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699B1 -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 Google Patents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699B1
KR101498699B1 KR1020130088345A KR20130088345A KR101498699B1 KR 101498699 B1 KR101498699 B1 KR 101498699B1 KR 1020130088345 A KR1020130088345 A KR 1020130088345A KR 20130088345 A KR20130088345 A KR 20130088345A KR 101498699 B1 KR101498699 B1 KR 101498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object information
object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2623A (ko
Inventor
이상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지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지21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지21
Priority to KR102013008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6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73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error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QR코드와 객체식별아이디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 정보를 객체식별아이디결합 QR코드의 인식 및 디코딩이 가능한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QR코드의 디코딩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도 객체식별아이디를 디코딩하거나 수동입력과정을 통해 객체정보의 획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인식시스템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QR코드 및 객체식별아이디를 함께 영상입력하는 영상입력모듈,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QR코드를 인식하고 디코딩하는 QR코드인식모듈,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인식하는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QR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서도 객체식별아이디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를 수동 입력하기 위한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 및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되고 디코딩된 QR코드를 이용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객체식별아이디 또는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수동입력된 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모듈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인식되고 디코딩되는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및 상기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저장하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중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가 인식되고 디코딩된 상태에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제공하는 DNS; 상기 DNS 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임의의 객체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객체식별아이디를 함께 등록하여 객체정보DB에 저장 관리하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요청된 객체정보를 상기 객체정보DB로부터 검색,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객체정보서버; 및 상기 객체정보서버 내에 위치하며,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식별자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객체정보서버의 요청에 따라 객체정보를 저장 또는 추출하는 객체정보DB로 이루어지며,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은 디코딩된 QR코드로부터 직접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디코딩된 QR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의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한 후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Information awareness system and method for QR code combined with global object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QR코드와 객체식별아이디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 정보를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인식 및 디코딩이 가능한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QR코드의 디코딩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도 객체식별아이디를 디코딩하거나 수동입력과정을 통해 객체정보의 획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QR코드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에 각종 정보를 수용하는 2차원 형태의 인식코드로서, 기존의 1차원 바코드가 20자 내외의 숫자정보만 저장할 수 있는 반면, QR코드는 숫자 7,089자, 문자(ASCII) 4,296자, 이진(8비트) 2,953바이트 또는 한자 1,817자까지 정보저장이 가능하며, 또한 복원력, 인식속도 및 인식률이 1차원 바코드보다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1차원 바코드가 주로 계산, 재고관리 또는 상품확인 등에 사용됨에 비해 QR코드는 사진, 동영상, 홈페이지 링크 등의 정보를 탑재하여 마케팅, 홍보 또는 PR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QR코드의 경우 크기가 작거나 너무 오래된 상태에서 해상도가 떨어지게 되면, 정보 인식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기존의 1차원 바코드의 경우, 바코드 인식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경우를 대비하여 바코드 하단에 숫자를 병기하기도 하나, 기존의 QR코드의 경우 인식이 안될 상황을 고려한 해결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13-0023520호 (공개일자: 2013. 03. 08.)는 QR코드를 이용한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문대 상에 QR코드가 상품별로 표시된 메뉴를 구비한 상태에서 QR코드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단말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QR코드의 인식이 불가능한 상황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서, QR코드 인식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상품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2/070708 A1 (공개일자: 2012. 05. 31.)