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521B1 -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521B1
KR102361521B1 KR1020170111834A KR20170111834A KR102361521B1 KR 102361521 B1 KR102361521 B1 KR 102361521B1 KR 1020170111834 A KR1020170111834 A KR 1020170111834A KR 20170111834 A KR20170111834 A KR 20170111834A KR 102361521 B1 KR102361521 B1 KR 102361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fo
tank
auxiliary tank
bunk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325A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5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0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 F02M31/12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heating electrically
    • F02M31/125Fuel
    • B63B27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의 HFO 저장탱크인 벙커 탱크 내에 소형의 HFO 저장탱크인 보조 탱크를 설치해 두어 HFO 세틀링 탱크(Settling Tank)로 이송되는 HFO 이송량만큼만 고려하여 보조 탱크의 HFO를 소정온도로 가열함으로써, HFO를 가열하는 스팀 사용량을 절감하고 히팅 코일 양을 절감하며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연료공급장치{HEAVY FUEL OIL SUPPLY APPARATUS OF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대형의 HFO 저장탱크인 벙커 탱크 내부에 소형의 HFO 저장탱크인 보조 탱크가 설치되고, 벙커 탱크 내의 HFO는 약 20℃로 가열하고, 주엔진 또는 발전기에 HFO 공급시 세틀링 탱크로 이송되는 HFO 이송량만큼만 고려하여 보조 탱크의 HFO를 약 45℃로 가열함으로써, HFO를 가열하는 스팀 사용량을 절감하고 히팅 코일 양을 절감하며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주 연료로 사용하는 HFO(Heavy Fuel Oil)는 Bunker C 유라고도 하며, 상온에서 고점도(High Viscosity) 특성이 있으나, 다른 연료유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하여 컨테이너선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대형 선박에서 주 엔진의 연료로 상용된다.
HFO는 대용량의 벙커 탱크(Bunker Tank)에 저장되며, 주 엔진 또는 발전기의 구동 시에 HFO 이송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벙커 탱크로부터 HFO 세틀링 탱크(Settling Tank)로 HFO가 공급된다.
HFO 세틀링 탱크에서 PURIFIER 등의 청정장치를 거친 후 주엔진 또는 발전기의 연료공급 라인으로 공급된다.
벙커 탱크에는 벙커 탱크 내부 온도를 높여서 HFO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히팅 코일이 설치된다.
벙커 탱크에서 세틀링 탱크로 HFO를 이송하기 위하여 HFO의 온도를 약 45℃로 항시 유지시켜 준다. 이는, HFO 이송펌프를 보호하고 HFO(유체) 이송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약 2,000㎥ 크기의 벙커 탱크의 HFO를 항시 45℃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는 히팅 코일에 공급되는 스팀의 소모량이 너무 많고, 특히 외기 온도가 낮은 겨울철이나 극지방 지역에서는 외부와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스팀 소모량이 더 심하게 발생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56788호에는 벙커-C 유를 연료로 하는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는, 벙커-C 유를 저장하는 저조 탱크와, 저조 탱크의 벨 마우스 부분에 설치하여 피드백된 고온의 벙커-C 유를 통하여 열 교환하도록 하는 믹싱 룸과, 믹싱 룸에서 유입되는 벙커-C 유를 1차 히팅하는 세틀링 탱크와, 믹싱 룸과 세틀링 탱크를 연결하되 열 교환된 벙커-C 유를 세틀링 탱크에 공급하는 트랜스퍼 펌프가 설치된 제1 연결관과, 믹싱 룸과 세틀링 탱크를 연결하되 세틀링 탱크에서 히팅된 벙커-C 유를 믹싱 룸으로 피드백시켜 열 교환하도록 하는 시프터 펌프를 설치한 제2 연결관과, 세틀링 탱크의 공급 관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벙커-C 유를 2차 히팅하여 공급 관을 통해 주엔진으로 공급하는 서비스탱크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는 세틀링 탱크에서 히팅된 벙커-C 유를 믹싱 룸으로 피드백시켜 열 교환하며, 세틀링 탱크의 공급 관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벙커-C 유를 2차 히팅하므로, 히팅 효율이 떨어지고 히팅에 많은 스팀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068437호에는 선박용 연료 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선박용 연료 탱크는, 선박용 연료 탱크에 있어서 연료가 저장되는 탱크의 저장공간 내에서, 저장공간과 연결되면서 별도의 히팅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 연료의 흡입을 위해 히팅 공간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벨 마우스; 및 히팅 공간 내부에서 벨 마우스의 전방에 배치되어 스팀 라인과 연결되는 히팅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선박용 연료 탱크에서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연료가 저장공간에서는 히팅되지 않고, 구획 부 안에서 히팅되므로, 히팅 효율이 떨어지고 히팅에 