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308B1 -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308B1
KR102362308B1 KR1020210137649A KR20210137649A KR102362308B1 KR 102362308 B1 KR102362308 B1 KR 102362308B1 KR 1020210137649 A KR1020210137649 A KR 1020210137649A KR 20210137649 A KR20210137649 A KR 20210137649A KR 102362308 B1 KR102362308 B1 KR 102362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line
light
constru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복
Original Assignee
이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복 filed Critical 이신복
Priority to KR102021013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는, 시공대상 건물에 시공되고, 외부로부터 시공대상 건물로 전기를 공급되는 전력공급라인이 접속하며, 전력공급라인으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각각의 스위치전원라인에 분배하는 전력분배단자가 내장된 분전함;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에 장착되고, 스위치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등스위치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천정 또는 측벽에 장착되고, 전등스위치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점등되는 전등;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내부 또는 측벽 내부에 시공되고, 분전함의 전력분배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스위치에 직접 전력을 전달하도록 시공되는 스위치전원라인; 및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내부 또는 측벽 내부에 시공되고, 스위치와 전등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스위치전원라스위치부터 스위치로 공급된 전력을 전등에 전달하는 전등스위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Light Construction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asily Solve Electrical Problems}
본 발명은 전등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 부하장치에서 합선 등의 이유에 의해 정격전류를 초과하는 전류, 즉, 과전류가 발생하여 과전류 사고가 발생하거나, 전기 부하장치의 구성요소의 성능저하로 인한 누설전류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원과 전기 부하장치 사이에 배선용 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배선용 차단기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검출하여 전로를 개폐하는 접촉자를 트립(trip)시킴으로써, 전원에서 전기 부하장치에 인입되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차단시킨다.
이때, 배선용 차단기에서 과전류를 검출하여 접촉자를 트립시키는 과전류 트립장치는 시연트립 또는 순시트립으로 트립되는 열동 전자형 트립장치나 완전 전자형 트립장치가 있다.
그리고 이때, 배선용 차단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트리거신호를 생성하여 석방 마그넷을 제어하여 전기 부하장치에 인입되는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형태의 전자식 차단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배선 구조를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분전반으로 인입되는 전력공급라인(10)이 직접 조명 회로, 콘센트 회로, 주방용 콘센트 회로 및 대형기기전용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조명 회로에 연결된 분기 회로의 경우, 각각의 조명기기와 연결된 스위치를 별로도 설치하여 각각의 조명기기의 점등과 점멸 동작을 구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조명 회로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조명기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작업자는 조명기기기와 조명 회로를 모두 점검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조명기기의 문제를 발견하기 위해 각각의 조명기기를 모두 분리하여 점검을 실시해야 하며, 조명기기의 문제가 아닐 경우 조명 회로의 문제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조명 회로가 시공된 천정을 모두 탈거하여 점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3897호 (등록일자: 2017년08월28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전등 시공 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누전 전등을 단시간 내에 찾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고,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등시공구조는, 시공대상 건물에 시공되고, 외부로부터 시공대상 건물로 전기를 공급되는 전력공급라인이 접속하며, 전력공급라인으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각각의 스위치전원라인에 분배하는 전력분배단자가 내장된 분전함;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에 장착되고, 스위치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등스위치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천정 또는 측벽에 장착되고, 전등스위치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점등되는 전등;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내부 또는 측벽 내부에 시공되고, 분전함의 전력분배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스위치에 직접 전력을 전달하도록 시공되는 스위치전원라인; 및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내부 또는 측벽 내부에 시공되고, 스위치와 전등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스위치전원라스위치부터 스위치로 공급된 전력을 전등에 전달하는 전등스위치라인;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은,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분전함하우징; 상기 분전함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분전함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전력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제1전력분배단자; 및 상기 분전함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분전함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전력공급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제2전력분배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치전원라인은,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된 분전함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에 배치되는 측벽을 따라 천정 내부에 시공되고, 제1전력분배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분전함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에 배치되는 스위치 각각과 병렬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원라인; 및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된 분전함을 기준으로 타측방향에 배치되는 측벽을 따라 천정 내부에 시공되고, 제2전력분배단자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분전함을 기준으로 타측방향에 배치되는 스위치 각각과 병렬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원라인;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은, 시공대상 건물을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부와 하부를 나누는 가상의 