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46B1 -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 Google Patents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646B1
KR102363646B1 KR1020170123477A KR20170123477A KR102363646B1 KR 102363646 B1 KR102363646 B1 KR 102363646B1 KR 1020170123477 A KR1020170123477 A KR 1020170123477A KR 20170123477 A KR20170123477 A KR 20170123477A KR 102363646 B1 KR102363646 B1 KR 102363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ssembly
scattering
light source
microstru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5152A (ko
Inventor
링슈안 주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비젼 filed Critical 발레오 비젼
Publication of KR2018003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98Producing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5Strips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7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5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부분(P1, P2)을 구비한 부품을 포함하는 광 산란 조립체(14),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광 산란 조립체의 제 1 부분(P1)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 1 부분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제 1 부분을 통과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미세 구조체들(20)을 갖는 투명 산란 스크린을 형성함;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며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미세 구조체가 없는 제 2 부분(P2)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외부 영역(P2E)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제 1 부분(P1)의 주연부(P1B)를 넘어서 상기 제 1 부분(P1)으로부터 멀리 연장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P1)과 상기 제 2 부분(P2)은 서로 접촉하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Description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PROCESS FOR OBTAINING A LIGHT-SCATTERING ASSEMBLY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광 산란 조립체(light-scattering assembly)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분야, 특히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에 있어서, 발광 광원에 의해 방출된 빛의 광 경로 상에 배치되며 산란 특성을 가지는 구조체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 구조체는 획득된 조명 효과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 이는 발광 광원이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복수의 점 모양 발광 소자를 포함할 때에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산란 구조체의 사용에는 단점이 없지 않다. 특히, 이러한 구조체는 대개는 그의 투명한 면 상에 배치되어 산란 스크린을 형성하는 미세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미세 구조체는 특히 취약하므로 취급에 어려움을 겪게 한다. 특히, 이러한 취약성은 사출 성형으로 제작되는 미세 구조체들에 있어서 이들이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을 사용하지 않는 제조 공정에서 사용 가능한 열경화성 수지보다 더 취약한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는 한은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산란 미세 구조체, 특히 사출 성형으로 얻어진 구조체의 열화 위험을 감소시키는 이러한 유형의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부분(section)을 구비한 부품을 포함하는 광 산란 조립체,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광 산란 조립체의 제 1 부분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 1 부분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며 상기 제 1 부분을 통과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미세 구조체들을 갖는 투명 산란 스크린을 형성함;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며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미세 구조체가 없는 제 2 부분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외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제 1 부분의 주연부를 넘어서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멀리 연장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서로 접촉하게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의 미세 구조체들은 산란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산란 영역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상기 산란 영역의 주연부와 대면하게 배치된 내부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은 불투명하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은 투명하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이중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서로 다른 재료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미세 구조체가 제 1 부분에 배치되되 제 1 부분의 제 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면의 반대 측인 제 1 부분의 제 2 면을 거쳐서 제 2 부분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제 2 부분은 광 산란 조립체를 수용 구조체에 체결시키기에 적합한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광 산란 조립체를 파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는 광 산란 조립체를 제 2 부분을 통해 취급하는 것에 의해서만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서로 일체가 된다.
본 발명은 또한, 광 산란 조립체, 특히 차량용 광 산란 조립체로서,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미세 구조체들을 갖는 투명 산란 스크린을 형성하는 제 1 부분, 여기서, 상기 투명 산란 스크린은 상기 제 1 부분을 통과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됨;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며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미세 구조체가 없는 제 2 부분 - 여기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외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제 1 부분의 주연부를 넘어서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멀리 연장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서로 접촉해서 서로 결합되는, 광 산란 조립체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의 미세 구조체들은 산란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산란 영역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상기 산란 영역의 주연부와 대면하게 배치된 내부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서로 다른 재료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은 불투명하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자동차용 발광 장치로서,
발광에 적합한 발광 광원; 및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광 산란 조립체 - 여기서, 광 산란 조립체의 제 1 부분은 발광 광원에 의해 방출된 빛의 적어도 일부의 광 경로 상에 개재됨 - 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발광 장치는 자동차용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이다.
본 발명은 조립체를 제조하는 순간부터 조립체 내에는 제 2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립체에 필요한 취급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미세 구조체의 열화 위험, 특히 망가지기 쉬운 위험을 제한할 수 있게 수행될 수 있다.
단지 예로서 제공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게 되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란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산란 조립체를 관통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장치(2)(이하, 장치(2)라 칭 함)를 도시하고 있다.
