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545B1 -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545B1
KR102360545B1 KR1020217004942A KR20217004942A KR102360545B1 KR 102360545 B1 KR102360545 B1 KR 102360545B1 KR 1020217004942 A KR1020217004942 A KR 1020217004942A KR 20217004942 A KR20217004942 A KR 20217004942A KR 102360545 B1 KR102360545 B1 KR 102360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e
race
guide
guides
foot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4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609A (ko
Inventor
트래비스 제이. 베리안
엘리자베스 에이. 킬고어
파니 영 호
다니엘 에이. 존슨
서머 엘. 슈나이더
나리사 장
피터 알. 세비즈
에릭 피. 아바르
케이틀린 브루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1002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34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diverse shaped directing means for la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lacing directing means in particular patter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42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eyelet type dir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모듈식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와 관련된 시스템 및 장치가 설명된다. 이 예에서, 신발류 조립체는 신발류 갑피 및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연장하는 레이스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는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을 따라 분포될 수 있고,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케이블의 길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이스 케이블은 신발류 갑피의 각각의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을 따라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각각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신발류 조립체는 레이스 케이블을 중창 부분 내에 배치된 레이싱 엔진으로 라우팅하는 내측 근위 레이스 가이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발류 조립체는 레이스 케이블을 레이싱 엔진 외부로 라우팅하기 위한 외측 근위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LACING ARCHITECTUR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6년 11월 18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24,294호 및 2016년 10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13,142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각각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 통합된다.
다음 명세서는 전동 또는 비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레이싱 시스템, 레이싱 엔진과 관련된 신발류 구성요소, 자동화된 레이싱 신발류 플랫폼 및 관련 제조 프로세스를 비롯한 신발류 조립체의 다양한 양태를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 명세서의 대부분은 중앙식 레이스 조임을 위한 전동 또는 비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한 신발류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구성)의 다양한 양태를 설명한다.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닌 도면에서, 유사 참조 번호는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다른 문자 접미사를 갖는 유사 참조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의 다른 사례를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은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를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일반적으로 예시한다.
도 1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시스템을 구비한 신발류 조립체의 일부의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를 갖는 평탄한 신발류 갑피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를 갖는 신발류 갑피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를 갖는 신발류 갑피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를 갖는 신발류 갑피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를 갖는 신발류 갑피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c 및 도 7d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e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에 대한 다양한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도 8g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특정 레이싱 아키텍처에서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가이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를 위한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를 위한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 제공된 임의의 표제는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사용된 용어나 표제 하의 설명의 범위 또는 의미에 물론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자체-조임 신발 레이스의 개념은 처음에 과거 1989년에 출시된 영화 Back to the Future II에서 Marty McFly가 착용한 가상의 동력-레이싱 방식의 Nike® 스니커즈에 의해 널리 대중화되었다. Nike®는 이후 Back to Future II의 영화 소품 버전과 유사한 외관의 동력-레이싱 방식의 스니커즈를 적어도 하나의 버전으로 출시했지만, 사용된 내부 기계 시스템 및 주변 신발류 플랫폼 그 자체로 인해 대량 생산 또는 일상 사용에는 물론 적합하지 못하였다. 또한, 전동 레이싱 시스템에 대한 다른 이전의 설계는 높은 제조 비용, 복잡성, 조립 문제 및 열악한 내구성과 같은 문제로 비교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자는 특히 앞서 설명된 문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전동 및 비전동 레이싱 엔진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식 신발류 플랫폼을 개발했다. 본 발명자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장치"이라는 명칭의 공동으로 계류중인 출원 번호 제62/308,686호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아래에 간단히 설명된 모듈식 레이싱 엔진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본원에 설명된 레이싱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본원에 설명된 레이싱 아키텍처는 비균등 조임, 밀착성(fit), 편안함 및 성능과 같은 중앙식 레이스 조임 메커니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레이싱 아키텍처는 보다 큰 레이스 이동 거리에 걸쳐 레이스 장력을 평활화하고 밀착성 성능(fit performance)을 유지하면서 편안함을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개선된 편안함의 일 양태는 발 상단에 걸친 압력을 감소시키는 레이싱 아키텍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이싱 아키텍처는 또한 전방-후방(앞뒤) 방향뿐 아니라 내측-외측 방향 모두에서 레이스 장력을 조작하여 밀착성과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구성요소의 다양한 다른 이점은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설명된 레이싱 아키텍처는 신발류 조립체의 중창 부분 내에 위치한 모듈식 레이싱 엔진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개념은 또한 뒤꿈치 또는 심지어 신발류 플랫폼의 발가락 부분과 같이 신발류 주위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된 전동 및 수동 레이싱 메커니즘에 적용될 수 있다. 설명된 레이싱 아키텍처는 임의의 다른 형상 및 재료 중에서 관형 플라스틱, 금속 클립, 페브릭 루프 또는 채널, 플라스틱 클립 및 개방 u 형상 채널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레이스 가이드의 사용을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레이싱 아키텍처 내에서 특정 레이스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레이싱 가이드가 혼합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전동 레이싱 엔진은 처음부터 자동화된 레이싱 신발류 플랫폼의 견고하고 내구적이며 상호 교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레이싱 엔진은 모듈식 신발류 플랫폼에 소매 단계에서의 최종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고유한 설계 요소를 포함한다. 레이싱 엔진 설계는 대부분의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가 공지된 조립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표준 조립 프로세스에 대한 고유한 적응은 여전히 현재 조립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모듈식 자동화된 레이싱 신발류 플랫폼은 레이싱 엔진을 수용하기 위해 중창에 고정된 중창 판을 포함한다. 중창 판의 설계는 레이싱 엔진이 구매 시점에 이르러 신발류 플랫폼에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중창 판 및 모듈식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다른 양태는 상이한 유형의 레이싱 엔진을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아래에 설명된 전동 레이싱 엔진은 인력식 레이싱 엔진용으로 변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발 존재 감지나 다른 선택적 특징을 갖는 완전 자동 전동 레이싱 엔진이 표준 중창 판에 수용될 수 있다.