수평라인 또는 좌측과 우측을 나누는 가상의 수직라인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원라인과 제2전원라인은, 가상의 수평라인 또는 가상의 수직라인을 기준으로 구획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시공되며, 상기 제1전원라인과 제2전원라인은, 가상의 수평라인 또는 가상의 수직라인을 기준으로 구획된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원라인과 제2전원라인은,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전원라인은,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시공되고,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각각의 스위치를 서로 연결하는 길이만큼 연장되며, 천정의 천정 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되는 전력케이블 구조의 내설연장라인; 내설연장라인의 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양단부에 형성되고,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시공되며, 스위치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접속라인; 및 상기 스위치접속라인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스위치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어, 스위치접속라인과 스위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조인트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하우징;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스위치전원라인이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수용단자; 및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전원수용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등스위치라인의 일단부가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공급단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하우징 내부에 탑재되어 전원수용단자로부터 전달된 전력 일부량을 저장하는 콘덴서; 상기 콘덴서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단자에 접속된 각각의 전등스위치라인의 통전여부를 점검한 후, 전등스위치라인의 상태정보를 시각적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 및 상기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에 의해 실시되는 통전여부 검출 과정에서 전원수용단자로부터 콘덴서에 공급된 전력량을 검출한 후, 스위치전원라인의 상태정보를 시각적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는, 상기 전등스위치라인이 정상적으로 통전 될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전등스위치라인이 비정상적으로 통전되거나 통전되지 않을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는, 상기 전원수용단자로부터 콘덴서에 공급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전원수용단자로부터 콘덴서에 공급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등시공구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분전함, 스위치, 전등, 스위치전원라인 및 스위치전원라인을 구비함으로써, 전등 시공 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누전 전등을 단시간 내에 찾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고,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등시공구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분전함하우징, 제1전력분배단자, 제2전력분배단자, 제1전원라인 및 제2전원라인을 구비함으로써, 시공대상 건물을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가상의 수평라인 또는 가상의 수직라인을 기준으로 전원라인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시공할 수 있고,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시공된 전원라인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명확하게 정해진 천정의 일부분만을 탈거하여 전원라인에 대한 점검 또는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등 시공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전기적 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등시공구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설연장라인, 스위치접속라인 및 접속조인트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손쉽게 스위치전원라인을 시공할 수 있고, 스위치전원라인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손쉽게 탈거하여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등 시공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전기적 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등시공구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스위치하우징, 전원수용단자, 전원공급단자, 콘덴서,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 및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를 구비함으로써, 스위치로 전력을 제공하는 스위치전원라인의 상태와 각각의 전등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등스위치라인의 상태를 각각 분리하여 점검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어, 누전 전등을 단시간 내에 찾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고,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등시공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등시공구조를 나타내는 배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가상의 수평라인(LH)을 기준으로 분전함을 특정 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을 구획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가상의 수직라인(LV)을 기준으로 분전함을 특정 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을 구획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의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100)는, 특정 구조의 분전함(110), 스위치(120), 전등(130), 스위치전원라인(140) 및 스위치전원라인(140)을 구비함으로써, 전등(130) 시공 시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누전 전등(130)을 단시간 내에 찾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고,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가상의 수평라인(LH)을 기준으로 분전함을 특정 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을 구획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가상의 수직라인(LV)을 기준으로 분전함을 특정 위치에 배치함과 동시에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을 구획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110)은, 시공대상 건물에 시공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시공대상 건물로 전기를 공급되는 전력공급라인(10)이 접속하며, 전력공급라인(10)으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각각의 스위치전원라인(140)에 분배하는 전력분배단자(111)가 내장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110)은 특정 구조의 분전함하우징(110a), 제1전력분배단자(111a) 및 제1전력분배단자(111b)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분전함하우징(110a)은,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제1전력분배단자(111a)는, 분전함하우징(110a)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분전함하우징(110a) 내부로 인입되는 전력공급라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전원라인(141)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이다. 