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77B1 -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0377B1 KR102360377B1 KR1020210090800A KR20210090800A KR102360377B1 KR 102360377 B1 KR102360377 B1 KR 102360377B1 KR 1020210090800 A KR1020210090800 A KR 1020210090800A KR 20210090800 A KR20210090800 A KR 20210090800A KR 102360377 B1 KR102360377 B1 KR 102360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plate
- base plate
- opening
- diff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1—Perforated, resilient plastic diffusers, e.g. membranes, sheets, foils, tubes, ho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8—Membrane ae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는, 폭기조 하부에 설치되어 폭기조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수처리용 산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은 공기 공급용 배관(1)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공급통로(23)와 연통되어 있는 관 상의 소켓(24)과, 상기 소켓(24)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5)로 구성된 배관연결부재(20)와; 상기 소켓(24) 하부에 설치되어 소켓(24) 하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폐장치(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와 끼움 결합되는 내측홀더(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산기막(50)과; 상기 산기막(50) 둘에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측밀착부(61)와, 상기 산기막(50) 둘레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측밀착부(62)와,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호 연결하는 커버부(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는 외측홀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판 상의 산기막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산기막의 결합 지점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판 상의 산기막이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산기막의 파손 발생시 간편하게 산기막을 교체 작업할 수 있게 하여 폭기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공기 공급용 배관을 통한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특허문헌 2와 같은 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조절부재 및 조절볼트가 구비됨으로써 스프링의 장력 조절을 통해 오작동시 별도의 교체 작업 없이 조절볼트를 통한 탄성을 조절하여 가일층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는, 폭기조 하부에 설치되어 폭기조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수처리용 산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은 공기 공급용 배관(1)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공급통로(23)와 연통되어 있는 관 상의 소켓(24)과, 상기 소켓(24)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5)로 구성된 배관연결부재(20)와; 상기 소켓(24) 하부에 설치되어 소켓(24) 하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폐장치(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와 끼움 결합되는 내측홀더(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산기막(50)과; 상기 산기막(50) 둘에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측밀착부(61)와, 상기 산기막(50) 둘레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측밀착부(62)와,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호 연결하는 커버부(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는 외측홀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판 상의 산기막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산기막의 결합 지점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판 상의 산기막이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산기막의 파손 발생시 간편하게 산기막을 교체 작업할 수 있게 하여 폭기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공기 공급용 배관을 통한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특허문헌 2와 같은 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조절부재 및 조절볼트가 구비됨으로써 스프링의 장력 조절을 통해 오작동시 별도의 교체 작업 없이 조절볼트를 통한 탄성을 조절하여 가일층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와 같은 수처리 과정에서 폭기조에 설치되어 산소를 공급하도록 한 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미세한 홀이 형성된 판상의 산기막을 활용한,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하천으로 방류되는 오/폐수 및 하수는 오/폐수처리장치를 경유하여 오/폐수 및 하수를 정화한 후, 하천으로 방류하여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오/폐수 처리장치는 유량조정조, 침전조, 폭기조 및 방류조로 분리되는데, 유량조정조를 통해 침전조로 유입된 오/폐수의 이물질이 침전되고, 이물질이 침전된 오/폐수는 폭기조로 이동된다.
폭기조로 이동되는 오/폐수에 함유된 각종 유기물질은 폭기조에 투입되어 배양되는 미생물로 하여금 산화, 분해, 응집, 흡착 및 침전 등의 단계를 거쳐 정화 처리되며, 폭기조는 산화작용과 호기성 세균에 의한 소화작용을 촉진하여 미생물의 소화작용을 통해 오/폐수내의 탄산가스, 황화수소, 메탄가스 등을 제거하게 된다.
폭기조에는 미생물증식에 필요한 산소공급을 위하여 산기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는 공기공급수단인 송풍기와 연결되어 오/폐수내에 미세한 공기를 제공하면서 미생물의 증식에 필요한 용존 산소를 전달하고 있다.
