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583B1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583B1
KR102361583B1 KR1020210100582A KR20210100582A KR102361583B1 KR 102361583 B1 KR102361583 B1 KR 102361583B1 KR 1020210100582 A KR1020210100582 A KR 1020210100582A KR 20210100582 A KR20210100582 A KR 20210100582A KR 102361583 B1 KR102361583 B1 KR 10236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isposed
installation
installation pa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0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들이 배치되는 제1설치부(A) 및 제2설치부(B)가 구비된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본체(10)에 결합되는 제1커버(70) 및 제2커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설치부(A) 및 상기 제2설치부(B)는 상기 블럭본체(10)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블럭본체(10)에는 상기 제1설치부(A)와 상기 제2설치부(B) 사이를 연결하는 관통부(19)가 관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블럭의 블럭본체(10)에는 제1설치부(A)와 제2설치부(B)가 구비되는데, 제1설치부(A)와 제2설치부(B)는 블럭본체(10)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많은 수의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자동차용 블럭이 소형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제어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부품을 컨트롤할 수 있는 릴레이와 과전압으로부터 각 전장부품을 보호하는 퓨즈들이 사용되는데, 이들 릴레이와 퓨즈 등을 모아 배치한 것이 자동차용 블럭이다.
상기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는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블럭도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모듈에 직접 장착되는 자동차용 블럭도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모듈에 연결되는 자동차용 블럭에는 배터리모듈의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부품들과, 배터리모듈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고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 퓨즈 및 버스바(busbar)등이 자동차용 블럭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많은 수의 부품들이 자동차용 블럭에 설치되므로, 자동차용 블럭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자동차용 블럭의 크기가 커지면, 협소한 자동차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증가하고 공간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용 블럭에 설치되는 부품들 중에서 고전압 부품들은 사용 중에 많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제품의 소형화를 위해서 자동차용 블럭도 작게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많은 부품이 사용되면 방열에 더욱 불리한 환경이 되고, 특히 고전압 부품에서 발생하는 높은 열을 배출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에 연결된 자동차용 블럭은 자동차 사고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블럭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배터리모듈에 연결된 부품들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여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고발생시에 자동차용 블럭의 단락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407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자동차용 블럭을 소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이 배출되는 공기유로를 넓게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고발생시에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부품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부품들이 배치되는 제1설치부 및 제2설치부가 구비된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에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설치부 및 상기 제2설치부는 상기 블럭본체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블럭본체에는 상기 제1설치부와 상기 제2설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통부가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에는 각각 제1방열부 및 제2방열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1방열부와 상기 제2방열부는 각각 상기 제1설치부와 상기 제2설치부를 외부로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열부는 상기 제1커버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방열부는 상기 제2커버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제1설치부에 배치된 부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차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방열부는 상기 제1차폐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은 상기 제2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 보다 고전류를 통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설치부에는 상기 제1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제1버스바가 배치되고, 상기 제2설치부에는 상기 제2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제2버스바가 배치되며,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는 상기 블럭본체를 높이방향으로 관통한 상기 관통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설치부에는 상기 블럭본체에 배치된 부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하네스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설치부의 바닥면에는 설치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설치보스에는 와이어가이드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하네스는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가이드홀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설치보스에 삽입되고, 다수의 탄성편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설치몸체와 가이드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링은 상기 설치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하네스가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설치부에는 다수개의 릴레이들이 배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릴레이들은 배터리모듈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릴레이와, 상기 배터리모듈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릴레이의 