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242B1 -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242B1
KR102363242B1 KR1020200071083A KR20200071083A KR102363242B1 KR 102363242 B1 KR102363242 B1 KR 102363242B1 KR 1020200071083 A KR1020200071083 A KR 1020200071083A KR 20200071083 A KR20200071083 A KR 20200071083A KR 102363242 B1 KR102363242 B1 KR 102363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hydrogen storage
delete delete
storage contai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311A (ko
Inventor
심성민
이상진
한준희
이희주
이동현
김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패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패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패리티
Priority to KR1020200071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24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005Storage of gas or gaseous mixture at high pressure and at high density condition, e.g. in the single state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08Radiation shi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91Thermal insulations by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6Very high pressure (>80 b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68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by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저장용기에 저장된 수소의 압력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소 저장용기를 이루는 바디가 수소 압력의 상승 시 제어부의 센싱 신호값에 따른 냉각 작용을 통해 수소 저장공간내의 수소 압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냉각수단을 포함하는 수소 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외부 침투열을 제거함으로써 압력 상승을 억제하기 때문에 외부로 방출되는 수소가 없으므로 폭발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 장치{Apparatus for Heat Blocking in Cryogenic Hydrogen Storage Tank}
본 발명은 수소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극저온 고압 상태의 수소저장용기 내에 외부로부터 열 유입시 냉각을 통해 수소저장용기 내 수소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장기 보관에도 안전하게 수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기체수소 저장방법, 액체수소 저장방법, 수소 저장합금, 액상 유기 수소 운반체 등이 있으며, 350 bar 이상의 고압으로 기체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이 주로 수소 모빌리티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소 기체의 저장밀도를 높일수록 압력 용기가 중량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상온 상태에서 압력을 높여 수소 기체의 저장 밀도를 높이더라도 액체수소에 비해서는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극저온 고압상태로 수소를 저장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연구되고 있는 저장 기술로는 고압 수소 기체 저장, 저온 액체 수소 저장, 수소 저장 합금을 이용한 저장, 탄소나노재료를 이용한 저장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극저온 고압 상태에서는 액체수소의 저장밀도 이상으로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영역이 존재하여 기체 수소와 액체 수소보다 많은 수소 저장이 가능하다.
하지만, 여전히 외부에서 수소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열에 의하여 저장탱크의압력이 상승하며 운영조건에 따라 저장된 수소 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어 상용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수소 저장 밀도가 액체수소 이상인 극저온 고압 상태 시 외부에서 열이 유입되더라도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 극저온 고압용 수소용기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에 의해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안전을 위해 일부 수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 시키게 되는데, 이를 지하주차장, 실내주차장 등과 같이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곳에서 사용할 경우 폭발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가 예상된다.
또한, 연료전지는 주기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스택이 건조되어 성능이 저하되므로 장기간 주차 시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요구가 있어왔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568575호 (2015.11.11) 대한민국 특허 제10-1916510호 (2018.11.07) 대한민국 특허 10-1987885 (2019.06.04) 대한민국 특허 10-1736361 (2017.05.10)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외부에서 수소 저장용기로 유입되는 열에 의하여 저장탱크의 압력이 상승하며 운영조건에 따라 저장된 수소 중 일부를 외부로 배출해야만 하게 되는 기존 수소 저장용기의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극저온 고압 상태에서 액체수소의 저장밀도 이상으로 수소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수소 저장용기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수소 저장 밀도가 액체수소 이상인 극저온 고압 상태에서 외부에서 열이 유입되더라도 압력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수소 저장용기에 있어 수소 저장용기를 이루는 바디가 수소 압력의 상승 시 냉각 작용을 통해 수소 저장공간내의 수소 압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수소 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바디내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수소의 압력 상승 시 냉각수단을 통해 냉각시켜 수소 압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냉각수단은 바디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제어부의 신호값에 따라 동작되어 선단의 콜드헤드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극저온 냉동기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갖는 인너 탱크와 아우터 탱크 및 인너 탱크와 아우터 탱크 사이에 형성되는 진공 단열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탱크는, 저장공간의 내벽을 이루는 라이너와, 상기 라이너의 외측에 형성되어 라이너의 내압 성능을 향상시키는 복합재료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공간에는, 상기 진공 단열공간을 구획하는 복사차폐층이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극저온 냉동기의 콜드헤드 단부에 열교환핀이 더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핀은, 냉기 유도를 위해 중실 또는 중공의 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탱크의 저장공간에, 상기 제어부의 신호값에 따라 히팅열을 발산하는 히터 또는 외부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열교환기가 더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탱크의 내부에 복수개의 인너 