장치(2)는 유리하게는 자동차에 통합되도록 의도된 장치이다. 즉, 자동차용 발광 장치가 논의 대상이다.
유리하게는, 장치(2)는 자동차용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이다.
이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측광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측광 기능은 예를 들면 인간의 눈에 보이는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기능이다. 이러한 측광 기능들은 색상, 강도, 시험 화면이라고 하는 것 위에서의 공간 분포, 또는 방출되는 빛에 대한 가시 범위와 관련된 요건들을 명시하는 하나 이상의 규정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장치(2)는 예를 들면 조명 장치이고, 게다가 차량 전조등 또는 헤드라이트이다. 그래서 장치는 예를 들어 "딥트 빔(dipped-beam)" 기능이라고 하는 하향 빔 기능, "주 빔(main-beam)" 기능이라고 하는 상향 빔 기능, 및 "안개등" 기능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측광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병행해서, 장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신호 발생 장치일 수 있다.
장치가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경우, 제공하도록(선택적으로는, 조명 장치로서의 역할을 함에 있어서 제공하게 되는 측광 기능들에 부가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된 측광 기능들에는 방향 표시기 기능, 주간 주행등 기능(DRL: daytime-running-light) 기능, 차량 전방에 특징적 외관(signature look)을 부여하도록 의도된 발광 기능, 위치등 기능, 및 측면 표시기(side-marker) 기능이라고 하는 것이 포함된다.
장치가 후방에 배치되도록 의도된 경우, 측광 기능들에는 후진등 기능, 브레이크등 기능, 안개등 기능, 방향 표시기 기능, 차량 후방에 특징적 외관을 부여하도록 의도된 발광 기능, 주차등 기능, 및 측면 표시기 기능이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장치(2)는 차량의 승객실을 조명하도록 제공되고, 그러면 주로 차량의 승객실에 빛을 방출하도록 의도된다.
이하에서는 장치(2)를 차량 외부로 빛을 방출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후방 신호 발생 장치인 구성으로 설명하는데, 이는 비제한적인 설명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치(2)는 케이싱(4) 및 폐쇄 외부 렌즈(6)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과 렌즈는 서로 상호 작용해서 내부에 공동(8)을 한정한다.
장치(2)는 또한 전부 또는 일부가 공동(8) 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모듈(10)(이하, 모듈(10)이라 칭함)을 포함한다.
모듈(10)은 장치(2)의 발광 코어를 형성한다.
모듈은 발광 광원(12)과, 본 발명에 따른 광 산란 조립체(14)(이하, 조립체(14)라 칭함)를 포함한다.
발광 광원(12)(이하, 광원(12)이라 칭함)은 장치(2)가 작동하는 동안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광원(12)은, 예를 들면, 전력을 공급받을 때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발광 반도체 소자(16)를 포함한다.
이들 소자(16)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의 형태를 취한다.
소자들은 광원(12)의 기판(18) 상에 배치되고, 예를 들면,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으로 기판 위에 분포된다. 소자들은, 예를 들면, 기판에 수직인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으로 빛을 (적어도 국부적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다이오드의 적어도 일부는 이 수직 방향 이외의 방향, 예를 들어 기판의 대응하는 부분에 접하는 접선 방향과 상기 수직 방향 사이에 각을 이루어 구성된 방향(예컨대 상기 접선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광원(12)에 의해 발생된 빛은 폐쇄 외부 렌즈의 방향으로(선택적으로는, 소자들(16)에 의해 방출된 빛을 편향시키도록 마련된 광학 편향 장치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조립체(14)는 광원(12)에 의해 발생된 빛의 적어도 일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조립체는 이 빛의 적어도 일부를 산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조립체(14)는 광원(12)과 대면하게 배치된다. 조립체는 광원(12)에 의해 방출된 빛의 광 경로 상에 개재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조립체는 광원(12)과 외부 렌즈(6) 사이에 개재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체(14)는 제 1 부분(P1) 및 제 2 부분(P2)을 포함한다.
상기 2 개의 부분(P1, P2)은 결합해서 산란 조립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유리하기로는, 이 일부분이 조립체(14)가 되는 것이다.
상기 2 개의 부분들(P1, P2)은 서로 결합된다.