신발류를 조이기 위해 전동 또는 비전동 중앙식 레이싱 엔진을 사용하는 것은 편안함을 전혀 희생시키지 않고 충분한 성능을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여기에 언급된 레이싱 아키텍처는 중앙식 레이싱 엔진과 함께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캐주얼에서 고성능까지 다양한 신발류 설계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초기 개요는 본 특허 출원의 주제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하기의 보다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다양한 발명의 배타적인 또는 완전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
다음은 전동 레이싱 엔진, 중창 판 및 플랫폼의 다양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이 개시내용의 대부분은 전동 레이싱 엔진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설명된 설계는 인력식 레이싱 엔진 또는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기능을 갖춘 기타 전동 레이싱 엔진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에 사용된 "자동화된"이라는 용어는 사용자 입력 없이 동작하는 시스템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이라는 용어는 신발류의 레이싱 또는 유지 시스템을 조이기 위한 다양한 전기 동력식 및 인력식, 자동 활성화 및 인간 활성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를 위한 전동 레이싱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전동 레이싱 시스템(1)은 레이싱 엔진(10), 덮개(20), 작동기(30), 중창 판(40), 중창(50) 및 바닥창(60)을 포함한다. 도 1은 자동화된 레이싱 신발류 플랫폼의 구성요소의 기본 조립 순서를 도시한다. 전동 레이싱 시스템(1)은 중창 판(40)이 중창 내에 고정되는 것으로 시작한다. 다음으로, 작동기(30)가 바닥창(60)에 내장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버튼에 대향하는 중창 판의 외측 측면의 개구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레이싱 엔진(10)이 중창 판(40) 내로 들어간다. 일 예에서, 레이싱 시스템(1)은 레이싱 케이블의 연속 루프 아래에 삽입되고, 레이싱 케이블은 레이싱 엔진(10)(후술됨) 내의 스풀과 정렬된다. 최종적으로, 덮개(20)가 중창 판(40)의 홈에 삽입되어 폐쇄 위치로 고정되고 중창 판(40)의 오목부에 고정된다. 덮개(20)는 레이싱 엔진(10)을 포획할 수 있으며 동작 중 레이싱 케이블의 정렬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예에서, 신발류 물품 또는 전동 레이싱 시스템(1)은 발 존재 특성을 모니터링하거나 결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그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전동 레이싱 시스템(1)을 포함하는 신발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 존재 센서는 신발류 내에 발이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에 대한 이진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 존재 센서로부터의 이진 신호가 발이 존재함을 나타내면, 이때 전동 레이싱 시스템(1)이 활성화되며, 예컨대, 신발류 레이싱 케이블을 자동으로 조이거나 이완(즉, 느슨화)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발 존재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해석할 수 있는 프로세서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회로는 선택적으로 레이싱 엔진(10) 내에 또는 레이싱 엔진과 함께, 예컨대, 신발류 물품의 밑창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레이싱 아키텍처
도 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레이싱 구성을 도시하는 갑피(200)의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 갑피(205)는 레이스(210) 및 레이싱 엔진(10)에 부가하여 외측 레이스 고정부(215), 내측 레이스 고정부(216), 외측 레이스 가이드(222), 내측 레이스 가이드(220) 및 브리오 케이블(225)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예는 비중첩 내측 및 외측 레이싱 경로를 포함하는 대각선 레이싱 패턴을 갖는 연속 편조 페브릭 갑피(205)를 포함한다. 외측 레이스 고정부(215)에서 시작하여 외측 레이스 가이드(222)를 통해 레이싱 엔진(10)을 통해 내측 레이스 가이드(220)를 통해 다시 내측 레이스 고정부(216)까지 연장하는 레이싱 경로가 생성된다. 이 예에서, 레이스(210)는 외측 레이스 고정부(215)에서 내측 레이스 고정부(216)까지의 연속 루프를 형성한다. 내측에서 외측방향 조임은 이 예에서 브리오 케이블(225)을 통해 전달된다. 다른 예에서, 레이싱 경로는 갑피(205)를 가로질러 내측-외측 방향으로 조임력을 전달하기 위해 교차되거나 추가 특징을 통합할 수 있다. 또한, 연속 레이스 루프 개념은 중앙(내측) 간극과 중앙 간극을 가로질러 앞뒤로 교차하는 레이스(210)를 갖는 보다 전통적인 갑피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300)를 갖는 평탄한 신발류 갑피(305)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예시적인 신발류 갑피를 설명할 목적으로, 갑피(305)는 신발류 조립체의 오른발 버전으로 통합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가정된다. 도 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싱 아키텍처(300)를 갖는 평탄한 신발류 갑피(305)의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 신발류 갑피(305)는 레이스 가이드(320)를 통해 연장하는 레이스 케이블(310)을 갖는 일련의 레이스 가이드(320A - 320J)(레이스 가이드(들)(320)로 통칭함)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레이스 케이블(310)은 외측 레이스 고정부(345A) 및 내측 레이스 고정부(345B)(레이스 고정 지점(345)으로 통칭함)에서 갑피(305)의 각 측면에서 종결되는 루프를 형성하며, 루프의 중간 부분은 신발류 조립체의 중창 내에서 레이싱 엔진을 통해 라우팅된다. 갑피(305)는 또한 일련의 레이스 가이드(320)의 각각과 관련된 보강재를 포함한다. 보강재는 개별 레이스 가이드를 덮거나 여러 레이스 가이드에 걸쳐있을 수 있다. 이 예에서, 보강재는 중앙 보강재(325), 제1 외측 보강재(335A), 제1 내측 보강재(335B), 제2 외측 보강재(330A), 제2 내측 보강재(330B)를 포함한다. 레이스 케이블(310)의 중간 부분은 외측 후방 레이스 가이드(315A) 및 내측 후방 레이스 가이드(315B)를 통해 레이싱 엔진으로 및/또는 레이싱 엔진으로부터 라우팅되고, 외측 레이스 출구(340A) 및 내측 레이스 출구(340B)를 통해 갑피(300)를 빠져나오고 및/또는 그에 진입한다.
갑피(305)는 전족(발가락) 부분(307), 중족 부분(308) 및 뒤꿈치 부분(309)과 같은 상이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족 부분(307)은 중족골을 발의 지골과 연결시키는 관절에 대응한다. 중족 지점(308)은 발의 족궁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뒤꿈치 부분(309)은 발의 후방 또는 뒤꿈치 부분과 대응할 수 있다. 갑피(305)의 중족 부분의 내측 및 외측 측면은 중앙 부분(3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일반적인 신발류 설계에서, 중앙 부분(306)은 조절될 발 주위의 신발류 갑피의 밀착성을 허용하는 레이스의 교차(또는 유사한) 패턴이 걸쳐지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를 포함하는 중앙 부분(306)은 또한 신발류 조립체로부터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레이스 가이드(320)는 레이스 케이블(310)을 갑피(305)의 외측 측면 및 내측 측면 각각을 따라 패턴을 통해 라우팅하면서 레이스 케이블(310)을 유지하는 관형 또는 채널 구조이다. 이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320)는 본질적으로 사인곡선형 파형 패턴으로 배열된 u 형상 플라스틱 튜브이며, 이는 갑피(305)의 내측 및 외측 측면을 따라 위아래로 사이클링한다. 레이스 케이블(310)에 의해 완성된 사이클의 수는 신발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보다 작은 크기의 신발류 조립체는 단지 1과 1/2 사이클을 수용할 수 있으며, 예시적인 갑피(305)는 내측 후방 레이스 가이드(315B) 또는 외측 후방 레이스 가이드(315A)에 들어가기 전에 2와 1/2 사이클을 수용한다. 이 패턴은 본질적으로 사인곡선형으로 설명되며, 본 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u 형상 가이드는 실제 사인파 크레스트 또는 골보다 넓은 프로파일을 가진다. 다른 예에서, 실제 사인파 패턴에 더 밀접하게 근사한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주의깊게 만곡된 레이스 가이드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지 않고서는, 레이스 가이드 사이에서 신장된 레이스로는 실제 사인파를 쉽게 얻을 수 없다). 레이스 가이드(320)의 형상은 상이한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생성하도록 변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크는 신발류의 중창의 레이싱 엔진에서 측정된다. 더 급격한 반경의 곡선을 갖거나 더 높은 빈도의 파형 패턴(예를 들어, 레이스 가이드가 더 많은, 더 많은 수의 사이클)을 포함하는 레이스 가이드를 사용하면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급격한 반경의 레이스 가이드에서, 레이스 케이블은 더 큰 마찰을 겪게되고, 이는 더 높은 초기 토크를 초래하며, 이는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벗어나는 토크를 평활화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구현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배치 패턴 또는 레이스 가이드 설계를 이용하여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평활화하는 것을 도우면서 낮은 초기 토크 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예를 들어, 레이스 가이드 내의 마찰을 낮게 유지시킴으로써). 그러한 레이스 가이드 설계 중 하나가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되며, 다른 대안적인 레이스 가이드 설계가 도 8a 내지 도 8g를 참조로 설명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레이스 가이드에 추가로, 레이스 가이드는 플라스틱, 폴리머, 금속 또는 페브릭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브릭 층을 사용하여 레이스 케이블을 원하는 패턴으로 라우팅하는 성형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 가이드 및 페브릭 오버레이의 조합을 사용하여 설명된 레이싱 아키텍처에 사용할 가이드 구성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a로 돌아가서, 보강재(325, 335, 및 330)는 레이스 가이드(320)와 같은 상이한 레이스 가이드와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다. 일 예에서, 보강재(335)는 종종 핫 멜트라 지칭되는 프로세스인, 레이스 가이드(320G, 320H)의 상단 위에 부착될 수 있는 열 활성화 접착제로 함침된 페브릭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는 보강재(325)와 같은 다수의 레이스 가이드를 덮을 수 있으며, 이는 본 예에서, 중앙 부분(306)과 같은 신발류의 중앙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된 6개의 상부 레이스 가이드를 덮는다. 다른 예에서, 보강재(325)는 중앙 부분(306)의 중간 섹션 아래에서 분할되어 중앙 부분(306)의 외측 측면을 따른 레이스 가이드와 별개로 중앙 부분(306)의 내측 측면을 따른 레이스 가이드를 덮는 2개의 단편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 실시예에서, 보강재(325)는 개별 레이스 가이드를 덮는 6개의 별개의 보강재로 분할될 수 있다. 보강재의 사용은 레이스 가이드와 갑피(305)와 같은 하위 신발류 갑피 사이의 상호 작용의 동역학을 변화시키도록 변할 수 있다. 보강재는 재봉, 접착제 또는 메커니즘 조합을 포함하여 다양한 다른 방법으로 갑피(305)에 부착할 수 있다. 보강재를 부착하는 방식은 보강재에 사용되는 페브릭 또는 재료의 유형과 함께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연장하는 레이스 케이블이 받는 마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유연한 레이스 가이드 위에 핫 멜팅된 더 강성적인 재료는 레이스 케이블이 받는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레이스 가이드 위에 부착된 유연한 재료는 레이스 가이드 유연성을 더 많이 유지함으로써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a는 내측 및 외측 상부 레이스 가이드(320A, 320B, 320E, 320F, 320I 및 320J)에 걸쳐진 단일 부재인 중앙 보강재(325)를 도시한다. 보강재(325)가 본 예에서는 갑피(305)인 하위 신발류 갑피보다 유연성이 적은 더 강성적인 재료라고 가정하면, 신발류 조립체의 결과적인 중앙 부분(306)은 덜 관대한 밀착성 특성을 나타낼 것이다. 일부 용례에서, 보다 강성적이고 덜 관대한 중앙 부분(306)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중앙 부분(306)에 걸쳐 더 많은 유연성이 요구되는 용례에서, 중앙 보강재(325)는 둘 이상의 보강재로 분리될 수 있다. 특정 용례에서, 분리된 중앙 보강재는 더 많은 형상 밀착성의 중앙 부분(306)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유연성 또는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중앙 부분(306)에 걸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갑피(305)는 중앙 부분(306)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작은 간극을 가질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가 간극에 걸쳐지고 레이스 가이드(410) 및 탄성 부재(440)로 도 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중앙 보강재를 연결한다.