많은 스팀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 공개실용 제2015-0003852호에는 선박의 연료 가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선박의 연료 가열 장치는, 연료 저장 탱크 내에 별도로 설치되며 그 표면에는 연료 저장 탱크 내의 연료가 자유롭게 유입/유출되는 홀(Hole)이 형성되어 있는 히팅 룸; 히팅 룸 내에 설치된 히팅 파이프에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여 히팅 룸 내의 연료를 가열하는 히팅 장치; 히팅 룸 내에 설치되어 히팅 룸 내의 연료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온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히팅 룸 내의 연료 온도에 의거하여 히팅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선박의 연료 가열 장치는 연료가 연료 저장탱크에서는 히팅되지 않고, 히팅 룸 안에서 히팅되므로, 히팅 효율이 떨어지고 히팅에 많은 스팀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56788호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56788호 국내 공개실용 제2015-00038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의 HFO 저장탱크인 벙커 탱크 내부에 소형의 HFO 저장탱크인 보조 탱크가 설치되고, 벙커 탱크 내의 HFO는 약 20℃로 가열하고, 주엔진 또는 발전기에 HFO 공급시 세틀링 탱크로 이송되는 HFO 이송량만큼만 고려하여 보조 탱크의 HFO를 약 45℃로 가열함으로써, HFO를 가열하는 스팀 사용량을 절감하고 히팅 코일 양을 절감하며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연료 탱크의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연료공급장치는 HFO를 저장하는 벙커 탱크; 상기 벙커 탱크 내의 HFO를 1차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1 히팅 코일; 상기 벙커 탱크 내의 HFO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벙커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벙커 탱크 내의 HFO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보조 탱크;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를 상기 1차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차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제2 히팅 코일;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보조 탱크 내의 2차 온도의 HFO를 세틀링 탱크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탱크에 연결되는 HFO 이송펌프; 및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 히팅 코일과 상기 제2 히팅 코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히팅 코일에는 제1 제어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히팅 코일에는 제2 제어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제2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스팀 유량을 제어한다.
상기 벙커 탱크의 HFO를 20℃ 내지 22℃로 가열하여 유지하고, 상기 보조 탱크의 HFO를 44℃ 내지 46℃로 가열 유지하거나 HFO 이송펌프 이송 직전에 급가열하도록 한다.
상기 HFO 이송펌프에 의해서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가 세틀링 탱크로 이송되는 압력차에 의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상기 벙커 탱크의 HFO가 상기 보조 탱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형의 HFO 저장탱크인 벙커 탱크 내부에 소형의 HFO 저장탱크인 보조 탱크가 설치되고, 벙커 탱크 내의 HFO는 약 20℃로 가열하고, 주엔진 또는 발전기에 HFO 공급시 세틀링 탱크로 이송되는 HFO 이송량만큼만 고려하여 보조 탱크의 HFO를 약 45℃로 가열함으로써, HFO를 가열하는 스팀 사용량을 절감하고 히팅 코일 양을 절감하며 운용비용(OPEX)을 대폭 감축할 수 있으며, 저온환경에서 HFO 탱크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선박의 연료공급장치는 대형의 HFO 저장탱크인 벙커 탱크 내에 소형의 HFO 저장탱크인 보조 탱크를 설치해 두고 HFO 세틀링 탱크(Settling Tank)로 이송되는 HFO 이송량만큼만 고려하여 보조 탱크에 저장된 HFO를 소정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즉, 벙커 탱크 내의 HFO는 굳지 않는 최소한의 온도(ISO 8217:2010 Rule에 의할 때 선박용 HFO는 ISO-F-RMG 700을 사용하는 데, HFO는 20℃ 이상을 유지해야 함) 20℃ 내지 22℃로 유지하고, 보조 탱크에 저장된 HFO는 이송 가능한 온도 45℃ 내지 50℃로 가열 유지하거나 HFO 이송펌프 구동 직전에 급가열하도록 하여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100)는 벙커 탱크(110), 제1 히팅 코일(120), 제1 센서(S1), 보조 탱크(130), 제2 히팅 코일(140), 제2 센서(S2), HFO 이송펌프(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벙커 탱크(110)는 HFO를 저장하는 약 2,000㎥ 크기의 대형 탱크로서, 약 16.7m의 높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벙커 탱크(110)의 일측과 타측에 HFO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다.
벙커 탱크(110)의 HFO를 1차 온도(20℃ 내지 22℃)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1 히팅 코일(120)이 구비된다.