탱크가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너 탱크가 상기 아우터 탱크 내측에 설치된 복사차폐층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복사차폐층을 진공 단열공간에 설치 시는 복사차폐층의 일단과 극저온 냉동기의 콜드헤드를 접촉되게 하여 콜드헤드에서 생성된 냉기를 신속하게 복사차폐층으로 전달시켜 외부 열침투를 방지 함과 동시에 인너 탱크의 열부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통해 극저온 냉동기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바디내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수소를 통해 구동된 연료전지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직접 공급하거나 또는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이 충전된 배터리의 전력을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외부 침투열을 제거함으로써 압력 상승을 억제하기 때문에 외부로 방출되는 수소가 없으므로 폭발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소 저장용기내의 수소를 통해 전원공급부의 연료전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장기간 주차시에도 연료전지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냉각수단인 극저온 냉동기가 복수 개 설치됨을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서 수소저장용기의 내부공간에 극저온냉동기의 콜드헤드가 위치되고 콜드헤드에 열교환핀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수소저장용기를 이루는 바디의 진공단열층에 극저온냉동기의 콜드헤드가 위치되고 콜드헤드에 수소저장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전개되는 열교환핀이 설치된 다른 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바디의 수소 저장공간에 추가로 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용기의 진공단열층 내 복사차폐층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F" 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저장공간에 복수개의 인너탱크가 설치됨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소저장용기 내로 유입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수소저장용기를 이루는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통해 바디(100) 내에 저장된 수소를 극저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바디(100)내의 온도 및 압력을 센싱하는 신호값에 따라 상기 냉각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바디(100)는, 내부에 저장공간(112)을 갖는 인너 탱크(110,inner tank)와 그 외측의 아우터 탱크(140,outer tank)로 구성될 수 있다.
인너 탱크(110)는 상기 저장공간(112)의 내벽을 이루는 라이너(110a,liner)와, 상기 라이너(110a)의 외측에 형성되어 내압 성능을 향상시키는 복합재료층(110b, Composite layer)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탱크(110)와 상기 아우터 탱크(140) 사이에는, 진공을 통해 단열이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 단열공간(130, Insulation layer)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공간(112)은, 수소를 저장하게 되며 수소는 액체상태, 고압 기체 상태 또는 극저온 고압 상태 등의 다양한 상태로 저장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온도 및 압력을 센싱하는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 등 다양한 센서 및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라이너(110a)는, 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또는 폴리머 계열의 비금속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등 이들의 합금에서 선택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복합재료층(110b)은, 상기 라이너(110a)의 외측에서 보강을 위한 것으로 섬유사,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압에 견딜 수 있는 복합소재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진공 단열공간(130)은, 상기 복합재료층(110b)의 외측에서 내부가 진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구성하되, 그 내측에는 복수의 단열층이 형성된 MLI(Multi-Layer Insulation)층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냉각수단은, 극저온 냉동기(300)로 구현되며,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값에 따라 동작되어 저장된 수소 압력의 상승 시 냉각 작용을 통해 유입 열을 제거하여 수소 압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극저온 냉동기(300)는, 선단에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발산하는 콜드헤드가 형성되어 전원인가 시 콜드헤드(320)를 통해 냉기를 발산하여 상기 저장공간(112)내의 수소를 냉각시키게 된다.
전원공급부(200)는, 극저온 냉동기(300), 제어부(400) 등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연료전지 및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태양전지, 풍력발전기등의 전력생산장치(이하 구동부라함)와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도 있다. 또한, 외부전원을 통하여 극저온 냉동기(300)를 구동시킬 수 도 있음은 물론 주로 저장공간(112)에 저장된 수소를 연료로 하여 연료전지에서 생산한 전력을 직접 전원으로 공급할 있고 경우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시켜 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바디(100)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의 센싱값에 따라 극저온 냉동기(300)를 제어하여 상기 바디(100)의 저장공간(112)에 저장된 수소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에 있어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체상태 또는 극저온 고압상태로 저장공간(112)에 저장된 수소는 외부에서 열이 유입되는 경우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수소저장용기의 최대허용압력 이내에서는 제어부(400)에 의해 극저온 냉동기(310)가 구동되지 않다가,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의 센싱에 의해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제어부(400)가 센싱 신호값을 통해 극저온 냉동기(300)를 구동하게 되고 이때, 극저온 냉동기(300)는 콜드헤드(32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을 제거하여 압력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저장공간(112)내의 수소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서 냉각수단인 극저온 냉동기가 복수개 설치됨을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극저온 냉동기(300)의 설치 상태를 보인 것이며, 상기 극저온 냉동기(30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열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디(100)에 대해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설치시에는, 저장공간(112)에 저장된 수소와 직접 접촉하여 열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선단 콜드헤드(320,cold head)를 인너 탱크(110) 내부까지 연장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저장공간(112)의 크기에 맞추어 극저온 냉동기(300)의 수량을 설정할 수 있고, 전원공급부(200)를 통한 전원 공급 시 극저온 냉동기(300)의 콜드헤드(320)를 통해 저장공간(112)내의 수소는 안정된 온도와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수소저장용기의 내부 저장공간(112)에 극저온냉동기(300)의 콜드헤드(320)가 위치되도록 하고 콜드헤드(320)에 열교환핀(330)이 설치됨을 보인 것이다.
