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148B1 -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148B1
KR102364148B1 KR1020210045324A KR20210045324A KR102364148B1 KR 102364148 B1 KR102364148 B1 KR 102364148B1 KR 1020210045324 A KR1020210045324 A KR 1020210045324A KR 20210045324 A KR20210045324 A KR 20210045324A KR 102364148 B1 KR102364148 B1 KR 10236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cine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subject
wa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
임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Priority to KR102021004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148B1/ko
Priority to PCT/KR2022/004912 priority patent/WO2022216023A1/ko
Priority to US18/554,245 priority patent/US202401943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식별코드 인식부로의 식별코드 인식을 대기하는 제1 대기단계와, 제1 대기단계에서 제1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제1 식별코드가 백신 접종 대상자의 대상자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단계와, 제1 식별코드가 대상자 식별코드이면 백신의 식별코드 인식을 대기하는 제2 대기단계와, 제2 대기단계에서 제2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제2 식별코드가 백신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단계와, 제2 식별코드가 백신 식별코드이면 대상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대상자 식별정보 및 백신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합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OPERATING METHOD OF VACCINE MANAGEMENT DEVICE AND VACCIN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신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종대상자와 백신의 이력관리를 일원화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백신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백신은 타 물류 대비 유통보관조건이 까다롭고 유통기한이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특정 감염병(일 예로, 코로나19)에 대한 백신의 경우 예를 들면 영하 20도 이하 등의 극저온 환경에서 보관유통이 필요하며, 단일회차 접종이 아닌 특정 기간의 간격을 두고 다회차 접종을 진행해야 하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
이와 같이 다회차 접종이 필요한 백신이 혼용접종될 우려가 있으며, 나아가 신종 감염병의 확산방지를 위해 충분한 검증 절차 없이 긴급사용 승인된 백신의 경우 접종부작용에 대한 불안감, 원인추정의 한계성 및 부작용에 대한 백신 제조사의 면피성 정책 등의 제반환경에 의해 접종대상자의 백신접종 기피심리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여서, 백신 접종에 대한 전반적 이력을 보다 단순하고 명확히 관리할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삭제
한국등록특허 제10-1498699호(2015.03.05.)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81709호(2021.07.02.)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7466호(2020.07.2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처별 개별 백신주사기의 접종 이력을 접종대상자 식별정보와 함께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하여 백신의 안정적 처방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백신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코드 인식부로의 식별코드 인식을 대기하는 제1 대기단계; 상기 제1 대기단계에서 제1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식별코드가 백신 접종 대상자의 대상자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단계; 상기 제1 식별코드가 상기 대상자 식별코드이면 백신의 식별코드 인식을 대기하는 제2 대기단계; 상기 제2 대기단계에서 제2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2 식별코드가 상기 백신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단계; 및 상기 제2 식별코드가 상기 백신 식별코드이면 상기 대상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대상자 식별정보 및 상기 백신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합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식별코드가 상기 백신 식별코드인 경우, 상기 백신 관리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잘못된 식별코드임을 알리는 제1 알람을 출력하되 상기 제1 대기단계로 회귀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판정단계 및 상기 제2 대기단계 사이에서, 상기 제1 식별코드가 상기 대상자 식별코드이면 제1 특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제1 카운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대기단계는 상기 제1 특정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제1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만 수행되되, 상기 제1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백신 식별코드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를 폐기하고 상기 제1 대기단계로 회귀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합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 및 상기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2 특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제2 카운터를 동작시키고,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병합정보 전송단계 이후에,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의,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대상자에게 상기 백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의 수신을 상기 제2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 대기하는 적합성 대기단계; 및 상기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백신 접종 적합성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합성 대기단계에서, 상기 제2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 대기단계로 회귀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판정단계 이후 상기 제2 대기단계 이전에,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대상자의 기 접종 이력을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접종이력 획득 단계; 및 상기 제2 판정단계 이후 상기 병합정보 전송단계 이전에, 상기 접종이력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특정 대상자의 기 접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대상자에게 상기 백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백신 