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0433A -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0433A
KR20030070433A KR1020020009973A KR20020009973A KR20030070433A KR 20030070433 A KR20030070433 A KR 20030070433A KR 1020020009973 A KR1020020009973 A KR 1020020009973A KR 20020009973 A KR20020009973 A KR 20020009973A KR 20030070433 A KR20030070433 A KR 20030070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ranch
slab
fixed
electrical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842B1 (ko
Inventor
노한구
Original Assignee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filed Critical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Priority to KR10-2002-000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8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 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에 분기 배선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분기 배선의 타측이 상기 용기체의 절결부를 통해서 방사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전기 인입선의 분기 배선의 접속부가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절연 및 위치 고정되고, 고정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 특정위치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콘크리트 벽체 또는 슬라브에 매립되고 내부가 비어있는주름관은 전기배선용 모듈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또는 인접하는 다른 실내로 적어도 하나의 분기 배선을 통과시키도록 콘크리트 벽체 또는 슬라브에 매립되고, 엔드캡은 주름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커넥터를 개재해서 각각 결합되도록 하며, 전기 배선용 모듈 내에서 접속되고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로 부터 방사상으로 분기되는 분기 배선에는 사용위치를 표시하도록 번호표가 다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선작업 현장에서 번호표들을 보고, 해당하는 주름관을 관통시켜서 조명등,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접속시켜서 전기배선공사를 할수 있는 구조이므로, 배선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를 절감하여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ELECTRIC WIRING STRUCTURE FOR A BUILDING AND WIRING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공건물 및 공동주택(오피스텔 포함) 등의 전기 배선 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배선자재를 절감하여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공공건물 및 공동주택(오피스텔 포함) 등의 전기 배선 공사는 공사현장에서 콘크리트 벽체 또는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몰된 배관내에 전선을 밀어넣고 나서 스위치박스, 콘센트 박스 또는 전등용 박스로 부터 일정길이를 노출되게 하여 전선을 절단한 후에 벽체의 미장공사 또는 천정용 지지대를 설치한 다음, 스위치박스 또는 콘센트박스 내에 스위치 또는 콘센트를 전선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또한 천정에 실링지지용 원형판 또는 실내등을 전선에 연결하여 전기배선을 공사하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공동주택, 오피스텔의 배선공사는 최근 전기배선 기능공의 부족으로 인하여 미숙련 기능공 또는 고령화된 숙련공에 의해서 전기배선 공사를 행하고 있어, 일정한 품질의 배선공사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화된 전기배선공사, 예를들면 전기배선공사의 고기능화, 대용량화, 정보 통신 대응설비에 따라 이에 적합한 안정된 시공품질과 품질향상,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절감화 등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공동주택, 오피스텔의 배선공사에 있어서는 전등용 박스가 실내의 콘크리트 슬래브 중앙에 설치되어 있어 콘크리트에 미세한 클랙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통신 배관의 증가, 전등용 배관 및 전열용 배관의 증가로 인하여 이들 배관을 덮는 시멘트 몰타르층의 두께가 얇아져서 파손될 염려가 있고, 또한 설치된 형틀상에 바닥철근 배근 작업 후에 배근된 철근 또는 형틀을 밟고 전기배관 작업을 해야 하므로, 공기가 연장되어 시공비를 증가시킬 염려가 있음과 동시에, 배근된 철근 및 형틀을 변형시킬 수도 있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선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를 절감하여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는 분전반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 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에 분기 배선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분기 배선의 타측이 상기 용기체의 절결부를 통해서 방사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전기 인입선의 분기 배선의 접속부가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절연 및 위치고정되고, 고정볼트에 의해 천정의 하부 특정위치에 위치고정되는 전기 배선용 모듈(100)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와 벽체 내에 매립되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와, 인접하는 다른 실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선을 통과시키도록 콘크리트 슬라브 내에 매립되는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300)로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용 전기배선 시공방법은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의 주름관 일측에 결합고정된 스위치, 콘센트용 박스를 콘크리트 벽체용 입상철근에 고정시키고, 상기 주름관의 타측에 결합고정된 엔드캡을 못을 사용하여 슬라브 형틀에 고정시키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 고정스텝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의해 구획된 한쪽 실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형틀과 다른쪽 실의 콘크리트 슬라브용 형틀 상에 상기 주름관의 양단부에 커넥터를 개재하여 결합고정된 엔드캡을 못을 사용하여 관통구멍을 통해서 슬라브 형틀에 고정시키는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300) 고정스텝과, 콘크리트 양생후 상기 형틀을 제거한 다음, 상기 엔드캡의 하부로 노출된 못을 커팅하여 제거하는 못제거 스텝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의 특정위치에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전기배선용 모듈을 위치 고정시키는 모듈고정스텝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 내에서 인접하는 다른 실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배선을 통과 시키는 배선스텝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 내에서 스위치, 콘센트용 분기 배선을 상기 주름관에 고정결합된 엔드캡 및 주름관을 통해서 박스로 인출하는 배선스텝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로 부터 인출된 조명등용 분기 배선을 상기 조명등에 접속하는 배선 스텝과,