한편, 산기장치는 미세기포식(산기판, 상기통, 전면포기 산기기), 조대기포식(산기관, 각종 디퓨저, 스파저), 기계식(종축형, 횡축형) 및 펌프순환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산기장치에서 판형 산기장치의 경우, 높은 산소전달 효율과 송풍 에너지 절약이 특징이며, 균일한 산소의 공급 및 부분적인 혐기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판형 산기장치는 처리조에 설치될 때 처리조의 바닥면으로 공기 공급관이 배설되고, 이러한 공기공급관의 상측으로 판형 산기장치의 공기 유입구가 연결된다.
판형 상기장치와 관련된 기술로,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6814호, 특허문헌 1)에는 공기 공급용 배관에 별도의 관을 연결 설치하고, 이 관체 위에 금속 판체를 설치하고, 금속 판체 위에 탄성 판체를 설치한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금속 관체와 금속 판체가 일체로 성형되고, 금속 관체와 판체가 접하는 부분에 금속 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홀을 타공하여 이 홀로부터 배출되는 기포가 탄성 판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조는 공기공급관을 바닥면에 수평하게 배관 설치해야 하므로 배관 설치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금속 판체와 관체가 일체로 되도록 성형하기 위하여 별도의 금형을 활용해야 하므로 제작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판체 내부에 물이 찰 경우 별도로 물을 배수하도록 하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 경우 역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역류방지 체크시트가 장착된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초미세기포 발생용 판형 상기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98449호, 특허문헌 2)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시트가 멤브레인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 압력에 의해 일부분이 들려올려졌다가 공기 배출이 멈출 경우 다시 가라앉아 오수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오수 중에 날카로운 물질 등이 있을 경우 체크시트가 손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공기 공급이 중지된 상태에서 체크시트가 가라앉기 전에 유체의 흐름이 배관 쪽으로 발생할 경우 체크시트가 이를 막지 못하고 역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판과 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보면 특허문헌 1의 경우 탄성판과 프레임 사이를 패킹으로 막고 접착시켜 고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배관 내의 압력에 의해 탄성판에 대하여 상승 압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패킹 연결부위가 들떠 기포가 새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산기 효과가 원할히 발휘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초미세기포 발생용 판형 산기장치"(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3846호, 특허문헌 3)에는 'ㄷ'자 형 클립을 이용하여 프레임과 산기막을 결합하되, 제1레진층과 제2레진층을 통해 프레임과 산기막을 우선 고정하도록 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특허문헌 3의 경우 두 레진층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강력하게 고정하게 되나, 산기막의 다른 부위의 파손이 발생하여 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강력한 접착력을 갖는 레진층으로 말미암아 산기막을 플레이트에서 쉽게 분리하지 못하게 되어 폐기 처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판 상의 산기막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산기막의 결합 지점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판 상의 산기막이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산기막의 파손 발생시 간편하게 산기막을 교체 작업할 수 있게 하여 폭기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공기 공급용 배관을 통한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특허문헌 2와 같은 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조절부재 및 조절볼트가 구비됨으로써 스프링의 장력 조절을 통해 오작동시 별도의 교체 작업 없이 조절볼트를 통한 탄성을 조절하여 가일층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폭기조 하부에 설치되어 폭기조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수처리용 산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수직부(21)와, 상기 두 수직부(21)를 연결하는 수평부(22)와, 상기 두 수직부(21)와 직교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공급통로(23)와, 상기 수평부(2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은 공기 공급용 배관(1)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공급통로(23)와 연통되어 있는 관 상의 소켓(24)과, 상기 소켓(24)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5)로 구성된 배관연결부재(20)와; 상기 소켓(24) 하부에 설치되어 소켓(24) 하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되, 공기 공급용 배관(1)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압력을 받을 때는 소켓(24) 하부를 개방시키고, 공기 공급 압력이 줄어들면 소켓(24)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는 개폐장치(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의 상단에 밀착되는 상부밀착부(41)와,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의 하단에 밀착되는 하부밀착부(42)와, 상기 상부밀착부(41) 및 하부밀착부(42)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두 상부밀착부(41) 및 하부밀착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밀착부(41)와 하부밀착부(4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와 끼움 결합되는 내측홀더(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일측에는 개구부(51)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24)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외곽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단부를 감싸되, 최단부는 상기 하부밀착부(42)의 표면에 접착되는 1차접착부(52)로 구성되고, 상기 1차접착부(52)로부터 이격된 지점은 1차접착부(52)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상부밀착부(41)에 접착되는 2차접착부(53)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미세홀(54)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공급통로(23)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미세홀(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판상의 산기막(50)과; 상기 산기막(50) 둘에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측밀착부(61)와, 상기 산기막(50) 둘레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측밀착부(62)와,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호 연결하는 커버부(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산기막(50)이 고정된 내측홀더(40)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외측홀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30)는, 