도 3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싱 아키텍처(300)를 갖는 평탄한 신발류 갑피(305)의 다른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 신발류 갑피(305)는 보강재(325, 330 및 335)의 구성을 수정한 레이스 가이드(320)를 포함하는 유사한 레이스 가이드 패턴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재 구성에 대한 수정은 적어도 약간 다른 밀착성 특성을 초래하고 또한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c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평탄한 신발류 갑피에 도시된 일련의 레이싱 아키텍처 예이다. 레이스 아키텍처(300A)는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사인파 패턴과 유사한 레이스 가이드 패턴을 도시하며, 각각의 개별 레이스 가이드를 덮는 개별 보강재를 갖는다. 레이스 아키텍처(300B)는 중앙 부분 및 개별 하부 레이스 가이드를 가로질러 걸쳐진 상부 레이스 가이드 쌍을 덮는 세장형 보강재를 갖는 낙하산 레이싱이라고도 지칭되는 파형 레이싱 패턴을 다시 한번 도시한다. 레이스 아키텍처(300C)는 단일 중앙 보강재를 갖는 또 다른 파형 레이싱 패턴이다. 레이스 아키텍처(300D)는 개별 레이스 가이드 위에 형상 밀착하도록 개별 보강재가 절단되어 있는 삼각형 형상의 레이스 패턴을 소개한다. 레이스 아키텍처(300E)는 삼각형 레이스 패턴의 보강재 구성의 변형을 도시한다. 마지막으로, 레이스 아키텍처(300F)는 중앙 보강재 및 통합된 하부 보강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구성의 또 다른 변형을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400)를 갖는 신발류 갑피(405)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갑피(405)의 내측 부분은 레이스 케이블(430)을 내측 출구 가이드(435)로 라우팅하는 레이스 가이드(410)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레이스 가이드(410)는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415)를 형성하도록 보강재(420) 내에 캡슐화되고,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갑피(405) 상에 재위치설정 가능하다. 일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415)는 후크-앤-루프(hook-n-loop) 재료로 이면형성되고, 갑피(405)는 후크-n-루프 재료를 수용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이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415)는 후크 부분으로 이면형성되고, 갑피(405)가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415)를 수용하기 위한 편조 루프 표면을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415)는 레이스 가이드 트랙(445)과 같은 트랙과 결합하도록 통합된 트랙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트랙 기반 통합은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415)에 대한 안전한, 이동거리 제한된 이동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스 가이드 트랙(445)은 중앙 부분(450)의 길이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고, 트랙의 길이를 따라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415)를 위치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445)은 중앙 부분(450)의 양측에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를 보유하기 위해 외측 측면으로부터 내측 측면으로 가로질러 걸쳐질 수 있다. 유사한 트랙은 모든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415)를 보유하도록 적절한 장소에 위치될 수 있어서 신발류 갑피(405) 상의 모든 레이스 가이드에 대한 제한 방향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미리 정해진 레이스 가이드를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상기 레이스 가이드의 내측-외측 방향(medial-lateral direction) 조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내측-외측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내측 측면으로부터 외측 측면으로 개방 중앙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내측 레이스 가이드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외측 레이스 가이드를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트랙 각각은 내측 측면에서부터 외측 측면으로 개방 중앙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트랙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내측 레이스 가이드 및 이와 대향하는 외측 레이스 가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발류 갑피(405)는 탄성 부재(440)와 같은 중앙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레이싱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내측 및 외측 측면을 따른 적어도 상부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는 상이한 신발류 설계가 상이한 수준의 밀착성 및 성능을 달성할 수 있게 하는 탄성 부재로 중앙 부분(450)을 가로질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외측방향 이동을 통해 발을 고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고성능 농구화는 꼭맞는 밀착성을 보장하기 위해 탄성 계수가 높은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러닝화는 탄성 계수가 낮은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러닝화가 장거리 도로 러닝에 대한 편안함 대 높은 수준의 외측방향 운동 억제에 초점을 두고 설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 예에서, 탄성 부재(440)는 상호 교환 가능하거나 또는 탄성의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갑피(405)와 같은 신발류 갑피는 외측 측면으로부터 내측 측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키는, 중앙 부분(450)을 따른 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부분(450)을 따라 작은 간극이 있더라도, 탄성 부재(440)와 같은 탄성 부재가 간극에 걸쳐지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단일 레이스 가이드 트랙(445) 또는 단일 탄성 부재(440)만을 도시하지만, 이들 요소는 특정 레이싱 아키텍처에서 임의의 또는 모든 레이스 가이드에 대해 복제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 각각 상의 3개의 상부 레이스 가이드 각각은 중심선으로부터의 상이한 이격 거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레이스 조절 트랙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400)를 갖는 신발류 갑피(405)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도 4에 도시된 중앙 부분(450)은 본 예에서 중앙 지퍼(465)로 도시된 중앙 폐쇄 메커니즘(460)으로 대체된다. 중앙 폐쇄 메커니즘은 쉬운 진입 및 빠져나감을 위해 신발류 갑피(405)에 넓은 개구를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중앙 지퍼(465)는 발 진입 또는 빠져나감을 가능하게 하도록 쉽게 지퍼해제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앙 폐쇄부(460)는 후크 및 루프, 스냅, 걸쇠, 토글, 보조 레이스 또는 임의의 유사한 폐쇄 메커니즘일 수 있다.
도 6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600)를 갖는 신발류 갑피(405)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레이싱 아키텍처(600)는 뒤꿈치 레이싱 가이드(610) 및 뒤꿈치 보강재(620)뿐만 아니라 뒤꿈치 전향 가이드(610) 및 뒤꿈치 출구 가이드(635)를 포함하는 뒤꿈치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615)를 추가한다. 뒤꿈치 전향 가이드(610)는 레이스 케이블(430)을 마지막 레이스 가이드(410)를 벗어나 뒤꿈치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615)를 향해 이동시킨다. 뒤꿈치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615)는 뒤꿈치 보강재(620)를 갖는 뒤꿈치 레이싱 가이드(610)로부터 형성된다. 뒤꿈치 레이싱 가이드(610)는 갑피(405) 상의 다른 위치에서 사용되는 레이싱 가이드와 유사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뒤꿈치 레이싱 가이드(610)는 다른 형상일 수 있거나 다수의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뒤꿈치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615)는 뒤꿈치 트랙(645) 상에 장착되어 뒤꿈치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615)의 위치의 조절성을 허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조절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와 유사하게, 후크 및 루프 체결구 또는 유사한 체결 메커니즘과 같은 뒤꿈치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615)의 위치설정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다른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갑피(405)는 앞서 설명한 중앙 부분(450)과 유사하게 폐쇄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 뒤꿈치 리지(650)를 포함한다. 뒤꿈치 폐쇄 메커니즘을 갖는 예에서 뒤꿈치 폐쇄 메커니즘은 전통적인 신발류 조립체 발 개구를 확장하여 신발류에 대한 용이한 진입 및 벗어남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일부 예에서, 뒤꿈치 레이스 가이드 구성요소(615)는 (뒤꿈치 폐쇄 메커니즘을 갖거나 갖지 않는) 뒤꿈치 리지(650)를 가로질러 대향 측면상의 대응하는 뒤꿈치 레이싱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은 탄성 부재(440)와 유사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동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700)를 갖는 신발류 갑피(405)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레이싱 아키텍처(700)는 레이스(730)를 라우팅하기 위한 레이스 가이드(710)를 포함한다. 레이스 가이드(710)는 관련된 보강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710)는 레이스 가이드(710)의 일부가 도 7a에 도시된 개방된 초기 위치로부터 도 7b에 도시된 굴곡된 폐쇄 위치(참조를 위해 각 도면에서 반대 위치를 나타내는 가상선이 제공됨)로 굴곡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710)는 개방된 초기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약 14 도의 굴곡을 나타내는 연장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예는 레이스 가이드(710)의 초기 및 최종 위치(또는 형상) 사이에서 더 많거나 더 적은 굴곡을 나타낼 수 있다. 레이스 가이드(710)의 굴곡은 레이스(730)가 조여짐에 따라 발생한다. 레이스 가이드(710)의 굴곡은 레이스(730)에 약간의 초기 장력을 가하고 조임 프로세스 중에 레이스 장력을 소산시키는 추가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함으로써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평활화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초기 형상 또는 굴곡 위치에서, 레이스 가이드(710)는 레이스 케이블에 약간의 초기 장력을 생성하고, 이는 또한 레이스 케이블의 이완을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레이스 케이블의 조임이 시작될 때, 레이스 가이드(710)는 굴곡되거나 변형된다.