상기 부분들은 서로 일체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일체"라는 의미는 두 부품들이 후시적으로 서로 결합되는 구성과는 대조되게 두 부분들이 단일품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부분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접촉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서로 접촉하게 형성"이라 함은, 두 부분 중 한 부분을 (예를 들면, 경화 후에) 얻기 위한 적어도 그 재료는 다른 부분이 이미 형성된 경우에는 그 다른 부분과 접촉하게 배치되거나, 혹은, 사실상, 다른 부분을 (예를 들면, 경화 후에) 얻기 위한 재료와 접촉하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부분들은 예를 들어 같은 수준의 크기인 두께를 갖는다.
제 1 부분(P1)은 조립체(14)의 중앙 부분을 형성한다. 제 2 부분(P2)은 조립체(14)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조립체의 외부 경계를 한정한다.
제 1 부분(P1)은 임의의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은 앞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과 같은 일반적인 다각형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은 그가 포함하고 있는 직사각형 스트립형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도 또한 구비하며, 이 아암은 예를 들면 구부러진 형태이다.
제 1 부분(P1)은 선택적으로는 만곡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2의 배향 방향에서 위에서 본 것과 같은 대응하는 구성에서, 제 1 부분(P1)은 만곡되어 있다.
조립체를 관통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P1)은 예를 들면 중앙부(P1C) 및 주연부(P1B, 도 3 참조)를 갖는다.
중앙부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면 직사각형과 같은 일반적인 다각형 형상을 갖는다. 중앙부는 예를 들면 주연부에 대하여 융기된다.
중앙부(P1C)와 주연부(P1B)는 예를 들면 연접부(P1J)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연접부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계단 모양의 형태를 갖는다.
주연부(P1B)는 제 2 부분(P2) 상에 제 1 부분(P1)을 위한 지지 영역을 형성한다. 이 주연부는 예를 들면 중앙부(P1C)로부터 연장되는 칼라 또는 스트립재의 형태를 취한다. 이 주연부는 예를 들면 중앙부(P1C)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주연부(P1B)는 중앙부(P1C)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연장된다. 도 2 및 도 3의 예에 있어서, 이는 주연부의 일부분의 주위에서만 연장되는 것으로서, 도 2에서 가장 오른쪽에 위치되고 조립체의 측면 단부를 형성하는 조립체의 그 부분은 주연부를 갖지 않는다. 오른쪽에 위치한 이 부분은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됨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제 1 부분(P1), 특히 적어도 중앙부는 그를 통과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제 1 부분은 광 산란 스크린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제 1 부분은 미세 구조체들(20)을 포함한다(도 2에는 미세 구조체의 일부만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미세 구조체(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이들 미세 구조체는 취약하며, 특히나 일례로 손이나 파지 물체에 의해 건드려질 때에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 미세 구조체(20)는 이들에 도달하는 빛을 회절을 통해, 이 예에서는 투과 시의 회절에 의해 산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미세 구조체들은 광원(12)에 의해 방출된 빛의 파장의 크기 수준과 이 수준의 크기의 100배 사이에 포함된 크기 수준의 특성 치수를 갖는다.
이들 미세 구조체들은 예를 들면 제 1 부분(P1)의 표면에서 만들어진 오목부 및/또는 돌출부의 형태를 취한다.
미세 구조체들은 예를 들면 행 및/또는 열로 이루어진 배열체(예를 들어 행렬 배열의 배열체 등과 같은 것)와 같은 규칙적인 배열체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미세 구조체들은 불규칙한 배열체로 형성된다.
미세 구조체들은 제 1 부분의 영역(22) 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 영역은 미세 구조체들에 의해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인다.
이 영역(22)은 제 1 부분(P1)의 외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이 외면은 장치의 폐쇄 외부 렌즈(6) 쪽으로 향한다.
이 영역(22)은 예를 들면 제 1 부분의 중앙부(P1C)의 전체를 실질적으로 덮는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영역은 연접부(P1J)의 일부에 걸쳐서 연장된다.
제 2 부분(P2)은 제 1 부분의 열화를 피할 수 있게 하면서, 특히 미세 구조체들(20)의 열화를 피할 수 있게 하면서 제 1 부분(P1)의 파지 및 설치를 더 용이하게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제 2 부분(P2)은 제 1 부분(P1)과 접촉하게 연장된다.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미세 구조체를 지지하는 면의 반대쪽인 제 1 부분(P1)의 표면을 거쳐, 즉 이 예에서는 광원(12)을 향한 제 1 부분(P1)의 내면을 거쳐, 서로 접촉한다.