제2전력분배단자(111b)는, 분전함하우징(110a)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분전함하우징(110a) 내부로 인입되는 전력공급라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전원라인(14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전원라인(140)은,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내부 또는 측벽(20) 내부에 시공되는 구성으로서, 분전함(110)의 전력분배단자(111)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스위치(120)에 직접 전력을 전달하도록 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전원라인(140)은 특정 구조의 제1전원라인(141) 및 제2전원라인(14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1전원라인(141)은,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된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에 배치되는 측벽(20)을 따라 천정 내부에 시공되는 구성으로서, 제1전력분배단자(111a)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에 배치되는 스위치(120) 각각과 병렬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전원라인(142)은,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된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타측방향에 배치되는 측벽(20)을 따라 천정 내부에 시공되는 구성으로서, 제2전력분배단자(111b)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타측방향에 배치되는 스위치(120) 각각과 병렬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함(110)은, 시공대상 건물을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부와 하부를 나누는 가상의 수평라인(LH) 또는 좌측과 우측을 나누는 가상의 수직라인(LV) 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전원라인(141)과 제2전원라인(142)은, 가상의 수평라인(LH) 또는 가상의 수직라인(LV)을 기준으로 구획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시공된다. 또한, 제1전원라인(141)과 제2전원라인(142)은, 가상의 수평라인(LH) 또는 가상의 수직라인(LV)을 기준으로 구획된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120)와 연결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분전함하우징(110a), 제1전력분배단자(111a), 제2전력분배단자(111b), 제1전원라인(141) 및 제2전원라인(142)을 구비함으로써, 시공대상 건물을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가상의 수평라인(LH) 또는 가상의 수직라인(LV)을 기준으로 전원라인을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시공할 수 있고,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20)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시공된 전원라인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명확하게 정해진 천정의 일부분만을 탈거하여 전원라인에 대한 점검 또는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등(130) 시공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전기적 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전등스위치라인(150)은,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내부 또는 측벽(20) 내부에 시공되는 구성으로서, 스위치(120)와 전등(13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스위치(12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스위치전원라인(140)부터 스위치(120)로 공급된 전력을 전등(13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20)는,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2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스위치전원라인(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등스위치라인(150)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등(130)은,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천정 또는 측벽(2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전등스위치라인(15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전원라인(141)과 제2전원라인(142)은,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20)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시공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전원라인(140)은, 특정 구조의 내설연장라인(140a), 스위치접속라인(140b) 및 접속조인트부재(140c)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전원라인(140)의 내설연장라인(140a)은,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20)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시공되는 구성으로서,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각각의 스위치(120)를 서로 연결하는 길이만큼 연장되며, 천정의 천정 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되는 전력케이블 구조이다. 스위치접속라인(140b)은, 내설연장라인(140a)의 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양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2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시공되며, 스위치(120)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속조인트부재(140c)는, 스위치접속라인(140b)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스위치(120)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어, 스위치접속라인(140b)과 스위치(1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내설연장라인(140a), 스위치접속라인(140b) 및 접속조인트부재(140c)를 구비함으로써,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20)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손쉽게 스위치전원라인(140)을 시공할 수 있고, 스위치전원라인(140)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손쉽게 탈거하여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등(130) 시공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전기적 문제 해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등시공구조의 스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도 3 및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20)는, 특정 구조의 스위치하우징(121), 전원수용단자(122) 및 전원공급단자(12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120)의 스위치하우징(121)은,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2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전원수용단자(122)는, 스위치하우징(121)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스위치전원라인(140)이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단자(123)는, 