상기 배관연결부재(20)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켓(24) 하단을 개폐시키는 개폐판(32)과; 상기 회전축(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32)으로 하여금 소켓(24)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소켓(24) 하부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24) 내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유닛(3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1), 개폐판(32), 스프링(33)은 상기 체결유닛(3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배관연결부재(20)의 두 수직부(21) 중 어느 하나에는 볼트설치홀(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장치(30)는, 상기 볼트설치홀(21a)을 통해 몸체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볼트(310)와; 상기 체결볼트(310)의 단부에 연결되는 브라켓(320)과; 상기 브라켓(320)에 양 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축(330)과; 상기 회전축(330)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두 개의 체결관(340)과; 양 단부가 상기 두 체결관(340)에 연결되어 있으며,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350)와; 상기 연결부재(350)에 연결된 원판형의 형상을 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소켓(24) 하단을 개폐시키는 디스크(360)와; 상기 회전축(330)에 체결되어 있으며, 일측 단부는 브라켓(320)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디스크(360)에 지지되어 디스크(360)로 하여금 소켓(24)을 향하는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37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개폐장치(30)는, 상기 배관연결부재(20)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켓(24) 하단을 개폐시키는 개폐판(32)과; 상기 회전축(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32)으로 하여금 소켓(24)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회전축(31)은 서로 마주보는 두 수직부(21)에 양측이 체결된 채 상기 소켓(24) 하단과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두 수직부(2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26)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연결플레이트(26)에는 스프링조절부재(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조절부재(7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관통된 볼트체결공(71)이 형성되어 조절볼트(71a)가 체결되고, 측면에는 상기 볼트체결공(71)과 연통되고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스프링끼움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3)은 중간 부분은 상기 회전축(31)을 감싸고, 일측 단부는 상기 개폐판(32)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끼움공(72)에 끼워져 볼트체결공(71)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33a)가 구비되어 상기 조절볼트(71a)의 결합 깊이에 따라 끼움부(33a)가 선택적으로 밀리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밀착부(42)에는 하향되게 돌출된 하향돌기(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밀착부(62)의 상면에는 상기 하향돌기(42a) 또는 하향돌기(42a)에 의해 가압된 산기막(50)이 끼워지는 끼움홈(6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판 상의 산기막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 산기막의 결합 지점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베이스플레이트와 판 상의 산기막이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산기막의 파손 발생시 간편하게 산기막을 교체 작업할 수 있게 하여 폭기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공기 공급용 배관을 통한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특허문헌 2와 같은 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조절부재 및 조절볼트가 구비됨으로써 스프링의 장력 조절을 통해 오작동시 별도의 교체 작업 없이 조절볼트를 통한 탄성을 조절하여 가일층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단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개폐장치가 소켓에 조립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의 일부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개폐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7의 구성에 따른 개폐판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개폐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따른 개폐판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구성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 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서 하부밀착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하측밀착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요부 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를 나타낸 부분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개폐장치가 소켓에 조립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의 일부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개폐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7의 구성에 따른 개폐판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개폐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저부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구성에 따른 개폐판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구성에 따른 스프링의 탄성 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서 하부밀착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하측밀착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요부 절단 사시도.
본 발명은 폭기조의 바닥에 설치되어 폭기조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수처리용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는 크게 베이스플레이트(10), 배관연결부재(20), 개폐장치(30), 내측홀더(40), 산기막(50), 외측홀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측홀더(60)에 가대(8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베이스플레이트(10)는 스테인레스 스틸 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을 취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배관연결부재(20)는 두 개의 수직부(21)와 수평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두 수직부(21)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용접 또는 볼팅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평부(22)는 상기 두 수직부(21)의 상단을 연결한다.