레이스 가이드(710)는 이 예에서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 튜브이며, 튜브의 특정 조성에 따라 상이한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보강재(720)의 구성과 함께 레이스 가이드(710)의 탄성 계수는 레이스 가이드(710)의 굴곡에 의해 레이스(730)에 유도된 추가적인 장력의 양을 제어할 것이다. 레이스 가이드(710)의 단부(다리 또는 연장부)의 탄성 변형은 레이스 가이드(71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려고 시도함에 따라 레이스(730)에 계속적인 장력을 유도한다. 일부 예에서, 전체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가이드의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굴곡된다. 다른 예에서, 굴곡은 주로 레이스 가이드의 u 형상 부분 내에서 발생하며, 연장부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유지된다. 또 다른 예에서, 연장부는 u 형상 부분은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유지되는 상태로 대부분의 굴곡을 수용한다.
보강재(720)는 레이스 가이드(710)의 단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레이스 가이드(710) 위에 부착된다. 일부 예에서, 보강재(720)는 열 활성화 접착제의 배치가 레이스 가이드(710)에서의 굴곡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허용하면서, 앞서 설명한 핫 멜트 프로세스를 통해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강재(720)는 제 위치에 재봉되거나 접착제 및 재봉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재(720)가 어떻게 부착 또는 구조화되는 지는 레이스 케이블로부터의 하중 하에서 레이스 가이드의 어느 부분이 굴곡되는 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핫 멜트는 레이스 가이드의 u 형상 부분 주위에 집중되어 연장부(다리)가 굴곡에 대해 더 자유롭게 유지되게 한다.
도 7c 및 도 7d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신발류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7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앞서 소개된 레이스 가이드(710)가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7c는 비변형 상태로 고려될 수 있는 제1 (개방) 상태의 레이스 가이드(710)를 도시한다. 도 7d는 변형 상태로 고려될 수 있는 제2 (폐쇄/굴곡) 상태의 레이스 가이드(710)를 도시한다. 레이스 가이드(710)는 중간 섹션(712), 제1 연장부(714) 및 제2 연장부(716)와 같은 3개의 상이한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스 가이드(710)는 레이스 수용 개구(740) 및 레이스 출구 개구(742)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이스 가이드(710)는 소정 인가된 장력으로 변형의 수준을 제어하는 상이한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710)는 제1 탄성 계수를 갖는 중간 섹션(712), 제2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연장부 및 제3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연장부 같은 다른 탄성 계수를 갖는 상이한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제2 및 제3 탄성 계수는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어서,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는 유사한 방식으로 굴곡되거나 변형된다. 이 예에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은 탄성 계수가 서로의 몇 % 포인트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710)는 정점(746)에서의 높은 계수로부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외부 단부를 향한 낮은 계수까지 변하는 가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계수는 레이스 가이드(710)의 벽 두께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레이스 가이드(710)는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가 어떻게 기능하는 지 설명하는 데 유용한 다수의 축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714)는 적어도 제1 연장부(714) 내에 형성된 내부 채널의 외부 부분과 정렬되는 제1 유입 레이스 축(750)을 한정할 수 있다. 제2 연장부(716)는 적어도 제2 연장부(716) 내에 형성된 내부 채널의 외부 부분과 정렬되는 제1 유출 레이스 축(760)을 한정한다. 변형시, 레이스 가이드(710)는 각각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의 각각의 부분과 정렬되는 제2 유입 레이스 축(752) 및 제2 유출 레이스 축(762)을 한정한다. 레이스 가이드(710)는 또한 정점(746)에서 레이스 가이드(710)와 교차하고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중심축(744)을 포함한다(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변형 상태의 대칭성 레이스 가이드를 가정함).
도 7e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에 대한 다양한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도시하는 그래프(770)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이스 가이드(710)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이점 중 하나는 토크(또는 레이스 장력) 대 레이스 변위(또는 단축) 곡선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곡선(776)은 예시적인 레이싱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변형 불가능한 레이스 가이드에 대한 토크 대 변위 곡선을 도시한다. 곡선(776)은 레이스가 조임 프로세스의 단부 근방에서 짧은 변위에 걸쳐서 장력의 급격한 증가를 받는 방식을 예시한다. 반대로, 곡선(778)은 예시적인 레이싱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제1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에 대한 토크 대 변위 곡선을 도시한다. 곡선 778은 곡선 776과 유사한 형태로 시작하지만, 레이스 가이드가 추가적인 레이스 장력에 의해 변형되면 곡선이 평탄해져서 더 큰 레이스 변위에 걸쳐 증가하는 장력을 초래한다. 곡선을 평탄화 하면 최종 사용자를 위한 신발류의 밀착성 및 성능을 보다 잘 제어할 수 있다.
최종 예는 3개의 세그먼트, 즉, 초기 조임 세그먼트(780), 적응 세그먼트(782) 및 반응 세그먼트(784)로 분할된다. 세그먼트(780, 782, 784)는 토크 및 결과적인 변위가 요구되는 임의의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반응 세그먼트(784)는 특히 전동 레이싱 엔진이 예기치 않은 외부 요인에 대한 반응으로 레이스의 변위에서 갑작스런 변화 또는 보정을 하는 상황에서, 예를 들어 착용자가 갑자기 움직이는 것을 멈춰 레이스에 비교적 높은 하중을 초래하는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적응 세그먼트(782)는, 레이스 상의 하중의 변화가 예상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하중의 변화가 덜 갑작스럽거나 또는 착용자에 의해 전동 레이싱 엔진에 활동의 변화가 입력되거나 전동 레이싱 엔진이 머신 러닝을 통해 활동의 변화를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점진적인 레이스의 변위가 사용될 수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최종 예가 되는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 설계는 레이스 가이드 구조 설계(예컨대, 채널 형상, 재료 선택 또는 조합 파라미터)를 통해 적응 세그먼트(782) 및 반응 세그먼트(784)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최종 예를 생성하는 레이싱 아키텍처 및 레이스 가이드는 또한 레이스 케이블에 예비 장력을 생성하여 도시된 초기 조임 세그먼트(780)를 초래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특정 레이싱 아키텍처에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레이싱 가이드(8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개방 레이스 채널을 갖는 대안적인 레이스 가이드가 도시된다. 후술되는 레이싱 가이드(800)는 레이스 가이드(410), 뒤꿈치 레이스 가이드(610), 또는 심지어 내측 출구 가이드(43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레이싱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에 대체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구성 모두는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레이싱 가이드(800)는 가이드 탭(805), 재봉 개구(810), 가이드 상위 표면(815), 레이스 리테이너(820), 레이스 채널(825), 채널 반경(830), 레이스 접근 개구(840), 가이드 하위 표면(845) 및 가이드 반경(850)을 포함한다. 레이싱 가이드(800)와 같은 개방 채널 레이스 가이드의 장점은 레이스 가이드를 신발류 갑피에 설치한 후 레이스 케이블을 쉽게 라우팅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많은 레이스 아키텍처 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관형 레이스 가이드에서,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레이스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것은 (나중에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레이스 가이드를 신발류 갑피에 부착하기 전에 수행하는 것이 가장 쉽다. 개방 채널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가이드(800)가 신발류 갑피에 위치된 후에 레이스 케이블이 단순히 레이스 리테이너(820)를 통해 밀려질 수 있게 함으로써 간단한 레이스 라우팅을 용이하게 한다. 레이싱 가이드(8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레이싱 가이드(800)는 초기에 재봉 또는 접착제를 통해 신발류 갑피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된 설계는 레이싱 가이드(800)를 신발류 갑피(또는 유사한 재료) 상으로 용이하게 수동 또는 자동 재봉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재봉 개구(810)를 포함한다. 레이싱 가이드(800)가 신발류 갑피에 부착되면, 레이스 케이블은 레이스 케이블의 루프를 레이스 채널(825) 내로 단순히 당김으로써 라우팅될 수 있다. 