전원단과 상기 음극릴레이의 전원단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설치부에는 복수의 제1퓨즈가 배치되고, 상기 제2설치부에는 상기 제1퓨즈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릴레이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퓨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들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설치부에는 상기 제1설치부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커넥터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브라켓에는 커넥터하우징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브라켓은 상기 제1설치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상기 커넥터브라켓의 양단은 각각 상기 블럭본체의 양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브라켓의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단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단에는 복수의 커넥터가 각각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본체에는 체결구가 끼워지는 체결공간이 형성된 장착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에는 상기 체결공간을 가로지르는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커버의 바닥면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저면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블럭의 블럭본체에는 제1설치부와 제2설치부가 구비되는데, 제1설치부와 제2설치부는 블럭본체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많은 수의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자동차용 블럭이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1설치부와 제2설치부는 블럭본체의 관통부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1설치부와 제2설치부에 배치된 부품들 사이도 연결될 수 있다. 두 설치부는 구획되어 있지만, 부품들은 관통부를 통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따라서 자동차용 블럭의 설계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설치부가 서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부품들의 전류값을 기준으로 제1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제2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설치부에는 고전류부품을 배치하고, 제2설치부에는 저전류부품을 배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자동차용 블럭의 회로구성을 보다 단순화시키고, 회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블럭의 커버에는 방열부가 구비되어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해줄 수 있다. 이때 방열부는 커버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커버의 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차폐부에 방열부가 형성됨으로써 보다 높은 방열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열이 심한 부품들이 블럭본체의 제1설치부와 제2설치부에 분산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발열부품의 방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품의 동작신뢰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설치된 릴레이들은 극성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사고발생시에 릴레이들 사이의 단락이 방지될 수 있고, 자동차용 블럭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2커버의 바닥면은 장착브라켓의 저면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즉, 제2커버의 바닥면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저면과 이격되고, 자동차용 블럭의 바닥면이 장착위치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용 블럭 내부에 배치된 부품과 외부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넓힐 수 있고, 자동차용 블럭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일실시례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브라켓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넥터브라켓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브라켓에서 커넥터하우징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일실시례의 제2설치부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다른 실시례의 제2설치부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
도 11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와이어가이드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와이어가이드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고, 부품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자동차용 블럭은 다수의 배터리들을 모은 배터리모듈(도시되지 않음)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에 설치되는 부품에는 릴레이(50), 퓨즈(20,48), 와이어하네스(W1,W2) 및 버스바(40A,40B)들이 포함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도면의 방향을 설명하면, 도 1에서 X축은 자동차용 블럭의 앞쪽과 뒤쪽을 나타내고, Y축은 자동차용 블럭의 길이방향인 왼쪽과 오른쪽을 나타내며, Z축은 자동차용 블럭의 높이방향인 위쪽과 아래쪽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자동차용 블럭은 좌우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입체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설치공간은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본체(10)를 덮는 제1커버(70)와 제2커버(90)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이다. 상기 설치공간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제1설치부(A)와 제2설치부(B)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자동차용 블럭을 구성하는 블럭본체(10)로부터 제1커버(70)와 제2커버(90)가 분리된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 상기 블럭본체(10)의 상부에는 제1설치부(A)가 있고 하부에는 제2설치부(B)가 있다. 상기 제1커버(70)와 상기 제2커버(90)를 분리하면, 상기 제1설치부(A)와 상기 제2설치부(B)가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블럭본체(10)에는 부품들과 와이어하네스(W1,W2)가 장착된다.
상기 블럭본체(10)를 보면, 상기 블럭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바디(1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메인바디(11)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제1설치부(A) 및 제2설치부(B)가 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1)의 측면에는 본체걸이턱(12)과, 본체걸이후크(13)가 있다. 상기 본체걸이턱(12)과, 본체걸이후크(13)는 상기 제1커버(70) 및 제2커버(90)와의 조립을 위한 것이다.