는 범세계적으로 고유한 문자열 정보식별아이디의 카메라 영상입력 및 문자인식에 의한 온라인 정보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영상에 포함된 문자, 숫자 및 구분기호를 문자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자, 숫자 및 구분기호로 구성되는 '객체식별자#정보서버식별자' 형식으로 구조화된 문자열의 '정보식별아이디' 를 이용하여 인터넷으로 분산된 다수의 정보서버 중 상기 정보식별아이디의 '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하는 IP주소를 DNS(Domain Name Server)를 통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IP주소에 대응하는 정보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한 후, 접속된 상기 정보서버에 등록 저장된 객체 정보 중 '객체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객체정보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객체정보가 문자열로 구조화된 정보식별아이디에 대응된 상태에서, 온라인으로 접속 및 정보 획득이 가능하도록 특정 정보서버에 미리 임의의 객체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식별아이디가 구조화된 문자열의 형태로만 정해진 상태에서 대응되는 해당 객체정보와 함께 등록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 제한이 있다. 정보식별아이디가 구조화된 문자열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정보서버에 등록 저장된 객체정보 획득을 위해 카메라로 상기 정보식별아이디를 영상으로 입력 후 문자인식 또는 디코딩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자, 음성, 사진 또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정보서버에 등록 저장하지 않고, 직접 식별코드에 해당 컨텐츠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QR코드와 같은 서비스는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KR 10-2013-0023520 A 2013. 03. 08. WO 2012/070708 A1 2012. 05. 3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QR코드 및 문자열로 구조화된 객체식별아이디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상품 등에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영상 입력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입력된 영상을 인식하고 디코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모듈을 구비한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고 디코딩함으로써, QR코드의 디코딩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도 객체식별아이디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며, 객체식별아이디마저 인식이 불가능할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의 수동입력을 통해 객체정보의 획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보인식시스템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QR코드 및 객체식별아이디를 함께 영상입력하는 영상입력모듈,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QR코드를 인식하고 디코딩하는 QR코드인식모듈,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인식하는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QR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서도 객체식별아이디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를 수동 입력하기 위한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 및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되고 디코딩된 QR코드를 이용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객체식별아이디 또는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수동입력된 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모듈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인식되고 디코딩되는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및 상기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저장하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중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가 인식되고 디코딩된 상태에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제공하는 DNS; 상기 DNS 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임의의 객체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객체식별아이디를 함께 등록하여 객체정보DB에 저장 관리하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요청된 객체정보를 상기 객체정보DB로부터 검색,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객체정보서버; 및 상기 객체정보서버 내에 위치하며,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식별자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객체정보서버의 요청에 따라 객체정보를 저장 또는 추출하는 객체정보DB로 이루어지며,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은 디코딩된 QR코드로부터 직접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디코딩된 QR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의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한 후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모듈은 영상입력모듈의 구동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영상을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QR코드를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인식 및 디코딩하여 직접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객체정보가 저장된 객체정보서버의 객체정보DB와 연결되도록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을 획득하되,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한 QR코드의 디코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입력영상에 포함된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인식 및 디코딩하고,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서도 디코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수동입력하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 중 '객체정보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DNS에 요청한 후 상기 DNS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통해 해당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 중 '객체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가 제공되도록 상기 객체정보서버에 요청한 후 제공된 객체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방법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모듈이 구동되는 단계(S10); 어플리케이션모듈 구동 후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가 영상입력되는 단계(S20);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QR코드가 인식 및 디코딩되는 경우, 디코딩된 상기 QR코드로부터 직접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디코딩된 상기 QR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을 통해 객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디코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객체식별아이디가 디코딩되는 