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498B1 -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498B1
KR102361498B1 KR1020170113082A KR20170113082A KR102361498B1 KR 102361498 B1 KR102361498 B1 KR 102361498B1 KR 1020170113082 A KR1020170113082 A KR 1020170113082A KR 20170113082 A KR20170113082 A KR 20170113082A KR 102361498 B1 KR102361498 B1 KR 102361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leaner
cleaner body
air
rota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336A (ko
Inventor
한주호
최원섭
윤성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4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91Flat filter elements, e.g. rectang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엔진 룸 내부에 배치되며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필터가 설치되는 에어클리너 바디와, 에어클리너 바디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에어클리너 커버를 포함하고, 에어클리너 바디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와,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Air cleaner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엔진룸 내부에 배치되며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엔진의 흡기 계통에는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 한 상태로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에어클리너를 구성하고 있다.
최근 차량의 상품성 증대를 위해 차량의 실내 공간을 넓게 확보하고, 그에 따라 엔진 룸 내의 공간이 좁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엔진 룸 내부의 미관이 저하되고, 에어 필터의 교체 및 A/S가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엔진 룸 내부에 배치되며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개선된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구조에 의해 에어필터의 교체 및 A/S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부품의 완전 탈거가 필요 없는 상태에서 에어필터의 정비가 가능하여 최적화된 작동력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는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필터가 설치되는 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에어클리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와,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의 이동에 의해 그 회전 중심이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힌지 유닛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형성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상기 제1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는, 회전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회전 지지대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대에 마련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전을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토퍼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2회전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에어클리너 커버; 상기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마련되는 에어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회전 시,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로부터 그 회전 중심이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힌지 유닛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형성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마련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개선된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구조에 의해 에어필터의 교체 및 A/S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완전 탈거가 필요 없는 상태에서 필터의 정비가 가능하여 최적화된 작동력을 구현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에어필터 교환 정비의 단순화 및 간편화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추가되는 부품이 없어 에어클리너 어셈블리의 단순화로 부품 수 및 조립 공정의 축소가 가능하고, 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리너 바디의 힌지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의 스토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리너 어셈블리의 동작에 의한 에어필터의 교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리너 바디의 힌지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을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 내지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유닛의 스토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1)는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고, 그 공기 중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 한 상태에서 엔진 흡기구(미도시)로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1)는 에어클리너 바디(100)와, 에어클리너 바디(100)의 상부를 커버 하도록 마련되는 에어클리너 커버(200), 그리고 에어클리너 바디(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필터(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 덕트(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덕트(210)는 에어클리너 바디(1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에어클리너 바디(100)에 연결되어 필터링 된 공기를 엔진 흡기구로 제공하기 위한 호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클리너 바디(100)는 일단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타단은 에어필터(130)를 통과한 공기가 엔진 측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에어클리너 바디(10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와,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와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엔진(미도시)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는 호스(2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의 일측에는 호스(2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호스 연결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힌지 유닛(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내부에 에어필터(13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에어필터 장착부(121)가 형성된다.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의 일측에는 에어 덕트(2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에어덕트 연결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필터(130)는 직육면체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또는 부유물을 필터링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에어필터(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에어필터 장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힌지 유닛(300)에 의해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힌지 유닛(300)은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형성되는 제1힌지부(310)와, 제1힌지부(31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에 형성되는 제2힌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힌지부(310)와 제2힌지부(320)는 두 개가 한 쌍으로 4 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힌지부(310)와 제2힌지부(320)는 각각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부(31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부(310)는 회전 지지부(311)와, 회전 지지부(311)에 연장되어 제1힌지부(3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312)는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312)는 회전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힌지부(320)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로부터 제1힌지부(310)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힌지부(320)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로부터 돌출되는 회전 지지대(322)와, 회전 지지대(322)에 형성되는 회전축(32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321)은 제1힌지부(310)의 회전 가이드부(312)와 회전홈(313)에 지지되어 회전되고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2힌지부(320)에 형성된 회전축(321)은 제1힌지부(310)의 회전홈(313)에 의해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가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대해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대해 이동 시 제2힌지부(320) 회전축(321)의 회전 중심이 이동되게 된다.
제1힌지부(310)에는 제2힌지부(3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0)는 제1힌지부(310)의 회전 가이드부(312)에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0)는 회전 가이드부(312)의 회전홈(313)을 커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가이드부(312)의 단부에서 회전 가이드부(312)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0)는 탄성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30)는 탄성부재(340)에 의해 지지되어, 차량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의해, 제2힌지부(320)의 회전축(321)이 제1힌지부(310)의 회전홈(313) 또는 회전 가이드부(3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40)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힌지부(310)와 제2힌지부(32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대한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각각의 스토퍼(315,3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315,325)는 제1힌지부(310)에 마련되는 제1스토퍼(315)와 제2힌지부(320)에 마련되는 제2스토퍼(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토퍼(315)는 제1힌지부(310)의 회전 가이드부(312)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315)는 회전 가이드부(312)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325)는 제2힌지부(320)의 회전축(3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토퍼(325)는 회전축(321)의 적어도 일부에 제1스토퍼(31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토퍼(315)와 제2스토퍼(325)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의 회전 시 서로 걸림되어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에어클리너 커버(20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와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의 상부를 커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에어클리너 커버(200)는 에어클리너 바디(100)에 체결부재(4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에어클리너 커버(200)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에 체결부재(40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클램프(C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400)는 에어클리너 커버(200)에 마련되는 제1체결부(410)와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에 마련되는 제2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체결부재(400)는 두 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40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클리너 어셈블리의 동작에 의한 에어필터의 교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1)의 에어필터(130)의 교체를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에어클리너 바디(100) 상부를 커버하는 에어클리너 커버(200)에 마련되어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와 에어클리너 커버(200)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400)를 해제한다.
체결부재(400)가 해제되면, 에어클리너 커버(200)로부터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가 분리된다.
이때,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힌지 유닛(300)에 의해 이동되게 된다.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제2힌지부(320)의 회전축(321)이 제1힌지부(310)의 회전 가이드부(312)를 따라 회전홈(313)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된다. (도 8 화살표 참고)
그리고,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의 회전축(321)은 회전홈(31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110)에 대해 이동 시 제2힌지부(320) 회전축(321)의 회전 중심이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는 에어클리너 커버(200)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의 에어필터 장착부(121)로부터 에어필터(130)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에어필터(130)의 교체 후 역순으로 제2에어클리너 바디(120)와 에어클리너 커버(200)를 장착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100 : 에어클리너 바디
110 : 제1에어클리너 바디 120 : 제2에어클리너 바디
121 : 에어필터 장착부 130 : 에어필터
200 : 에어클리너 커버 210 : 에어덕트
220 : 호스 300 : 힌지 유닛
310 : 제1힌지부 311 : 회전 지지부
312 : 회전 가이드부 313 : 힌지홈
320 : 제2힌지부 321 : 회전축
322 : 회전 지지대 330 : 이탈방지부
340 : 탄성부재