제1 히팅 코일(120)은 벙커 탱크(110) 내부의 HFO를 1차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벙커 탱크(110)의 주위 또는 바닥에 설치되거나, 벙커 탱크(110)의 주위와 바닥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히팅 코일(120)에는 제1 제어밸브(121)가 설치된다. 제1 제어밸브(121)는 제1 히팅 코일(120)을 흐르는 스팀 양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제1 센서(S1)는 벙커 탱크(110) 내의 HFO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벙커 탱크(110) 내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S1)는 벙커 탱크(110) 중간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설계조건에 따라 벙커 탱크(110) 하부와 하부에도 설치되어 HFO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탱크(130)는 벙커 탱크(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벙커 탱크(110) 내의 HFO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131)가 형성된다. 보조 탱크(130)의 HFO를 2차 온도(45℃ 내지 50℃)로 가열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히팅 코일(140)이 구비된다.
보조 탱크(130)는 벙커 탱크(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HFO 이송펌프(160)의 출력과 상응하는 크기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보조 탱크(130)는 약 30분간의 이송량만큼 설계할 수 있다(40㎥/H의 경우는 20㎥).
제2 히팅 코일(140)은 보조 탱크(130) 내의 HFO를 1차 온도(20℃ 내지 22℃)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2차 온도(약 45℃ 내지 50℃)로 가열한다. 제2 히팅 코일(140)에는 제2 제어밸브(141)가 설치된다.
제2 제어밸브(141)는 제2 히팅 코일(140)을 흐르는 스팀 양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제2 센서(S2)는 보조 탱크(130) 내의 HFO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보조 탱크(130) 내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HFO 이송펌프(160)는 보조 탱크(130) 내의 2차 온도의 HFO를 세틀링 탱크(150)로 이송하기 위하여 보조 탱크(130)에 연결된다.
제어부(170)는 제1 센서(S1)와 제2 센서(S2)의 감지에 따라 제1 히팅 코일(120)과 제2 히팅 코일(140)을 제어하여 스팀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벙커 탱크(110)의 HFO를 1차 온도(20℃ 내지 22℃)로 가열 유지하고, 보조 탱크(130)의 HFO를 2차 온도(45℃ 내지 50℃)로 가열 유지하거나 HFO 이송펌프(160) 구동 직전에 급가열하도록 한다. 45℃ 내지 50℃로 급가열하는 시간은 운전자가 제2 제어밸브(141)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HFO 이송펌프(160)에 의해서 보조 탱크(130) 내의 HFO가 세틀링 탱크(150)로 이송될 때에, 보조 탱크(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 하강에 의해서 유입구(131)를 통해서 벙커 탱크(110)의 HFO가 보조 탱크(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1 히팅 코일(120)에 의해서 벙커 탱크(110)의 HFO를 1차 온도(20℃ 내지 22℃)로 가열한다. 제1 센서(S1)는 벙커 탱크(110) 내의 HFO 온도를 감지하며, 제어부(170)는 제1 센서(S1)의 감지에 따라 제1 히팅 코일(120)의 제1 제어밸브(121)를 제어하여 스팀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벙커 탱크(110)의 HFO를 1차 온도(20℃ 내지 22℃)로 유지한다.
