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337B1 - 발광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337B1
KR102362337B1 KR1020170163361A KR20170163361A KR102362337B1 KR 102362337 B1 KR102362337 B1 KR 102362337B1 KR 1020170163361 A KR1020170163361 A KR 1020170163361A KR 20170163361 A KR20170163361 A KR 20170163361A KR 102362337 B1 KR102362337 B1 KR 10236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diffusion
unit
diffusion lens
lens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078A (ko
Inventor
박종렬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Signs, boards or panels mounted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12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a transparent mirror or other light reflecting surface transparent to transmitted light whereby a sign, symbol, picture or other is visible only when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일면에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시키는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에 의하여 확산된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에서 확산된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커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표시 장치{Light e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광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엠블럼, 로고 등을 포함하여 식별이나 표시 필요한 물체에 구비되어 주간 및 야간에도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나 상징을 위해 특정표시가 특정물체나 특정장소에 부착되거나 구비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엠블럼의 경우, 자동차 생산회사 및 종류를 상징하기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하여 자동차의 라디에이터그릴, 후드 또는 트렁크의 해당 면에 장착하여 제3자가 쉽게 식별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엠블럼은 주간에만 식별이 가능하고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는 별도의 빛이 없을 경우 구분이 어려워 대표성의 의미를 한계가 있었다. 즉 엠블럼이 주간과 야간의 시간적 차이와 빛의 유무에 따라 표현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차 엠블럼을 야간의 어두운 공간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로써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의 마크부분을 투명하게 하고 마크부분의 내부에 LED를 설치하여 마크의 투명부분으로 빛이 발산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다만, LED에서 발생한 빛이 마크부분 영역을 넘어 발산되므로 LED가 점등되더라도 야간에 마크를 식별하기 부족함이 있다.
또 다른 예로, 마크의 가장자리부분만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만드는 경우이다. 즉 마크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중앙부분은 크롬 도금 등의 처리를 하여 주간의 식별성을 높이고, 야간에는 마크의 가장자리부분을 통하여 빛이 투과되도록 하여 야간 식별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또한 야간 식별성을 높이기에는 부족함이 많다.
한국공개특허 2014-0060117(2014.05.19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표시부로 가이드하여 표시부에 대한 식별력을 높이는 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광원부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부 이외의 영역에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광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일면에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시키는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에 의하여 확산된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에서 확산된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커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확산 렌즈부를 통하여 표시부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단벽과 차단부를 통하여 광원부에서 생성된 광이 표시부 이외의 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의 제1 광 확산 렌즈부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복수의 제1 옵틱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복수의 제2 옵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는 광원부(100),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 커버 요소(3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00)는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동작시키는 기타 전자 부품이 포함된 인쇄회로기판이 포함될 수 있다. 광원은 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가 광원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dity Discha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필요로 하는 광량을 만족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광원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할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 영역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는 광원부(100)와 커버 요소(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는 광원부(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광원부(100)의 광축(Ax)에 수직한 상하 방향 및/또는 광 확산 렌즈부의 좌우 방향 등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를 통해 확산된 광은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에서 출사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의 일면에는 광원부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 패턴(213, 223)이 형성될 수 있다. 광 확산 패턴은 광 확산 렌즈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수지재로 형성되어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각각 다른 방향 혹은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는 광 확산 패턴을 갖는다.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커버 요소(300)는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에서 확산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커버 요소(300)에는 표시부(322)와 차단부(324)가 포함될 수 있으며, 표시부(322)는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에서 확산된 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되고, 차단부(324)는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에서 확산된 광이 커버 요소(300)를 투과하지 못하도록 광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광원부(100)에서 발생한 광은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의 광 확산 패턴에 의하여 확산되고,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322)를 투과함에 따라, 야간 혹은 어두운 공간에서 관찰자가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를 관찰할 경우, 표시부(322)의 형상을 효율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322)는 로고 및 마크를 포함하는 식별표시가 평면 