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709A -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709A
KR20210081709A KR1020190173929A KR20190173929A KR20210081709A KR 20210081709 A KR20210081709 A KR 20210081709A KR 1020190173929 A KR1020190173929 A KR 1020190173929A KR 20190173929 A KR20190173929 A KR 20190173929A KR 20210081709 A KR20210081709 A KR 20210081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rcode
management
generating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626B1 (ko
Inventor
이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블루
Priority to KR102019017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626B1/ko
Priority to CN202011303398.8A priority patent/CN113035337A/zh
Publication of KR2021008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4Redundancy elimination performed by the file system
    • G06F16/1744Redundancy elimination performed by the file system using compression, e.g. sparse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의 입고 관리를 위하여 의약품의 포장이나 용기에 인쇄된 바코드로부터 필수정보만을 가공하여 새로운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반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로 분류하는 정보 분석부, 새로 생성될 관리용 바코드의 중복방지를 위하여 중복방지정보를 생성하는 추가정보 생성부, 상기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및 상기 관리용 바코드 생성 시에 상기 필수정보와 추가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압축하는 텍스트 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Barcod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edicine management}
본 발명은 의약품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약품의 포장이나 용기에 인쇄된 바코드로부터 필수정보만을 가공하여 새로운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의약품의 입/출고 내역, 재고 내역 등의 관리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재고 의약품의 발생으로 인한 자원의 폐기는 국가적으로 재원의 큰 낭비 요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병원 또는 약국에서 처방 또는 판매되는 의약품의 재고량을 모니터링 하거나 안전 재고량의 초과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방식으로 약품의 재고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의약품의 재고 관리는 수동적인 대처 방안에서 다양한 솔루션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252959호(2013. 04. 03)는 약국 단말로부터 약품의 판매량 정보에 기초하여 약품의 재고량 정보를 판단하고 있다. 즉 약국 단말로부터 약품과 관련된 판매량을 수집하고 안전 재고량보다 판매량이 많은 경우 약품의 포장단위를 고려한 주문서를 약국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의약품의 재고관리가 가능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204647호(2012. 11. 19)는 약품 정보를 약품 재고 서버에 개별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도록 약품 주문 정보로부터 식별되는 약품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약품 재고 서버가 재고관리를 하고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입고량, 출고량을 비교하여 재고량을 결정한 후 자동 주문하는 주문시스템이 한국 공개특허 10-2010-0104515호(2010. 9. 29)에 공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175263호(2012. 8. 13)에는 약품을 수용하는 용기 내의 약품량에 따라 발주량 리스트를 제공하여 약품 재고를 관리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또 의약품 관리방법 중 하나로 한국공개특허 10-2013-0007009호(2013. 1. 18)는 재고 의약품을 수요가 있는 인근 약국에서 구매하여 소진할 수 있는 방안도 공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의약품을 관리하는 방안들은 예전부터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재고관리 방안에는 약품에 표시된 바코드나 QR 코드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과정도 포함된다.
하지만 바코드나 QR 코드는 의약품 제조사가 일괄적으로 인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으로 의약품의 재고관리와는 상관없는 정보들이 더 저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은 매우 방대하다. 따라서 의약품 재고관리를 할 경우 인쇄된 바코드나 QR코드를 스캔해야 하며, 스캔한 정보 모두를 불필요하게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약품 포장이나 용기 등에 인쇄된 바코드로부터 의약품 관리에 필요한 정보만을 별도로 추출 및 가공하여 의약품 관리에 적합한 새로운 바코드를 생성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성된 바코드의 크기를 적절하게 제한함으로써, 바코드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효율적으로 의약품의 입고 및 출고, 재고관리를 할 수 있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로 분류하는 정보 분석부; 새로 생성될 관리용 바코드의 중복방지를 위하여 중복방지정보를 생성하는 추가정보 생성부; 상기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및 상기 관리용 바코드 생성 시, 상기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압축하는 텍스트 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바코드 생성부가 생성된 관리용 바코드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수정보는 의약품의 입고 및 출고, 재고관리에 필요한 정보이다.
상기 중복방지정보는 명세일련번호이고, 상기 명세일련번호는 명세일자, 명세번호 및 페이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용 바코드는, 최소 72dpi 해상도를 가지며, 가로 및 세로가 각각 2cm의 사이즈로 형성되는 QR 코드이다.
상기 관리용 바코드는, 헤더정보, 데이터정보 및 검증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텍스트 정보는 압축상태로 저장된다.