레이스 접근 개구(840)는 레이스 리테이너(820) 둘레에 도달하도록 레이스 케이블을 위한 릴리프 오목부를 제공하기 위해 하위 표면(845)을 통해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리테이너(820)는 상이한 치수일 수 있거나 심지어 다수의 더 작은 돌출부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레이스 리테이너(820)는 폭이 더 좁을 수 있지만, 접근 개구(840)를 향해 또는 심지어 접근 개구 내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접근 개구(840)는 또한 상이한 치수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스 리테이너(820)의 형상을 다소 반영할 것이다. 이 예에서, 채널 반경(830)은 레이스 케이블의 직경에 대응하거나 또는 레이스 케이블의 직경보다 약간 크도록 설계된다. 채널 반경(830)은 레이싱 가이드(800)를 통해 연장하는 레이스 케이블이 받는 마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는 레이싱 가이드(800)의 파라미터 중 하나이다. 레이스 케이블이 받는 마찰에 영향을 미치는 레이싱 가이드(800)의 다른 파라미터는 가이드 반경(850)을 포함한다. 가이드 반경(850)은 또한 신발류 갑피에 위치된 레이스 가이드의 빈도 또는 간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8g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 가이드(800)를 사용하는 레이싱 아키텍처(890)를 갖는 신발류 갑피(405)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다수의 레이싱 가이드(800)는 레이싱 아키텍처(890)의 절반을 형성하도록 신발류 갑피(405)의 외측 측면에 배열된다. 앞서 설명한 레이싱 아키텍처와 유사하게, 레이싱 아키텍처(890)는 레이스 케이블을 라우팅하기 위해 레이싱 가이드(800)를 사용하여 파형 패턴 또는 낙하산 레이싱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형의 레이싱 아키텍처의 이점 중 하나는 레이스 조임이 신발류 갑피(405)의 전방-후방 조임뿐만 아니라 외측-내측 조임 둘 모두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예에서, 레이싱 가이드(800)는 재봉(860)을 통해 적어도 초기에 갑피(405)에 부착된다. 재봉(860)은 재봉 개구(810) 위에 또는 재봉 개구와 결합되어 도시되어 있다. 레이싱 가이드(800) 중 하나는 또한 레이싱 가이드를 덮는 보강재(870)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재는 각각의 레이싱 가이드(800) 위에 개별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더 큰 보강재를 사용하여 다수의 레이싱 가이드를 덮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보강재와 유사하게, 보강재(870)는 접착제, 열 활성화 접착제 및/또는 재봉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보강재(870)는 접착제(열 활성화 방식이거나 그렇지 않음) 및 레이싱 가이드 위로 보강재를 균일하게 압축하는 진공 배깅 프로세스(vacuum bagging process)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보강재 및 레이싱 가이드와 함께 유사한 진공 배깅 프로세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기계 프레스 또는 유사한 기계가 레이싱 가이드 위에 보강재를 부착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든 레이싱 가이드(800)가 초기에 신발류 갑피(405)에 위치 및 부착되고 나면, 레이스 케이블은 레이싱 가이드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다. 레이스 케이블 라우팅은 외측 앵커 지점(470)에서 레이스 케이블의 제1 단부를 고정하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그 후, 레이스 케이블은 최전방 레이싱 가이드로부터 시작하여 각 레이스 채널(825) 내로 당겨지고, 갑피(405)의 뒤꿈치를 향해 후방으로 작업될 수 있다. 레이스 케이블이 모든 레이싱 가이드(800)를 통해 라우팅되고 나면, 레이싱 가이드 및 레이스 케이블 모두를 고정하기 위해 레이싱 가이드(800) 각각의 위에 보강재(870)가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조립 프로세스
도 9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레이싱 엔진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를 위한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9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 조립 프로세스(900)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포함한다: 910에서 신발류 갑피, 레이스 가이드 및 레이스 케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920에서 관형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레이스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동작; 930에서 레이스 케이블의 제1 단부를 고정하는 동작; 940에서 레이스 케이블의 제2 단부를 고정하는 동작; 950에서 레이스 가이드를 위치설정하는 동작; 960에서 레이스 가이드를 고정하는 동작; 및 970에서의 신발류 조립체와 갑피를 통합하는 동작.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프로세스(900)는 설명된 프로세스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스 동작 중 적어도 일부는 다양한 위치에서 및/또는 상이한 자동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스(900)는 신발류 갑피,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및 레이스 케이블을 획득함으로써 910에서 시작한다. 갑피(405)와 같은 신발류 갑피는 신발류 조립체의 나머지(예를 들어, 밑창, 중창, 외부 커버 등...)로부터 분리된 평탄한 신발류 갑피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형 플라스틱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하지만, 다른 유형의 레이스 가이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프로세스(900)는 레이스 케이블이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라우팅(또는 끼워짐)되는 동작으로 이어진다. 레이스 케이블은 조립 프로세스(900)의 상이한 지점에서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지만, 관형 레이스 가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신발류 갑피에 조립하기 전에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레이스를 라우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케이블 상에 미리 끼워질 수 있으며, 프로세스(900)는 910에서 레이스 상에 이미 끼워진 다수의 레이스 가이드가 동작 중에 획득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930에서, 프로세스(900)는 레이스 케이블의 제1 단부가 신발류 갑피에 고정되는 동작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레이스 케이블(430)은 갑피(405)의 외측 에지를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케이블은 갑피(405)에 임시 고정될 수 있고, 더 영구적인 고정은 신발류 갑피를 나머지 신발류 조립체와 통합하는 동안 달성된다. 단계 940에서, 프로세스(900)는 레이스 케이블의 제2 단부가 신발류 갑피에 고정되는 동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레이스 케이블의 제1 단부와 유사하게, 제2 단부는 갑피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900)는 선택적으로 프로세스의 나중에 또는 신발류 조립체와의 통합 중까지 제2 단부의 고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
950에서, 프로세스(900)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가 갑피에 위치되는 동작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레이스 가이드(410)는 원하는 레이싱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갑피(405)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레이스 가이드가 위치되면, 프로세스(900)는 레이스 가이드를 신발류 갑피에 고정시킴으로써 960에서 계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재(420)는 레이스 가이드(410) 위에 고정되어 이들을 제 위치에 보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스(900)는 970에서 완료될 수 있고, 신발류 갑피는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의 나머지에 통합된다. 일 예에서, 통합은 신발류 조립체의 중창에 있는 레이싱 엔진과 결합하도록 신발류 갑피의 외측 및 내측 측면을 연결하는 레이스 케이블의 루프를 위치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레이싱 가이드를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를 위한 신발류 조립 프로세스(1000)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예에서, 조립 프로세스(1000)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포함한다: 1010에서 신발류 갑피, 레이스 가이드 및 레이스 케이블을 획득하는 동작; 1020에서 신발류 갑피에 레이싱 가이드를 고정하는 동작; 1030에서 레이스 케이블의 제1 단부를 고정하는 동작; 1040에서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레이스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동작; 1050에서 레이스 케이블의 제2 단부를 고정하는 동작; 1060에서 선택적으로 레이스 가이드 위에 보강재를 고정하는 동작; 및 1070에서의 신발류 조립체와 갑피를 통합하는 동작.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프로세스(1000)는 설명된 프로세스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스 동작 중 적어도 일부는 다양한 위치에서 및/또는 상이한 자동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예에서, 프로세스(1000)는 신발류 갑피,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및 레이스 케이블을 획득함으로써 1010에서 시작한다. 갑피(405)와 같은 신발류 갑피는 신발류 조립체의 나머지(예를 들어, 밑창, 중창, 외부 커버 등...)로부터 분리된 평탄한 신발류 갑피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레이스 가이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 채널 플라스틱 레이싱 가이드를 포함하지만, 다른 유형의 레이스 가이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1020에서, 프로세스(1000)는 레이싱 가이드가 갑피에 고정되는 동작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레이싱 가이드(800)는 갑피(405)의 위치에 개별적으로 재봉될 수 있다.