접종 적합성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병합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백신 접종 적합성 판단단계에서 상기 특정 대상자에게 상기 특정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에 의할 경우, 보다 개선된 환경에서 접종대상자별 백신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종대상자별 백신이력 관리를 위한 백신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알고리즘을 단순화할 수 있고, 백신관리 디바이스와 관리 서버간 데이터 송수신 횟수 및 데이터량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접종하려는 백신의 적합성 여부를 백신관리 디바이스를 통해 재차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다회차 접종 백신의 혼용접종이나, 콜드체인 보관유통이력이 불량한 백신의 접종 등 부적합 백신 접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백신의 안정적 처방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처별 개별 백신 주사기의 소진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하여 백신의 안정적, 합리적 공급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백신 부족 현상 또는 과잉 재고 발생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재고관리 및 수요예측 또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상자 식별코드의 관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시스템은, 정보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2)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사용되는 백신정보 및 접종 대상자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복수의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과, 정보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2) 및/또는 관리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의료진 인터페이스(3) 및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백신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2)에 수신 취합된 복수의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 각각에서의 백신사용 현황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는 관리서버(2)와 별개의 엔티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관리서버(2)로 사용되는 컴퓨팅 장치와 물리적으로 동일한 단일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백신 관리 시스템은 정보통신망(10)을 통해 건강보험관리시스템 및/또는 의약품 처방 조회 시스템(미도시, 예를 들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DUR)) 등과 연결되어 의료기관별 백신처방내역 정보 등을 수집, 가공 및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 의료진 인터페이스(3) 및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 각각은 예를 들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리자 인터페이스, 의료진 인터페이스(3) 및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 각각은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통신망(10)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서버(2)로는 다수의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 각각에 입력된 백신 정보들 및/또는 접종대상자 정보들을 저장 및 처리하고, 필요 시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의 요청에 응답함에 따라 해당 절차를 지연 없이 처리하기 위한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가지는 워크스테이션 등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관리서버(2)는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 의료진 인터페이스(3) 및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통신을 수행하며, 백신접종 관련 정보들을 수집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는 접종대상자별 고유의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에 인식된 접종대상자 식별코드(및 식별정보)와, 인식된 백신 식별코드(및 식별정보)를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서버(2)는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별 누적 사용된 백신 정보들을 기초로 빅데이터를 생성 및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간별/사용처별 최적의 백신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예측된 수요량에 기반한 백신 재고관리 자동화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의료진 인터페이스(3)를 통해, 의료진은 접종대상자별 생성 또는 갱신된 대상자 식별코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은 접종대상자별로 부여된 대상자 식별코드를 통해 의료현장에서 대상자를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의료진 인터페이스(3)를 통해, 의료진은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에 의해 관리되는 백신의 현황을 모니터링하거나, 주문 등의 재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는, 개인별 대상자 식별코드 발급을 위한 신원정보를 입력받거나, 발급된 대상자 식별코드를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를 구동시키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거나, 백신접종이력정보 제공, 접종 후 셀프진단내역 수집, 2차 접종정보 알림 등의 사후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의 식별코드 인식부로의 식별코드 인식을 대기하는 제1 대기단계(S110), 제1 대기단계에서 제1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제1 식별코드가 백신 접종 대상자의 대상자 식별코드(1030)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단계(S120), 제1 식별코드가 대상자 식별코드(1030)이면 백신의 식별코드(2030) 인식을 대기하는 제2 대기단계(S130), 제2 대기단계에서 제2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제2 식별코드가 백신 식별코드(2030)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단계(S140) 및 제2 식별코드가 백신 식별코드(2030)이면 대상자 식별코드(1030)에 대응되는 대상자 식별정보 및 백신 식별코드(2030)에 대응되는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하는 병합정보 전송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식별코드들 각각은 바코드(Bar Code) 또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대기단계(S110, 또는 제1 대기모드)는,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의 식별코드 인식부로의 대상자 식별코드(1030) 인식을 대기하는 단계이다. 즉, 제1 대기단계(S110)에서 식별코드(이하, 제1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제1 판정단계(S120)에서는 상기 제1 식별코드가 접종대상자를 식별하는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대기단계(S110)로의 동작을 위해,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의 부팅, 네트워크 접속, FOTA(Firmware Over The Air) 및/또는 eMTC(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 리셋 등의 디바이스 기초관리 절차가 사전에(또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대기단계(S110)에서는 대상자 식별코드(1030) 외에도, 의료진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도 있다. 