제 2 부분(P2)은 예를 들면 제 1 부분(P1)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반적인 틀 모양의 형태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의 예에서,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의 주연부(P1B)와 동일한 제 1 부분의 주연부의 부분의 길이로 연장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부분(P2)은 외부 영역(P2E), 중앙 영역(P2C), 및 내부 영역(P2I)을 포함한다. 외부 영역과 중앙 영역은 서로 일체가 된다. 또한, 중앙 영역과 내부 영역은 서로 일체가 된다.
외부 영역(P2E)은 제 1 부분(P1)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제 1 부분(P1)으로부터 멀리 그 제 1 부분이 미치지 않는 곳으로 연장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영역(P2E)은 제 1 부분(P1)의 주연부(P1B)로부터 돌출되어서, 제 1 부분(P1)의 주연부의 대응 부분 주위에서 중심부(P1C)로부터 멀리 그 중심부가 미치지 않는 곳으로 연장된다.
이 외부 영역(P2E)은 제 1 부분을 직접적으로 취급할 필요 없이 조립체(14)를 파지하고 취급하기 위한 부분을 형성한다.
외부 영역(P2E)은 예를 들면 칼라 형태를 취한다. 즉, 외부 영역은 조립체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조립체(14)의 나머지 부분과 접경하는 스트립재의 형태를 취한다. 외부 영역은 예를 들면 제 1 부분의 중앙부(P1C)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외부 영역(P2E)은 제 1 부분(P1)의 주연부(P1B)가 포괄하는 범위의 거리 전체에 걸쳐 연장되거나, 또는 실제로는 그 거리의 일부분에만 걸쳐 연장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외부 영역은 설부의 형태, 즉 주연부로부터 멀리 돌출되어 서로 떨어져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빈 공간과 중심 영역(P2C)으로부터 연장되는 브리지가 번갈아 있는 형태를 갖는 설부의 형태를 포함하거나 취한다. 즉, 외부 영역의 스트립의 형태는 그가 포괄하는 범위의 거리를 따라 불연속적이다.
중앙 영역(P2C)은 이와 접촉하는 제 1 부분의 주변부(P1B)를 위한 지지 영역을 형성한다.
중앙 영역은 예를 들면 내부 및 외부 영역과 연대하여서 상기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 사이에 접시의 형태를 취한다.
중앙 영역은 예를 들면 제 1 부분(P1)의 중앙부(P1C)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내부 영역(P2I)도 또한 제 1 부분(P1)을 위한 지지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부 구성은 선택 사항이며, 그러면 내부 영역은 제 1 부분의 배면과 반드시 접촉하게 하지 않아도 됨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내부 영역은,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연장 시에 제 1 부분의 중앙 부분(P1C)을 향해 연장된다(이 경우, 중앙 영역은 접시를 형성하지 않는다).
유리하기로는, 내부 영역(P2I)은, 미세 구조체(20)를 포함하고 산란 영역의 경계를 한정하는 산란 영역(22)의 주연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향하게 배치된다. 유리하게는, 이는 제 2 부분(P2)이 포괄하는 범위의 거리 전체에 걸친 경우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영역(P2I)의 적어도 일부는 산란 영역(22)의 가장자리를 광원(12)에 대해서 덮어 가리는 마스크를 형성한다. 이 마스크는 이 산란 영역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의 산란 영역의 주변 부분을 덮고, 유리하기로는 제 1 부분(P1) 주위에 한정된 거리로서 제 2 부분(P2)이 포괄하는 범위의 거리 전체에 걸쳐 덮는다.
따라서, 내부 영역(P2I)에 의해 광원(12)의 빛으로부터 가려진 산란 영역의 구역들은 도 3에서 보면 파선으로 경계 지어져 있다.
유리하기로는, 제 2 부분(P2)은 조립체(14)를 수용 구조체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24)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수용 구조체는 예를 들면 케이싱(4)이거나, 혹은 실제로는 이 케이싱에 대해 고정된 프레임이다.
예를 들어, 체결 수단들(24)은 조립체(14)를 접착제 접착, 나사 체결, 클립 체결 및/또는 리벳팅에 의해 체결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체결 수단들(24)은 예를 들면 나사 체결 또는 리벳팅을 위한 나사 또는 리벳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각각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병행해서, 체결 수단들은 설부, 또는 클립 체결용 설부를 수용하기 위한 구역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병행해서, 체결 수단들은 접착제 접착을 통해 수용 구조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구역을 포함한다.