단계(S40);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디코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가 수동입력되는 단계(S50); 및 상기 영상입력모듈 또는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디코딩된 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하여 DNS 및 객제정보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인식방법에 의하면, 객체정보서버를 통해 수신된 객체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되, 객체정보획득에 필요한 부가정보의 입력이 요구되는 단계(S70) 및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요구에 따라 해당 부가정보가 추가입력되고 확인되는 단계(S8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는, 문자, 음성, 사진, 카탈로그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자체적으로 직접 포함하여 저장하거나,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 또는 컨텐츠를 저장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객체정보서버에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객체정보서버의 도메인네임, URL주소 또는 IP주소 등의 링크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QR코드; 및 상기 QR코드의 상·하·좌·우 어느 일측 또는 일측 이상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객체정보와 객체정보서버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및 상기 객체정보서버식별자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에 등록 및 저장되어 관리되는 특정 객체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객체식별자를 포함하되, 상기 객체식별자와 객체정보서버식별자의 사이에는 #, !, $, %, ^, & 또는 *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구분기호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객체식별아이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는 다른 실시 예로서, 객체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메인네임, URL주소 또는 IP주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구성하는 QR코드의 영상인식을 통한 디코딩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에 대한 영상인식 및 디코딩을 통해 객체정보서버에 등록 저장된 객체정보의 획득이 가능하게 되며, 객체식별아이디마저 영상인식 및 디코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의 수동입력을 통해 객체정보의 획득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상인식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객체정보의 획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QR코드에 문자, 음성, 사진, 동영상, URL 링크정보 등의 다양한 컨텐츠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정보를 객체정보서버에 등록 저장하며 상기 컨텐츠정보에 대응하는 객체식별아이디를 상기 컨텐츠정보와 함께 객체정보서버에 등록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QR코드와 객체식별아이디를 결합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e-북(일반 종이도서 포함), 상품 등에 삽입하는 경우, 영상인식 및 디코딩의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다양한 컨텐츠의 검색 및 획득이 가능하며,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소액결제 등에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적용하는 경우 영상인식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결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인식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인식시스템에 이용되는 사용자단말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인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1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인식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10)는 기존의 QR코드(11)에 객체식별아이디(12)를 결합한 형태로서, 도 1을 참조하면, QR코드(11)의 상부, 하부 및 우측에 인접하여 객체식별아이디(12)가 다양한 형태로 기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객체식별아이디가 QR코드의 상하부 및 우측에 각각 기재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상기 객체식별아이디는 QR코드의 상·하·좌·우 어느 일측에 하나의 형태로 기재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1은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가 기재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객체식별자#객체정보서버식별자' 와 같은 형식의 문자열의 구조화된 객체식별아이디 대신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의 표준인터넷 주소가 기재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객체식별아이디(12)는 '객체식별자#객체정보서버식별자'로 이루어진 문자열로 구조화된 아이디로서, 상기 '객체정보서버식별자'는 객체정보와 상기 객체정보를 식별하는 '객체식별아이디'를 함께 등록, 저장 및 관리하는 객체정보서버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상기 '객체식별자'는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동일 객체정보서버에 등록 및 저장되어 관리되는 특정한 객체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객체식별자' 와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사이의 '#' 은 상기 '객체식별자' 와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를 구분하는 기호로서, 본 발명에서는 '#' 을 예로 들고 있으나, !, $, %, ^, &, *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구분을 위한 기호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어떤 기호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객체식별아이디는 '객체식별자#객체정보서버식별자' 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객체정보서버식별자#객체식별자' 의 형태로도 가능하며, 문자열의 구조화된 형태를 통해 객체식별자와 객체정보서버식별자가 구분될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객체식별아이디(12)의 '객체식별자' 및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는 숫자, 문자(한글, 영문, 한자 등) 어느 것으로도 가능하며, 숫자와 문자를 혼용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즉, 도 1은 숫자, 한글 및 영문자 각각으로 객체식별아이디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객체식별자'는 숫자로 하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는 '한글'로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10)가 부착되어 있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를 통해 인식한 후, 해당 객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QR코드 및 객체식별아이디를 디코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어플리케이션)가 내장되게 되며, 사용자가 객체정보의 인식을 위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된 어플리케이션모듈(25)을 구동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고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DNS 및 객체정보서버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영상인식한 후, 상기 DNS 및 객체정보서버와 유무선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가능한 종류면 어느 것이나 이용가능하다.