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998B1 -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998B1
KR102360998B1 KR1020190041805A KR20190041805A KR102360998B1 KR 102360998 B1 KR102360998 B1 KR 102360998B1 KR 1020190041805 A KR1020190041805 A KR 1020190041805A KR 20190041805 A KR20190041805 A KR 20190041805A KR 102360998 B1 KR102360998 B1 KR 10236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e
hatch
door
doo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938A (ko
Inventor
차동은
황진호
이상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998B1/ko
Priority to EP19191710.3A priority patent/EP3722540B1/en
Priority to US16/540,406 priority patent/US11285788B2/en
Priority to ES19191710T priority patent/ES2901732T3/es
Priority to CN201910822728.5A priority patent/CN111809722B/zh
Publication of KR20200119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998B1/ko
Priority to US17/674,228 priority patent/US1159726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4/00Buildings for combinations of different purpos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main groups E04H1/00-E04H13/00 of this subclass, e.g. for double purpose; Buildings of the drive-i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the door having a hinge axis in horizontal direction transverse to vehicl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the door having a hinge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6Speci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 E06B2003/403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of rotation not at one side of the opening, e.g. turnover wings where the axis of rotation is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에 마련되며, 승객이 출입하는 차량 출입구를 개폐하고, 하우스와 인증된 경우 차량의 실내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 및
하우스 일측 벽면의 하우스 출입구에 마련되고, 인증된 차량이 하우스 출입구측에 주차된 경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스의 출입구와 차량의 출입구를 연결함으로써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CONNECTION SYSTEM FOR HOUS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이 하우스의 출입구측에 주차시 차량의 실내공간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제조사 또는 차종에 따라서 어느 정도 다른 크기 및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정의된 인터페이스 하에서 차량의 각 바디부들은 고정된 형태로 생산 및 제공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차량은 탑승자 또는 물건 등을 단순히 운반 또는 운송하는 수단으로만 이용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와 달리 최근 자율주행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 등이 확산되면서 종래의 차량과는 다른 크기 및 형상의 차량이 생산되고, 차량의 실내공간은 점점 확장되는 추세에 있으며, 차량은 단순히 운송, 운반수단으로써의 기능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편의성을 지닌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볼때, 차량의 실내공간이 휴식공간 또는 거주공간으로의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고, 하우스와 차량이 결합되어 차량의 실내공간이 생활공간의 일부로 확장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서로 연결되려면 우선 차량의 출입구와 하우스의 출입구가 연결되어야 하는데, 아직까지 이 부분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DE 10-2016-209099 A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이 하우스의 출입구측에 주차시 차량의 실내공간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연결되도록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차량에 마련되며, 승객이 출입하는 차량 출입구를 개폐하고, 하우스와 인증된 경우 차량의 실내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 및 하우스 일측 벽면의 하우스 출입구에 마련되고, 인증된 차량이 하우스 출입구측에 주차된 경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스의 출입구와 차량의 출입구를 연결함으로써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해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해치는 하우스의 출입구 상방에 마련된 어퍼해치 및 하우스의 출입구 하방에 마련된 로워해치로 구성되고,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 어퍼해치는 차량의 상부에 연결되며 로워해치는 차량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해치 및 로워해치는 하우스의 출입구를 개폐하며, 어퍼해치는 하단부가 회동됨으로써 차량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우스의 출입구 상부를 개방하고, 로워해치는 상단부가 회동됨으로써 차량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우스의 출입구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어퍼해치 및 로워해치는 각각 하우스 출입구의 상방 및 하방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어퍼해치 및 로워해치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스의 외부로 도출됨으로써 각각 차량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로워해치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의 바닥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차량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는 버터플라이 타입으로 개폐되고,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도어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도어의 외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도어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 슬라이딩되며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하고,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는 차량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방 슬라이딩되며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하고,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해당 하우스에 대하여 출입이 가능한 차량의 리스트를 구비하며, 출입이 가능한 차량과 인증을 수행하고, 차량이 인증된 경우 해치와 차량의 도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하우스에 대하여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스의 출입구측에 차량이 배치가능한 위치가 지정되며, 