제2 히팅 코일(140)에 의해서 보조 탱크(130)의 HFO를 2차 온도(45℃ 내지 50℃)로 가열한다. 제2 센서(S2)는 보조 탱크(130) 내의 HFO의 온도를 감지하며, 제어부(170)는 제2 센서(S2)의 감지에 따라 제2 히팅 코일(140)의 제2 제어밸브(141)를 제어하여 스팀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보조 탱크(130)의 HFO를 2차 온도(45℃ 내지 50℃)로 가열 유지하거나 HFO 이송펌프(160) 구동 직전에 급가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엔진 또는 발전기에 HFO 공급시, 보조 탱크(130)의 HFO를 세틀링 탱크(Settling Tank)로 이송하게 되는데, 세틀링 탱크(Settling Tank)로 이송되는 HFO 이송량만큼만 고려하여 보조 탱크(130)의 HFO를 2차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HFO를 가열하는 스팀 사용량을 절감하고 히팅 코일 양을 절감하며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HFO 이송펌프(160)에 의해서 보조 탱크(130) 내의 HFO가 세틀링 탱크(150)로 이송될 때에, 보조 탱크(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 하강에 의해서 유입구(131)를 통해서 벙커 탱크(110)의 HFO가 보조 탱크(130) 내부로 유입되며, 제2 히팅 코일(140)에 의해서 보조 탱크(130)의 HFO를 2차 온도(45℃ 내지 50℃)로 항상 가열 유지하거나 급가열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벙커 탱크(110) 내부에 HFO 이송펌프(160)의 용량에 맞도록 보조 탱크(130)를 설치하되, 벙커 탱크(110) 내부의 HFO는 오일의 성상이 완전히 굳어버리지 않는 최소한의 온도, 즉 약 20℃만 유지시켜주고, 보조 탱크(130)의 HFO는 약 45℃로 유지하거나, 초기에는 약 20℃로 유지하다가 HFO 이송펌프(160) 구동 직전에 약 45℃로 급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탱크(130)는 약 30분간의 이송량만큼 설계를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조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보조 탱크(130)의 HFO는 약 45℃로 계속 유지될 수도 있고, 약 20℃로 유지하다가 HFO 이송펌프(160) 구동 직전 단기간에 급가열하여 45℃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200)는 주엔진 및 발전기의 HFO 공급시 발생하는 보조 탱크 내의 압력 하강을 이용하여 벙커 탱크(110)의 HFO를 보조 탱크(230) 내부에 자동으로 충전(充塡)하고, 보조 탱크(230) 내부의 HFO를 항상 45℃ 내지 50℃로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200)는 보조 탱크(230)의 내부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들이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구성에 대해서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200)에는, 보조 탱크(230)의 내부에 보조 탱크(230) 내의 HFO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판(201)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압 판(201)은 스프링(202)에 의해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 탱크(230)의 유입구(231)에는 보조 탱크(230) 안으로의 HFO 유입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203)가 설치된다.
HFO 이송펌프(160)의 구동에 의해서 보조 탱크(230) 내의 HFO가 유출된 양만큼 벙커 탱크(110) 내의 HFO를 보조 탱크(23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가압 판(201)은 탄성 복원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스프링(202)에 의해서 가압 판(201)이 탄력적으로 지지 된 상태를 유지하며, 체크밸브(203)는 벙커 탱크(110)의 HFO가 보조 탱크(23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하지만, 보조 탱크(230)의 HFO가 벙커 탱크(110)로 유출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주엔진 및 발전기의 HFO 공급시, HFO 이송펌프(160)의 구동에 의해서 보조 탱크(230) 내의 HFO가 세틀링 탱크(150)로 공급되면, 보조 탱크(230) 내부의 HFO가 배출되므로, 그만큼 보조 탱크(23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한다. 이때, 체크밸브(203)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가압 판(201)이 스프링(20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여 보조 탱크(230) 내부의 압력 하강을 해소한다.
HFO 이송펌프(160)의 HFO 이송운전이 완전히 정지하면, 스프링(20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가압 판(201)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이때 발생하는 보조 탱크(230) 내부의 압력하강(또는 흡입력)에 의해서 유입구(231)에 설치된 체크밸브(203)의 개방에 의해서 벙커 탱크(110)의 HFO가 보조 탱크(230) 내부로 유입된다.
보조 탱크(230) 내부로 유입되는 HFO 양은 유출된 HFO 양만큼 보충되고, 제2 히팅 코일(140)에 의해서 보조 탱크(230) 내부의 HFO는 45℃ 내지 50℃로 항상 유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형의 HFO 저장탱크인 벙커 탱크 내에 소형의 HFO 저장탱크인 보조 탱크를 설치해 두어 주엔진 또는 발전기에 HFO 공급시 HFO 세틀링 탱크(settling tank)로 이송되는 HFO 이송량만큼만 고려하여 보조 탱크의 HFO를 소정온도(45℃)로 가열함으로써, HFO를 가열하는 스팀 사용량을 절감하고 히팅 코일 양을 절감하며 운용비용(OPEX)을 대폭 감축할 수 있으며, 저온환경에서 HFO 탱크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HFO는 대용량의 벙커 탱크(bunker tank)에 저장되며, 주 엔진 또는 발전기의 구동 시에 HFO 이송펌프의 구동에 의해서 벙커 탱크로부터 HFO 세틀링 탱크로 HFO가 공급되거나 다른 벙커 탱크로 이송될 수 있다. 대용량의 벙커 탱크에서 소용량의 벙커 탱크로 이송되기도 한다. LNGC 선박의 경우는, FWD HFO 벙커 탱크의 용량(약 2000㎥)이 커서 여기에 평상시에 저장하였다가 엔진 룸(engine room) 내부에 있는 소용량의 벙커 탱크(약 600㎥)로 필요 시에 이송한다.