신규 의료진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이후에 인식되는 대상자 식별코드(1030) 및 백신 식별코드(2030)를 신규 인식된 의료진 식별코드와 그룹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신규 의료진 식별코드가 인식되더라도,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여전히 제1 대기단계(S110)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제1 대기단계(S110)로부터 제2 대기단계(S130)로의 전환은 대상자 식별코드(1030)가 인식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제1 판정단계(S120)에서는, 제1 대기단계(S110)에서 인식된 식별코드(이하, 제1 식별코드)가 접종대상자를 식별하는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식된 상기 제1 식별코드가 접종대상자를 식별하는 코드인 경우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접종대상자에게 접종될 백신을 식별하기 위한 백신 식별코드(2030)의 인식을 대기하는 제2 대기단계(S130)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달리 인식된 제1 대기단계(S110)에서의 제1 식별코드가 대상자 식별코드(1030)가 아닌 경우(즉, 제1 식별코드가 백신 식별코드(2030)이거나, 기타 잘못된 식별코드인 경우)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에 구비된 알림수단(예를 들어, 도 2의 상태알림 디스플레이(140) 및/또는 상태알림 스피커(미도시) 등)을 통해 제1 식별코드가 잘못된 식별코드임(즉, 대상자 식별코드(1030)가 아님)을 의료진에게 알릴 수 있다(S121). 또한, 제1 식별코드가 대상자 식별코드(1030)가 아닌 경우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제2 대기단계(S130)로 넘어가지 않고 상기 제1 대기단계(S110)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대기단계(S130)는,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의 식별코드 인식부로의 백신 식별코드(2030) 인식을 대기하는 단계이다. 즉, 제2 대기단계(S130)에서 식별코드(이하, 제2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제2 판정단계(S140)에서는 상기 제2 식별코드가 백신주사기 제품을 식별하는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백신 식별코드(2030)의 인식을 대기하는 제2 대기모드(S130)를 특정시간 동안에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판정단계에서 상기 제1 식별코드가 대상자 식별코드(1030)로 판정되면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제1 특정 시간(예를 들어, 30초)을 카운팅하는 제1 카운터를 동작시키고, 제1 특정 시간(즉, 30초) 동안에만 제2 대기단계(S130)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2 대기단계(S130) 동안 인식된 제2 식별코드가 백신 식별코드인 것으로 판정되면 후술할 병합정보 전송단계(S150)가 수행되며, 제2 대기단계(S130) 동안 백신 식별코드(2030)가 인식되지 않으면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대상자 식별정보(즉, 대상자 식별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폐기하고 제1 대기단계(S110)로 회귀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2 대기단계(S130)에서 인식된 제2 식별코드가 백신 식별코드(2030)가 아닌 대상자 식별코드(1030)인 경우, 상술한 제1 카운터를 리셋할 수 있다. 즉, 제2 대기단계(S130)의 동작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대기단계(S110)에서 대상자 X의 대상자 식별코드가 인식되어 제2 대기단계(S130)의 동작 중에, 대상자 Y의 대상자 식별코드가 인식된 경우 제2 대기단계(S130)의 동작 시간이 갱신되고, 갱신된 제2 대기단계(S130)에서 백신 A의 백신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대상자 X의 대상자 식별코드를 폐기하고, S150 단계에서 병합 및 전송되는 데이터에는 대상자 Y의 대상자 식별정보 및 백신 A의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 전송되게 된다.
병합정보 전송단계(S150)에서,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대상자 식별코드(1030)에 대응되는 대상자 식별정보 및 백신 식별코드(2030)에 대응되는 백신 식별정보를 병합하고, 병합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병합정보 전송단계(S150)는 제1 대기단계(S110)에서 대상자 식별코드(1030)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후, 제2 대기단계(S130)에서 백신 식별코드(2030)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즉, 특정 대상자의 식별정보 및 특정 백신의 식별정보가 수집되기 전까지,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로부터 관리 서버(2)로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병합정보 전송단계(S150)에서 전송되는 병합 데이터는 대상자 식별정보 및 백신 식별정보 외의 추가적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의료진 식별정보 또한 대상자 식별정보 및 백신 식별정보와 함께 병합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병합정보 전송단계(S150)에서 전송되는 병합 데이터는 암호화를 위한 인코딩 이후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 서버(2)는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 따르면,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의 동작 알고리즘을 단순화할 수 있고, 나아가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와 관리 서버(2)간 불필요한 데이터 송수신을 최소화하며, 최소한의 데이터량으로 최적의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일부 백신들(특히, 다수의 코로나19 백신들)의 경우 2회 이상의 접종이 필수적이며 특정 백신을 1회차 접종 후 다른 종류의 백신을 혼용 접종 시 백신접종의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도 4 내지 도 5에서는 이러한 혼용 접종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신관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동작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4에서는, 서버단에서 대상자의 기(旣) 접종 여부 및 기 접종된 백신과 접종될 백신(즉, 디바이스에 식별된 백신)간의 호환성 여부를 관리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백신관리 디바이스가 대상자 식별정보 및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된 데이터를 전송(S150)하면, 관리 서버(2)는 수신된 병합정보에 기초하여 식별된 백신의 접종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병합정보 전송단계(S150)에서는,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대상자 식별정보 및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2 특정 시간(예를 들어, 5초)을 카운팅하는 제2 카운터를 동작시키고, 병합정보 전송단계 이후(S150)에 '대상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대상자에게 상기 백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의 (관리 서버(2)로부터의) 수신을 상기 제2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즉, 5초) 대기하는 적합성 대기단계(S210)를 수행할 수 있다.