인증된 차량이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 해치와 차량의 도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이 하우스의 출입구측에 주차시 차량의 실내공간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실내공간이 하우스의 실내공간과 연결되어 새로운 기능을 가진 새로운 공간이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하우스와 차량이 연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하우스와 차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하우스와 차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차량의 도어가 전후방향 슬라이딩 타입인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차량의 도어가 연직방향 슬라이딩 타입인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통합제어부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하우스와 차량이 연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하우스와 차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하우스와 차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차량의 도어가 전후방향 슬라이딩 타입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차량의 도어가 연직방향 슬라이딩 타입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통합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하우스와 차량이 연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서 하우스와 차량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차량(100)에 마련되며, 승객이 출입하는 차량(100) 출입구(120)를 개폐하고, 하우스(200)와 인증된 경우 차량(100)의 실내공간(S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차량(100)의 도어(140); 및 하우스(200) 일측 벽면의 하우스(200) 출입구(220)에 마련되고, 인증된 차량(100)이 하우스(200) 출입구(220)측에 주차된 경우 차량(100)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스(200)의 출입구(220)와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연결함으로써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해치(24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에는 하우스(200) 출입구(220)가 마련된다. 하우스(200) 출입구(220)는 베란다, 테라스, 후문 등과 같이 주 출입구 이외에도 부가적인 출입구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시스템은 인증된 차량(100)이 주택 등과 같은 거주공간의 하우스(200)에 인접하여 주차되고, 차량(100)의 출입구(120)와 하우스(200) 일측 벽면의 하우스(200) 출입구(220)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차량(100)의 실내공간(S1)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탑승자는 차량(100)에서 별도로 하차할 필요 없이 차량에서 거주공간 등의 하우스(200)로 곧바로 진입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실내공간(S1)이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으로 연결됨으로써 거주공간의 효용 가능한 면적이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충전을 하우스를 통해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충전을 위해서 차량과 하우스에 각각 에너지송수신부를 마련하여, 차량과 하우스의 연결시 상호 에너지를 교환할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시스템에는 하우스(200) 일측 벽면의 하우스(200) 출입구(220)에 마련되고, 인증된 차량(100)이 하우스(200) 출입구(220)측에 주차된 경우 차량(100)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스(200)의 출입구(220)와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연결함으로써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과 차량(100)의 실내공간(S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해치(2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5와 같이 해치(240)는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상방에 마련된 어퍼해치(242) 및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하방에 마련된 로워해치(244)로 구성되고,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 어퍼해치(242)는 차량(100)의 상부(160)에 연결되며 로워해치(244)는 차량(100)의 하부(19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상방은 어퍼해치(242)를 통해 차량(100)의 상부(160)와 연결되며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하방은 로워해치(244)를 통해 차량(100)의 하부(190)와 연결됨으로써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과 차량(100)의 실내공간(S1)이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5를 살펴보면, 실선으로 이루어진 차량(100)의 도어(140)는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이루어진 차량(100)의 도어(140)는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도어(140)가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어퍼해치(242)는 차량(100)의 상부(160)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하우스(200)의 출입구(220)를 개폐하며, 어퍼해치(242)는 하단부가 회동됨으로써 차량(100)의 상부(160)에 연결되며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상부를 개방하고, 로워해치(244)는 상단부가 회동됨으로써 차량(100)의 하부(190)에 연결되며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서로 맞물려 하우스(200)의 출입구(220)를 폐쇄할 수도 있으며,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하우스(200)의 출입구(220)를 개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어퍼해치(242)는 차량(100)의 상부(160)와 연결되고, 로워해치(244)는 차량(100)의 하부(190)와 연결되어 차량(100)의 실내공간(S1)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이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한편, 어퍼해치(242)는 어퍼해치(242)의 상단부를 중심축으로 어퍼해치(242)의 하단부가 회동됨으로써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상부를 개방하고, 로워해치(244)는 로워해치(244)의 하단부를 중심축으로 로워해치(244)의 상단부가 회동됨으로써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하부를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가 각각 회동되면서 하우스(200)의 출입구(220)를 개방함으로써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과 차량(100)의 실내공간(S1)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각각 하우스(200) 출입구(220)의 상방 및 하방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스(200)의 외부로 도출됨으로써 각각 차량(100)의 상부(160) 및 하부(19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실선으로 이루어진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하우스(200)의 외부로 도출된 상태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이루어진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하우스(2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타나낸다. 