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모듈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영상입력모듈(24)이 구동되게 되며,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인식된 QR코드 및/또는 객체식별아이디가 QR코드인식모듈(21) 및/또는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22)을 통해 디코딩되면서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10)는 다양한 종류의 상품에 부착되어 이용가능한데, 일반 도서의 페이지에 삽입됨으로써 현장감있는 독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휴대폰을 이용한 소액결제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여성들이 구독하는 잡지를 예로 들면, 마사지크림을 선전하는 광고문구가 포함된 페이지에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인식하게 되면, 마사지크림을 바르기 전과 바르고 난 후의 피부상태를 나타내는 객체정보가 사진 또는 동영상 등으로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광고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소액결제가 가능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사용자단말기로 영상인식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사용자단말기로 영상인식한 다음, 요구되는 상품의 수량 및/또는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입력한 후, 사용자의 비밀번호 및/또는 휴대폰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 및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소액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는 QR코드의 영상인식을 통한 디코딩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에 대한 영상인식을 통한 디코딩 또는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의 수동 입력을 통해 객체정보서버에 등록 저장된 원하는 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점에서, 기존의 QR코드와 차별화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영상인식이 가능한 사용자단말기(20),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유무선통신망(인터넷포함)을 통해 연결되는 DNS(30), 객체정보서버(40) 및 객체정보DB(5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인식시스템에 이용되는 사용자단말기(20)에 필요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DNS(30)는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와 상기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저장하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인식된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갖는 객체정보서버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객체정보서버(40)는 상기 DNS(30)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객체정보를 객체식별아이디와 함께 등록한 후 객체정보DB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인식된 객체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한 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한다. 객체정보서버를 통한 관리기능은 객체정보의 추가, 갱신, 변경 또는 삭제를 포함하며, 객체정보로는 사진, 동영상, 카탈로그 등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객체정보DB(50, Data Base)는 객체정보서버마다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식별자'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객체정보서버의 신호에 따라 객체정보를 저장 또는 추출한다.
도 3은 사용자단말기(20), 유무선통신망, DNS(30), 객체정보서버(40) 및 객체정보DB(50)가 연동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단말기의 경우 영상입력모듈(24), QR코드인식모듈(21),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22),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23) 및 어플리케이션모듈(25)로 크게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에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화면, 음성입출력부(마이크, 스피커), 터치패드 등의 기본구성요소가 구비됨은 물론이며, 상기 도 3에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한 구성을 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디코딩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QR코드를 영상인식한 후 인식된 정보를 디코딩하고, QR코드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영상으로 인식하여 문자로 디코딩하며, 객체식별아이디의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 수동으로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입력한 후 객체정보를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모듈(25)에 탑재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모듈로는 사용자단말기에 내장된 저장장치가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SD 카드를 어플리케이션모듈로 이용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 등을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다운로드될 수 있고 설치과정을 통해 사용자단말기에 저장 및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인식용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게 되면, 영상입력모듈(24)이 구동되게 된다. 상기 영상입력모듈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영상 입력 및 인식을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영상입력모듈로부터 영상으로 입력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QR코드 및 객체식별아이디를 모두 디코딩가능하고, 또한 객체식별아이디의 수동입력도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어플리케이션모듈(25)이 구동되는 경우, 영상입력모듈의 구동과 함께 QR코드인식모듈(21)과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22)이 구동되게 된다.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먼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된다.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QR코드가 인식되고,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영상으로 입력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중 QR코드가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인식 및 디코딩되는 경우, 디코딩된 QR코드로부터 획득된 객체정보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QR코드는 자체적으로 사진, 동영상 등 대용량 파일의 저장이 가능한 특성상, QR코드에 사진, 동영상 등의 객체정보가 자체 저장된 상태에서 QR코드가 디코딩되는 경우 별도의 객체정보서버가 필요 없다. 