또는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3을 참고해보면, 표시부(322)는 화살표 형상을 가지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로고, 해드폰 제조사의 로고, 모델명, 회사 로고 등의 표시로써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구체적으로, 커버 요소(300)는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에 의하여 확산된 광이 입사되는 제1 면(310)과 표시부(322)와 차단부(324)가 포함된 제2 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면(310)에는 하프미러 코팅막이 증착 또는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하프미러는 원판 투명 유리, 투명 아크릴 등에 진공으로 증착, 코팅하여 조명과 거울의 반사와 통과를 응용하여 조명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하프미러는 반투명거울로서 투명유리 또는 아크릴에 크롬 등을 이용하여 형성하여 광의 반은 반사하고 반은 투과하도록 만든 것으로 한쪽은 거울 다른 쪽은 투명 유리 등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즉 광이 입사되는 경우에는 광을 투과시키고 광이 투과되지 않을 경우에는 거울처럼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프미러 코팅막은 광을 50%는 투과하고 50%는 차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빛을 70%는 차단하고 30%는 투과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광 차단율 또는 광 투과율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프미러 코팅막은 은색을 포함하여 원하는 다양한 색깔이 나타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322)는 하프미러 코팅막으로 인하여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 요소(300)의 제2 면(320)에 구비된 차단부(3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에서 입사된 광이 제2 면(320)에서 출사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제2 면에 어두운 색의 페인트 코팅(324a) 및 광을 차단하는 플레이트(324b)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면(320)의 표시부(322)에서만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표시부 형상의 테두리 혹은 표시부를 제외한 모든 제2 면(320)에 차단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에 대응되는 커버 요소(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관통구 혹은 막혀있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단부(324)가 페인트 코팅(324a)으로 형성될 경우에 커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막혀 있지만, 차단부(324)가 플레이트(324b)로 형성될 경우, 플레이트(324b)가 제2 면(320) 상에서 결합되어야 하므로 커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다르게 차단부(324)가 플레이트(324b)로 형성되어도, 차단부(324) 형상에 대응하는 제2 면(3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광원부의 광축(Ax) 방향인 커버 요소(30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차단부(324)가 제2 면(320)의 함몰 형성된 영역에 결합 또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는 차단벽(400), 히트싱크(500) 및 하우징(600)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해 보면, 차단벽(400)은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와 광원부(100) 사이에 구비되어 복수의 광산 렌즈부(200)를 커버 요소(300)에 밀착시켜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광원부(100)에서 발생한 광을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단벽(4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으로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를 향하는 수직구조로 형성되어, 광원부(100)에서 발생한 광이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차단벽(400)의 적어도 일부는 차단부(324) 형상 또는 표시부(322)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부(324)가 표시부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두께로 어두운 색의 페인트 코팅(324a)으로 형성될 경우, 차단벽(400)의 일부는 표시부(322)의 차단부 형상에 대응되게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22)가 화살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화살표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여 차단벽(400)이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에 따라 수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복수의 광 확산 렌즈(200)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광원부(100)의 광원은 차단벽(400)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벽(400)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부로 형성되어 광원부(100)에서 발생된 광을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로 반사시킬 수 있다.
히트 싱크(500)는 광원 및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히트 싱크(500)는 발광표시 장치(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500)에는 방열 면적을 높이기 위해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00)은 커버 요소(300)와 결합 하여, 전술한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 차단벽(400), 광원부(10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600)과 커버 요소(300)의 내측에는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 차단벽(400), 광원부(100) 및 히트싱크(500)가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요소(300)는 하우징(600)과 접촉하는 제1 접촉면(340)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600)은 커버 요소(300)와 결합하는 제2 접촉면(6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면(340)과 제2 접촉면(640) 중 하나에는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으로 함몰된 제1 결합부(342)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광원부(100)의 광축(Ax)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6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342)와 제2 결합부(642)가 결합되면서, 하우징(600)와 커버 요소(3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요소(300)에 함몰 형상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600)에 돌출 형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와 반대로 커버 요소(300)에 돌출 형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500)에 함몰 형상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342)와 제2 결합부(642)는 하우징(600)과 커버 요소(300)의 결합력을 높여주고, 외부의 이물질 혹은 물의 침투를 막아주므로 수용된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300), 광원(100) 등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는 광원부(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광원 구동 모듈(LDM: LED Drive Module)(7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또한 하우징(600)과 커버 요소(300)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의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에는 광 확산 패턴(213, 2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 확산 렌즈부(210)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광원부(100)에서 출사되는 광을 각각 구비된 광 확산 패턴을 통하여 확산시켜 커버 요소(300)로 전달한다.