한편,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각각 일측에 펌프 등이 연결되어 펌프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하우스의 내외부로 움직일 수 있게 되거나 또는 하우스의 내부에 가이드레일 등이 설치되어 가이드레일과 모터 등에 의해서 하우스의 내외부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하우스(200)와 차량(100)의 연결시 어퍼해치(242) 및 로워해치(244)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스(200)의 외부로 도출됨으로써 각각 차량(100)의 상부(160) 및 하부(190)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하우스의 실내공간과 차량의 실내공간이 연결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로워해치(244)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스(2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의 바닥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차량(100)의 하부(190)와 연결될 수 있다. 로워해치(244)가 차량(100)의 실내공간(S1)의 바닥면(180)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의 바닥면(280)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차량(100)의 하부(190)와 연결됨으로써, 차량(100)의 실내공간(S1)의 바닥면(180)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의 바닥면(280) 사이에 걸림턱 구조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탑승자 또는 거주자가 차량과 하우스 사이를 입출입할 때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카트 등의 장비를 이용하더라도 바퀴가 걸리지 않게 되므로 물건 등을 운반하기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도 2 내지 3과 같이 차량(100)의 도어(140)는 버터플라이 타입으로 개폐되고, 차량(100)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242)는 차량(100)의 도어(140)에 연결될 수 있다. 버터플라이 타입의 차량(100)의 도어(140)는 차량(100)의 상부 또는 루프에 회전축이 마련되어 이를 중심으로 차량(100)의 도어(140) 하단부가 회동하며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차량(100)의 전방필러(프런트필러 또는 A필러)에 회전축이 마련되어 이를 중심으로 차량(100)의 도어(140) 하단부가 회동되며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개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차량(100)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242)는 차량(100)의 도어(140)의 외측면(14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어퍼해치(242)가 차량(100)의 도어(140)의 외측면(144)에 연결됨으로써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과 차량(100)의 실내공간(S1)이 연결되는 통로의 상방이 외부와 차단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어퍼해치(242)는 하우스(200) 내부로 만입된 홈 형상이고, 차량(100)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242)의 내측부는 차량(100)의 도어(14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어퍼해치(242)는 하우스(200)의 내부로 만입된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어퍼해치(242)가 하우스(200)의 내부로 만입됨으로써, 어퍼해치(242)의 내측부에 차량(100)의 도어(140)가 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어퍼해치(242)는 가이드레일을 통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차량(100)의 도어(140)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연결 전에는 점선으로 이루어진 어퍼해치(242)가 있는 지점에 어퍼해치(242)가 배치되고,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연결시에는 차량(100)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242)가 슬라이딩됨으로써 실선으로 이루어진 어퍼해치(242)가 있는 지점에 어퍼해치(242)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차량(100)의 도어(140)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 슬라이딩되며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개폐하고, 차량(100)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242)는 차량(100)의 상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어퍼해치(242)가 루프 등과 같은 차량(100)의 상부(160)에 연결됨으로써 차량(100)의 실내공간(S1)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이 연결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차량(100)의 도어(140)는 차량(100)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방 슬라이딩되며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개폐하고, 차량(100)의 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242)는 차량(100)의 상부(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차량(100)의 도어(140)가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차량(100)의 출입구(120)를 개방한 경우 어퍼해치(242)가 차량(100)의 상부(160)에 연결됨으로써 차량(100)의 실내공간(S1)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S2)이 연결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해당 하우스(200)에 대하여 출입이 가능한 차량(100)의 리스트를 구비하며, 출입이 가능한 차량(100)과 인증을 수행하고, 차량(100)이 인증된 경우 해치(240)와 차량(100)의 도어(14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통합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통합제어부(300)는 하우스(200)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있지만, 통합제어부(300)는 외부서버에 마련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및 해치(240)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통합제어부(300)는 차량 및 하우스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서에서는 통합제어부(300)는 하우스(200)에 마련되어 통신을 통해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출입구(220) 및 해치(24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의 실내공간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통합제어부(300)에는 해당 하우스(200)에 대하여 출입이 가능한 차량(100)의 리스트가 구비되어 있어, 하우스(200)로 출입하는 차량(100)이 하우스(200)와 연결 권한이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카메라센서(C) 등을 통해 출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으로 연결 권한이 부여된 차량인지를 판단하거나 또는 차량과의 통신을 통해 연결 권한이 부여된 차량인지를 인증하고 판단하게 된다. 