적합성 대기단계(S210) 동안 관리 서버(2)로부터의 응답이 없는 경우,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관리 서버와의 통신이상을 알리는 제2 알림을 출력하고(S212), 다시 제2 대기모드(S130)로 회귀하여 제1 특정 시간동안 동작할 수 있다.
적합성 대기단계(S210) 동안 관리 서버(2)로부터의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가 수신되면,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상기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에 대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백신 접종이 적합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알리는 제3 알림을 출력하고(S213), 백신 접종이 부적합함을 알리는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알리는 제4 알림을 출력(S214)할 수 있다. 의료진은 상기의 알림에 기초하여, 접종하려는 백신의 적합성 여부를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를 통해 재차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2)는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대상자 식별정보, 관리 서버(2)에 저장된 대상자의 접종현황(기 접종 여부 및 기 접종된 백신의 종류), 관리 서버(2)에 저장된 개별백신의 유통보관 히스토리 정보 등에 기초하여 수신된 백신의 접종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백신의 접종 적합성은 기 접종된 백신과 새로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한 백신(즉, 접종예정 백신) 간의 접종 호환성이나, 개별백신의 콜드체인 히스토리 적정성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대상자에게 기 접종된 백신이 A社 백신이고, 신규 수신된 백신이 B社 백신이며, 상기 A社 백신과 B社 백신간의 호환성이 없는 경우, 관리 서버(2)는 상기 특정 대상자에게 상기 B社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5에서는, 백신관리 디바이스(100)가 대상자의 기(旣) 접종 여부 및 기 접종된 백신과 접종될 백신(즉, 디바이스에 식별된 백신)간의 호환성 여부를 직접 판단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대기단계(S110)에서 대상자 식별코드(1030)가 인식된 경우(S120), 인식된 대상자 식별코드(1030)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기 접종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S310). 이를 위해, 대상자 식별코드(1030)에는 대상자의 접종정보 관련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 식별코드(1030)에는, 대상자가 최초접종자인 경우 "0"을, 기 접종 백신이 A社 백신인 경우 "01"을, B社 백신인 경우 "10"을, C社 백신인 경우 "11"을 지칭하는 특정 필드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기 접종 이력에 기초하여, 대상자가 최초접종 대상자인 경우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대기모드(S130)로 동작하고, 기 접종 대상자인 경우에는 백신 접종 적합성 판단을 수행하기 위해 선행되는 제3 대기모드(S320)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대기모드(S320)는 제2 대기모드(S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백신 식별코드가 스캔된 이후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기 이전에 백신 접종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S340)가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즉, 특정 시간(예를 들어, 30초)동안의 제3 대기모드(S320)에서 백신 식별코드(2030)가 인식되면 백신 접종 적합성 판단단계(S340)가 수행되며, 백신 식별코드(2030)가 인식되지 않으면 S120단계에서 획득한 대상자 식별정보를 폐기하고 제1 대기단계(S110)로 회귀할 수 있다.