체결 수단(24)은 예를 들면 외부 영역(P2E)에 의해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체결 수단들은 중앙 영역(P2C) 또는 내부 영역(P2I)에 의해 지지된다. 체결 수단(24)이 다양한 체결 기술을 사용하여 조립체(14)를 체결하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요소들이 제 2 부분(P2)의 여러 영역들 사이에 분포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2 개의 부분(P1, P2)을 만드는 하나 이상의 재료에 관해서는 복수의 실시예를 구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부분(P1)은 광원(12)에 의해 방출된 빛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특히, 산란 영역(22)은 그에 따라 투명하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2 부분(P2)은 광원(12)에 의해 방출된 빛에 대해 불투명하다.
제 2 부분(P2)은 예를 들면 적색 또는 흑색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부분(P1)과 제 2 부분(P2)은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제 1 부분(P1)은 예를 들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두문자어로는 PMMA) 또는 심지어 폴리카보네이트(두문자어로는 PC)를 포함한다.
제 2 부분(P2)은 예를 들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두문자어로는 ABS)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은 불투명한 흑색 또는 적색 PMMA로 제작되는 반면, 제 1 부분은 투명한 적색 또는 무색 PMMA로 제작된다.
부분들(P1, P2)의 불투명도 및 색상은 그 부분을 만들어내는 것으로서 그 부분들의 다른 요소들에 첨가되는 첨가제, 특히 폴리머의 성질 및 양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된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투명한 적색 PMMA와 무색 PMMA 사이의 차이는 적색 PMMA를 얻기 위해서는 적색 염료인 후속해서 중합되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첨가한 결과 및 무색 PMMA를 위해서는 염료를 첨가하지 않은 결과에 따른 것이다.
또한, 결과적인 불투명도는 고려된 부분 내에 불투명도를 조절하는 첨가제가 존재하는지 혹은 부재하는지에 따라 생긴다. 불투명도 조절 첨가제는 예를 들면 공지된 분산 첨가제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선택적인 첨가제를 함유하는 중합체-함유 재료로 형성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기로는, 부분들(P1, P2)의 재료는 이 부분들이 포함하는 폴리머 및/또는 첨가제가 상이한 경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분들 각각의 불투명도, 색상, 및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각 부분마다 다른 경우에, 상이하다고 한다. 즉, 이것은 관찰자가 불투명도 및/또는 색상의 차이를 육안으로 알아챌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한 번 예로서, 중합체 및 첨가제가 동일한 경우, 더 바람직하게는 부분들 각각의 불투명도, 색상, 및 중합체가 동일한 경우에는, 부분들 각각의 재료는, 위와는 대조되게, 동일하다고 한다. 여기서, 이는 관찰자가 불투명도와 색상이 동일하다는 것을 육안으로 알아챌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개의 부분이 다른 재료로 제작되는 이 구성에 있어서 2 개의 부분은 일체가 되며 이들 두 부분의 각각의 재료 사이의 계면이 조립체(14)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제 1 부분(P1)과 제 2 부분(P2)은 동일한 재료, 즉 유리하기로는 위에서 규정된 것과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두 부분들은 광원(12)에 의해 방출된 빛에 대해 투명, 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두 부분들은 예를 들면 PC 또는 PMMA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두 부분들은 모두가 무색 또는 적색 투명 PMMA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부분들(P1, P2)은 서로 일체가 되며, 조립체의 재료 내의 두 부분 사이에는 유리하게도 계면이 없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이제부터는 장치(2)의 작동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장치(2)가 작동하는 중에, 광원(12)은 빛을 발생시킨다. 이 빛의 적어도 일부는 조립체(14)의 방향으로 방출된다. 이 빛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부분(P1)을 통과하여 미세 구조체(20)에 의해 산란된다. 산란된 빛은 외부 렌즈(4)의 방향으로 전파된다.
이제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4)를 얻는 공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조립체(14)를 얻기 위해, 2 개의 부분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단계 S1에서는 미세 구조체(20)가 생성되고 그에 따라 산란면이 형성되도록 제 1 부분을 형성하고, 단계 S2에서는 제 2 부분을 형성한다.
상기 부분들은 서로 접촉하게 형성되고, 일단 형성되면 서로 결합된다.
두 부분의 형성 순서는 중요하지 않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2 부분이 먼저 형성되고 이어서 제 1 부분이 그에 접촉하게 형성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이 순서는 역전된다. 즉, 제 1 부분이 먼저 형성되고, 그 다음에 제 2부분이 제 1 부분 옆에 접촉하게 형성된다.
제 3 실시예에서, 두 부분들이 동시에 또는 적어도 동일한 사출 성형 단계에서 형성된다.