인증된 차량(100)이 출입하는 경우 우선 하우스(200)의 출입구(220)를 개방하고, 차량(100)이 주차된 후 차량(100)의 도어(140)와 하우스(200)의 해치(240)를 제어함으로써 차량(100)의 실내공간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인증되지 않은 차량의 경우 하우스와 연결 권한이 없으므로 인증되지 않은 차량과 하우스는 연결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우스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합제어부는 외부서버에 마련되어 차량의 실내공간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 다른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은, 해당 하우스(200)에 대하여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스(200)의 출입구(220)측에 차량이 배치가능한 위치(P)가 지정되며, 인증된 차량(100)이 지정된 위치(P)에 배치된 경우 해치(240)와 차량(100)의 도어(14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통합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합제어부(300)는 연결된 카메라센서(C) 등을 통해 인증된 차량(100)이 지정된 위치(P)에 정확히 배치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를 통하여 차량(100)과 하우스(200)의 실내공간을 연결하는 경우, 차량이 정확한 위치에 주차되지 않아 차량(100)의 도어(140)와 하우스(200)의 해치(240)가 서로 간섭되어 열리지 않거나 또는 서로 간섭에 의해 차량(100)의 도어(140)와 하우스(200)의 해치(240)가 파손되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에 따르면, 차량이 하우스의 출입구측에 주차시 차량의 실내공간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실내공간이 하우스의 실내공간과 연결되어 새로운 기능을 가진 새로운 공간이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차량
200 : 하우스
220 : 해치
300 : 통합제어부

Claims (12)

  1. 차량에 마련되며, 승객이 출입하는 차량 출입구를 개폐하고, 하우스와 인증된 경우 차량의 실내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 및
    하우스 일측 벽면의 하우스 출입구에 마련되고, 인증된 차량이 하우스 출입구측에 주차된 경우 차량의 개방된 도어측과 연결되어 하우스의 출입구와 차량의 출입구를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실내공간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해치;를 포함하며,
    해치는 하우스의 출입구 상방에 마련된 어퍼해치 및 하우스의 출입구 하방에 마련된 로워해치로 구성되고,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 어퍼해치는 차량의 상부에 연결되며 로워해치는 차량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어퍼해치 및 로워해치는 하우스의 출입구를 개폐하며, 어퍼해치는 하단부가 회동됨으로써 차량의 상부에 연결되며 하우스의 출입구 상부를 개방하고, 로워해치는 상단부가 회동됨으로써 차량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우스의 출입구 하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어퍼해치 및 로워해치는 각각 하우스 출입구의 상방 및 하방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어퍼해치 및 로워해치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스의 외부로 도출됨으로써 각각 차량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로워해치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의 바닥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차량의 하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는 버터플라이 타입으로 개폐되고,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도어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어퍼해치는 하우스 내부로 만입된 홈 형상이고,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의 내측부는 차량의 도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방 슬라이딩되며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하고,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는 차량의 연직방향을 기준으로 상하방 슬라이딩되며 차량의 출입구를 개폐하고, 차량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어퍼해치는 차량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해당 하우스에 대하여 출입이 가능한 차량의 리스트를 구비하며, 출입이 가능한 차량과 인증을 수행하고, 차량이 인증된 경우 해치와 차량의 도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해당 하우스에 대하여 차량과 하우스의 실내공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스의 출입구측에 차량이 배치가능한 위치가 지정되며, 인증된 차량이 지정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 해치와 차량의 도어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통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KR1020190041805A 2019-04-10 2019-04-10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KR10236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05A KR102360998B1 (ko) 2019-04-10 2019-04-10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EP19191710.3A EP3722540B1 (en) 2019-04-10 2019-08-14 Connection system for house and vehicle
US16/540,406 US11285788B2 (en) 2019-04-10 2019-08-14 Connection system for house and vehicle
ES19191710T ES2901732T3 (es) 2019-04-10 2019-08-14 Sistema de conexión para casa y vehículo
CN201910822728.5A CN111809722B (zh) 2019-04-10 2019-09-02 房屋与车辆的连接系统
US17/674,228 US11597262B2 (en) 2019-04-10 2022-02-17 Connection system for house an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805A KR102360998B1 (ko) 2019-04-10 2019-04-10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938A KR20200119938A (ko) 2020-10-21
KR102360998B1 true KR102360998B1 (ko) 2022-02-10

Family

ID=6765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805A KR102360998B1 (ko) 2019-04-10 2019-04-10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285788B2 (ko)
EP (1) EP3722540B1 (ko)
KR (1) KR102360998B1 (ko)
CN (1) CN111809722B (ko)
ES (1) ES290173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406B1 (ko) * 2019-02-28 202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과 하우스의 연결시스템
KR102369339B1 (ko) * 2019-04-23 2022-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건축물과 연결되는 차량 및 차량과 건축물의 연결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469A (ja) * 2011-07-12 2013-01-31 Haruo Suzaki 災害用緊急避難カプセル
US20190004487A1 (en) * 2017-06-28 2019-01-03 Honda Motor Co., Ltd. Mobility room, mobility room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erver, and building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292A (en) * 1914-08-10 1915-09-14 Badger Steel House Company Knockdown metallic house.