스위치하우징(121)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전원수용단자(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등스위치라인(150)의 일단부가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2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콘덴서(124),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125) 및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126)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하우징(121) 내부에 탑재되는 콘덴서(124)는, 전원수용단자(122)로부터 전달된 전력 일부량을 저장한 후,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125)의 작동 시 저장된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125)는, 콘덴서(124)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단자(123)에 접속된 각각의 전등스위치라인(150)의 통전여부를 점검한 후, 전등스위치라인(150)의 상태정보를 시각적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등스위치라인(150)이 정상적으로 통전 될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전등스위치라인(150)이 비정상적으로 통전되거나 통전되지 않을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126)는,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125)에 의해 실시되는 통전여부 검출 과정에서 전원수용단자(122)로부터 콘덴서(124)에 공급된 전력량을 검출한 후, 스위치전원라인(140)의 상태정보를 시각적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원수용단자(122)로부터 콘덴서(124)에 공급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전원수용단자(122)로부터 콘덴서(124)에 공급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스위치하우징(121), 전원수용단자(122), 전원공급단자(123), 콘덴서(124),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125) 및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126)를 구비함으로써, 스위치(120)로 전력을 제공하는 스위치전원라인(140)의 상태와 각각의 전등(13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등스위치라인(150)의 상태를 각각 분리하여 점검하거나 모니터링할 수 있어, 누전 전등(130)을 단시간 내에 찾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고,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전등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전력공급라인
20: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
30: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31: 천정과 측벽이 서로 만나 형성되는 내부 모서리
32: 천정과 측벽이 서로 만나 형성되는 외부 모서리
LH: 가상의 수평라인
LV: 가상의 수직라인
100: 전등시공구조
110: 분전함
110a: 분전함하우징
111: 전력분배단자
111a: 제1전력분배단자
111b: 제2전력분배단자
120: 스위치
121: 스위치하우징
122: 전원수용단자
123: 전원공급단자
124: 콘덴서
125: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
126: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
130: 전등
140: 스위치전원라인
140a: 내설연장라인
140b: 스위치접속라인
140c: 접속조인트부재
141: 제1전원라인
142: 제2전원라인
150: 전등스위치라인

Claims (5)

  1. 시공대상 건물에 시공되고, 외부로부터 시공대상 건물로 전기를 공급되는 전력공급라인(10)이 접속하며, 전력공급라인(10)으로부터 전달된 전기를 일측방향에 시공된 스위치전원라인(140)과 타측방향에 시공된 스위치전원라인(140)에 각각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전력분배단자(111)가 내장된 분전함(110);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20)에 장착되고, 스위치전원라인(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등스위치라인(150)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120);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천정 또는 측벽(20)에 장착되고, 전등스위치라인(15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점등되는 전등(130);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내부 또는 측벽(20) 내부에 시공되고, 분전함(110)의 전력분배단자(111)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스위치(120)에 직접 전력을 전달하도록 시공되고,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으로 구분되어 시공되며,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스위치(120)와 병렬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스위치전원라인(140); 및
    시공대상 건물의 천정 내부 또는 측벽(20) 내부에 시공되고, 스위치(120)와 전등(13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스위치(12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스위치전원라인(140)부터 스위치(120)로 공급된 전력을 전등(130)에 전달하는 전등스위치라인(1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130)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110)은,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분전함하우징(110a);
    상기 분전함하우징(110a)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분전함하우징(110a) 내부로 인입되는 전력공급라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전원라인(141)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제1전력분배단자(111a); 및
    상기 분전함하우징(110a)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분전함하우징(110a) 내부로 인입되는 전력공급라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전원라인(142)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의 제2전력분배단자(111b);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전원라인(140)은,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된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에 배치되는 측벽(20)을 따라 천정 내부에 시공되고, 제1전력분배단자(111a)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일측방향에 배치되는 스위치(120) 각각과 병렬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원라인(141); 및
    시공대상 건물에 장착된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타측방향에 배치되는 측벽(20)을 따라 천정 내부에 시공되고, 제2전력분배단자(111b)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분전함(110)을 기준으로 타측방향에 배치되는 스위치(120) 각각과 병렬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원라인(14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시공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110)은,
    시공대상 건물을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상부와 하부를 나누는 가상의 수평라인(LH) 또는 좌측과 우측을 나누는 가상의 수직라인(LV)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원라인(141)과 제2전원라인(142)은, 가상의 수평라인(LH) 또는 가상의 수직라인(LV)을 기준으로 구획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시공되며,
    상기 제1전원라인(141)과 제2전원라인(142)은, 가상의 수평라인(LH) 또는 가상의 수직라인(LV)을 기준으로 구획된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120)와 연결되고,