1030에서, 프로세스(1000)는 레이스 케이블의 제1 단부가 신발류 갑피에 고정되는 동작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레이스 케이블(430)은 갑피(405)의 외측 에지를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레이스 케이블은 갑피(405)에 임시 고정될 수 있고, 더 영구적인 고정은 신발류 갑피를 나머지 신발류 조립체와 통합하는 동안 달성된다. 1040에서, 프로세스(1000)는 레이스 케이블이 개방 채널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라우팅되는 동작으로 이어지며, 이는 신발류 갑피의 외측 및 내측 측면 사이에 레이싱 엔진과의 결합을 위한 레이스 루프를 남기는 것을 포함한다. 레이스 루프는 레이싱 엔진이 조립된 신발류를 적절히 조이는 것을 보증하도록 미리 결정된 길이일 수 있다.
1050에서, 프로세스(1000)는 레이스 케이블의 제2 단부가 신발류 갑피에 고정되는 동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레이스 케이블의 제1 단부와 유사하게, 제2 단부는 갑피에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스(1000)는 선택적으로 프로세스의 나중에 또는 신발류 조립체와의 통합 중까지 제2 단부의 고정을 지연시킬 수 있다. 특정 예에서, 레이스 케이블의 제1 및/또는 제2 단부의 고정을 지연시키는 것은 전체 레이스 길이의 조절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는 레이싱 엔진의 통합 중에 유용할 수 있다.
1060에서, 프로세스(1000)는 선택적으로 레이스 가이드 위에 페브릭 보강재(커버)를 고정시켜 신발류 갑피에 이들을 추가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싱 가이드(800)는 레이싱 가이드와 레이스 케이블을 추가 고정하기 위해 레이싱 가이드 위에 핫 멜트된 보강재(870)를 가질 수 있다. 최종적으로, 프로세스(1000)는 밑창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의 나머지에 신발류 갑피가 통합되는 것으로 1070에서 완료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통합은 신발류 조립체의 중창에 있는 레이싱 엔진과 결합하도록 신발류 갑피의 외측 및 내측 측면을 연결하는 레이스 케이블의 루프를 위치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무엇보다도 신발 레이스의 자동 및 반자동 조임을 위한 개선된 레이싱 아키텍처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문서는 무엇보다도 예시적인 레이싱 아키텍처, 레이싱 아키텍처에 사용된 예시적인 레이스 가이드 및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관련 조립 기술을 설명한다. 다음의 예는 본원에 설명된 작동기 및 신발류 조립체의 비제한적인 예를 제공한다.
예 1은 자동화된 조임을 용이하게 하는 레이싱 아키텍처를 갖는 신발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제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 신발류 조립체는 토우 박스 부분(toe box portion), 내측 측면, 외측 측면 및 뒤꿈치 부분을 포함하는 신발류 갑피를 포함할 수 있고,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 각각은 토우 박스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부분까지 근위방향으로 연장된다. 신발류 조립체는 또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연장하는 레이스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스 케이블은 내측 측면의 원위 외부 부분을 따라 고정된 제1 단부 및 외측 측면의 원위 외부 부분을 따라 고정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는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을 따라 분포될 수 있고,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케이블의 길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레이스 케이블은 신발류 갑피의 각각의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을 따라 패턴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각각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신발류 조립체는 또한 레이스 케이블을 중창 부분 내에 배치된 레이싱 엔진과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위치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내측 부분에 의해 형성된 패턴으로부터 레이스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내측 근위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신발류 조립체는 레이스 케이블이 레이싱 엔진을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외측 부분에 의해 형성된 패턴으로 결합하게 하는 위치로부터 레이스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외측 근위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한다.
예 2에서, 예 1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레이스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해 u 형상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 3에서, 예 2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에 u 형상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레이스 루프가 레이스 가이드 내로 당겨질 수 있게 하는 개방 채널이다.
예 4에서, 예 2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에 u 형상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u 형상 채널로 형성되거나 굴곡된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레이스 케이블이 관형 구조를 통해 끼워진다.
예 5에서, 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레이스 케이블의 조임 동안 힘 또는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평탄화하도록 성형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 6에서, 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 위로 압축된 열 활성화 접착제를 포함하는 오버레이로 신발류 갑피에 고정되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 7에서, 예 6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열 활성화 접착제로 함침된 페브릭인 오버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 8에서, 예 6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를 고정하는 오버레이를 넘어 연장되는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 9에서, 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재봉에 의해 신발류 갑피에 적어도 초기에 고정되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0에서, 예 9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 위로 압축된 열 활성화 접착제를 포함하는 오버레이로 신발류 갑피에 추가로 고정되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1에서, 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신발류 갑피의 각각의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사인곡선형 파를 생성하는 레이스 가이드로 형성된 패턴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 12에서, 예 11의 주제는 임의로 표준 사인파와 비교하여 크레스트와 골에 더 큰 반경의 곡선을 포함하는 수정된 사인파인 실질적 사인곡선형 파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3에서, 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 각각의 신발류 갑피의 중심선에 근접한 3개의 상부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4에서, 예 13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중심선으로부터 상이한 거리만큼 이격된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의 각각 상의 3개의 상부 레이스 가이드 각각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5에서, 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토우 박스 부분으로부터 발 개구까지 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중심선 부분을 갖는 신발류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6에서, 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신발류 갑피의 중심선 부분을 가로질러 탄성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레이스 가이드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7에서, 예 16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레이스 케이블의 조임 동안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평활화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8에서, 예 16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신발류 갑피의 밀착성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탄성 계수를 제공하는 상이한 탄성 부재와 상호 교환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 19에서, 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토우 박스 부분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내측 부분과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외측 부분 사이의 발 개구까지 연장되는 지퍼를 포함하는 신발류 갑피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0에서, 예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레이스 케이블이 내측 측면과 외측 측면 사이의 신발류 갑피의 중앙 부분을 가로지르는 것을 방지하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 21은 자동화된 조임을 용이하게 하는 레이싱 아키텍처를 갖는 신발류 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제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를 통해 라우팅되는 레이스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스 케이블은 신발류 조립체의 갑피 부분의 내측 측면의 원위 외부 부분을 따라 고정된 제1 단부 및 갑피 부분의 외측 측면의 원위 외부 부분을 따라 고정된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는 내측 측면을 따라 제1 패턴으로 분포될 수 있고, 외측 측면을 따라 제2 패턴으로 분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케이블의 길이를 수용하는 개방 레이스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싱 아키텍처는 또한 레이스 케이블을 중창 부분 내에 배치된 레이싱 엔진과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위치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내측 부분에 의해 형성된 제1 패턴으로부터 레이스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내측 근위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예에서, 레이싱 아키텍처는 또한 레이스 케이블이 레이싱 엔진을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외측 부분에 의해 형성된 제2 패턴으로 결합하게 하는 위치로부터 레이스 케이블을 라우팅하는 외측 근위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한다.
예 22에서, 예 21의 주제는 선택적으로, 레이스 케이블을 레이스 가이드 내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개방 레이스 채널 내로 연장되는 레이스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 23에서, 예 22의 주제는 레이스 유지 부재에 대향하는 레이스 접근 개구를 갖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스 접근 개구는 케이블을 레이스 유지 부재 주위로 라우팅하는 유극을 제공한다.
예 24에서, 예 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주제는 레이스 가이드의 상위 부분을 따라 재봉 개구를 갖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재봉 개구는 레이스 가이드가 재봉에 의해 갑피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추가 노트
본 명세서 전반에서, 복수의 사례가 단일 사례로 설명된 구성요소, 동작 또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방법의 개별적인 동작이 개별적인 동작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동작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동작이 도시된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시된 구조 및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구성요소로서 제시된 구조 및 기능은 개별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본원의 주제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한 개요가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광의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제의 이러한 실시예는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단지 편의상 "발명"이라는 용어로 지칭되고, 사실 하나보다 많은 것이 개시되어 있다면, 임의의 단일 개시내용 또는 발명의 개념으로 이러한 응용의 범위를 자발적으로 제한하기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예시된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개시된 교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적 및 논리적 대체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고 그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개시된 주제에 부여되는 균등물의 전체 범위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될 때,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거나 배타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단일 사례로서 설명되는 리소스, 동작 또는 구조에 대해 복수의 사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리소스, 동작, 모듈, 엔진 및 데이터 저장소 사이의 경계는 다소 임의적이며 특정 동작은 특정 예시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예시된 것이다. 기능의 다른 할당이 고려되고,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예시적인 구성에서 별개의 자원으로서 제시되는 구조 및 기능은 조합된 구조 또는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단일 자원으로 제시된 구조 및 기능은 별개의 자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 수정, 추가 및 개선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현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적인 의미라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들 비제한적인 예 각각은 그 자체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예와 다양한 치환 또는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도면은 예시로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원에서 "예"로도 지칭된다. 그러한 예는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이외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도시되거나 설명된 요소들만 제공되는 예를 또한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자는 특정 예(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에 관해서 또는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다른 예(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에 관하여, 도시되거나 설명된 요소(또는 그 하나 이상의 양태)의 임의의 조합 또는 치환을 사용하는 예를 또한 고려한다.