상기 본체걸이턱(12)은 상기 제1커버(70)의 커버후크(72)가 걸리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바디(11)의 측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본체걸이후크(13)는 상기 제2커버(90)의 커버걸이턱(93)에 걸리는 부분으로,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본체걸이턱(12)과 본체걸이후크(13)는 상기 메인바디(11)의 같은 평면상에 배치되는데, 본체걸이후크(13)는 상기 본체걸이턱(12) 보다 상기 메인바디(11)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메인바디(11)에는 장착브라켓(15)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브라켓(15)은 본 실시례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을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15)은 상기 메인바디(11)의 하부에 구비되고,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브라켓(15)에는 체결구(미도시)가 끼워지는 체결공간(15c)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15)에는 상기 체결공간(15c)을 가로지르는 보강플레이트(17)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장착브라켓(15)에는 체결바디(15a)가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바디(15a)에는 상기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부(15b)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디(15a)의 상부에는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상기 체결공간(15c)이 상기 체결부(15b)의 상부까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구를 조이기 위한 공구가 위쪽에서 체결구 쪽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바디(15a)에는 보강플레이트(17)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7)는 상기 체결부(15b)와 이격되고, 상기 체결공간(15c)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7)는 상기 체결바디(15a)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장차브라켓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17)와 상기 체결부(15b) 사이는 전방으로 개구되어 공구의 삽입 등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5b)는 상기 체결바디(15a)와 별개물인 너트이거나, 또는 상기 체결바디(15a)와 일체일 수도 있다. 도면부호 16a는 체결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나타낸다.
다시 도 3을 보면, 상기 블럭본체(10)의 제1설치부(A)에는 제1퓨즈(20)가 배치된다. 상기 제1퓨즈(20)는 상기 제1설치부(A)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퓨즈(20)들은 버스바(40A,40B)와 와이어하네스(W1,W2)를 통해서 커넥터(35a,35b,35c), 릴레이(50) 등 다른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버(70)에는 상기 제1퓨즈(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차폐부(8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차폐부(80)에는 제1방열부(74)가 구비되어 상기 제1퓨즈(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퓨즈(20)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1퓨즈(20)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릴레이(50)와는 높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복수개의 제1퓨즈(20)들은 제1설치부(A)에 배치되는데 반해, 상기 릴레이(50)들은 제2설치부(B)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복수의 제1퓨즈(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50)들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복수의 제1퓨즈(20)와 복수의 릴레이(50)들이 최대한 이격되게 배치되고, 발열이 많이 일어나는 부품들을 전후방향과 상하방향으로 각각 분산시켜 방열에 유리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블럭본체(10)에는 커넥터브라켓(30)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브라켓(30)은 상기 제1설치부(A)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브라켓(30)에는 커넥터(35a,35b,35c)가 장착된다. 상기 커넥터브라켓(30)은 상기 제1설치부(A)의 바닥면과 이격되면서, 상기 블럭본체(10)에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브라켓(30)은 상기 블럭본체(10)와 별개물로 구성되고, 상기 블럭본체(10)에 조립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넥터브라켓(30)은 상기 제1설치부(A)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배치되어, 그 하부의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브라켓(30)을 통해서 좁은 제1설치부(A)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브라켓(30)에는 상기 제1설치부(A)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브라켓바디(31)가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바디(31)는 대략 판상구조이고, 그 양단부(32)가 상기 메인바디(11)의 양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바디(31)의 양단부(32)에는 각각 브라켓후크(32a)가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후크(32a)는 상기 메인바디(11)의 측면에 구비된 브라켓걸이턱(12a, 도 7 참조)에 걸린다.
상기 브라켓바디(31)의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단(33)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단(33)에는 상기 커넥터(35a,35b,35c)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36)이 조립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복수의 체결단(33)에는 제2커넥터(35b) 및 제3커넥터(35c)가 각각 조립된다. 도 8을 기준으로 보면 가장 우측의 체결단(33)에는 삽입공간(33a)이 관통되고, 상기 삽입공간(33a)의 상부에는 제1커넥터(35a)를 걸어 고정하는 걸이후크(33b)가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을 기준으로 보면 좌측에는 두 개의 체결단(33)이 배치되고, 두 체결단(33)에는 각각 서로 다른 제2커넥터(35b)와 제3커넥터(35c)가 반대방향(화살표①, ② 참조)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설치부(A)는 좁기 때문에, 이렇게 반대방향으로 커넥터(35b,35c)들이 조립되면 다수개의 커넥터(35b,35c)들을 한 방향으로 조립하는 것에 비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33)에는 체결턱(34)이 돌출되고, 상기 체결턱(34)에는 커넥터하우징(36)의 저면에 형성된 상대걸림턱(미도시)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36a는 터미널(미도시)이 삽입되는 삽입홀이고, 37은 상대커넥터(미도시)가 조립되는 조립홀을 나타낸다.