상기 분전반용 분기 배선을 상기 분전반에 접속시키는 배선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을 일부 절결해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에 사용되는 용기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하(조명등, 분전반, 스위치 및 콘센트 등)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엔드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름관과 커넥터 및 엔드캡의 분해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가 형틀에 고정되는 상태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내 설치 배선구가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가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0:콘크리트 슬라브 82:고정볼트
84:콘크리트 벽체 89:입상철근
100:전기배선용 모듈 101:전기 인입선
101a:분전반 102,103,104:분기 배선
102a:조명등 103a:스위치
104a:콘센트 105:용기체
105a:관통구멍 105b:절결부
107:절연캡 109:열경화성 수지
110:주름관 112;커넥터
120:엔드캡 120a:중공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을 일부 절결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 용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배선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분전반, 조명등, 스위치, 콘센트 등)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엔드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주름관과 커넥터 및 엔드캡의 분해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가 형틀에 고정되는 상태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벽체내 설치 배선구가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가 콘크리트 슬라브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는 분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101)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105)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101)에 분기 배선(102,103,104)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의 타측이 상기 용기체(105)의 절결부(106b)를 통해서 방사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전기 인입선(101)의 분기 배선(102,103,104)의 접속부가 열경화성 수지(109)에 의해 절연 및 위치 고정되고, 고정볼트(82)에 의해 천정(10)의 하부 특정위치에 고정되는 전기 배선용 모듈(100)과,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와 벽체 내에 매립되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와, 인접하는 다른 실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선을 통과시키도록 콘크리트 슬라브 내에 매립되는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3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은 고정볼트(82)에 의해 천정(10)의 하부 특정위치에 고정되도록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05a) 및 다수의 배선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절결부(105b)가 형성된 용기체(105)와, 상기 용기체(105)에 형성된 절결부(105b)중 어느 하나의 절결부를 통해 인입되며, 분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2가닥의 전기 인입선(101)과, 상기 용기체(105) 내에서 한가닥의 일측이 상기 전기 인입선(101)의 한가닥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며, 다른 한가닥의 일측이 상기 전기 인입선(101)의 다른 한가닥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어서 상기 용기체(105)에 형성된 절결부(105b)를 통해서 각각 인출되는 다수개의 조명등(102a)용 분기 배선(102), 다수개의 스위치(103a)용 분기 배선(103) 및 다수개의 콘센트(104a)용 분기 배선(104)과, 인접하는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과 절연되도록 함과 동시에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용기체(105) 내에 충전되는 열경화성 수지(10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은 공사현장에서 사용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번호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상기 인입선(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에는 사용위치를 표시하도록 번호표가 다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의 길이는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이 설치되는 위치로 부터 조명등(102a), 전등스위치(103a), 콘센트(104a) 등이 설치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의 제조공장에서 해당하는 길이에 여유폭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엔드캡(120)에는 도시하지 않은 형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중앙부와 선단부에 고정구멍(124,125)이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구멍은 중앙부에 하나만 설치해도 상관 없다.
미설명 부호 89는 콘크리트 벽체용 입상철근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전기배선 모듈을 사용하여 옥내배선을 공사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름관(110)의 일측에 커넥터(112)를 개재해서 스위치, 콘센트용 박스(20)를 결합고정하고, 상기 주름관(110)의 타측에 엔드캡(120)을 커넥터(112)를 개재하여 이루어진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의 박스(20)를 콘크리트 벽체(84)용 입상철근(89)에 고정시키고, 콘크리트 슬라브(80)용 형틀 상에 상기 주름관(110)의 타측에 고정결합된 엔드캡(120)의 중앙부 및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124,125)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못(91)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에, 콘크리트 벽체(84)에 의해 구획된 한쪽 실의 콘크리트 슬라브(80)용 형틀(30)과 다른쪽 실의 콘크리트 슬라브(80)용 형틀(30) 상에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름관(110)의 양단부에 커넥터(112)를 개재해서 각각 고정된 엔드캡(120)을, 못(91)을 사용하여 관통구멍(124,125)을 통해서 상기 형틀에 각각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 후,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상기 형틀을 제거한 다음, 상기 엔드캡(120)의 하부로 노출된 못(91)을 커팅하여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80)의 소정위치(설계도면에 표시되어 있음)에 고정볼트(82)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을 위치고정시킨다.
다음은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전기 인입선(101)에 접속된 분기 배선을 인접한 다른 실로 배선하기 위하여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300)의 일측 엔드캡(120)과 주름관(110) 및 타측 엔드캡을 통해서 분기 배선을 인출 시킨다.