즉, QR코드 내에 객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된 상기 객체정보가 어플리케이션모듈을 통해 곧바로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나, 객체정보가 QR코드가 저장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는 컨텐츠이거나, 또는 별도의 객체정보서버에 특정 컨텐츠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QR코드에는 해당 컨텐츠에 접속가능한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의 정보만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한 후, 접속된 상기 객체정버서버로 객체정보의 추출을 요청하며, 이를 통해 객체정보DB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영상입력모듈(24)을 통해 QR코드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본 발명은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중 문자열의 구조화된 객체식별아이디를 인식함으로써, 객체정보서버로부터 해당 객체정보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입력모듈은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구성하는 QR코드와 객체식별아이디를 영상 정보로 입력하고 인식하게 되는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QR코드가 정상적으로 디코딩되는 경우 해당 객체정보가 상기 디코딩된 QR코드를 통해 곧바로 획득되게 되나,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QR코드 인식 및 디코딩이 실패하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를 구성하는 문자가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상으로 입력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객체식별아이디는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22)을 통해 인식되게 되며, 어플리케이션모듈(25)은 상기 인식된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를 바탕으로 DNS(30)에 특정 객체정보서버의 인터넷주소인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요청한다. 상기 DNS는 요청받은 상기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검색하게 되고, 검색결과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기는 DNS로부터 제공받은 객체정보서버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하고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식별자' 에 대응하는 객체정보를 요청한다. 상기 객체정보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객체식별자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수신된 객체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거나 활용하게 된다.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의 문자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객체식별아이디의 수동입력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수동입력된 객체식별아이디를 통해 객체정보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 영상입력모듈(24)을 통해 영상으로 입력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QR코드 및 객체식별아이디의 인식 및 디코딩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모듈(25)은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23)을 구동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객체식별아이디를 직접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는 영상인식을 통한 객체정보 획득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후 객체식별아이디의 수동입력창이 일 예로 키보드와 함께 터치패드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구성하는 객체식별아이디를 시각적으로 인식한 후, 디스플레이된 수동입력창을 통해 해당 객체식별아이디를 수동입력함으로써, 상기 입력된 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하여 객체정보서버의 객체정보DB에 저장된 객체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객체식별아이디의 수동입력 후의 과정은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22)을 통한 객체정보 획득과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객체정보가 객체정보서버로부터 추출되어 사용자단말기에 제공된 이후, 응용서비스에 따라 부가적인 정보입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통한 소액결제를 위해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인식하는 경우, 요구되는 상품의 수량 및/또는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입력한 후 사용자의 비밀번호 및/또는 휴대폰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 및 확인하는 과정이 부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객체정보서버를 통해 수신된 객체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외에,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하는 과정이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정보 인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면이다.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10) 인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모듈(25)이 구동되게 되며, 영상입력모듈(24), QR코드인식모듈(25) 및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22)이 함께 구동되게 된다(S10).
영상입력모듈이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에 인식가능한 거리로 접근하게 되고, 접근된 상태에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가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영상입력되게 된다(S20).
이때 QR코드인식모듈(21)을 통해 QR코드가 인식 및 디코딩되는 경우(S30의 Y분기), 해당 객체정보가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QR코드의 디코딩이 실패하는 경우(S30의 N분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22)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가 디코딩되게 된다.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가 디코딩되는 경우(S40의 Y분기) 객체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객체식별아이디의 디코딩이 실패하는 경우(S40의 N분기) 객체식별아이디의 수동입력단계로 넘어가게 된다(S50).
상기 S30 ~ S50의 어느 한 단계를 통해 객체정보가 획득됨으로써, 사용자단말기에 사진,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객체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되는데, 상기 S30 ~ S50 단계를 통해 디코딩된 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하여 객체정보서버로부터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를 구성하는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및 '객체식별자' 를 파라미터로 하여 DNS 및 객체정보서버와 순차적으로 통신함으로써 객체식별아이디에 대응하는 객체정보가 획득되게 된다(S60).