상기 텍스트 압축부는, 상기 관리용 바코드 내에 필수정보가 모두 저장될 수 있는 압축율로 압축하며, 상기 필수정보의 데이터양에 따라 상기 압축율은 달라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가,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에 인쇄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로 분류하면서 관리용 바코드의 중복방지를 위한 중복방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필수정보 및 중복방지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압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의약품 관리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의약품 관리장치가 상기 관리용 바코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압축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텍스트 정보의 압축 및 압축해제는 lztring.js 함수를 이용한다.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상기 의약품 관리장치에 제공하거나 제공하기 전에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에 인쇄된 바코드 정보에서 입고에 필요한 필수정보만을 추출 가공하여 새로운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용 바코드의 조회만으로 입고 내역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시 필수정보 외에 관리용 바코드의 중복 방지를 위한 일련번호도 함께 포함하고 있어, 관리용 바코드의 중복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입고 관리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면서도, 필수정보 및 중복방지정보의 텍스트를 일정 비율로 압축하기 때문에 일반 QR 코드보다 크기를 작게하여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의 생성 예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의약품 중 일반 의약품(OTC)에 대한 관리는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재고의약품 유효기한 알림 관리, 의약품의 입/출고 관리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유효기한의 관리는 재고 의약품의 유효기한을 모니터링하여 통보하거나, 재고 품목의 유효기한을 확인하고 이를 실시간 업데이트 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또 의약품의 입고 관리는 의약품이 입고될 때 입고되는 의약품을 종류별로 분류하면서, 날짜, 수량 등을 확인하여 DB화하고, 거래처별/계약일별로 약품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 의약품을 출고할 경우 출고되는 의약품을 인식하여 재고량을 업데이트 해야 한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일반 의약품의 입고 및 재고관리를 종래와는 차별화된 구성의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고자 하는 것이고,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100)는 의약품의 포장이나 용기 등에 표시되어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캔 된 제1 바코드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바코드 이미지는 세로방향으로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일반 바코드와, 가로와 세로의 두 방향으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QR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 바코드는 세로 선형 바코드 형태로서 주로 13 ~ 14자리의 숫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 QR 코드는 상기 일반 바코드의 데이터 용량 한계를 극복하여 문자, 숫자, 사진 등 대량이 정보를 작은 사각형 내에 2차원의 심벌로 고밀도 코드화한 것으로, 1000자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제1 바코드 이미지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캐너는 일반 바코드 및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일반적인 스캐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100)에는 수집된 정보 중에서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를 구분하도록 정보 분석부(120)가 구비된다. 필수정보 및 부가정보는 상기한 일반 바코드 또는 QR코드 내에 포함된 정보이고, 의약품을 관리하는 주체나 방식, 방안 등에 따라 필수정보와 부가정보의 범위는 다르게 구분될 것이다. 즉 상기 제1 바코드 이미지에는 예를 들면, 의약품 및 의약외품의 성분, 용법/용량 및 부작용 등에 정보, 생산 이력, 제품관리코드, 제조일자, 제약사 보험코드, 품명, 규격, 유효기간, 공급자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정보들을 나누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로 구분하는 것이다.
상기 정보 분석부(120)는 이러한 정보들 중에서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를 구분하는 것인데, 본 실시 예와 같이 의약품의 입고 및 재고 관리에 필요한 정보가 필수정보가 될 것이고, 이외의 정보들이 부가정보가 될 것이다. 다만, 상기 필수정보는 상기 제1 바코드 이미지에 저장된 정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리 효율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다른 정보들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명세일련번호가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100)에는 새롭게 생성되는 제2 바코드이미지('관리용 바코드'라고 하기도 함)의 중복방지를 위한 추가정보 생성부(140)가 구비된다. 추가정보 생성부(140)는 의약품 관리를 위하여 상기 제2 바코드 이미지의 중복 생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추가정보 생성부(140)가 생성하는 중복방지정보는 예를 들어 명세일련번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제2 바코드 이미지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일련번호뿐만 아니라 문자, 기호 등을 서로 조합하여 추가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에 기초하여 제2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130)가 구비된다. 