즉, 극저온 냉동기(300)의 콜드헤드(320)에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핀(330)이 더 연장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저장공간(112) 내부 중심으로부터 냉기를 저장공간(112)의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핀(330)은, 열교환을 위한 것이며, 냉기 유도를 위해 중실바 또는 파이프 형태의 중공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수소저장용기를 이루는 바디(100)의 진공 단열공간(130)에 극저온냉동기(300)의 콜드헤드(320)가 위치되고 콜드헤드(320)에 저장공간(110)으로 전개되는 열교환핀(33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극저온 냉동기(300)의 콜드헤드(320)를 진공 단열공간(130)에 위치되도록 하여 진공 단열공간(130)의 냉각을 통해 외부 열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도 5는 수소저장용기를 이루는 바디(100)의 저장공간(112)에 추가로 히터(500)가 설치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즉, 상기 바디(100)의 저장공간(112)에,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값에 따라 히팅열을 발산하는 히터(500)를 설치하여 수소의 과도한 냉각 시 이를 센싱하여 적정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외부 열환경 변화에 상관없이 연료전지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연료를 공급하는 보조 역할을 하게 된다.
예컨테, 저장공간(112)의 내부 온도가 너무 낮아 일정량의 수소를 지속적으로 연료전지로 공급하기 어려울 경우 가열을 통해 저장공간(112)의 내부 온도를 적정값으로 유지시키도록 하게 된다.
도 6은 수소저장용기의 바디(100)를 구성하는 진공 단열공간(130)에 복사차폐층(160)을 형성시킨 것이다.
즉, 인너 탱크(110)와 아우터 탱크(140) 사이의 진공 단열공간(130)에 복사차폐층(160)을 형성시킨 것이다.(도 7 참조)
여기서, 상기 복사차폐층(160)과 상기 인너 탱크(110) 사이에 열전도 매체(170)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사차폐층(160)과 열전도매체(170)는, 구리, 알루미늄 등 열전달계수가 큰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공지기술의 소재로 적용함이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용기의 바디를 이루는 아우터 탱크(140) 내부 즉, 복사차폐층(160)의 내측에 인너 탱크(110)(110-1)(110-2)(110-3)가 복수 개로 배열 설치됨을 보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극저온 냉동기(300)의 콜드헤드(320)는 복사차폐층(160)과 아우터 탱크(140) 사이의 진공 단열공간(130)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부(200)는, 차량 등을 통해 극저온 냉동기(30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배터리 또는 연료전지에 저장된 전력이나 별도의 전력 생산장치 즉, 발전기, 태양열, 태양광, 태양전지, 수력, 풍력 등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이 부족하거나 전력 생산장치에서 전력 공급이 불가능 할 경우 수소저장용기를 이루는 바디(100)의 저장공간(112) 내 수소를 이용하여 연료전지를 구동시켜 구동에 따른 전력을 공급하거나 연료전지를 구동시켜 충전된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소저장용기 관련 기술은 공지의 기술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10, 110-1,110-2,110-3: 인너 탱크
110a: 라이너 112: 저장공간
110b: 복합재료층
130: 진공 단열공간
140: 아우터 탱크
160: 복사차폐층
170: 열전도 매체
200: 전원공급부
300,300a: 극저온냉동기
330: 열교환핀
400: 제어부
500: 히터

Claims (12)

  1. 수소 저장용기에 있어서,
    저장공간(112)의 내벽을 이루는 라이너(110a)와 상기 라이너(110a)의 외측에 형성된 복합재료층(110b)으로 이루어진 인너 탱크(110)와 아우터 탱크(140) 및 인너 탱크(110)와 아우터 탱크(140)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를 구획하는 복사차폐층(160)을 구비하는 진공 단열공간(130)을 형성하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가 수소 압력의 상승시 제어부(400)의 센싱 신호값에 따른 냉각 작용을 통해 수소 저장공간(112)내의 수소 압력을 제어하도록 상기 바디(10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값에 따른 전원공급부(200)의 전원 동작으로 선단의 콜드헤드를 통해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극저온 냉동기(300)(300a); 상기 극저온 냉동기(300)(300a)의 콜드헤드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냉기 유도를 위해 복수의 중실바 또는 중공바로 이루어진 열교환핀(330): 상기 인너 탱크(110)의 저장공간(112)에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값에 따라 히팅열을 발산하도록 설치되는 열교환 히터(500)를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탱크(140)의 내부에 복수개의 인너 탱크(110)(110-1)(110-2)(110-)가 배열되도록하고;
    상기 인너 탱크(110)가 상기 아우터 탱크(140) 내측에 설치된 복사차폐층(16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진공 단열공간(130)에 상기 복사차폐층(160)을 설치시 복사차폐층(160)의 일단과 극저온 냉동기(300)의 콜드헤드가 접촉되게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바디내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수소를 통해 구동된 연료전지를 통해 충전된 배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장치.