다음은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전기 인입선(101)에 접속된 스위치용 분기 배선(103) 또는 콘센트용 분기 배선(104)을 상기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의 엔드캡(120) 및 주름관(110)을 통해서 스위치, 콘센트 박스(20)로 인출하고,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된 조명등(102a)용 분기 배선(102)을 상기 조명등(102a)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다음은 상기 분전반(101a)용 분기 배선(101)을 상기 분전반(101a)에 접속시킨다.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에는 사용 위치 및 용도를 표시하는 번호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상기 인입선(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용기체(105)로 부터 방사상으로 인출되는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에도 사용위치를 표시하도록 번호표가 다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작업 현장에서 용도 또는 사용위치에 적합한 분기 배선(102,103,104)을 찾아서 배선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번호표 대신에 분기 배선의 색깔을 달리해서 사용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의 색깔도 다르게 하여 사용 위치 및 용도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의 분기 배선(102,103,104)은 용도에 맞게 일정한 길이로 재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의 제조시에 배선용 전기선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표준화된 배선작업을 할 수 있어 배선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를 절감하여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80)내에 조명등(102a)용 박스를 매립할 필요가 없어서 상기 박스를 중심으로 콘크리트 슬라브(80)에 미세한 균열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용 전기배선구조에 의하면 전기 배선용 모듈은 전력계 및 배전반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 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에 분기 배선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분기 배선의 타측이 상기 용기체의 절결부를 통해서 방사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전기 인입선의 분기 배선의 접속부가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절연 및 위치 고정되고, 고정볼트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의 하부 특정위치에 위치 고정되고, 벽체내 설치 배선구는 전기배선용 모듈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접속시키고,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는 인접하는 다른 실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선을 통과시키도록 하며, 전기 배선용 모듈에는 공사현장에서 사용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번호표가 부착되어 있고, 전기 배선용 모듈 내에서 인입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 배선용 모듈로 부터 방사상으로 분기되는 분기 배선에는 사용위치를 표시하도록 번호표가 다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배선작업 현장에서 번호표들을 보고, 해당하는 주름관을 관통시켜서 조명등, 스위치 또는 콘센트에 접속시켜서 전기배선공사를 할수 있는 구조이므로, 배선공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선시공 작업의 표준화 및 자재를 절감하여 배선공사의 시공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슬라브의 균열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력계 및 배전반(101a)을 통해 전기를 도입하는 전기 인입선(101) 및 다수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용기체(105)내에서 상기 전기 인입선(101)에 분기 배선(102,103,104)의 일측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의 타측이 상기 용기체(105)의 절결부(106b)를 통해서 방사상으로 인출되고, 상기 전기 인입선(101)의 분기 배선(102,103,104)의 접속부가 열경화성 수지(109)에 의해 절연 및 위치 고정되고, 고정볼트(82)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80)의 하부 특정위치에 위치 고정되는 전기 배선용 모듈(100)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되는 분기 배선(102,103,10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을 스위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벽체(84)내에 매립되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와, 인접하는 다른 실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선을 통과시키도록 콘크리트 콘크리트 슬라브(80)에 매립되는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30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내 설치 배선구는 소정길이의 주름관과, 주름관 일측에 커넥터로 결합고정된 스위치, 콘센트용 박스와, 주름관 타측에 커넥터로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고정구멍이 구비된 엔드캡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는 소정길이의 주름관과, 주름관의 양측에 커넥터로 결합 고정되며 중앙부에 고정구멍이 구비된 엔드캡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은 사용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번호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상기 인입선(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에는 사용위치를 표시하도록 번호표가 다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전기배선 구조.
  5. 주름관(110)의 일측에 결합고정된 스위치, 콘센트용 박스(20)를 콘크리트 벽체(84)의 입상철근에 고정시키고, 상기 주름관(110)의 타측에 결합고정된 엔드캡(120)에 못(91)을 사용하여 슬라브용 형틀(80)에 고정시키는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 고정스텝과,
    상기 콘크리트 벽체(80)에 의해 구획된 한쪽 실의 콘크리트 슬라브(80)용 형틀과 다른쪽 실의 콘크리트 슬라브(80)용 형틀 상에 상기 주름관(110)의 양단부에 커넥터(112)를 개재해서 각각 결합 고정된 엔드캡(120)을 못(91)을 사용하여 관통구멍(124,125)을 통해서 각각 고정시키는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 고정스텝(300)과,
    콘크리트의 양생후 상기 형틀을 제거한 다음, 상기 엔드캡(120)의 하부로 노출된 못(91)을 커팅하여 제거하는 못제거 스텝과,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80)의 특정위치에 고정볼트(82)를 사용하여 전기배선용 모듈(100)을 위치 고정시키는 모듈고정스텝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전기 인입선(101)에 접속된 전기 배선을 인접하는 다른 실내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기 배선을 콘크리트 슬라브(80)에 매립되는 슬라브내 설치 배선구(300)를 통과하여 인출 시키도록 하는 배선스텝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전기 인입선(101)에 접속된 스위치/콘센트 분기 배선(104)을 상기 벽체내 설치 배선구(200)의 엔드캡(120) 및 주름관(110)을 통해서 박스(20)로 인출하는 배선스텝과,
    상기 전기배선용 모듈(100)로 부터 인출된 조명등(102a)용 분기 배선(102)을 상기 조명등(102a)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스텝과,
    상기 분전반(101a)용 분기 배선(101)을 상기 분전반(101a)에 접속시키는 배선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전기배선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은 사용하는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번호표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전기 배선용 모듈(100) 내에서 상기 인입선(101)에 접속되는 상기 분기 배선(102,103,104)에는 사용위치를 표시하도록 번호표가 다수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전기배선 시공방법.