    상기 제1전원라인(141)과 제2전원라인(142)은,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20)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시공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전원라인(140)은,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20)과 천정이 만나는 천정 내부 모서리와 인접하여 시공되고,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각각의 스위치(120)를 서로 연결하는 길이만큼 연장되며, 천정의 천정 내부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되는 전력케이블 구조의 내설연장라인(140a);
    내설연장라인(140a)의 양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양단부에 형성되고, 시공대상 건물의 측벽(2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시공되며, 스위치(120)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접속라인(140b); 및
    상기 스위치접속라인(140b)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스위치(120)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어, 스위치접속라인(140b)과 스위치(1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조인트부재(140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시공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20)는,
    시공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측벽(20)에 장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하우징(121);
    상기 스위치하우징(121) 내부에 장착되고, 스위치전원라인(140)이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수용단자(122); 및
    상기 스위치하우징(121)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전원수용단자(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등스위치라인(150)의 일단부가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공급단자(123);
    상기 스위치하우징(121) 내부에 탑재되어 전원수용단자(122)로부터 전달된 전력 일부량을 저장하는 콘덴서(124);
    상기 콘덴서(124)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원공급단자(123)에 접속된 각각의 전등스위치라인(150)의 통전여부를 점검한 후, 전등스위치라인(150)의 상태정보를 시각적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125); 및
    상기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125)에 의해 실시되는 통전여부 검출 과정에서 전원수용단자(122)로부터 콘덴서(124)에 공급된 전력량을 검출한 후, 스위치전원라인(140)의 상태정보를 시각적 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12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등스위치라인 점검부(125)는,
    상기 전등스위치라인(150)이 정상적으로 통전 될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전등스위치라인(150)이 비정상적으로 통전되거나 통전되지 않을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하며,
    상기 스위치전원라인 점검부(126)는,
    상기 전원수용단자(122)로부터 콘덴서(124)에 공급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전원수용단자(122)로부터 콘덴서(124)에 공급된 전력량이 기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등시공구조.
KR1020210137649A 2021-10-15 2021-10-15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KR102362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649A KR102362308B1 (ko) 2021-10-15 2021-10-15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649A KR102362308B1 (ko) 2021-10-15 2021-10-15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308B1 true KR102362308B1 (ko) 2022-02-14

Family

ID=80254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649A KR102362308B1 (ko) 2021-10-15 2021-10-15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17A (ja) * 1997-07-10 1999-02-02 Shimizu Corp 電気配線システム
KR20000017736A (ko) * 1999-10-07 2000-04-06 김성찬 건물 내부의 배선방법
KR20030070433A (ko) * 2002-02-25 2003-08-30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89002A (ko) * 2015-01-16 2016-07-27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
KR101773897B1 (ko) 2016-06-07 2017-09-12 제주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 감시 및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417A (ja) * 1997-07-10 1999-02-02 Shimizu Corp 電気配線システム
KR20000017736A (ko) * 1999-10-07 2000-04-06 김성찬 건물 내부의 배선방법
KR20030070433A (ko) * 2002-02-25 2003-08-30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89002A (ko) * 2015-01-16 2016-07-27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파워플렉서를 이용한 전력과 통신 통합 배선용 장치
KR101773897B1 (ko) 2016-06-07 2017-09-12 제주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류 감시 및 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6325B2 (en) Connection device for transformer substation modules
KR101086455B1 (ko) 스마트 수배전반의 상태표시시스템
CN106712017B (zh) 双母线二次电压切换电路及其自保持电路
JP5465853B2 (ja) 保護継電器の保護協調試験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試験装置
US103888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rapid shutdown of electrical devices
KR102362308B1 (ko)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KR102489754B1 (ko)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직접전원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US9357617B2 (en) Lighting control module
KR102671747B1 (ko) 개별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등 전기배선 구조
KR20230077488A (ko) 개별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JP5183654B2 (ja) 可搬型地絡保護装置
KR101631560B1 (ko) 영상변류기 통합 단자대
US9565740B2 (en) Lighting control module
KR101123272B1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JP4808204B2 (ja) 電力外部入出力装置
KR20180012069A (ko) 지능형 분전함
KR100594907B1 (ko) 차단기의 접속장치
JP5255923B2 (ja) 配電装置
JPH0583817A (ja) 配電盤制御装置
KR20200069134A (ko) 절연가스 회수오류 자동차단 장치 및 방법
JP6437304B2 (ja) 開閉端子台及びそれを使用した絶縁抵抗の測定方法若しくはそれを使用したリレー駆動回路の開閉方法
JP6954140B2 (ja) 停電領域表示システム
JP6450037B1 (ja) 受配電設備システムにおける高圧ケーブル地絡検出遮断回路
KR101883097B1 (ko) 전자식 모터 보호장치
KR102590513B1 (ko) 수배전반 잔류전압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