도 3과 도 5를 보면, 상기 메인바디(11)에는 버스바(40A,40B)가 배치된다. 상기 버스바(40A,40B)는 상기 메인바디(11)의 제1설치부(A)와 제2설치부(B)를 따라 연장되고, 부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스바(40A,40B)는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긴 판구조이고, 금속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바디(11)에는 다수개의 버스바(40A,4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40A,40B)는 상기 제1설치부(A)에 배치된 제1버스바(40A)와, 상기 제2설치부(B)에 배치된 제2버스바(40B)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버스바(40A)는 상기 제1설치부(A)에 배치된 부품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2버스바(40B)는 상기 제2설치부(B)에 배치된 부품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버스바(40A)와 상기 제2버스바(40B)는 별개물이 아니라 하나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도 9와 도 10을 보면, 상기 메인바디(11)에는 관통부(19)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9)를 통해 상기 제1버스바(40A)와 상기 제2버스바(40B)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9)는 상기 메인바디(11)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것이고, 상기 관통부(19)는 아래에서 설명될 릴레이(5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메인바디(11)에는 연결단자(4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42)는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스바(40A,40B)에 연결되거나 또는 버스바(40A,40B)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연결단자(42)는 상기 제1커버(70)의 단자커버부(8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42)에는 외부의 접속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바디(11)의 제2설치부(B)에는 전압센싱부(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압센싱부(45)는 본 실시례의 자동차용 블럭 내부 부품의 전압을 센싱하거나, 또는 내부 부품과 연결된 외부 부품(예를 들어 배터리모듈 또는 모터)의 전압을 센싱할 수도 있다. 상기 전압센싱부(45)는 전압측정회로(Voltage Detect Circuit)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바디(11)의 제2설치부(B)에는 제2퓨즈(48)와 저항(49)이 배치된다. 상기 제2퓨즈(48)는 상기 저항(49)과 아래에서 설명될 음극릴레이(50B1,50B2)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7을 보면, 상기 저항(49)은 상기 제1설치부(A)에 구비되고, 상기 제1버스바(40A)의 외부연결단(41)이 상기 저항(49)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외부연결단은 외부의 다른 전장품, 예를 들어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제2설치부(B)에는 릴레이(50)들이 배치된다. 상기 릴레이(50)들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제2커버(90)에 의해 차폐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릴레이(50)는 총 4개로 구성되고, 그중 2개는 양극릴레이(50A1,50A2), 나머지 2개는 음극릴레이(50B1,50B2)일 수 있다. 여기서 양극릴레이(50A1,50A2)는 배터리모듈의 전원부 중에서 양극전원부에 연결된 것이고, 음극릴레이(50B1,50B2)는 음극전원부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릴레이(50)들에는 전원단(52)이 구비된다. 상기 전원단(52)은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 상기 전원단(52)은 앞서 설명한 제2버스바(40B)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전원단(52)은 상기 양극릴레이(50A1,50A2)에 연결된 양극전원단(52)과, 상기 음극릴레이(50B1,50B2)에 연결된 음극전원단(52)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면부호 53은 상기 전원단(52)을 고정하기 위한 전원볼트이다.
