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901B1 -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 Google Patents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901B1
KR102363901B1 KR1020210137888A KR20210137888A KR102363901B1 KR 102363901 B1 KR102363901 B1 KR 102363901B1 KR 1020210137888 A KR1020210137888 A KR 1020210137888A KR 20210137888 A KR20210137888 A KR 20210137888A KR 102363901 B1 KR102363901 B1 KR 10236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rofile
reinforcing member
rolle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운
심재훈
Original Assignee
리플래시기술 주식회사
솔루션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플래시기술 주식회사, 솔루션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리플래시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평판의 판면 일단에는 연결돌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하부로 상기 연결돌부가 맞춤결합되는 연결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돌부와 연결홈부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T자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들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의 평판인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 롤러와,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리브들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에 요철 형상의 미끄럼 방지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롤러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보강부재는 중앙의 보강리브 상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양측으로는 판면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다 상향 절곡되게 하여 양측 보강리브의 상단부측 코너에 위치하여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되는 오메가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의 상부를 감싸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이격시켜 펀칭홀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기 상부 롤러에는 상기 보강리브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타이밍 롤러가 축결합되고, 상기 타이밍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한 펀칭홀에 맞춤 끼워지도록 돌출시킨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Profile liner for construction of a lining pipe for reinforcement of an aged existing pipes}
본 발명은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메가 형상의 보강부재를 3개의 보강 리브에 걸쳐 결합되도록 하면서 중간 위치의 보강 리브의 상부면을 커버하는 보강부재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펀칭홀이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롤러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보강부재의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하여 강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프로파일과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여 정확하고 안정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수관, 하수도관, 상수도관, 가스관 등의 기설관에 있어서 균열이나 부식 등에 의해 노후화했을 때의 대책으로서, 기설관의 내주면을 합성 수지 등으로 라이닝함으로써 기설관을 갱생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하수도관 등 기설관의 내면에 라이닝관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부가 형성된 장척의 프로파일을 기설관 내에서 나선상으로 제관하는 방법이 있다.
즉, 프로파일을 감은 드럼을 지상에 설치하고, 그 드럼으로부터 프로파일을 기설관 내에 배치된 자주식 제관기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기설관 내에서 프로파일을 나선상으로 감아 돌림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띠형상 부재의 측연부(접합부)끼리를 상호 접합시킴으로써 라이닝관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57865호(2011.08.11.)의 기설관의 라이닝 시공방법 및 그 시공 방법에 이용되는 제관기에서는 양측 가장자리부에 접합부가 형성된 장척의 프로파일을 나선상으로 감아 돌리고 서로 인접하는 접합부끼리를 상호 접합시킴으로써 라이닝관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중 프로파일은 합성 수지를 장척의 띠형상으로 성형하면서 복수의 리브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양측 가장자리부에는 각각 서로 안팎으로 중첩되어 계합되는 접합 블록부와 접합 오목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 접합 블록부의 근방에 지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밀봉재가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2개의 리브 사이에는 금속재를 절곡시킨 W자형의 보강 부재를 끼워 넣어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프로파일은 제관기의 롤러와 상호 밀착되는 보강용 리브의 밀착면에 미세하게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면 밀착면간 밀착력이 약화되면서 미끄러짐이 발생되어 제관 오류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특허 제1057865호(2011.08.1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강부재의 단면적을 확장시켜 강도를 증강시킴으로써 프로파일의 강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파일의 보강리브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보강부재의 판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펀칭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펀칭홀에 맞춤 삽입되도록 상부 롤러에 축결합되도록 한 타이밍 롤러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롤러의 회전 시 롤러와 밀착되는 보강리브와 함께 보강부재와의 미끄럼 방지에 의해 정확하고 안정된 프로파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는, 평판의 판면 일단에는 연결돌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하부로 상기 연결돌부가 맞춤결합되는 연결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돌부와 연결홈부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T자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들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의 평판인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 롤러와,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리브들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에 요철 형상의 미끄럼 방지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롤러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보강부재는 중앙의 보강리브 상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양측으로는 판면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다 상향 절곡되게 하여 양측 보강리브의 상단부측 코너에 위치하여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되는 오메가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의 상부를 감싸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이격시켜 펀칭홀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기 상부 롤러에는 상기 보강리브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타이밍 롤러가 축결합되고, 상기 타이밍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한 펀칭홀에 맞춤 끼워지도록 돌출시킨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리브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 상향 이격되게 함으로써 단면적이 확장되게 하여 보강 강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리브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점차 폭이 축소되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리브의 상단부 폭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타이밍 롤러는 상기 상부 롤러에서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는 소경부와 함께 일측에서 한 쌍의 보강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대경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타이밍 롤러의 소경부는 외경이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되는 펀칭홀 간 간격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타이밍 롤러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는 상기 보강부재의 펀칭홀간 간격과 동일한 길이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에 의해 프로파일의 강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면서 보강리브의 상부로 연장형성되게 함으로써 단면적 확장에 의해 프로파일의 두께를 조정하지 않아도 간단히 강성 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리브의 상부를 감싸는 보강부재의 상부면에서 일정 길이마다 형성되도록 한 펀칭홀에 상부 롤러에 축결합된 타이밍 롤러의 외주면에 형성한 걸림돌기가 맞춤 결합되게 함으로써 롤러의 회전에 의해 보강리브에서 비록 미끄러짐이 발생되더라도 보강부재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정확하고 안정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의 프로파일을 예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의 프로파일을 예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의 타이밍 롤러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에서 프로파일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의 작동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는 크게 프로파일(10)과 상부 롤러(20) 및 하부 롤러(3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다.