상기 획득된 객체정보를 이용한 응용서비스를 위해 부가정보의 입력이 필요할 경우, 부가정보의 입력이 요구되는 단계(S70)와, 부가정보의 입력요구에 따라 해당 부가정보를 추가입력하고 확인하는 단계(S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소액결제를 예를 들면, 소액결제가 가능한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영상인식하는 경우, 요구되는 상품의 수량 및/또는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입력한 후 사용자의 비밀번호 및/또는 휴대폰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입력 및 확인하는 과정이 부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객체정보서버를 통해 수신된 객체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외에, 부가적으로 요구되는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하는 과정이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11: QR코드 12: 객체식별아이디
20: 사용자단말기
21: QR코드인식모듈 22: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
23: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 24: 영상입력모듈
25: 어플리케이션모듈
30: DNS
40: 객체정보서버
50: 객체정보DB

Claims (10)

  1.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영상입력하는 영상입력모듈,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QR코드를 인식하고 디코딩하는 QR코드인식모듈, 상기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인식하는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QR코드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서도 객체식별아이디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를 수동 입력하기 위한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 및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되고 디코딩된 QR코드를 이용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인식된 객체식별아이디 또는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수동입력된 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모듈로 이루어지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인식되고 디코딩되는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및 상기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저장하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중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가 인식되고 디코딩된 상태에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정보서버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제공하는 DNS;
    상기 DNS 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임의의 객체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객체식별아이디를 함께 등록하여 객체정보DB에 저장 관리하며, 사용자단말기에 의해 요청된 객체정보를 상기 객체정보DB로부터 검색,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객체정보서버; 및
    상기 객체정보서버 내에 위치하며, 객체식별아이디의 객체식별자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객체정보서버의 요청에 따라 객체정보를 저장 또는 추출하는 객체정보DB;
    로 이루어지며,
    사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상기 어플리케이션모듈이 구동되는 경우, 영상입력모듈의 구동과 함께 QR코드인식모듈과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은,
    디코딩된 QR코드로부터 직접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디코딩된 QR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의 인터넷주소를 이용하여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한 후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모듈은,
    영상입력모듈의 구동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영상을 입력한 상태에서,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한 QR코드의 디코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입력영상에 포함된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인식 및 디코딩하고,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서도 디코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를 수동입력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모듈은,
    상기 객체식별아이디 중 '객체정보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의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DNS에 요청한 후 상기 DNS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를 통해 해당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 중 '객체식별자' 에 대응되는 객체정보가 제공되도록 상기 객체정보서버에 요청한 후 제공된 객체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수신된 객체정보로부터 부가정보의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 및 확인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입력이 요구되거나 입력되는 상기 부가정보는,
    소액결제시 상품의 수량 또는 가격정보를 포함하는 상품관련정보이거나, 사용자의 비밀번호 또는 휴대폰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6. QR코드 및 문자열의 객체식별아이디가 결합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모듈이 구동되는 단계(S10);
    어플리케이션모듈 구동 후 영상입력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가 영상입력되는 단계(S20);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상기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QR코드가 인식 및 디코딩되는 경우, 디코딩된 상기 QR코드로부터 직접 객체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디코딩된 상기 QR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URL, 도메인네임 또는 IP주소 등을 통해 객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객체정보서버에 접속하여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
    상기 QR코드인식모듈을 통해 디코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의 객체식별아이디가 디코딩되는 단계(S40);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을 통해 디코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객체식별아이디가 수동입력되는 단계(S50); 및
    상기 영상입력모듈 또는 객체식별아이디수동입력모듈을 통해 디코딩된 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하여 DNS 및 객제정보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객체식별아이디에 대응되는 객체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6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플리케이션모듈이 구동되는 경우, 영상입력모듈의 구동과 함께 QR코드인식모듈과 객체식별아이디인식모듈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객체정보서버를 통해 수신된 객체정보를 사용자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되, 수신된 객체정보로부터 부가정보의 입력이 요구되는 단계(S70) 및
    부가정보의 입력요구에 따라 해당 부가정보를 추가입력하고 확인하는 단계(S8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방법.