이때, 상기 음극릴레이(50B1,50B2) 중 하나는 나머지 릴레이(50)들의 전원단(52)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사고발생시에 릴레이(50)들 사이의 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양극릴레이(50A1,50A2)와 상기 음극릴레이(50B1,50B2)가 외부의 물체에 의해 임의로 연결됨으로써 발생하는 단락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릴레이(50)들은 도 10과 같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양극릴레이(50A1,50A2)의 전원단(52)과 상기 음극릴레이(50B1,50B2)의 전원단(52)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두 개의 양극릴레이(50A1,50A2)는 아래쪽을 향하고, 두 개의 음극릴레이(50B1,50B2)는 위쪽을 향하는 것이다.
도 11과 도 12를 보면, 상기 제2설치부(B)의 바닥면에는 설치보스(18)가 돌출되고, 상기 설치보스(18)에는 와이어가이드(60)가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60)가 상기 제2와이어하네스(W2)의 일부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설치보스(18)에 결합되면, 상기 제2와이어하네스(W2)가 정확한 경로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설치보스(18)는 상기 제2설치부(B)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원통형상이고, 그 상단이 개방되어 설치홈(18a)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8a)을 통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60)의 설치몸체(6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6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와이어가이드(60)에는 상기 설치보스(18)에 삽입되는 설치몸체(61)가 있다. 상기 설치몸체(61)는 대략 원기둥형상이고, 상기 설치몸체(61)의 표면에는 다수의 탄성편(63)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탄성편(63)들은 상기 설치홈(18a)에 상기 설치몸체(61)가 삽입될 때 탄성변형되고, 상기 설치몸체(61)가 상기 설치홈(18a)의 내면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해준다.
상기 설치몸체(61)의 상부에는 가이드링(6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링(62)은 중심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홀을 제2와이어하네스(W2)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하네스(W2)는 상기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가이드(6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62)은 양방향으로 개구되는데, 상기 가이드링(62)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직경이 가변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보면, 상기 제1커버(70)는 상기 블럭본체(10)의 일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설치부(A)를 차폐한다. 상기 제1커버(70)의 제1커버바디(71)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설치부(A)의 가장자리를 감싼다. 상기 제1커버바디(71)에는 상기 본체걸이턱(12)에 걸리는 커버후크(72)가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복수개의 상기 커버후크(72)들이 상기 제1커버바디(7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1커버(70)에는 제1방열부(74)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방열부(74)는 상기 제1커버(70)를 관통하여 상기 제1설치부(A)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1방열부(74)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방열부(74)들 사이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방열부(74)는 상기 제1커버(7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방열부(74)가 제1커버(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제1방열부(74)로 인해 상기 제1커버(70)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상기 제1커버(70)에는 제1연결부(7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75)는 상기 제1커버(70)의 일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부(75)는 상기 블럭본체(10)의 상기 체결공간(15c)과 연결된다.
상기 제1커버(70)에는 제1차폐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차폐부(80)는 상기 제1설치부(A)에 배치된 부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커버(70)와 제1설치부(A)의 부품들 사이의 간격을 좁혀 상기 제1커버(70)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방열부(74)는 상기 제1차폐부(80)에도 형성되어 제1설치부(A)의 부품들(예를 들어 상기 제1퓨즈(2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70)에는 단자커버부(82)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커버부(82)는 상기 연결단자(42)를 감싸는 것으로, 원통형상이다. 상기 단자커버부(82)의 상단은 개구되어서, 외부의 접속커넥터(35a,35b,35c)가 상기 연결단자(42)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70)의 반대편에는 제2커버(9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버(90)는 상기 블럭본체(10)의 일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설치부(B)를 차폐한다. 상기 제2커버(90)의 제2커버바디(91)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설치부(B)의 가장자리를 감싼다. 상기 제2커버바디(91)에는 상기 본체걸이후크(13)에 걸리는 커버걸이턱(93)이 구비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복수개의 상기 커버걸이턱(93)들이 상기 제2커버바디(9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커버(90)에는 제2방열부(94)가 구비된다. 상기 제2방열부(94)는 상기 제2커버(90)를 관통하여 상기 제2설치부(B)와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2방열부(94)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방열부(94)들 사이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방열부(94)는 상기 제2커버(9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방열부(94)가 제2커버(9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제2방열부(94)로 인해 상기 제2커버(90)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방열부(94)는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하부로 배출하는 배수구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커버(70)는 중심부가 외곽 보다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에 상기 제2방열부(9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90)에는 제2연결부(9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연결부(95)는 상기 제2커버(90)의 일부가 안쪽으로 함몰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2연결부(95)는 상기 블럭본체(10)의 상기 체결공간(15c)과 연결된다.