먼저, 광 확산 패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의 복수의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혹은 프리즘 렌즈(prism lens)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는 관찰자가 발광표시 장치(1)를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감이나 변환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곡선 형태의 다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직선 형태의 단면 또는 직선 및 곡선이 조합된 형태의 다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반원, 삼각형, 다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로 입사된 광을 소정 방향으로 굴절시켜 확산시킨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200)는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에 의해 광이 조사되는 영역을 증가시키면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조도를 가지도록 한다. 복수의 광 확산 패턴(213, 223)은 제1 광 확산 패턴(213) 및 제2 확산 패턴(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확산 렌즈부(210)는 광원부(100)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하는 입사면(211)과 출사면(212)을 포함한다.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과 출사면(212)은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부분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 및 출사면(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광 확산 패턴(21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 확산 렌즈부(210)는 출사면(212)에 제1 광 확산 패턴(213)이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광 확산 패턴(213)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광원부의 광축(Ax)에 수직한 방향인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사면에 제1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될 경우,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위와 다른 예로 제1 방향에 따라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사면(212)에 제1 광 확산 패턴(213)이 형성될 경우,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결국, 제1 방향은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여러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의미하므로, 제1 광 확산 패턴(213)은 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 혹은 출사면(2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커버 요소(300) 사이에 위치된다.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을 투과한 광을 커버 요소(300) 방향으로 전달한다.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도 입사면(221)과 출사면(222)을 포함하며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과 출사면(222)은 대략 평평하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 부분이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 및 출사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광 확산 패턴(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출사면(222)에 제2 광 확산 패턴(2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광 확산 패턴(223)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면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광 확산 패턴(223)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상하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위와 다른 예로, 제2 방향에 따라 광원부의 광축(Ax)에 수직한 방향인 제2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사면(212)에 제2 광 확산 패턴(223)이 형성될 경우, 제2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을 통해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좌우 방향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결국, 제2 방향은 전술한 제1 방향과 동일하게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대각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나타내므로 제2 광 확산 패턴(223)은 위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221) 혹은 출사면(22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광 확산 패턴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에 제1 광 확산 패턴(223)의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광 확산 패턴(223)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 및 출사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1 광 확산 패턴(223)의 제1 방향과 동일하거나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제1 광 확산 패턴(213)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제2 광 확산 패턴(213)은 광원부에서 입사된 광을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한방향으로 확산시킴에 따라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에는 균일한 조도로 광이 투과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제1 광 확산 패턴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제2 광 확산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과 출사면(212) 중 어느 한 곳에 제1 광 확산 패턴(213)이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과 출사면(222) 중 어느 한곳에 제2 광 확산 패턴(223)이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차단벽(400)과 커버 요소(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광 확산 렌즈부에 복수의 제1 옵틱과 제2 광 확산 렌즈부에 복수의 제2 옵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각각의 일면에 제1 광 확산 패턴(213) 및 제2 광 확산 패턴(223)이 형성될 경우, 각각의 타면에는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은 비정형 패턴으로 형성되어 제1 광 확산 렌즈부(210)과 제2 광 확산 렌즈부(220) 각각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규칙성 없이 산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은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거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 중 일부는 다른 옵틱과 비교하여 함몰 또는 돌출되는 깊이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옵틱과 제2 옵틱 각각은 높이, 너비, 길이가 상이할 수 있어, 광의 굴절 혹은 산란 방향 및 정도가 각 옵틱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옵틱(214)과 제2 옵틱(224)은 정형 패턴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과 제2 광 확산 렌즈부(220) 각각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에 규칙성 있게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와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거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함몰 또는 돌출되는 깊이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에 입사된 광은 복수의 제1 옵틱(214)에서 산란될 수 있고,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에 입사된 광은 복수의 제2 옵틱(224)에서 산란될 수 있으며, 관찰자가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를 관찰할 경우,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이질적 느낌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의 심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의 광원부(100)에서 발생되는 광은 차단벽(400)에 의하여 제1 광 확산 렌즈부(210)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으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 