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금속 재질 등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회전안내부(150)는 프레임(120)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가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120)의 평면상 원주방향 회전을 안내하여, 캐비닛유닛(130)과 베드유닛(140)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힌지부(160)는 베드유닛(140)이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120)이 회전된 상태에서, 베드유닛(140)을 프레임(120)에 대해 회동 허용하여, 베드유닛(140)을 사용 상태로 펼치거나 또는 미사용 상태로 접도록(세우도록) 안내한다.
이때, 프레임(120)이 바디(110)에 대해 임의적으로 평면상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120)은 전후진 이동 가능한 걸림핀(122)을 구비하고, 바디(110)는 걸림핀(122)을 수용하는 걸림홈부(112)를 양측에 형성한다.
그래서, 캐비닛유닛(130)이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120)이 회전된 상태에서, 걸림핀(122)은 바디(1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부(112)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아울러, 베드유닛(140)이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120)이 회전된 상태에서, 걸림판은 바디(110)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홈부(112)에 슬라이드 삽입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120)은 캐비닛유닛(130) 또는 베드유닛(140)을 전방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바디(110)에 구속됨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걸림핀(122)은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120)에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회전안내부(150)는, 롤러부재(152), 베이스패드(154), 가이드홈부(156) 및 가이드핀(158)을 포함한다.
롤러부재(152)는 프레임(12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프레임(120)이 세워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롤러부재(152)는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름롤러를 복수 개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프레임(120)이 원주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 롤러부재(152)가 일정 궤적을 따라 이동되며 구름 회전 안내되도록, 롤러부재(152)는 가이드바(153)를 연장하고, 가이드바(153)는 베이스패드(154) 또는 바디(110)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롤러부재(152)는 프레임(12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베이스패드(154)는 바닥에 구비된다. 이때, 베이스패드(154)는 프레임(120)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프레임(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워진 프레임(120)을 지지할 수 있다. 물론, 베이스패드(154)는 프레임(120)과 분리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롤러부재(152)는 바닥에 접하여 구름 회전될 수도 있고, 베이스패드(154)에 접하여 구름 회전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홈부(156)는 롤러부재(152)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프레임(120)의 회전 궤적을 따라 베이스패드(154) 상에 형성된다. 물론, 가이드홈부(156)의 궤적은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가이드핀(158)은 프레임(120)의 하부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프레임(120)의 회전 방향으로 가이드홈부(156)를 따라 이동되며 프레임(120)의 회전을 안내한다. 예로서, 캐비닛유닛(130)이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120)이 회전 완료시, 가이드핀(158)은 가이드홈부(156)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베드유닛(140)이 전방을 향하도록, 프레임(120)이 회전 완료시, 가이드핀(158)은 가이드홈부(156)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핀(158)은 가이드홈부(156)의 내측면과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평면상, 프레임(120)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 롤러부재(152)는 정위치에서 회전될 수도 있고, 회전되며 위치 이동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프레임(120), 캐비닛유닛(130) 및 베드유닛(140) 중 어느 하나를 손으로 잡고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프레임(120)이 회전 완료 후 걸림핀(122)에 의해 바디(110)에 구속됨에 따라, 프레임(120)은 전방이나 후방으로 넘어지지 않게 된다.
이로써, 세워진 상태의 프레임(120), 캐비닛유닛(130) 및 베드유닛(140)은 하중이 롤러부재(152)와 가이드핀(158) 및 걸림핀(122)에 분산되어 내구성이 증대된다.
또한, 베드유닛(140)은 지지대(142), 수용부(144), 제 1다리(146) 및 제 2다리(148)를 포함한다.
지지대(142)는 베드유닛(140)의 틀(외형)을 형성한다. 지지대(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수용부(144)는, 지지대(142)가 세워진 상태에서, 매트리스(141)의 일부를 수용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2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수용부(144)는 지지대(142)를 힌지 연결한다.
특히, 수용부(144)는, 후술할, 보강부재(162)와 일체 또는 고정됨에 따라, 지지대(142)가 세워질 경우, 매트리스(141)는 수용부(144)에 지지되는 것으로 한다.
매트리스(141)의 수용부(144)에 수용되거나 지지됨에 따라, 지지대(142)가 세워진 경우에도, 매트리스(141)는 바닥에 닿지 않게 된다. 물론, 수용부(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다리(146)는 세워진 지지대(142)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즉 상부, 그리고 프레임(120)을 향하는 전측에 반대되는 후측에 구비된다. 이때, 제 1다리(14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제 2다리(148)는 세워진 지지대(142)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 즉 하부, 그리고 프레임(120)을 향하는 전측에 반대되는 후측에 구비된다. 이때, 제 2다리(148)는 프레임(120)의 후측에서 자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베드유닛(140)이 세워진 상태에서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제 1다리(146)와 제 2다리(148)는 지지대(14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다리(146)와 제 2다리(148)는 축 방향이 지지대(142)와 나란하도록 접혀지거나, 지지대(142)에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한편, 힌지부(160)는 보강부재(162), 힌지핀(164) 및 압축탄성부재(166)를 포함한다.