한편 도 4를 보면, 상기 제2커버(90)의 바닥면(L1)은 상기 장착브라켓(15)의 저면(L2) 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2커버(90)의 바닥면은 상기 장착브라켓(15)의 저면과 이격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커버(90)의 바닥면이 직접 장착위치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설치부(B)에 배치된 부품과 외부 부품 사이의 절연거리를 넓힐 수 있다.
상기 블럭본체(10)에는 와이어하네스(W1,W2)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하네스(W1,W2)는 상기 블럭본체(10)에 배치된 부품들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하네스(W1,W2)는 다수 가닥의 와이어 가닥들이 묶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하네스(W1,W2)는 상기 제1설치부(A)에 배치되는 제1와이어하네스(W1)와 제2설치부(B)에 배치되는 제2와이어하네스(W2)를 포함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와이어하네스(W1)는 상기 커넥터(35a,35b,35c)만 연결되고, 나머지 부품들은 제2와이어하네스(W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대부분의 부품을 연결하는 제2와이어하네스(W2)는 상대적으로 저전류부품으로 구성된 상기 제2설치부(B)에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전류부품이 배치된 제1설치부(A)에 부품들을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제2와이어하네스(W2)와 간섭없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0: 블럭본체 11: 메인바디
12: 본체걸이턱 13: 본체걸이후크
15: 장착브라켓 17: 보강플레이트
20: 제1퓨즈 30: 커넥터브라켓
31: 브라켓바디 33: 체결단
35a,35b,35c: 커넥터 36: 커넥터하우징
40A,40B: 버스바 50: 릴레이
60: 와이어가이드 70: 제1커버
74: 제1방열부 90: 제2커버
94: 제2방열부 A: 제1설치부
B: 제2설치부

Claims (18)

  1. 다수의 부품들이 배치되는 제1설치부 및 제2설치부가 구비된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1설치부를 차폐하는 제1커버;와
    상기 블럭본체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설치부를 차폐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설치부 및 상기 제2설치부는 상기 블럭본체에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블럭본체에는 상기 제1설치부와 상기 제2설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통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2설치부에는 다수개의 릴레이들이 배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릴레이들에는 전원단이 구비되며, 상기 전원단은 상기 관통부가 관통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다수개의 릴레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원단은 나머지 릴레이들의 전원단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자동차용 블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에는 각각 제1방열부 및 제2방열부가 관통되고, 상기 제1방열부와 상기 제2방열부는 각각 상기 제1설치부와 상기 제2설치부를 외부로 연통시키는 자동차용 블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부는 상기 제1커버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방열부는 상기 제2커버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제1설치부에 배치된 부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제1차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방열부는 상기 제1차폐부에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은 상기 제2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 보다 고전류를 통전시키는 자동차용 블럭.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부에는 상기 제1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제1버스바가 배치되고, 상기 제2설치부에는 상기 제2설치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연결하는 제2버스바가 배치되며, 상기 제1버스바와 상기 제2버스바는 상기 블럭본체를 높이방향으로 관통한 상기 관통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자동차용 블럭.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설치부에는 상기 블럭본체에 배치된 부품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하네스가 배치되는 자동차용 블럭.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설치부의 바닥면에는 설치보스가 돌출되고, 상기 설치보스에는 와이어가이드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하네스는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가이드홀에 끼워지는 자동차용 블럭.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설치보스에 삽입되고, 다수의 탄성편들이 높이를 달리하여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설치몸체;와