백신 접종 적합성 판단단계(S34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특정 대상자의 기 접종 이력에 기초하여 특정 대상자에게 특정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후의 병합정보 전송단계(S150)는 백신 접종 적합성 판단단계(S340)에서의 판단 결과가 적합한 경우에만 수행된다. 즉,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백신 접종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를 알리는 제3 알림을 출력(S343)한 이후 특정 대상자 및 특정 백신 정보를 병합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백신 접종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를 알리는 제4 알림을 출력(S344)한 이후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대상자 식별코드에 접종이력 정보만을 추가함으로써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와 관리 서버(2)간의 통신 회수 및 회차별 통신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접종하려는 백신의 적합성 여부를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를 통해 재차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대상자 식별코드의 관리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는 접종 대상자로부터 신원확인이 가능한 개인정보, 연락처 등을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진은 의료진 인터페이스(3)를 통해 상기 접종 대상자의 출입이력(접종을 위한 병원 방문 시 측정한 대상자 체온, 의료진 정보 등) 및 (기 접종자의 경우) 종전 진료기록을 수집관리하고, 이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는 입력된 접종 대상자의 신원 및 관련 정보들에 기초하여 대상자 식별코드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 서버(2)는 대상자 식별코드 발급이력이 없는 대상자에게는 대상자 식별코드의 신규발급을, 기존 발급이력이 있는 대상자에게는 대상자 식별코드의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2)는 발급 또는 갱신된 대상자 식별코드를 의료진 인터페이스(3) 및/또는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는, 인터페이스(4)를 구현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대상자의 스마트폰 등)의 화면을 통해 수신된 대상자 식별코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의료진 인터페이스(3)로 수신된 대상자 식별코드를 인쇄하여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의 대상자 식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되거나 인쇄된 대상자 식별코드는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의 대상자 식별과, 병원 내 대상자 출입이력 관리 등에서의 대상자 식별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정보들 외의 추가적인 정보들이, 정보통신망(10)을 통해 송수신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는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와 상술한 것과 같은 최소한의 정보들(대상자 식별정보, 백신 식별정보, 접종이력)만을 통신하고, 그 외 대상자 접종관련 정보(방문시 체온, 기접종 내역, 셀프진단내역 수집, 향후접종시기 정보 등) 및/또는 백신의 콜드체인 물류이력 정보 등은 의료진 인터페이스(3) 및/또는 접종대상자 인터페이스(4)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백신관리 디바이스(100)의 하드웨어적 제약사항, 제조단가 등의 한계 등을 용이하게 극복 가능함과 동시에 백신접종 및 관리의 안정성을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일부 실시예들에서, 관리 서버(2)는 백신 식별코드(2030)에 의해 식별된 백신의 콜드체인 이력 적합성을 추가적으로 판단하여, 백신관리 디바이스(100)가 백신 식별정보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하면, 유통이력 적합성에 대한 데이터를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는 백신의 유통 과정에서의 구간별 온습도 등 주요사항을 백신 식별코드(2030)에 연계하여 추적관리 하고, 유통과정이 부적합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로부터 백신 식별정보를 포함한 병합 데이터를 수신한 즉시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로 백신 유통 부적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백신관리 디바이스(100)는 백신 유통 부적합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술한 알림수단 등을 통하여 스캔된 백신 식별코드(2030)의 백신이 접종에 부적합함을 의료진 등에게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식별코드 인식부가 구비된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식별코드 인식부로의 식별코드 인식을 대기하는 제1 대기단계;
    상기 제1 대기단계에서 제1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식별코드가 백신 접종 대상자의 대상자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단계;
    상기 제1 식별코드가 상기 대상자 식별코드이면 백신의 식별코드 인식을 대기하는 제2 대기단계;
    상기 제2 대기단계에서 제2 식별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2 식별코드가 상기 백신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단계; 및
    상기 제2 식별코드가 상기 백신 식별코드이면 상기 대상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대상자 식별정보 및 상기 백신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병합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코드가 상기 백신 식별코드인 경우,
    상기 백신 관리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잘못된 식별코드임을 알리는 제1 알람을 출력하되 상기 제1 대기단계로 회귀하여 동작하며,
    상기 제1 판정단계 및 상기 제2 대기단계 사이에서,
    상기 제1 식별코드가 상기 대상자 식별코드이면 제1 특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제1 카운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대기단계는 상기 제1 특정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제1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만 수행되되,
    상기 제1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백신 식별코드가 인식되지 않으면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를 폐기하고 상기 제1 대기단계로 회귀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 및 상기 백신 식별정보가 병합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제2 특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제2 카운터를 동작시키고,
    상기 병합정보 전송단계 이후에,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의,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대상자에게 상기 백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한지에 대한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의 수신을 상기 제2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 대기하는 적합성 대기단계; 및
    상기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는 백신 접종 적합성 알림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성 대기단계에서, 상기 제2 카운터가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백신 접종 적합성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 대기단계로 회귀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정단계 이후 상기 제2 대기단계 이전에,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대상자의 기 접종 이력을 상기 대상자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접종이력 획득 단계; 및