바코드 생성부(130)가 생성하는 제2 바코드 이미지는 의약품의 포장이나 용기 등에 이미 인쇄된 일반적인 바코드 또는 QR코드가 아니고,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가 저장된 새로운 바코드이다. 즉 상기 제2 바코드 이미지는 새로 만들어지는 소정 규격을 가지는 가로*세로 사이즈 내에 바코드 또는 QR코드에 저장된 정보 중 추출된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고 보면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바코드 이미지는 의약품 관리에 필요한 정보만을 저장하면서 일정한 해상도 및 크기를 가진다. 제2 바코드 이미지의 해상도는 최소 72dpi(Dots per inch) 이상이어야 하고, 가로 및 세로가 각각 2cm의 사이즈를 갖는다. 이러한 사이즈로 인하여 본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제2 바코드 이미지는 QR 코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바코드 이미지의 정보를 살펴보면, 'DSBLC'과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DSBLC' 정보는 일반적으로 의약품의 입고장 규약을 의미한다. 이러한 입고장 규약은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 정보에는 크게 헤더(H) 정보, 데이터(D) 정보, 검증(C) 정보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텍스트 정보는 압축되어 저장되며, 압축과정은 'lzstring.js' 함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물론 추후 압축된 텍스트 정보를 해제하는 경우에도 상기 'lzstring.js' 함수를 이용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라 텍스트 정보의 압축을 위하여 텍스트 압축부(150)가 더 구성된다. 상기 텍스트 압축부(150)에 의한 텍스트 압축시에는 "LZString.compressToEncodedURIComponent('압축할문자열')" 명령을 이용하며, 압축해제시에는 "LZString.decompressFromEncodedURIComponent('압축된문자열')" 명령을 이용한다. 여기서 압축해제는 제2 바코드 이미지를 전달받는 의약품 관리장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더 정보에는 공급자, 공급받는 자 정보, 중복방지를 위한 명세 일련번호이다. 즉 헤더 정보는 "<H>공급자사업자번호│공급받는자사업자번호│명세일련번호</H>"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헤더 정보의 공급자 및 공급받는 자의 정보에는 공급자(공급받는 자)의 등록번호, 상호, 성명, 주소, 제약사 보험코드, 의약품 품명, 규격, 수량, 단가, 금액, 제조번호 유효기간 정보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명세 일련번호는, 명세일자(8자리), 명세번호(5자리), 페이지(3자리)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정보는 상품정보(1,2,3‥‥ N)를 가진다. 상품정보는 최대 12라인 내에서 사용된다. 그보다 라인이 더 많게 되면 스캐너가 상품정보를 리드(read)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데이터 정보는 "<D>표준코드│수량│금액│유효기간</D>‥‥ <D></D>"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유효기간은 6자리(YY/MM/DD) 번호가 이용된다.
상기 검증 정보는 16진수 정보로서 "<C>건수│수량계</C>"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이터 정보와 검증 정보를 상호 매칭하여 검증하는 방안을 적용하고 있으나, 다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상기 제2 바코드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된 제2 바코드 이미지를 의약품 용기나 포장에 새로 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바코드 이미지는 의약품관리장치에서 압축 해제되어 사용자 요청에 따라 의약품 관리를 위한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정보 수집부(110), 정보 분석부(120), 바코드 생성부(130), 추가정보 생성부(140), 텍스트 압축부(150)를 포함하는 바코드 생성장치(100)는 도면에 도시한 의약품 관리장치일 수 있다. 즉 의약품 관리장치가 정보들을 압축하여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며, 스캔된 관리용 바코드를 압축해제하여 정보를 제공할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약품 관리장치네느 제1 바코드 이미지 및 제2 바코드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캐너가 연결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메모리(122)는 필수정보와 부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며, 또한 관리용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 바코드 생성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의 바코드 생성장치를 이용하여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약국에 일반의약품이 입고될 때, 사용자는 약품 포장이나 용기 등에 표시된 제1 바코드 이미지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캐닝한다(s100). 스캐닝 된 바코드 이미지 정보는 실시간으로 정보 수집부(110)로 전달된다.
정보 수집부(110)는 제1 바코드 이미지에 저장된 모든 정보들을 전달받는다(s110). 이때 스캐닝 된 모든 정보들은 특별한 순서를 정하지 않고 전달되거나 바코드 스캐너가 리드(read)하는 순서대로 전달될 것이다.
정보 분석부(110)는 이렇게 전달받은 스캐닝 된 모든 정보들을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로 구분하다(s120). 상기 스캐닝 된 정보에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의약품 입고 및 출고, 재고 관리와 관련없는 정보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정보들을 필터링하기 위함이다. 필수정보와 부가정보에 대한 종류는 사용자가 미리 결정하는 사항이고, 이들 정보들은 의약품 종류마다 변경 가능하다.