KR10-2002-0009973A 2002-02-25 2002-02-25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433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973A KR100433842B1 (ko) 2002-02-25 2002-02-25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973A KR100433842B1 (ko) 2002-02-25 2002-02-25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433A true KR20030070433A (ko) 2003-08-30
KR100433842B1 KR100433842B1 (ko) 2004-06-04

Family

ID=3222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973A KR100433842B1 (ko) 2002-02-25 2002-02-25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8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84Y1 (ko) 2020-03-24 2020-11-06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210002182U (ko) 2020-03-24 2021-10-05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102362308B1 (ko) * 2021-10-15 2022-02-14 이신복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KR20220056335A (ko) 2020-10-28 2022-05-06 (주)상건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102520376B1 (ko) * 2022-07-29 2023-04-10 김민재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61703B1 (ko) * 2022-12-05 2023-08-01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 및 그 모니터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443B1 (ko) 2019-10-17 2021-10-25 조성준 아파트 전기설비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189U (ko) * 1975-07-04 1977-01-20
JPS606053U (ja) * 1983-06-25 1985-01-17 未来工業株式会社 電線管用の端末保護具をコンクリ−ト仮枠へ密接固定する固定具
JPH0158218U (ko) * 1987-10-06 1989-04-12
JPH0717231Y2 (ja) * 1989-07-17 1995-04-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ユニットケーブルの接続部
JP2575779Y2 (ja) * 1992-06-05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円盤型ユニットケーブル
JPH069324U (ja) * 1992-06-30 1994-02-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管用配管保護カ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584Y1 (ko) 2020-03-24 2020-11-06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210002182U (ko) 2020-03-24 2021-10-05 (주)상건 배선 분기 겸용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20220056335A (ko) 2020-10-28 2022-05-06 (주)상건 배선분기 일체형 텀블러 스위치 장치
KR102362308B1 (ko) * 2021-10-15 2022-02-14 이신복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KR102520376B1 (ko) * 2022-07-29 2023-04-10 김민재 공동주택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561703B1 (ko) * 2022-12-05 2023-08-01 (주)한길이앤씨 공동주택 전기배관 배선연결 시스템 및 그 모니터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842B1 (ko) 200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842B1 (ko) 건물용 전기배선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1236701A (zh) 集成化装配式医疗防辐射室结构与施工方法
CN111075193B (zh) 装配式医疗洁净室施工方法及装配式医疗洁净室构造
US11381068B2 (en) Electrical wiring structure with connection points arranged on side walls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8881477B2 (en) Ceiling frame system
CN210621997U (zh) 一种预埋电线的装配式墙体
US10431966B2 (en) Heavy-current system and heavy-current distributor used in building
KR19990030579A (ko) 천장슬래브용 전기배관 박스
CN106655033B (zh) 智慧装配地脚线及其装配方法
CN201286002Y (zh) 一种组合式房屋的电路布置结构
CN210562912U (zh) 一种装配式混凝土结构内预埋电气管线的布置结构
KR200201267Y1 (ko) 바닥구조
CN216521550U (zh) 一种人体感应电气箱
KR200379101Y1 (ko) 일체형 단열재
DE10103750A1 (de) Installationskanal
KR200228583Y1 (ko) 경량벽체 고정장치
JP3053320U (ja) コンパクトユニットケーブル
JP2000201421A (ja) 屋内配線方法
IL269862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H0731012A (ja) 屋内電気配線システム
CN112218994A (zh) 一种装饰墙系统的施工方法
KR200181773Y1 (ko) 접속함이 불필요한 등기구
CN112204207A (zh) 一种安装有弱电电线的装饰墙系统
JP200205426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建築物の天井構造
CN2214980Y (zh) 建筑用纤维增强水泥电线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