부분들의 형성에 대한 세부 사항은 그 부분들을 위해 선택되는 재료에 따라 좌우된다.
두 부분들(P1, P2)의 재료가 상이한 제 1 접근법에서, 두 부분은 이들을 형성하는 두 재료를 이중 사출 성형하는 작업에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중 사출 성형의 원리는 그 자체가 알려져 있으며, 소정의 금형 안으로 두 재료를 사출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여기서, 금형은 미세 구조체(20)를 형성하도록 제공된 표면을 포함하고, 따라서 산란 영역(22)을 갖도록 의도된 기하학적 형태와 상보적인 기하학적 형태로 된 영역을 갖는다.
이 접근법에서, 두 재료의 이중 사출은 순차적이다.
처음에 형성되는 부분의 재료가 액체 형태로 금형에 주입되되 해당 부분을 위해 선택된 최종 형상에 대응하는 부피를 차지하도록 주입된다.
이 재료는 이 형상의 형이 정해지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된다. 일단 이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되면, 제 2 부분의 재료가 금형 내에 액체 형태로 주입된다. 그 다음 그 재료는 해당 부분을 위해 선택된 최종 형상에 대응하는 체적을 차지하면서 먼저 주입된 재료와 접촉한다.
그 재료는 경화되는 차례에서 해당 부분의 형상으로 경화되며, 그리고 이 부분의 재료는 먼저 형성된 부분의 재료와 결합된다.
두 부분들(P1, P2)의 재료가 동일한 제 2 접근법에서, 두 부분은 예를 들면 하나의 사출 성형 단계에서 형성된다.
후자와 관련하여, 두 분을 형성하는 재료는 금형 내에 액체 형태로 주입되며, 두 부분 모두를 한 번에 형성하는 최종 기하학적 형태를 갖도록 금형을 채운다.
이 재료는 조립체의 기하학적 형태의 형을 정해서 경화되고, 그 다음 금형에서 제거되면 상기 형태를 보존한다.
대안적으로,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는 두 부분들은, 연속적으로 주입된 재료가 동일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접근법에서처럼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부분(P1, P2)을 금형에서 이형하고 그들을 후속해서 취급하는 것과 관련하여, 조립체(14)는 제 2 부분(P2)에 의해서만 취급되고, 제 1 부분(P1), 특히 미세 구조체(20)에는 닿지 않는다는 점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단계 S1 및 단계 S2가 끝난 때에, 얻어진 조립체(14)는 장치(2)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얻어진 조립체는 체결 수단(24)을 거쳐 케이싱(4)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얻어진 조립체는 그 케이싱에 프레임에 의해 또는 케이싱(4)에 부착된 임의의 다른 구조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사실상 간접적으로 체결된다.
이 단계에서, 조립체(14)가 취급될 때, 조립체는 제 2 부분(P2)에 의해서만 파지된다.
본 발명은 많은 이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조립체를 제조하는 순간부터 조립체 내에는 제 2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립체에 필요한 취급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미세 구조체의 열화 위험, 특히 망가지기 쉬운 위험을 제한할 수 있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간단하고 저렴하게 얻어지며, 그리고 여기에는 조립체 취급 전용이며 미세 구조체의 열화를 방지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특정 장비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산란 스크린을 형성하는 제 1 섹션과는 대조적으로 "기술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제 2 부분은 조립체를 제조하는 순간부터 존재하는 것이지, 다른 곳에서 얻어진 특정 부품을 산란 스크린에 체결시키는 작업의 결과로서 생기는 것이 아니며, 여기서, 위와 같은 작업 자체는 미세 구조체에 대한 위험을 나타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립체의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Claims (17)

  1. 제 1 및 제 2 부분(P1, P2)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14)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광 산란 조립체의 제 1 부분(P1)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 1 부분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며 발광 광원(12)으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제 1 부분을 통과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된 미세 구조체들(20)을 갖는 투명 산란 스크린을 형성함;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미세 구조체가 없는 제 2 부분(P2)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외부 영역(P2E)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제 1 부분(P1)의 주연부(P1B)를 넘어서 상기 제 1 부분(P1)으로부터 멀리 연장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P1)과 상기 제 2 부분(P2)은 서로 접촉하게 형성되어 서로 일체가 되고, 상기 제 1 부분(P1)과 상기 제 2 부분(P2)은 상기 발광 광원(12)과 대면하고 상기 발광 광원(12)으로부터 외부 렌즈(6)를 향하여 방출된 빛의 적어도 일부의 광 경로 상에 개재되고 상기 발광 광원(12)과 상기 외부 렌즈(6) 사이에 배치되고,