이렇게 구분된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는 메모리(122)에 모두 저장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필요한 필수정보만이 저장된다. 그리고 필수정보는 예를 들면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의 정보, 제약사 보험코드, 의약품 품명, 규격, 수량, 단가, 금액 등일 수 있고, 실시 예에는 이들 정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정보 분석부(120)가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를 구분 저장한 후에는 추가정보 생성부(140)는 중복방지정보로서 명세일련번호를 생성한다(s130). 상기 명세일련번호는 새롭게 생성할 제2 바코드 이미지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명세일련번호는 8자리의 명세일자, 5자리의 명세번호, 3자리의 페이지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로 생성될 것이고, 제2 바코드 이미지의 생성 요청에 따라 추가정보 생성부(140)가 순서대로 중복방지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의약품 관리를 위한 필수정보 및 중복방지정보인 명세일련번호가 모두 생성되면, 바코드 생성부(130)는 상기 필수정보 및 명세일련번호에 기초하여 관리용 바코드인 제2 바코드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s150).
이때 제2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할 때 상기 바코드 생성부(130)는 텍스트 압축부(150)와 협력하여 텍스트 정보를 소정 압축률로 압축하는 과정을 함께 수행한다(s140). 즉 텍스트 압축부(150)는 "LZString.compressToEncodedURIComponent('압축할문자열')" 명령을 이용하여 압축하게 되며, 텍스트의 압축이 완료되면 바코드 생성부(130)는 이들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제2 바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축율은 제2 바코드 이미지의 정해진 사이즈 내에 필수정보가 모두 저장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필수정보의 양에 따라 압축율은 달라질 수도 있다.
이처럼 텍스트 정보를 압축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제2 바코드 이미지에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제2 바코드 이미지는 의약품 관리장치에 저장되고, 의약품 관리장치에 구비된 일련의 의약품 관리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된다(s160). 예를 들어 의약품 관리프로그램은 상기 제2 바코드 이미지가 전달되면, 압축해제 명령을 사용하여 제2 바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압축 해제한 후, 필수정보인 공급자 및 공급받는자의 정보, 제약사 보험코드, 의약품 품명, 규격, 수량, 단가, 금액 정보를 정렬하여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약품 관리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더 간단한 필수정보만을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의약품의 입/출고 내역, 재고 내역 등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바코드 이미지는 인쇄되어 의약품 포장이나 용기에 부착될 수도 있다(s160). 이 경우 제2 바코드 이미지는 의약품 관리에 필요한 정보만 저장된 상태이다. 따라서 바코드 스캐너로 제2 바코드 이미지를 스캔하면 의약품 관리를 위한 정보만이 표시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정보를 가공하지 않더라도 의약품의 입/출고 내역, 재고 내역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는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를 보면, 바코드 생성장치(100)는 일반 바코드(1) 또는 QR 코드(2)에서 정보를 추출한 다음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를 가공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소정 압축율로 텍스트 정보를 압축함으로써, 2cm*2cm 사이즈의 관리용 바코드(3)를 생성하는 것이다. 관리용 바코드(3)의 경우 필수정보만이 저장되기 때문에, 일반 바코드(1) 또는 QR 코드(2)보다는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바코드 생성장치
110: 정보 수집부
120: 정보 분석부
122: 메모리
130: 바코드 생성부
140: 추가정보 생성부
150: 텍스트 압축부

Claims (11)

  1. 일반 바코드 또는 QR 코드에 저장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들을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로 분류하는 정보 분석부;
    새로 생성될 관리용 바코드의 중복방지를 위하여 중복방지정보를 생성하는 추가정보 생성부;
    상기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는 바코드 생성부; 및
    상기 관리용 바코드 생성 시에 상기 필수정보와 중복방지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압축하는 텍스트 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생성부가 생성된 관리용 바코드를 인쇄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수정보는 의약품의 입고 및 출고, 재고관리에 필요한 정보인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방지정보는 명세일련번호이고,
    상기 명세일련번호는 명세일자, 명세번호 및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용 바코드는,
    최소 72dpi 해상도를 가지며,
    가로 및 세로가 각각 2cm의 사이즈로 형성되는 QR 코드인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용 바코드는,
    헤더정보, 데이터정보 및 검증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텍스트 정보는 압축상태로 저장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압축부는,
    상기 관리용 바코드 내에 필수정보가 모두 저장될 수 있는 압축율로 압축하며,
    상기 필수정보의 데이터양에 따라 상기 압축율은 달라지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
  8.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장치가,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스캔된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에 인쇄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필수정보와 부가정보로 분류하면서 관리용 바코드의 중복방지를 위한 중복방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필수정보 및 중복방지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압축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의약품 관리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의약품 관리장치가 상기 관리용 바코드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압축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정보의 압축 및 압축해제는 lztring.js 함수를 이용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용 바코드를 상기 의약품 관리장치에 제공하거나 제공하기 전에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KR1020190173929A 2019-12-24 2019-12-24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KR102319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29A KR102319626B1 (ko) 2019-12-24 2019-12-24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CN202011303398.8A CN113035337A (zh) 2019-12-24 2020-11-19 药品管理用条形码生成方法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29A KR102319626B1 (ko) 2019-12-24 2019-12-24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09A true KR20210081709A (ko) 2021-07-02