110: 벙커 탱크
120: 제1 히팅 코일
121: 제1 제어밸브
130: 보조 탱크
131: 유입구
140: 제2 히팅 코일
141: 제2 제어밸브
160: HFO 이송펌프
170: 제어부
230: 보조 탱크
201: 가압 판
202: 스프링
203: 체크밸브
S1: 제1 센서
S2: 제2 센서

Claims (8)

  1. HFO를 저장하는 벙커 탱크;
    상기 벙커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벙커 탱크 내의 HFO가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형성된 보조 탱크;
    상기 보조 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판; 및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탱크 안으로의 HFO 유입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벙커 탱크 내의 HFO는 1차 온도로 가열되고,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는 상기 1차 온도보다 높은 2차 온도로 가열되고,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 이송시, 상기 체크밸브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보조 탱크 내부의 압력 하강을 해소하고,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 이송 정지시, 상기 가압판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체크밸브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벙커 탱크 내의 HFO를 상기 1차 온도로 가열하는 제1 히팅 코일; 및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를 상기 2차 온도로 가열하는 제2 히팅 코일;
    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벙커 탱크 내의 HFO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 히팅 코일과 상기 제2 히팅 코일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팅 코일에는 제1 제어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히팅 코일에는 제2 제어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밸브와 상기 제2 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스팀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 내의 HFO를 이송하는 HFO 이송펌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온도는 20℃ 내지 22℃이고, 상기 2차 온도는 45℃ 내지 50℃인,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탱크의 크기는, 상기 보조 탱크로부터 이송되는 HFO의 정해진 시간 동안의 이송량에 상응하는,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KR1020170111834A 2017-09-01 2017-09-01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KR102361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34A KR102361521B1 (ko) 2017-09-01 2017-09-01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34A KR102361521B1 (ko) 2017-09-01 2017-09-01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25A KR20190025325A (ko) 2019-03-11
KR102361521B1 true KR102361521B1 (ko) 2022-02-10

Family

ID=6575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834A KR102361521B1 (ko) 2017-09-01 2017-09-01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994B2 (ja) * 1990-06-15 2000-03-27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籾摺選別機における制御装置
JP2009209876A (ja) * 2008-03-06 2009-09-17 Honda Motor Co Ltd 鞍型燃料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994U (ja) * 1995-08-07 1996-07-30 株式会社日本ハイヒート 船舶の高粘度の燃料加熱タンクの加熱を最も効果的にするためのタンク区分並びに温度自動調整装置
KR20020056788A (ko) 2000-12-29 2002-07-10 김징완 벙커-씨유를 연료로 하는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KR100401852B1 (ko) * 2000-12-29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압력유지 연료 탱크을 갖는 엘피지 차량
JP2013243121A (ja) 2012-04-27 2013-12-05 Fujifilm Corp 光学材料用永久膜の製造方法、これにより作製した硬化膜、これを用いた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994B2 (ja) * 1990-06-15 2000-03-27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籾摺選別機における制御装置
JP2009209876A (ja) * 2008-03-06 2009-09-17 Honda Motor Co Ltd 鞍型燃料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25A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8912B2 (ja) 海洋船舶のガス供給装置および海洋船舶のガス供給装置におけるガス圧を制御する方法
US8529215B2 (en) Liquid hydrocarbon slug containing vapor recovery system
JP5530276B2 (ja) 燃料油移送装置
WO2019050003A1 (ja) 船舶
KR102013696B1 (ko) 연료유의 가열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연료유 이송장치
KR102361521B1 (ko) 선박의 연료공급장치
SE535942C2 (sv) Kylsystem i ett fordon
US97025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 stored liquid
KR100629807B1 (ko) 냉매 공급 장치
JP2013124814A (ja) ドレン回収システム
CN203670037U (zh) 节能型燃油预热装置
CN110944907B (zh) 船舶
KR200429389Y1 (ko) 선박용 중유 공급장치
JP5878541B2 (ja) 重油燃料を収容するタンクから油を供給するための手段
JP2008002514A (ja) 流量制御弁
KR20140078016A (ko) 트윈 탱크의 연료유 충전 시스템
WO2012118381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heating of a fluid inside a plurality of tanks
JP2005076814A (ja) 残留液化ガス回収装置
JP2002234497A (ja) 船舶における発電機関および電源喪失時の起動方法
JP6790996B2 (ja) タンク搭載装置
KR20100073666A (ko) 선박용 중유 공급장치
CN105649839B (zh) 燃料供给系统和用于运行燃料供给系统的方法
KR20180062801A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KR101508626B1 (ko)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JP2008008330A (ja) 液化ガス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