본 문서와 참조로 포함된 임의의 문서 사이에서 사용법이 일관되지 않을 경우 본 문서에서의 사용법이 우선한다.
본 문서에서 단수형 용어는 특허 문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른 사례 또는 사용법과 독립적으로 하나 또는 하나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이 문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비배타적 또는'을 말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래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A 또는 B"는 "A 하지만 B는 아님", "B 하지만 A는 아님" 및 "A 및 B"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내포하는(including)" 및 "~에서(in which)"이라는 용어는 각각의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여기서(wherein)"와 등가의 평이한 언어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용어 "내포하는" 및 "포함하는"은 끝이 열려있으며, 즉, 청구범위에서 이러한 용어 이후 나열되는 것들에 추가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시스템, 장치, 물품, 조성, 제형 또는 프로세스가 여전히 해당 청구항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라벨로서 사용되며, 그 대상에 수치적인 요건을 부여하려는 것은 아니다.
신발류 조립 예와 같은 본원에 설명된 방법(프로세스) 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계 또는 로봇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전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된 예(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양태)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전의 설명을 검토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특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요약서가 제공된다(제공된 경우). 이는 청구항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 하에 제출된 것이다. 또한, 이전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이 개시내용을 간소화하기 위해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이것이, 청구되지 않은 개시된 특징이 임의의 청구항에 필수적인 것을 의도하는 것이라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오히려, 발명 주제는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은 부분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는 예 또는 실시예로서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며, 각 청구항은 별개의 실시예로서 그 자체로 독립적이고, 그러한 실시예는 다양한 조합 또는 치환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부여되는 균등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신발류 조립체로서:
    토우 박스 부분, 내측 측면, 외측 측면, 개방 중앙 부분, 및 뒤꿈치 부분을 포함하고,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 각각은 개방 중앙 부분의 양측에서 토우 박스 부분으로부터 뒤꿈치 부분까지 근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신발류 갑피;
    내측 측면의 원위 외부 부분을 따라 고정된 제1 단부 및 외측 측면의 원위 외부 부분을 따라 고정된 제2 단부를 갖는 레이스 케이블;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을 따라 분포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로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케이블의 길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레이스 케이블은 개방 중앙 부분을 가로지르지 않고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각각을 통해 연장되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및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미리 정해진 레이스 가이드를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레이스 가이드 트랙
    을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상기 레이스 가이드의 내측-외측 방향(medial-lateral direction) 조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내측-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신발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내측 측면에서부터 외측 측면으로 개방 중앙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신발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내측 레이스 가이드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외측 레이스 가이드를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는, 신발류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를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도록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트랙을 더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트랙 각각은 상기 내측 측면에서부터 상기 외측 측면으로 상기 개방 중앙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것인, 신발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트랙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내측 레이스 가이드 및 이와 대향하는 외측 레이스 가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신발류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해 u 형상 채널을 형성하는, 신발류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의 u 형상 채널은 레이스 루프가 레이스 가이드 내로 당겨질 수 있게 하는 개방 채널인, 신발류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의 u 형상 채널은 u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굴곡된 관형 구조로 형성되고, 레이스 케이블은 관형 구조를 통해 끼워지는, 신발류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케이블의 조임 중에 힘 또는 토크 대 레이스 변위 곡선을 평탄화하도록 성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신발류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패턴은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 각각 상의 신발류 갑피의 중심선에 근접한 3개의 상부 레이스 가이드를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내측 측면 및 외측 측면 각각 상의 3개의 상부 레이스 가이드 각각은 중심선으로부터의 상이한 이격 거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레이스 조절 트랙에 결합되는, 신발류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신발류 갑피는 토우 박스 부분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내측 부분과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외측 부분 사이의 발 개구까지 연장되는 지퍼를 포함하는, 신발류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레이스 케이블은 신발류 조립체의 내부에 배치된 레이싱 엔진과 맞물리도록 신발류 갑피 아래에서 라우팅되는, 신발류 조립체.
  16.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로서:
    신발류 조립체의 갑피 부분의 내측 측면의 원위 외부 부분을 따라 고정된 제1 단부 및 갑피 부분의 외측 측면의 원위 외부 부분을 따라 고정된 제2 단부를 갖는 레이스 케이블;
    내측 측면을 따라 제1 패턴으로 분포되고 외측 측면을 따라 제2 패턴으로 분포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로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의 각각의 레이스 가이드는 레이스 케이블의 길이를 수용하며, 내측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개방 중앙 부분에 의해 외측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및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미리 정해진 레이스 가이드를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레이스 가이드 트랙
    을 포함하는, 레이싱 아키텍처.
  17. 제16항에 있어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상기 레이스 가이드의 내측-외측 방향 조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내측-외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이싱 아키텍처.
  18. 제16항에 있어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내측 측면에서부터 외측 측면으로 개방 중앙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레이싱 아키텍처.
  19. 제18항에 있어서, 레이스 가이드 트랙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내측 레이스 가이드와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중 외측 레이스 가이드를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는, 레이싱 아키텍처.
  20.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를 조절 가능하게 위치 설정하도록 복수의 레이스 가이드 트랙을 더 포함하는, 레이싱 아키텍처.
KR1020217004942A 2016-10-26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KR102360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13142P 2016-10-26 2016-10-26
US62/413,142 2016-10-26
US201662424294P 2016-11-18 2016-11-18
US62/424,294 2016-11-18
PCT/US2017/022338 WO2018080580A1 (en) 2016-10-26 2017-03-14 Lacing architectur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KR1020207027098A KR102220090B1 (ko) 2016-10-26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098A Division KR102220090B1 (ko) 2016-10-26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609A KR20210021609A (ko) 2021-02-26
KR102360545B1 true KR102360545B1 (ko) 2022-02-09

Family

ID=6197094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4942A KR102360545B1 (ko) 2016-10-26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KR1020197014538A KR102160045B1 (ko) 2016-10-26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KR1020207027098A KR102220090B1 (ko) 2016-10-26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538A KR102160045B1 (ko) 2016-10-26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KR1020207027098A KR102220090B1 (ko) 2016-10-26 2017-03-14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10537155B2 (ko)
EP (2) EP3531857B1 (ko)
JP (4) JP6728494B2 (ko)
KR (3) KR102360545B1 (ko)
CN (2) CN110099584B (ko)
WO (1) WO2018080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3030B2 (en) 2015-10-07 2021-08-3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033079B2 (en) 2015-10-07 2021-06-15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185130B2 (en) 2015-10-07 2021-11-30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WO2017092775A1 (de) 2015-12-02 2017-06-08 Puma SE Verfahren zum schnüren eines schuhs, insbesondere eines sportschuhs
US10537155B2 (en) 2016-10-26 2020-01-21 Nike, Inc. Lacing architectur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BR112019010424B1 (pt) 2016-11-22 2021-12-14 Puma SE Método para amarrar um calçado, particularmente, um calçado esportivo e calçado, particularmente, calçado esportivo
ES2863924T3 (es) 2016-11-22 2021-10-13 Puma SE Procedimiento para colocar o retirar una prenda de vestir a su portador o por el propio portador o para cerrar, colocar, abrir o retirar una pieza de equipaje transportada por una persona
CN111278319B (zh) * 2017-10-20 2021-12-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自动化鞋类平台的系带组件
US10874172B2 (en) 2018-04-04 2020-12-29 Adidas Ag Articles of footwear with uppers comprising a wound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684110B2 (en) * 2018-08-31 2023-06-27 Nike, Inc. Autolacing footwear
USD899053S1 (en) 2019-01-30 2020-10-20 Puma SE Shoe
USD906657S1 (en) 2019-01-30 2021-01-05 Puma SE Shoe tensioning device
USD889805S1 (en) 2019-01-30 2020-07-14 Puma SE Shoe
JP6788059B2 (ja) * 2019-03-29 2020-11-18 美津濃株式会社 履物の緊締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ューズ
EP3975782A4 (en) 2019-05-31 2023-08-02 NIKE Innovate C.V. ADAPTIVE SUPPORT GARMENT SYSTEMS AND METHODS
CN113993412A (zh) * 2019-06-19 2022-01-2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插入元件的针织部件
US11484089B2 (en) 2019-10-21 2022-11-0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with integrated sound damping
US11535960B2 (en) * 2020-04-17 2022-12-27 Jhih Huei Trading Co., Ltd. Textile for shoe upper and shoe body including the same
WO2021247334A1 (en) * 2020-05-31 2021-12-09 Nike Innovate C.V. Upp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602196B2 (en) * 2020-07-13 2023-03-14 Adidas Ag Articles of footwear comprising a wound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13668126B (zh) * 2021-07-26 2022-12-13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摇床弯曲鼓包效果的针织面料及编织方法、鞋面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2917B2 (en) 2003-07-30 2005-08-02 Dashamerica, Inc. Shoe tightening system
US20110225843A1 (en) 2010-01-21 2011-09-22 Boa Technology, Inc. Guides for lacing systems
US20150289595A1 (en) 2014-04-15 2015-10-15 Nike, Inc. Footwear Having Motorized Adjustment System and Elastic Upper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190A (en) * 1885-06-02 Corset-lacing
US1412486A (en) * 1920-10-06 1922-04-11 Paine George Washington Lacing device
US1862047A (en) * 1930-07-08 1932-06-07 Robert L Boulet Shoe fastening device
CH183109A (de) * 1935-07-03 1936-03-15 Testa Giovanni Sportschuh mit Vorderschluss, insbesondere als Ski- und Bergschuh geeignet.