즉, 프로파일(10)은 다시 평판의 판면 양단부로 일단에는 연결돌부(11)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연결돌부(11)와 맞춤결합되도록 하는 연결홈부(12)를 형성하며, 양단의 연결돌부(11)와 연결홈부(12)의 사이에는 동일한 간격을 이격하여 T자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복수의 보강리브(13)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들 보강리브(13)들 사이에는 금속재질의 보강부재(14)가 맞춤 삽입되도록 한다.
보강리브(13)는 상단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2개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 바 통상 3개로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단의 연결홈부(12)에는 연결돌부(11)의 상부가 하부로부터 맞춤 삽입되도록 하향 개방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단부는 보강리브(13)와 동일한 높이로 T자형의 리브가 형성되도록 한다.
프로파일(10)은 평판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연결돌부(11)와 연결홈부(12) 및 보강리브(13)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프로파일(10)의 하부면에는 외주면이 평면인 하부 롤러(20)가 구비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 롤러(20)에 대응하는 프로파일(10)의 상부에는 상부 롤러(30)가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상부 롤러(30)는 다양한 직경의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31)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플랜지부(31)의 사이에는 보다 작은 외경으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그 외주면에는 요철 형상의 미끄럼 방지면(32)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상부 롤러(30)에는 연결돌부(11)와 보강리브(13)들 사이와 각 보강리브(13)들 사이 및 보강리브(13)와 연결홈부(1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플랜지부(31)를 형성하고, 이들 플랜지부(31) 사이는 각각 연결돌부(11)의 리브면 상단부와 함께 각 보강리브(13)의 상단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면(32)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프로파일(10)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보강부재(14)는 3개의 보강리브(13)에 걸쳐 오메가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3개의 보강리브(13) 중 중간에 위치하는 보강리브(13)의 상부를 보강부재(14)의 폭 중간부위가 상부에서 감싸도록 하고, 상부면으로부터 양측으로는 프로파일(10)의 판면 바닥에 밀착되도록 연장되도록 절곡시킨 후 판면 바닥에 밀착된 일정 길이에서 각각 상향 절곡되게 하여 양측 보강리브(13)의 상단부측 코너에 양단부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보강리브(13)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는 보강부재(14)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이격시켜 펀칭홀(14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파일(10)의 보강리브(13)들이 형성되는 상부에는 상부 롤러(30)가 형성되고, 이 상부 롤러(30)는 보강리브(13)의 상부면과 보강부재(14)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이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형상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만, 보강부재(14)의 펀칭홀(140)을 형성하는 폭 중간 부위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상부 롤러(3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타이밍 롤러(33)가 축결합되도록 하고, 타이밍 롤러(33)에는 외주면으로 펀칭홀(140)에 맞춤 삽입되도록 걸림돌기(33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보강부재(14)는 도 5에서와 같이 보강리브(13)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가 상부로 이격되게 함으로써 단면적이 확장되게 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보강부재(14)의 단면적을 확장시키게 되면 프로파일(10)의 강성을 더욱 보강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 프로파일(10)의 판면 두께를 늘리지 않아도 되므로 프로파일(10)의 두께별 다양한 제조가 필요치 않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보강부재(14)는 보강리브(13)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면 양단이 하부로 하향 연장되도록 하여 상부면으로부터 점차 폭이 축소되도록 하면서 프로파일(1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단부간 폭이 보강리브(13)의 상단부 폭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14)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상부 롤러(30)의 타이밍 롤러(33)는 보강부재(14)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소경부와 함께 이 소경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인접하는 한 쌍의 보강리브(13) 사이의 공간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도록 하는 대경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타이밍 롤러(33)에서 소경부는 외경이 보강부재(14)에 형성되는 펀칭홀(140)간 간격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 타이밍 