    상기 설치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하네스가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관통된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릴레이들은 배터리모듈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릴레이와, 상기 배터리모듈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릴레이의 전원단과 상기 음극릴레이의 전원단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자동차용 블럭.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부에는 복수의 제1퓨즈가 배치되고, 상기 제2설치부에는 상기 제1퓨즈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릴레이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퓨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들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는 자동차용 블럭.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부에는 상기 제1설치부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커넥터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브라켓에는 커넥터가 조립되는 자동차용 블럭.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브라켓은 상기 제1설치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되, 상기 커넥터브라켓의 양단은 각각 상기 블럭본체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자동차용 블럭.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브라켓의 상면에는 복수의 체결단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단에는 복수의 커넥터가 각각 조립되는 자동차용 블럭.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에는 체결구가 끼워지는 체결공간이 형성된 장착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에는 상기 체결공간을 가로지르는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체결구와 결합되는 체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상기 체결공간이 상기 체결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바디;와,
    상기 체결부와 이격되고, 상기 체결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와 상기 체결부 사이는 전방으로 개구되는 자동차용 블럭.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의 바닥면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저면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210100582A 2021-07-30 2021-07-30 자동차용 블럭 KR10236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82A KR102361583B1 (ko) 2021-07-30 2021-07-30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82A KR102361583B1 (ko) 2021-07-30 2021-07-30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583B1 true KR102361583B1 (ko) 2022-02-14

Family

ID=8025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582A KR102361583B1 (ko) 2021-07-30 2021-07-30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5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359A (ko) * 2007-04-20 2008-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록 구조의 정션박스
KR101534079B1 (ko) 2014-05-22 2015-07-06 영화테크(주)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정션 박스
KR101779004B1 (ko) * 2016-06-15 2017-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가 구비된 차량용 블록
KR101859088B1 (ko) * 2016-12-27 2018-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록
KR20190055404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열구조가 구비된 정션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359A (ko) * 2007-04-20 2008-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블록 구조의 정션박스
KR101534079B1 (ko) 2014-05-22 2015-07-06 영화테크(주)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정션 박스
KR101779004B1 (ko) * 2016-06-15 2017-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가 구비된 차량용 블록
KR101859088B1 (ko) * 2016-12-27 2018-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록
KR20190055404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열구조가 구비된 정션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0351B2 (en) Wiring module
CN108231616B (zh) 电压检测构造和电压检测模块
US20140141287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 control module
KR102173285B1 (ko) 커넥터화된 벌크헤드를 가지는 고전압 전기 센터
US10333129B2 (en) Buss bar assembly for a battery system
US7508164B2 (en) Battery pack having control devices of differing heights
US20130136974A1 (en) Safety structure for high voltage battery of vehicle
EP3133672A1 (en) Bus bar module, battery monitoring module, and battery module
CN103427050A (zh) 电源装置
CN106471647A (zh) 可电压保护地制造的机动车电池
WO2018159352A1 (ja) 接続モジュール
KR102361583B1 (ko) 자동차용 블럭
US11075430B2 (en) Wiring module
CN109565023B (zh) 布线模块
WO2021079938A1 (ja) 蓄電設備
KR20100084891A (ko) 퓨즈박스
WO2021006109A1 (ja) 電気接続箱
CN111200263B (zh) 电气连接箱
WO2021006000A1 (ja) 接続モジュール
CN114097152B (zh) 电接线盒
WO2021079935A1 (ja) 蓄電装置
CN118232253A (zh) 电接线盒
KR20230136332A (ko) 자동차용 전원블럭
JP2021068570A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