보강부재(162)는 프레임(120)의 타측 하부 즉, 세워진 프레임(120)의 하부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프레임(120)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고, 보강부재(162)는 프레임(120)의 하부를 감싼 채 고정되는 금속 재질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보강부재(162)는 수용부(144)를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한다. 특히, 롤러부재(152)는 보강부재(162)에 구비될 수도 있고, 프레임(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힌지핀(164)은 지지대(142), 특히 세워진 상태의 지지대(142)의 축 방향을 따라 하부를 보강부재(162) 또는 수용부(144)에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힌지 가능하게 연결한다.
편의상, 지지대(142)는 힌지핀(164)에 의해 수용부(144)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지지대(142)는 힌지핀(164)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세워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이때, 지지대(142)가 회동시 프레임(1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힌지핀(164)이 지지대(142)에 연결되는 위치가 설정된다. 아울러, 지지대(142)가 프레임(120)에 세워진 경우, 축 방향을 따라 지지대(142)의 하부는 수용부(144)에 접하여 지지된다.
특히, 수용부(144)는 사용 상태로 펼쳐진 지지대(142)의 일측을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압축탄성부재(166)는 지지대(142)에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을 수용부(144) 또는 보강부재(162)에 연결한다. 그래서, 지지대(142)가 힌지핀(164)을 기준으로 뉘어질 경우(펼쳐질 경우), 압축탄성부재(166)는 축 방향을 따라 인장된다.
지지대(142)가 세워진 경우, 압축탄성부재(166)는 압축력이 발생되어 지지대(142)를 수용부(144)에 지지된 채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대(142)가 펼쳐진 경우, 압축탄성부재(166)는 인장되어 축 방향으로 압축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압축탄성부재(166)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자발적으로 지지대(142)를 세우지 못하는 정도의 탄성계수를 갖는다.
그래서, 사용자가 펼쳐진 지지대(142)를 세우도록 외력을 작용할 경우, 압축탄성부재(166)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세워지는 지지대(142)를 보조한다.
또한, 제 1다리(146)와 제 2다리(148)는 연동조작부(170)에 의해 사용상태와 미사용상태로 연동되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연동조작부(170)는 연동빔(172), 제 1걸고리(174), 가압탄성부재(176) 및 제 2걸고리(178)를 포함한다.
연동빔(172)은 세워진 상태의 지지대(142)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빔(beam) 중 특정한 빔의 내부에 구비되고, 지지대(142)의 해당 빔에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연동빔(172)이 지지대(142) 중 특정한 빔의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도록 단면상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걸고리(174)는 지지대(142)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 1다리(146)에 구비된다. 그래서, 제 1다리(146)가 미사용 상태로 지지대(142)와 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접히거나 또는 사용 상태로 펴지며 지지대(142)와 수직되게 구비될 경우, 제 1걸고리(174)는 대응되는 지지대(142)와 연동빔(172)에 삽입된 채 연동빔(172)을 축 방향을 따라 강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지지대(142)가 세워진 상태에서, 제 1다리(146)가 미사용 상태를 위해 상부 방향으로 접히는 동작에 연동되어, 제 1걸고리(174)가 연동빔(172)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지대(142)가 세워진 상태에서, 제 1다리(146)가 사용 상태를 위해 하부 방향으로 펼쳐지는 동작에 연동되어, 제 1걸고리(174)가 연동빔(172)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물론, 제 1걸고리(17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가압탄성부재(176)는 미사용 상태의 제 1다리(146)가 임의적으로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 1다리(146)가 지지대(142)와의 힌지 부위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1다리(146)는 가압탄성부재(176)에 탄성 지지됨으로써 자중에 의해 임의적으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가압탄성부재(176)는 토션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 1다리(146)를 지지대(142)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제 2걸고리(178)는 보강부재(162)에 구비되어, 세워진 지지대(142)에 삽입된 채 하향된 연동빔(172)을 보강부재(162)에 구속하고, 연동빔(172)이 축 방향을 따라 제 1다리(146) 방향으로 이동시 세워진 지지대(14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다.