롤러(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30)는 보강부재(14)에 형성되는 펀칭홀(140)간 간격과 동일한 길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외주면에서 걸림돌기(330)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는 프로파일(10)에 결합되는 보강부재(14)의 형상 개선과 함께 이 보강부재(14)에 연결되는 상부 롤러(30)에서의 타이밍 롤러(33)의 구비에 의해 라이닝관 시공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로파일(10)에서 3개의 보강리브(13)들에 걸쳐 오메가 형상의 보강부재(14)가 결합되도록 하면서 3개의 보강리브(13)들 중 중간에 위치하는 보강리브(13)의 상부면을 보강부재(14)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하는 동시에 양측면은 평판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양측의 보강리브(13)의 상단부 코너에서 양단부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보강부재(14)의 단면적을 확장시켜 프로파일(10)의 강성이 보다 보강되도록 한다.
폭 넓은 보강부재(14)의 형성에 의해 시공 후 벽체의 내부로 채워지게 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처짐발생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시공이 되도록 한다.
특히, 보강부재(14)의 보강리브(13)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면이 보강리브(13)의 상부로부터 이격되는 높이의 길이 조정에 의해서 간단히 보강부재(14)의 단면적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더 이상 프로파일(1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프로파일(10)의 판면 두께를 증감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프로파일(10)을 단순화하여 제작할 수가 있으며, 단지 보강부재(14)의 형성 길이만을 조절하여 절곡 부위만 변경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프로파일(10)이 제작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재(14)의 보강리브(13)의 상부를 커버하게 되는 판면으로 일정 길이 간격으로 펀칭홀(140)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보강부재(14)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 롤러(30)의 타이밍 롤러(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30)가 펀칭홀(140)에 맞물리도록 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부 롤러(30)의 구동에 의해 타이밍 롤러(33)가 회전하면서 걸림돌기(330)에 의해 보강부재(14) 또한 프로파일(10)과 함께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강리브(13)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상부 롤러(30)측 미끄럼 방지면(32)과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되더라도 보강부재(14)와 타이밍 롤러(33)의 펀칭홀(140)에 걸림돌기(330)가 맞춤 결합되어 있게 되므로 보강부재(14)와 함께 프로파일(10) 전체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라이닝관 시공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히 보강부재(14)의 형상을 개선하면서 이 보강부재(14)에 밀착되는 타이밍 롤러(33)와의 사이에 펀칭홀(140)과 걸림돌기(330)가 맞춤결합되게 하는 간단한 구조 개선에 의해 프로파일(10)의 제조비 절감과 함께 서로 다른 강도의 프로파일(10) 종류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프로파일(10)의 좀더 폭 넓은 보강부재(14)의 연결에 의해 시공 후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서도 쳐짐이 방지되도록 하여 시공 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프로파일
11 : 연결돌부 12 : 연결홈부
13 : 보강리브 14 : 보강부재
140 : 펀칭홀
20 : 하부 롤러
30 : 상부 롤러
31 : 플랜지부 32 : 미끄럼 방지면
33 : 타이밍 롤러 330 : 걸림돌기

Claims (6)

  1. 평판의 판면 일단에는 연결돌부를 형성하고, 타단에는 하부로 상기 연결돌부가 맞춤결합되는 연결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돌부와 연결홈부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T자형으로 상향 돌출되게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들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프로파일과, 상기 프로파일의 평판인 하부면에 밀착되는 하부 롤러와,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에서 상기 보강리브들의 상부면과 밀착되는 부위에 요철 형상의 미끄럼 방지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롤러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상기 보강부재는 중앙의 보강리브 상부를 감싸도록 하면서 양측으로는 판면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다 상향 절곡되게 하여 양측 보강리브의 상단부측 코너에 위치하여 상향 이탈이 방지되게 설치되는 오메가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보강리브의 상부를 감싸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이격시켜 펀칭홀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프로파일의 상부로 구비되는 상기 상부 롤러에는 상기 보강리브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타이밍 롤러가 축결합되고, 상기 타이밍 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한 펀칭홀에 맞춤 끼워지도록 돌출시킨 걸림돌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리브의 상부로부터 