및 출사면(212) 중 한곳에 구비된 제1 광 확산 패턴(213)에 의하여 확산되면 제2 광 확산 렌즈부(220)로 전달되고, 다른 하나는 제1 광 학산 렌즈부(210)의 입사면(211) 및 출사면(212) 중 한곳에 구비된 복수의 제1 옵틱(214)에 의하여 산란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에 입사된 광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 및 출사면(222) 중 한곳에 구비된 제2 광 확산 패턴(223)에 의하여 확산되고, 다른 하나는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입사면(221) 및 출사면(222) 중 한곳에 구비된 복수의 제2 옵틱(224)에 의하여 산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커버 요소(300)의 표시부(322)에서는 제1 광 확산 렌즈부(210)의 제1 광 확산 패턴(213)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220)의 제2 광 확산 패턴(213)에 의하여 확산된 광이 투과되고, 복수의 제1 옵틱(214)과 복수의 제2 옵틱(224)에 의하여 광이 산란되므로 표시부의 전체 영역을 광이 균일하게 투과함과 동시에 반짝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표시 장치(1)의 표시부(322)가 자동차 엠블럼 등과 같은 로고로 형성될 경우, 위와 같은 구성과 효과에 따라 주간에는 메탈감으로 표시부(322)가 식별되고, 야간에는 표시부(322)를 투과되는 광과 표시부(322)에 형성되는 반짝임을 통하여 표시부(322)가 식별 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광원부
200: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
210: 제1 광 확산 렌즈부
213: 제1 광 확산 패턴
214: 제1 옵틱
220: 제2 광 확산 렌즈부
223: 제2 광 확산 패턴
224: 제2 옵틱
300: 커버 요소
322: 표시부
324: 차단부
400: 차단벽
500: 히트싱크
600: 하우징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구비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
    일면에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시키는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 및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에 의하여 확산된 광이 투과되는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에서 확산된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커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 및 상기 광원부 사이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를 지지하고,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한 광을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로 가이드하는 차단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 요소와 결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광원부,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 및 상기 차단벽이 수용되며,
    상기 커버 요소는 상기 하우징과 접촉하는 제1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요소와 결합하는 제2 접촉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면과 상기 제2 접촉면 중 하나에는 상기 광원부의 광축 방향으로 함몰된 제1 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광원부의 광축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발광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로고 및 마크를 포함하는 식별표시로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는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에서 확산된 광이 입사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하프미러 코팅막으로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는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발광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의 타면에는 복수의 옵틱이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옵틱은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의 내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옵틱 각각은 높이, 너비, 길이가 상이한 발광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는 제1 광 확산 렌즈부 및 제2 광 확산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방향에 따라 제1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광 확산 렌즈부의 입사면 및 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방향에 따라 제2 광 확산 패턴이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확산 패턴과 상기 제2 광 확산 패턴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따라 수직하게 교차하거나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교차하는 발광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패턴은 상기 광 확산 렌즈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로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발광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부로 형성되어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복수의 광 확산 렌즈부로 반사시키는 발광표시 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63361A 2017-11-30 2017-11-30 발광표시 장치 KR10236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361A KR102362337B1 (ko) 2017-11-30 2017-11-30 발광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361A KR102362337B1 (ko) 2017-11-30 2017-11-30 발광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78A KR20190064078A (ko) 2019-06-10
KR102362337B1 true KR102362337B1 (ko) 2022-02-14

Family

ID=6684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361A KR102362337B1 (ko) 2017-11-30 2017-11-30 발광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1231A (ja) * 2015-07-13 2017-01-26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エンブレ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8042B2 (ja) 2011-05-23 2017-05-31 Hoya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2080610B1 (ko) * 2012-11-14 2020-02-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KR20160115388A (ko) * 2015-03-27 2016-10-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60136900A (ko) * 2015-05-21 2016-11-3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1231A (ja) * 2015-07-13 2017-01-26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エンブレ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078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1485B1 (en) Automotive lighting unit
JP6224110B2 (ja) 自動車両の照明および/または合図装置
JP4798784B2 (ja) 車両用灯具
EP3257038B1 (en) Light assembly for illuminating an emblem
KR20120052289A (ko) 자유 형태 조명 모듈
CN112840158B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US20130272025A1 (en) Lighting device and cove lighting module using the same
JP6144166B2 (ja) 車両用灯具
JP6096059B2 (ja) 車両用灯具
JP2014026000A (ja) エンブレム発光装置
KR102362337B1 (ko) 발광표시 장치
JP6311884B2 (ja) 照明装置
KR101918488B1 (ko) 엘이디 렌즈 모듈
KR102064342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6183650B2 (ja) 車両用前照灯
KR101666511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2370232B1 (ko) 발광 표시장치
KR20200037625A (ko) 발광표시 장치
JP6645218B2 (ja) 表示装置
KR20150108213A (ko) 조명 장치
KR101458992B1 (ko) 도광판을 적용한 led 조명장치
JP5086158B2 (ja) Led照明装置
JP7075842B2 (ja) 車両用灯具
JP2016046089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