US2840866A (en) * 1952-11-21 1958-07-01 Harold A Paulsen Movable shelter-stationary shelter connector
US4115656A (en) * 1976-04-08 1978-09-19 Sanders Associates, Inc. Shielded passageway interconnection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ed shelters
US4499696A (en) * 1978-09-22 1985-02-19 Freeauf Robert F Dwelling structure
US4250669A (en) * 1978-09-22 1981-02-17 Freeauf Robert F Dwelling structure
US5333339A (en) * 1993-01-19 1994-08-02 Blue Giant Equipment Corporation Dock leveler with wheel barrier
US6330766B1 (en) * 1997-12-31 2001-12-18 Brownlee, Iii John A. Dwelling structure adapted to enclose an oversized vehicle
US6058664A (en) * 1997-12-31 2000-05-09 Brownlee, Iii; John A. Dwelling structure with vertical access from a portable unit
JP2000289520A (ja) 1999-04-07 2000-10-17 Nippon Anzen Hosho Keibi Kk 介護用トレーラハウス
US7322636B1 (en) * 2007-01-05 2008-01-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ide-entry door assembly
EP2599136A1 (en) 2010-07-26 2013-06-05 Fujifilm Corporation Forming a device having a curved piezoelectric membrane
US9771225B2 (en) * 2015-10-08 2017-09-26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loading dock
DE102016209099A1 (de) 2016-05-25 2017-07-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ersonen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für dessen Montage, Betrieb und Demontage
US20200115915A1 (en) * 2017-06-28 2020-04-16 Honda Motor Co., Ltd. Connection system and building
CN108891945B (zh) * 2018-07-24 2024-02-2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保温功能的铁路站台冷链平移对接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469A (ja) * 2011-07-12 2013-01-31 Haruo Suzaki 災害用緊急避難カプセル
US20190004487A1 (en) * 2017-06-28 2019-01-03 Honda Motor Co., Ltd. Mobility room, mobility room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server, an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09722B (zh) 2023-07-21
US11285788B2 (en) 2022-03-29
EP3722540B1 (en) 2021-12-01
US20200324630A1 (en) 2020-10-15
CN111809722A (zh) 2020-10-23
ES2901732T3 (es) 2022-03-23
US11597262B2 (en) 2023-03-07
US20220169098A1 (en) 2022-06-02
EP3722540A1 (en) 2020-10-14
KR20200119938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998B1 (ko) 하우스와 차량의 연결시스템
US8253534B2 (en) Vehicle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136795B2 (en) Latch apparatus of tailgate for vehicle
JP2006240611A (ja) 車両用ドアシステム
CN113103991A (zh) 用于车辆的乘客授权系统
JP2006274758A (ja)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CN105291998A (zh) 具有电力可锁定的罩的车辆控制台安全系统
CN105587191A (zh) 轴闩锁系统
US9914431B2 (en) Vehicle seat assembly for theft prevention
US20100152966A1 (en) Automatic locking system for motor vehicle
US11085212B2 (en) Selectively concealed door handle
US20200031210A1 (en) Roller cover for trayback vehicle
CN107010051A (zh) 用于确定当前手动还是自动驾驶机动车的方法和设备
JP6200827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US11492817B2 (en) Connection system for vehicle and house
JP4908994B2 (ja) インナガレージ付き建物
KR20220108753A (ko) 차량 출입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12627A1 (en) Central locking system for locking a vehicle, a vehicle system, a method for controlling a central locking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US11457141B2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ehicle
KR20210152814A (ko) 차량의 루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22332B1 (ko) 안테나 및 안테나를 구비한 자동차, 자동차의 제어 방법
CN115742698A (zh) 车辆尾门、控制方法、控制系统及车辆
JP4732245B2 (ja) 車両ラゲージドア制御システム
JP2020157962A (ja) 車両用ベンチレータ
JPH0338427A (ja) 車両用ドア開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