KR102319626B1 KR102319626B1 (ko) 2021-11-02

Family

ID=7645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929A KR102319626B1 (ko) 2019-12-24 2019-12-24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9626B1 (ko)
CN (1) CN1130353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148B1 (ko) 2021-04-07 2022-02-18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477A (ko) * 2000-03-30 2001-11-07 임주택 신발 생산공정에서 생산실적정보를 조회 관리하는 시스템
KR20070000085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 바코드를 이용한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JP2008141726A (ja) * 2006-09-29 2008-06-19 Konica Minolta Systems Lab Inc 検証機能を有する高解像度バーコード及び文書
KR20120086045A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식별정보를 이용한 약품재고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48370B1 (ko) * 2011-03-24 2017-06-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식별 코드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938A (ja) * 1997-06-26 1999-01-22 D T P:Kk バーコード、携帯端末および商品管理方式
CN1680976A (zh) * 2005-02-01 2005-10-12 陈正贤 一种利用条形码扫描枪快速采集交易信息的方法
KR101175263B1 (ko) * 2010-07-20 2012-08-21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자동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N102708529B (zh) * 2012-05-16 2015-01-14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药房药品仓储信息管理系统
CN102867246A (zh) * 2012-09-08 2013-01-09 无锡中科苏惠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条码的塑料料团袋管理方法
CN105404243B (zh) * 2014-08-28 2020-03-17 梯梯电子集成制造服务(苏州)有限公司 工业生产线中的流程控制及制造执行系统
CN104408603A (zh) * 2014-12-10 2015-03-11 甘肃惠森药业发展有限公司 一种仓库管理中药材的方法
CN109255544A (zh) * 2018-09-28 2019-01-22 赛拓信息技术有限公司 药店管理系统
CN109547214B (zh) * 2018-12-26 2022-10-11 成都健数科技有限公司 一种药物信息采集追踪方法
CN109784944B (zh) * 2018-12-26 2022-09-20 成都健数科技有限公司 一种药品信息采集首营审批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477A (ko) * 2000-03-30 2001-11-07 임주택 신발 생산공정에서 생산실적정보를 조회 관리하는 시스템
KR20070000085A (ko) * 2005-06-2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 바코드를 이용한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JP2008141726A (ja) * 2006-09-29 2008-06-19 Konica Minolta Systems Lab Inc 検証機能を有する高解像度バーコード及び文書
KR20120086045A (ko) *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유비케어 약품 식별정보를 이용한 약품재고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748370B1 (ko) * 2011-03-24 2017-06-1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식별 코드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148B1 (ko) 2021-04-07 2022-02-18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626B1 (ko) 2021-11-02
CN113035337A (zh)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34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unterfeit pharmaceutical drugs at the point of retail sale
US7274286B2 (en) ID issue management system, artic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D issue management method
WO2019154392A1 (zh) 兼容标准物品编码的供应链数据采集方法和系统及服务器
US200100302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on of packing and shipping operations using two-dimensional bar codes
US9298997B1 (en) Signature-guided character recognition
CN102741868A (zh) 用于定义制造物品并且存储与制造物品有关的数据的方法和设备
KR20060124675A (ko) 코드, 바코드 및 라디오 주파수 식별을 사용하는 상품 식별및 인증 방법
CN108734475B (zh) 一种基于大数据关联度分析的溯源防伪方法
CN103854185A (zh) 二维码、防伪码、rfid标签与手机应用相结合的防伪系统
US20190139637A1 (en) Synchronization of hierarchical data
CN112258074B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电商商品仓储物流智能调度方法
KR20120058650A (ko) 관리코드를 통한 일반의약품의 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JP6930836B2 (ja) 物品物流管理システム及び物品物流管理方法
KR102319626B1 (ko) 의약품 관리용 바코드 생성방법 및 장치
WO2010029941A1 (ja) Icタグ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192233B1 (ko) Rfid-바코드 통합 시스템 및 방법
JP2023160952A (ja) 在庫管理装置、在庫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153242A (ja) 返品情報生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979541A (zh) 货单相符验证和追溯系统及方法
CN111667281B (zh) 一种基于电子秤节点的区块链农产品溯源系统及溯源方法
WO20171804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authentication and anti-counterfeiting
US941208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product identification to medication identification
CN105956868B (zh) 实现商品的本体信息与外包装信息关联的方法及商品
CN109716347A (zh) 扫描系统
CN113255467A (zh) 一种调味品原料销售智慧追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