일정 높이 상향 이격되게 함으로써 단면적이 확장되게 하여 보강 강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리브의 상부를 감싸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점차 폭이 축소되도록 하면서 상기 보강리브의 상단부 폭보다는 작은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롤러는 상기 상부 롤러에서 상기 보강부재의 상부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는 소경부와 함께 일측에서 한 쌍의 보강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일정 깊이 삽입되는 대경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롤러의 소경부는 외경이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되는 펀칭홀 간 간격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롤러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는 상기 보강부재의 펀칭홀간 간격과 동일한 길이에 형성되도록 하는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KR1020210137888A 2021-10-15 2021-10-15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KR10236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88A KR102363901B1 (ko) 2021-10-15 2021-10-15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888A KR102363901B1 (ko) 2021-10-15 2021-10-15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901B1 true KR102363901B1 (ko) 2022-02-18

Family

ID=8049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888A KR102363901B1 (ko) 2021-10-15 2021-10-15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9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88A (ja) * 1995-07-10 1997-01-21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ライニング用プロファイ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既設管のライニング工法
JPH11105134A (ja) * 1997-09-30 1999-04-20 Sekisui Chem Co Ltd ライニング管用帯状体及び既設管のライニング方法
KR101057865B1 (ko) 2004-08-27 2011-08-19 리플래시기술 주식회사 기설관의 라이닝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방법에 이용되는 제관기
KR101495098B1 (ko) * 2014-03-26 2015-02-25 주식회사 마중물 보강 튜브 공급 속도 조절 장치를 포함한 보강 튜브 공급 장치
KR101502830B1 (ko) * 2014-06-17 2015-03-18 주식회사 뉴보텍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488A (ja) * 1995-07-10 1997-01-21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ライニング用プロファイ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既設管のライニング工法
JPH11105134A (ja) * 1997-09-30 1999-04-20 Sekisui Chem Co Ltd ライニング管用帯状体及び既設管のライニング方法
KR101057865B1 (ko) 2004-08-27 2011-08-19 리플래시기술 주식회사 기설관의 라이닝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방법에 이용되는 제관기
KR101495098B1 (ko) * 2014-03-26 2015-02-25 주식회사 마중물 보강 튜브 공급 속도 조절 장치를 포함한 보강 튜브 공급 장치
KR101502830B1 (ko) * 2014-06-17 2015-03-18 주식회사 뉴보텍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6191A (en) Reinforced metal box culvert
US4977931A (en) Method of producing reinforced ribbed tubes
EP0001894B1 (en) Elongated strip for the formation of tubular articles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trip into an article
CA2119035C (en) Helically wound reinforced ribbed composite structure
EP0710340A1 (en) Plastic profiled strip forming helically wound tube using hinged flap for jointing
KR102363901B1 (ko) 노후된 기설관 보강을 위한 라이닝관 시공용 프로파일 라이너
JP6518354B2 (ja) 管渠用ライニング管の連結部材
KR101200091B1 (ko) 내경코팅부를 구비한 원료 절약형 폴리프로필렌 하수관
EP0023242B1 (en) Profiled strips and method of forming tubular articles with these strips
WO2017081462A1 (en) Channel section for forming a drainage channel and method of rotational moulding a channel section
JP2011094670A (ja) 螺旋管の補強用部材
JP2014104610A (ja) 既設管更生用帯状部材
KR200394047Y1 (ko) 파형강판과 이의 결합구조체
JP3713598B2 (ja) U字溝
JP3567326B2 (ja) U字溝
JP2008132629A (ja) 製管機
JP4450458B2 (ja) 空洞構造体内面の覆工方法
JP5475369B2 (ja) 螺旋管形成用ストリップ
JP2849365B2 (ja) 暗渠用内面平滑可撓継手
JP7032171B2 (ja) 帯状部材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CN218992625U (zh) 双重钢塑复合增强缠绕管
JP7271290B2 (ja) 更生帯材
JP2005262573A (ja) 管更生部材
JP2023047552A (ja) 更生管及び更生管用帯状部材
JP7241501B2 (ja) 水路付きトン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