CH476474A (de) * 1966-07-21 1969-08-15 Martin Hans Skischuh
US3848347A (en) * 1973-03-05 1974-11-19 Hanson Ind Inc Ski boot with adjustable flexure means
US4451995A (en) * 1979-03-16 1984-06-05 Antonious A J Adjustable and flexible closure assembly for shoes with elasticized lower vamp opening
JPH0428494Y2 (ko) 1986-07-14 1992-07-10
IT213808Z2 (it) * 1988-06-22 1990-03-01 Olivieri Icaro & C Allacciatura per scarponi da sci in particolare per scarponi del tipo cosidetto a calzata posteriore.
CN2060632U (zh) * 1989-01-16 1990-08-22 许文胜 冬睡保暖鞋
AU632437B2 (en) * 1989-06-03 1992-12-24 Puma Aktiengesellschaft Rudolf Dassler Sport Shoe with a closure device and with an upper made of flexible material
US5797200A (en) * 1996-11-15 1998-08-25 Redwood Sportswear Ltd. Shoe with stretchable top
CN1068510C (zh) * 1997-07-08 2001-07-18 周龙交 鞋带自动穿系暨脱解复动的鞋子
US7591050B2 (en) * 1997-08-22 2009-09-22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US20060156517A1 (en) * 1997-08-22 2006-07-20 Hammerslag Gary R Reel based closure system
US7096559B2 (en) * 1998-03-26 2006-08-29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and method
US6467194B1 (en) * 1998-03-26 2002-10-22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FR2802782B1 (fr) * 1999-12-28 2002-08-16 Salomon Sa Chaussure a tige haute avec dispositif de serrage a lacet
US6324774B1 (en) * 2000-02-15 2001-12-04 Charles W. Zebe, Jr. Shoelace retaining clip and footwear closure means using same
DE20013472U1 (de) * 2000-08-04 2001-12-13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S7386947B2 (en) * 2003-02-11 2008-06-17 K-2 Corporation Snowboard boot with liner harness
US20040181972A1 (en) * 2003-03-19 2004-09-23 Julius Csorba Mechanism of tying of shoes circumferentially embracing the foot within the shoe
CN2624673Y (zh) * 2003-04-10 2004-07-14 谢镇州 鞋面松紧装置
US7281341B2 (en) * 2003-12-10 2007-10-16 The Burton Corporation Lace system for footwear
CN2779913Y (zh) * 2004-12-06 2006-05-17 陈兵 拉链男式单鞋
FR2891118B1 (fr) * 2005-09-28 2007-12-21 Salomon Sa Chaussure qui ameliore le serrage de la tige
DE102006034955A1 (de) * 2006-07-28 2008-01-31 Head Germany Gmbh Snowboardstiefel
US7676957B2 (en) 2007-06-14 2010-03-16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FR2924577B1 (fr) * 2007-12-07 2010-03-12 Ct Tech Cuir Chaussure Maroqui Article chaussant a serrage facilite
EP2378911B1 (en) 2008-11-21 2014-05-21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US8474157B2 (en) * 2009-08-07 2013-07-02 Pierre-Andre Senizergues Footwear lacing system
DE202010001717U1 (de) * 2010-02-01 2010-06-24 JACK WOLFSKIN Ausrüstung für Draussen GmbH & Co. KGaA Gleitöse zum Führen eines Zugbandes
US8844167B2 (en) * 2011-07-18 2014-09-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cord elements
US8904673B2 (en) * 2011-08-18 2014-12-09 Palidium, Inc. Automated tightening shoe
TWM438841U (en) * 2012-03-03 2012-10-11 yu-ying Zhou Shoe piece
US20140130374A1 (en) * 2012-11-15 2014-05-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US9474328B2 (en) * 2013-01-15 2016-10-2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in non-linear arrangements
US9132601B2 (en) * 2013-01-15 2015-09-1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tensile strands having multiple entry and exit points
US9226548B2 (en) * 2013-01-15 2016-01-05 Nike, Inc. Spacer textile material with channels having multiple tensile strands
KR101506676B1 (ko) 2013-09-03 2015-03-30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조임장치 및 그의 장착방법
WO2015035257A2 (en) * 2013-09-05 2015-03-12 Boa Technology Inc. Alternative lacing guides for tightening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WO2015038946A1 (en) * 2013-09-13 2015-03-19 K-2 Corporation Sports boot with articulating lace guide
CN108652118B (zh) 2013-09-20 2022-09-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可移除的机动调节系统的鞋类
JP5782665B1 (ja) * 2015-01-09 2015-09-24 村山 哲夫 靴紐緊締ストラップとそれを備えた紐靴
US9907360B2 (en) * 2015-09-09 2018-03-06 Convers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tongue including a plurality of loops
KR200480235Y1 (ko) * 2015-09-16 2016-04-27 소윤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US10349703B2 (en) 2015-10-07 2019-07-16 Puma SE Shoe, in particular athletic shoe
WO2017092775A1 (de) 2015-12-02 2017-06-08 Puma SE Verfahren zum schnüren eines schuhs, insbesondere eines sportschuhs
JP7113753B2 (ja) * 2016-03-15 2022-08-05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自動化されたフットウェア・プラットフォームのためのアクチュエータ
WO2018026957A1 (en) * 2016-08-02 2018-02-08 Boa Technology Inc. Tension member guides of a lacing system
US10537155B2 (en) 2016-10-26 2020-01-21 Nike, Inc. Lacing architectur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2917B2 (en) 2003-07-30 2005-08-02 Dashamerica, Inc. Shoe tightening system
US20110225843A1 (en) 2010-01-21 2011-09-22 Boa Technology, Inc. Guides for lacing systems
US20150289595A1 (en) 2014-04-15 2015-10-15 Nike, Inc. Footwear Having Motorized Adjustment System and Elastic U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7597A1 (en) 2020-06-18
KR102160045B1 (ko) 2020-09-28
KR20200111289A (ko) 2020-09-28
JP6728494B2 (ja) 2020-07-22
EP3531857A4 (en) 2020-05-20
EP4104701A1 (en) 2022-12-21
US20220265000A1 (en) 2022-08-25
JP7408732B2 (ja) 2024-01-05
JP2022160424A (ja) 2022-10-19
CN114145545A (zh) 2022-03-08
US20200037708A1 (en) 2020-02-06
CN110099584A (zh) 2019-08-06
EP3531857B1 (en) 2022-08-17
JP2019535375A (ja) 2019-12-12
CN110099584B (zh) 2021-12-03
KR20210021609A (ko) 2021-02-26
US20180110298A1 (en) 2018-04-26
US20220395062A1 (en) 2022-12-15
KR20190062594A (ko) 2019-06-05
JP7145911B2 (ja) 2022-10-03
JP2024029044A (ja) 2024-03-05
WO2018080580A1 (en) 2018-05-03
JP2020168430A (ja) 2020-10-15
US10537155B2 (en) 2020-01-21
KR102220090B1 (ko) 2021-02-26
EP3531857A1 (en) 2019-09-04
US11259599B2 (en) 2022-03-01
US11388955B2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545B1 (ko)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레이싱 아키텍처
KR102426894B1 (ko)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
JP7171833B2 (ja) ケーブルおよびアッパーテンショナを有する自動化されたフットウ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