    상기 제2 판정단계 이후 상기 병합정보 전송단계 이전에, 상기 접종이력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특정 대상자의 기 접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대상자에게 상기 백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백신 접종 적합성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병합정보 전송단계는 상기 백신 접종 적합성 판단단계에서 상기 특정 대상자에게 상기 특정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20210045324A 2021-04-07 2021-04-07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KR10236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24A KR102364148B1 (ko) 2021-04-07 2021-04-07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PCT/KR2022/004912 WO2022216023A1 (ko) 2021-04-07 2022-04-06 백신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과, 상기 백신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과, 상기 백신관리 시스템에 수행되는 백신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 방법
US18/554,245 US20240194310A1 (en) 2021-04-07 2022-04-06 Vaccine management device and vaccin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operating method of vaccin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accine healthcare solu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324A KR102364148B1 (ko) 2021-04-07 2021-04-07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148B1 true KR102364148B1 (ko) 2022-02-18

Family

ID=8049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324A KR102364148B1 (ko) 2021-04-07 2021-04-07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6023A1 (ko) * 2021-04-07 2022-10-13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백신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과, 상기 백신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과, 상기 백신관리 시스템에 수행되는 백신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4908A1 (en) * 2006-06-27 2008-01-03 Tcm Rfid Pte Ltd RFID Medical Supply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JP2012098863A (ja) * 2010-11-01 2012-05-24 Omron Corp Rfidシステム
KR101498699B1 (ko) 2013-07-25 2015-03-05 주식회사 지지21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JP2019135633A (ja) * 2018-02-05 2019-08-15 株式会社スズケン 医薬品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管理方法
KR20200087466A (ko) 2019-01-11 2020-07-21 허재혁 식품의약품 이력 관리 및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10081709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이블루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4908A1 (en) * 2006-06-27 2008-01-03 Tcm Rfid Pte Ltd RFID Medical Supply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JP2012098863A (ja) * 2010-11-01 2012-05-24 Omron Corp Rfidシステム
KR101498699B1 (ko) 2013-07-25 2015-03-05 주식회사 지지21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JP2019135633A (ja) * 2018-02-05 2019-08-15 株式会社スズケン 医薬品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管理方法
KR20200087466A (ko) 2019-01-11 2020-07-21 허재혁 식품의약품 이력 관리 및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
KR20210081709A (ko)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이블루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6023A1 (ko) * 2021-04-07 2022-10-13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백신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과, 상기 백신관리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과, 상기 백신관리 시스템에 수행되는 백신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9526B2 (en) Alarm notification system
US9872087B2 (en) Platform for patient monitoring
KR102512744B1 (ko) 백신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방법
US201700245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ar-real or real-time contact tracing
US20190180868A1 (en) Optimizing emergency department resource management
US8285564B2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 interaction between objects
US20090248437A1 (en) Systems and methods utilizing nfc technology to implement an on-demand portable medical record
JP2014514626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医療デバイスを監視するための遠隔監視システム
US20030149598A1 (en) Intelligent assignment, scheduling and notification scheme for task management
KR20140105011A (ko) 의료 디바이스들을 위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0996721B1 (ko) 알 에프 아이디 태그와 휴대용 정보 수신장치를 이용한건강 검진 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JP2008522509A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内のモバイルユニットを監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684394B (zh) 目标警报系统中的警报路由优化策略
CN113452755A (zh) 医疗设备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137588B1 (ko) 지역기반의 유행성 질병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64148B1 (ko)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WO2017192661A1 (en) Patient care record conveyance
JP6969109B2 (ja) 巡回予定時刻通知プログラム、巡回予定時刻通知方法、および通知装置
KR102512745B1 (ko) 백신관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
EP3651157A1 (en) Processing of anonymised patient data generated by a mobile medical device
US20240194310A1 (en) Vaccine management device and vaccin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operating method of vaccin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accine healthcare solutions
CN111341403A (zh) 患者状态监控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302319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 health record information
KR10217236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29071A (ko) 의료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