Claims (13)

  1.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필터가 설치되는 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에어클리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의 이동에 의해 그 회전 중심이 이동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배치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3. 삭제
  4. 공기를 여과하는 에어필터가 설치되는 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에어클리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는,
    제1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힌지 유닛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형성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상기 제1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회전 지지부와,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회전 지지대와,
    상기 회전 지지부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 지지대에 마련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와 상기 제2회전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전을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토퍼가 배치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부는,
    상기 회전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상기 제2회전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11. 제1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에어클리너 커버;
    상기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마련되는 에어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회전 시,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로부터 그 회전 중심이 이동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12. 삭제
  13. 제1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에어클리너 바디;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 및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에어클리너 커버;
    상기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마련되는 에어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상기 에어클리너 커버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와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는 힌지 유닛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제1에어클리너 바디에 형성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제1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제2에어클리너 바디에 마련되는 제2회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KR1020170113082A 2017-09-05 2017-09-05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KR102361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82A KR102361498B1 (ko) 2017-09-05 2017-09-05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082A KR102361498B1 (ko) 2017-09-05 2017-09-05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36A KR20190026336A (ko) 2019-03-13
KR102361498B1 true KR102361498B1 (ko) 2022-02-10

Family

ID=6576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082A KR102361498B1 (ko) 2017-09-05 2017-09-05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815A (ja) * 2002-02-18 2003-08-27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16031072A (ja) 2014-07-29 2016-03-07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motor Company 挿入式拡張管一体型エアクリーナ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エンジン吸気系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90B1 (ko) * 2007-12-17 2010-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흡기시스템
KR20130013386A (ko) * 2011-07-28 201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클리너와 레조네이터의 일체형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815A (ja) * 2002-02-18 2003-08-27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16031072A (ja) 2014-07-29 2016-03-07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motor Company 挿入式拡張管一体型エアクリーナ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エンジン吸気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36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48627B (zh) 汽车车轮粉尘集尘装置
JP6382627B2 (ja) 車両用エアクリーナ
JP6655902B2 (ja) 逆洗可能なエアフィルタ
US8328916B2 (en) Filter device for hydrocarbon adsorption
US20150298397A1 (en) Powder recycling system
JP4503588B2 (ja) ロータリ式除湿機の除湿ロータ取替装置
EP2064980A1 (en) Vacuum cleaner
US20130232718A1 (en) Robot cleaner
CN111006674A (zh) 一种具有防堵塞功能的防尘型车载导航设备
KR20190014960A (ko) 헬멧
KR101689205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361498B1 (ko) 차량용 에어클리너 어셈블리
CN107913026A (zh) 具有过滤器元件的吸尘器
US20210001259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filter screen dust removal function
JP2010001818A (ja) 作業機における蒸発燃料処理装置
EP3112032B1 (en) Oil separator
US20130000487A1 (en) Hood air scoop
JP2007291988A (ja) エアクリーナ
CN104265519B (zh) 发动机的空气滤清器
CN106246421B (zh) 空气净化器结构
US6968916B2 (en) Air intake system for a vehicle
JP2016011617A (ja) エアクリーナ
CN101238963B (zh) 电动吸尘器用的集尘容器
KR200461497Y1 (ko) 방진마스크
CN109893896A (zh) 改进的过滤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