    미세 구조체들(20)이 상기 제 1 부분(P1) 내에서 상기 제 1 부분(P1)의 제 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분(P1)은 상기 제 1 면의 반대 측인 제 1 부분(P1)의 제 2 면을 거쳐서만 상기 제 2 부분(P2)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부분(P1)의 제 1 면은 상기 외부 렌즈(6)와 대면하고, 상기 외부 렌즈(6)는 상기 제 1 부분(P1)에 대하여 상기 발광 광원(12)의 반대 측에 있고,
    상기 발광 광원(12)은 미세 구조체들(20)을 갖는 상기 투명 산란 스크린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투명 산란 스크린은 상기 발광 광원(12)으로부터 직접 빛을 받는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미세 구조체들(20)은 산란 영역(22) 내에서 상기 제 1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산란 영역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상기 산란 영역의 주연부와 대면하게 배치된 내부 영역(P2I)을 갖는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P2)은 불투명인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P2)은 투명인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P1)과 상기 제 2 부분(P2)은 이중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P1)과 상기 제 2 부분(P2)은 다른 재료로 제작되는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P1)과 상기 제 2 부분(P2)은 동일한 재료로 제작되는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P2)은 광 산란 조립체(14)를 수용 구조체에 체결하도록 구성된 체결 수단(24)을 포함하는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 산란 조립체(14)를 파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는 광 산란 조립체를 제 2 부분(P2)을 통해 취급하는 것에 의해서만 달성되는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11. 삭제
  12.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에 있어서,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미세 구조체들(20)을 갖는 투명 산란 스크린을 형성하는 제 1 부분(P1), 여기서, 상기 투명 산란 스크린은 발광 광원(12)으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제 1 부분을 통과하는 빛을 산란시키도록 구성됨; 및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 미세 구조체가 없는 제 2 부분(P2) - 여기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연장되는 외부 영역(P2E)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제 1 부분(P1)의 주연부(P1B)를 넘어서 상기 제 1 부분(P1)으로부터 멀리 연장됨 -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P1)과 상기 제 2 부분(P2)은 서로 접촉해서 서로 일체가 되고, 상기 제 1 부분(P1)과 상기 제 2 부분(P2)은 상기 발광 광원(12)과 대면하고 상기 발광 광원(12)으로부터 외부 렌즈(6)를 향하여 방출된 빛의 적어도 일부의 광 경로 상에 개재되고 상기 발광 광원(12)과 상기 외부 렌즈(6) 사이에 배치되고,
    미세 구조체들(20)이 상기 제 1 부분(P1) 내에서 상기 제 1 부분(P1)의 제 1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분(P1)은 상기 제 1 면의 반대 측인 제 1 부분(P1)의 제 2 면을 거쳐서만 상기 제 2 부분(P2)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부분(P1)의 제 1 면은 상기 외부 렌즈(6)와 대면하고, 상기 외부 렌즈(6)는 상기 제 1 부분(P1)에 대하여 상기 발광 광원(12)의 반대 측에 있고,
    상기 발광 광원(12)은 미세 구조체들(20)을 갖는 상기 투명 산란 스크린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투명 산란 스크린은 상기 발광 광원(12)으로부터 직접 빛을 받는
    광 산란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의 미세 구조체들(20)은 산란 영역(22) 내에서 상기 제 1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산란 영역(22)의 주연부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상기 산란 영역(22)의 주연부와 대면하게 배치된 내부 영역(P2I)을 갖는
    광 산란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은 다른 재료로 제작되는
    광 산란 조립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P2)은 불투명인
    광 산란 조립체.
  16. 자동차용 발광 장치에 있어서,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 광원(12); 및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광 산란 조립체 - 여기서, 광 산란 조립체의 제 1 부분(P1)은 발광 광원에 의해 방출된 빛의 적어도 일부의 광 경로 상에 개재됨 - 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가 자동차용 조명 및/또는 신호 발생 장치인
    발광 장치.