KR1020200071083A 2020-06-11 2020-06-11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 장치 KR10236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083A KR102363242B1 (ko) 2020-06-11 2020-06-11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083A KR102363242B1 (ko) 2020-06-11 2020-06-11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11A KR20210154311A (ko) 2021-12-21
KR102363242B1 true KR102363242B1 (ko) 2022-02-16

Family

ID=7916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083A KR102363242B1 (ko) 2020-06-11 2020-06-11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209A (ko) 2021-11-10 2023-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26B1 (ko) * 2006-12-01 2008-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
KR101107633B1 (ko) * 2010-02-10 2012-01-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소 공급 탱크, 이를 이용하는 수소 공급 장치와 수소 공급 방법 및 수소 이용 장치
KR101756181B1 (ko) * 2016-01-20 2017-07-26 하이리움산업(주) 극저온 냉동기를 이용한 소용량 수소 액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1850A (ko) * 2010-11-15 2012-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소탱크
KR101568575B1 (ko) 2014-03-28 2015-11-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소 저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36361B1 (ko) 2015-09-11 2017-05-17 주식회사 코렌스 금속 수소화물 수소 저장용기
KR101916510B1 (ko) 2016-04-29 2018-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압 수소 저장용기 라이너 사출 장치 및 방법
KR20180137636A (ko) * 2017-06-16 2018-12-2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극저온 자켓을 구비하는 극저온물질 저장용기
KR101987885B1 (ko) 2018-05-28 2019-09-30 하이리움산업(주) 액체 수소를 이용한 수소연료 충전 시스템 및 수소연료 충전 시스템에 의한 수소연료 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526B1 (ko) * 2006-12-01 2008-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장 탱크
KR101107633B1 (ko) * 2010-02-10 2012-01-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소 공급 탱크, 이를 이용하는 수소 공급 장치와 수소 공급 방법 및 수소 이용 장치
KR101756181B1 (ko) * 2016-01-20 2017-07-26 하이리움산업(주) 극저온 냉동기를 이용한 소용량 수소 액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11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charging hydrogen
US7681604B2 (en) Gas cooling method using a melting/solidifying media for high pressure storage tanks for compressed natural gas or hydrogen
JP6273472B2 (ja) Lng燃料を用いた冷熱回収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液化ガス運搬船
JP4873210B2 (ja) 低温燃料用貯蔵容器
EP2571096B1 (en) Battery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JP2013516742A (ja) 熱伝達流体と相変化材料の組み合わせによる電気化学セルの熱管理法
KR102363242B1 (ko)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의 열 유입 차단 장치
US10256636B2 (en) Spraying heat preservation vapor supplying device and generator apparatus using such device
KR101285037B1 (ko) 열에너지 이송 방식 공기순환 멀티 냉각 p.c.m 축냉 트럭
CN109244302A (zh) 电池包结构
CN210687756U (zh) 小微轻型深冷高压储氢装置
CN104362409A (zh) 一种基于油浴自然循环与热管相耦合的电池组热管理系统
JP4634231B2 (ja) 低温液化ガス貯蔵装置、これを有する動力発生装置及び移動体
US20170074598A1 (en) Heat transfer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9853301B2 (en) Thermal conditioning fluids for an underwater cryogenic storage vessel
KR101360003B1 (ko) 발열 및 흡열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수소저장용기
CN116518298B (zh) 一种基于低温高压分级储氢的加氢站及其氢气加注方法
KR102289457B1 (ko) 극저온 수소저장용기용 능동형 온도조절장치
CN106785217A (zh) 电动汽车
KR102422306B1 (ko) 무손실 극저온 수소공급시스템
JP2000258010A (ja) 冷凍車
WO2022084430A1 (en) Improved cryogenic storage tank
JP2000266294A (ja) Lng可搬式貯槽
CN113295031A (zh) 固液组合蓄冷热器及储能系统
NO20201157A1 (en) Improved cryogenic storage tank with an integrated closed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