다시 말해서, 지지대(142)가 세워진 상태에서, 제 1다리(146)가 미사용 상태를 위해 상부 방향으로 접히는 동작에 연동되어, 제 1걸고리(174)가 연동빔(172)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2걸고리(178)는 지지대(142)와 연동빔(172)을 걸어 구속한다. 그래서, 지지대(142)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지지대(142)가 세워진 상태에서, 제 1다리(146)가 사용 상태를 위해 하부 방향으로 펼쳐지는 동작에 연동되어, 제 1걸고리(174)가 연동빔(172)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2걸고리(178)는 대응되는 지지빔과 연동빔(172)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이로써, 지지대(142)는 힌지핀(164)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사용 상태로 펼쳐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하이브리드가구 110: 바디
112: 걸림홈부 120: 프레임
122: 걸림핀 130: 캐비닛유닛
140: 베드유닛 142: 지지대
144: 수용부 146: 제 1다리
148: 제 2다리 150: 회전안내부
152: 롤러부재 153: 가이드바
154: 베이스패드 156: 가이드홈부
158: 가이드핀 160: 힌지부
162: 보강부재 164: 힌지핀
166: 압축탄성부재 170: 연동조작부
172: 연동빔 174: 제 1걸고리
176: 가압탄성부재 178: 제 2걸고리

Claims (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고, 물품을 수납 가능한 캐비닛유닛;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는 베드유닛;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가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여, 상기 캐비닛유닛과 상기 베드유닛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안내부; 및
    상기 베드유닛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동 허용하여, 상기 베드유닛을 사용 상태로 펼치거나 또는 미사용 상태로 접도록 안내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기 캐비닛유닛 또는 상기 베드유닛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전후진 이동 가능한 걸림핀을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걸림핀을 수용하는 걸림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은 상기 캐비닛유닛 또는 상기 베드유닛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디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재;
    베이스패드;
    상기 롤러부재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프레임의 회전 궤적을 따라 상기 베이스패드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유닛은,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매트리스의 일부를 수용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를 힌지 연결하는 수용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전측에 반대되는 후측에 구비되는 제 1다리; 및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자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 하부를 보강하고, 상기 수용부를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보강부재;
    상기 지지대를 상기 보강부재 또는 상기 수용부에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힌지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 및
    상기 지지대에 일측을 연결하고, 타측을 상기 수용부 또는 상기 보강부재에 연결하며, 탄성적으로 압축력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대가 세워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압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다리와 상기 지지대는 연동조작부에 의해 사용상태와 미사용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조작부는,
    상기 지지대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동빔;
    상기 연동빔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힌지 연결된 상기 제 1다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다리의 미사용시 상기 지지대의 타측으로 자연 이동된 상기 연동빔을 상기 제 1다리의 사용 상태로 회동에 연동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측으로 강제로 이동시키는 제 1걸고리;
    미사용 상태의 상기 제 1다리가 임의적으로 사용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다리가 상기 지지대와의 힌지 부위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가압탄성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에 구비되어, 세워진 상기 지지대에 삽입된 채 하향된 상기 연동빔을 상기 보강부재에 구속하고, 상기 연동빔이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다리 방향으로 이동시 세워진 상기 지지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제 2걸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KR1020210182171A 2021-12-17 2021-12-17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KR10236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171A KR102364219B1 (ko) 2021-12-17 2021-12-17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171A KR102364219B1 (ko) 2021-12-17 2021-12-17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219B1 true KR102364219B1 (ko) 2022-02-17

Family

ID=8049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171A KR102364219B1 (ko) 2021-12-17 2021-12-17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2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90Y1 (ko) * 1999-08-30 2000-03-15 김창업 캐비넷 침대
KR20090009964U (ko) * 2008-03-28 2009-10-01 임학순 침대 수납장치
KR20140090395A (ko) * 2013-01-09 2014-07-17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침대
KR20170123804A (ko) * 2016-04-29 2017-11-09 임현효 침대 및 책상 겸용 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790Y1 (ko) * 1999-08-30 2000-03-15 김창업 캐비넷 침대
KR20090009964U (ko) * 2008-03-28 2009-10-01 임학순 침대 수납장치
KR20140090395A (ko) * 2013-01-09 2014-07-17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침대
KR20170123804A (ko) * 2016-04-29 2017-11-09 임현효 침대 및 책상 겸용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006B1 (ko) 가구
JP2009526592A (ja) 変形可能な家具
KR20170099731A (ko)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KR20200120270A (ko) 상판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는 다용도 수납가구
KR102364219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JPH1170032A (ja) 家 具
KR200468957Y1 (ko) 접이식 테이블
JPH11318568A (ja) 折りたためるテ―ブル
AU716512B2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101424169B1 (ko)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US20070187996A1 (en) Collapsible folding chair
KR101805897B1 (ko)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KR101254951B1 (ko) 침대 겸용 소파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100539466B1 (ko) 절첩식 테이블
KR200396911Y1 (ko) 책상
JP3170965U (ja) 折り畳み机
KR20140042762A (ko) 식탁이 구비된 홈바
JP3126488U (ja) 机と椅子の相互変換構造
KR200461598Y1 (ko) 절첩식 테이블
KR20180015074A (ko) 접이식 침대
KR102148078B1 (ko)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CN208355057U (zh) 可翻折家具
CN218898979U (zh) 一种具有折叠桌的床
KR20100051366A (ko) 연결식 의자의 다리 프레임에 수납되는 메모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