  8. 문자, 음성, 사진, 카탈로그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자체적으로 직접 포함하여 저장하거나,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 또는 컨텐츠를 저장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객체정보서버에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객체정보서버의 도메인네임, URL주소 또는 IP주소 등의 링크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하는 QR코드; 및
    상기 QR코드의 상·하·좌·우 어느 일측 또는 일측 이상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객체정보서버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객체정보서버식별자 및 상기 객체정보서버식별자에 대응되는 객체정보서버에 등록 저장되어 관리되는 특정 객체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객체식별자로 이루어지는 객체식별아이디;
    로 이루어지며,
    상기 객체식별아이디는,
    문자열의 구조화된 형태를 통해 객체식별자와 객체정보서버식별자가 구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식별아이디는,
    상기 객체식별자와 객체정보서버식별자의 사이에 #, !, $, %, ^, & 또는 *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구분기호가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10. 삭제
KR1020130088345A 2013-07-25 2013-07-25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KR101498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345A KR101498699B1 (ko) 2013-07-25 2013-07-25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345A KR101498699B1 (ko) 2013-07-25 2013-07-25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23A KR20150012623A (ko) 2015-02-04
KR101498699B1 true KR101498699B1 (ko) 2015-03-05

Family

ID=5248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345A KR101498699B1 (ko) 2013-07-25 2013-07-25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6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654B1 (ko) 2018-11-30 2019-03-27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Qr코드에 의한 비저장식 데이터 기록 시스템 및 비저장식 데이터 제공 방법
KR102364148B1 (ko) 2021-04-07 2022-02-18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580B1 (ko) * 2015-09-23 2017-01-20 안경수 Qr코드 인식/출력방법 및 qr코드를 인식하여 출력하는 모바일 장치
KR102218639B1 (ko) * 2019-02-21 2021-02-19 한선경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의사소통 도움 서비스 시스템
KR102610433B1 (ko) * 2023-02-09 2023-12-06 (주)아하 이미지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805A (ko) * 2007-05-07 2008-1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바코드번호 인식을 통한 모바일 상품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6442A (ko) * 2010-01-22 2011-07-28 주식회사 지지21 범세계적으로 고유한 분산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한 다수의 분산된 가상세계 간 상호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4480A (ko) * 2010-08-09 2012-02-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30015257A (ko) * 2011-08-02 2013-02-13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실시간 경품관리시스템과 연동한 주류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8805A (ko) * 2007-05-07 2008-1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바코드번호 인식을 통한 모바일 상품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6442A (ko) * 2010-01-22 2011-07-28 주식회사 지지21 범세계적으로 고유한 분산객체식별아이디를 이용한 다수의 분산된 가상세계 간 상호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4480A (ko) * 2010-08-09 2012-02-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30015257A (ko) * 2011-08-02 2013-02-13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실시간 경품관리시스템과 연동한 주류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654B1 (ko) 2018-11-30 2019-03-27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Qr코드에 의한 비저장식 데이터 기록 시스템 및 비저장식 데이터 제공 방법
KR102364148B1 (ko) 2021-04-07 2022-02-18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23A (ko) 201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92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devices and contents by using quick response codes
US98180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two-dimensional barcodes
US9111304B2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said program
KR101498699B1 (ko)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 객체식별아이디결합qr코드로 이루어지는 정보인식시스템 및 정보인식방법
US20130043302A1 (en) Social media platforms
KR101729938B1 (ko)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272232B1 (ko) 큐알 코드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US899035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ixel encoded web page
KR101574241B1 (ko) Qr 코드 인식 처리 시스템
CN104361075A (zh) 一种图像网址系统及实现方法
US101714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1397976B2 (en) Durable memento method
KR101769541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5975549A (zh) 一种基于web页面的自定义二维码识别方法
KR102229673B1 (ko) 맞춤형 손수건 주문 및 앨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04865A1 (en) Durable memento system
US20220286491A1 (en) Method for the direct recording and streaming of ai generated digital content from a product apparatus associated with unique identification
KR20120109265A (ko) 방송연계 큐알코드를 이용한 식품정보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JP6914064B2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803815B2 (ja) Url情報提供システム
JP6331411B2 (ja) 情報管理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7014555B2 (ja) 注文管理装置および注文管理方法
KR20160062285A (ko)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구축 시스템 및 소상공인을 위한 마케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06810A (ko) 큐알코드 및 증강현실을 이용한 와인정보 제공방법
KR101687649B1 (ko) 부동산 매물 정보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