KR1020170123477A 2016-09-28 2017-09-25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KR102363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9224 2016-09-28
FR1659224 2016-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152A KR20180035152A (ko) 2018-04-05
KR102363646B1 true KR102363646B1 (ko) 2022-02-15

Family

ID=5748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477A KR102363646B1 (ko) 2016-09-28 2017-09-25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48638B2 (ko)
EP (1) EP3301355B1 (ko)
KR (1) KR102363646B1 (ko)
CN (1) CN1083024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4495B1 (fr) * 2015-04-01 2018-04-20 Valeo Vision Glace pour un dispositif d'eclairage et/ou de signal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KR102451915B1 (ko) 2018-03-27 2022-10-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냉각수 펌프 및 이를 포함한 냉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4845A (fr) * 1972-02-19 1973-05-29 Rau Swf Autozubehoer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e piece en matiere synthetique
FR2301357A1 (fr) * 1975-02-24 1976-09-17 Frankani Sa Procede de
JP2908176B2 (ja) * 1993-05-18 1999-06-2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の合成樹脂製積層レンズ及びその成形方法
JP3193889B2 (ja) * 1997-06-18 2001-07-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H11232906A (ja) * 1998-02-17 1999-08-2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MY125316A (en) * 1999-10-19 2006-07-31 Samsonite Corp Method of making an injection molded luggage shell and luggage case made therefrom
US7396500B2 (en) * 2002-07-29 2008-07-08 Dow Technologies Inc. Molded parts with metal or wood surface area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JP2004319347A (ja) * 2003-04-18 2004-11-11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のレンズ
RU2495747C2 (ru) * 2008-05-16 2013-10-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Кожух выда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расходуемых материалов
KR101561301B1 (ko) * 2008-10-22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물 제작 방법
IT1398426B1 (it) * 2010-02-23 2013-02-22 Automotive Lighting Rear Lamps Italia S P A Metodo per lo stampaggio ad iniezione di corpi lenticolari in materiale plastico per fanali di autoveicoli e similari, e corpo lenticolare per fanali di autoveicoli e similari.
CN102095181A (zh) * 2011-03-16 2011-06-15 黎昌兴 Led强光源流体巡回散热装置
KR101943446B1 (ko) * 2011-12-20 2019-01-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시스템
KR101355503B1 (ko) * 2011-12-30 2014-01-2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차폐가 용이한 엘이디 면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661521A (zh) * 2012-05-29 2012-09-12 英飞特光电(杭州)有限公司 一种led灯
DE102012211821B4 (de) * 2012-07-06 2019-09-05 Magna Mirrors Holding Gmbh Leuchten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bei der in einer Gehäuseschale mit Fensterabschnitt Leuchtmittel angeordnet sind
JP2014089941A (ja) * 2012-10-03 2014-05-15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6406861B2 (ja) * 2013-05-07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成形レンズ、その製造方法、カメラ、撮像レンズ、ファインダー、および双眼鏡
DE102013110839A1 (de) * 2013-10-01 2015-04-02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JP6222445B2 (ja) * 2013-11-05 2017-11-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装置
CN203686667U (zh) * 2013-12-25 2014-07-02 木林森股份有限公司 一种采用一体式框架的led平板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87738A1 (en) 2018-03-29
KR20180035152A (ko) 2018-04-05
EP3301355A1 (fr) 2018-04-04
CN108302474A (zh) 2018-07-20
CN108302474B (zh) 2022-11-08
US10648638B2 (en) 2020-05-12
EP3301355B1 (fr)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7416B2 (ja) 少なくとも1つのシンボル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及び少なくとも1つのシンボル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9121565B2 (en) Automotive lighting unit
US8939622B2 (en) Signal light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9140422B2 (en) Automotive rear light
US11415292B2 (en) Signa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EP3257038B1 (en) Light assembly for illuminating an emblem
US20140340920A1 (en) Flat device for illumin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JP2013535782A (ja) 自動車用シグナルランプ
KR102363646B1 (ko) 특히 자동차용 광 산란 조립체를 얻는 방법
US11060691B2 (en) Light bar and exterior lighting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N110637191A (zh) 用于机动车辆信号灯的在光导中促进增强的光传播的照明装置
JP6999340B2 (ja) 面光源を備えたライト装置
US9822944B2 (en) Vehicle light assembly having a colored appearance in an unlit state
US10119672B2 (en) Bundle entry weave for lighting modules
US10870389B2 (en) Illuminated automobile component
JP6878763B2 (ja) インナーレンズ及び車両用灯具
CN107702057B (zh) 照明装置,其制造方法,以及后视装置
US20140185268A1 (en) Instrument with dial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10393342B2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the lighting device
US11408580B2 (en) Light module, in particular for use in a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16191922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20688848U (zh) 光学组件、照明装置及车辆
KR200482997Y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799901B1 (ko) 빛의 굴절을 이용한 자동차 후미등 어셈블리
WO2020213150A1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