이러한 수직부(21)와 수평부(22)는 평판을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ㄷ"형 금속 구조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두 수직부(21)와 직교한 방향에는 공급통로(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평부(22)에는 관 상의 소켓(24)이 관통되게 설치되어 있다.
관 상의 소켓(24)은 공기 공급용 배관(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공급용 배관(1)에 구비된 공지의 연결구(1a)를 통해 상기 배관(1)과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24)은 내부가 개방된 관 구조를 이루어 수평부(22)를 관통한 하단부는 상기 공급통로(23)와 연통되어 공기가 공급통로(23)로 공급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소켓(24)의 하부 외주면에는 너트(25)가 나사결합되어 산기막(50)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개폐장치(30)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24) 하부에 설치되어 소켓(24) 하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되, 공기 공급용 배관(1)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압력을 받을 때는 소켓(24) 하부를 개방시키고, 공기 공급 압력이 줄어들면 소켓(24)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한 간단한 일 예가 도 3,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배관연결부재(20)의 소켓(24) 하단 일측에 회전축(31)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켓(24) 하단을 개폐시키는 개폐판(32)이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회전축(31)을 스프링(33)이 감싸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스프링(33)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되,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측 단부는 절곡되어 소켓(24)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절곡되어 개폐판(32)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33)은 회전축(31)에 연결된 개폐판(32)에 대하여 항시 소켓(24) 측을 향하는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배관(1) 내의 공기압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공기압에 의해 개폐판(32)이 회전하여 소켓(24) 하단부를 개방시키고, 공기압이 줄어드는 상태가 되면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소켓(24) 하단부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부득이하게 베이스플레이트(10)와 산기막(50) 사이에 물이 유입되고, 물이 소켓(24)을 통해 배관(1)으로 역류하려는 현상이 발생할 때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개폐판(32)이 소켓(24)을 폐쇄시켜 오수의 역류 현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24) 하부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켓(24) 내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체결유닛(3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31), 개폐판(32), 스프링(33)은 상기 체결유닛(34)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 기간 증가 등의 이유로 스프링(33)의 탄성이 저하되는 경우 체결유닛(34)을 간편하게 소켓(24)에서 분리하여 교체하면 된다.
또다른 바람직한 개폐장치(30)의 예가 도 7, 8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개폐장치(30)는 배관연결부재(20)의 두 수직부(21) 중 어느 하나에는 볼트설치홀(2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설치홀(21a)을 통해 체결볼트(310)의 몸체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볼트(310)의 단부에는 브라켓(320)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브라켓(320)에는 "U"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축(330)의 양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회전축(330)에는 두 개의 체결관(34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한편, 두 체결관(340)은 "U"자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350)의 양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350)에는 상기 소켓(24) 하단을 개폐시키는 디스크(3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두 체결관(340) 사이의 회전축(330)에는 스프링(370)이 체결되며, 스프링의 일 단부는 브라켓(320)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디스크(360)에 지지되어 디스크(360)로 하여금 소켓(24)을 향하는 탄성을 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스프링(370)의 탄성이 공기 배출 압력보다 높은 상태에서는 도 7의 상부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크(360)가 소켓(24) 단부를 차단하고 있으며, 공기 배출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회전축(330)을 기준으로 연결부재(350)가 회전하고, 이 연결부재(350)에 연결된 디스크(360)가 회전하면서 소켓(24) 단부가 개방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다른 개폐장치(30)의 예가 도 7 내지 9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개폐장치(30)에서 상기 회전축(31)은 서로 마주보는 두 수직부(21)에 양측이 체결된 채 상기 소켓(24) 하단과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수직부(21)에는 회전축(31)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홀(21b)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31)이 수직부(21)에 체결된 채 이동이 억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수직부(21)에는 회전축(31)이 끼워지는 회전축삽입홀(21b)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축(31)이 수직부(21)에 체결된 채 이동이 억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서로 마주보는 두 수직부(2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26)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연결플레이트(26)에는 스프링조절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조절부재(7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관통된 볼트체결공(71)이 형성되어 조절볼트(71a)가 체결되고, 측면에는 상기 볼트체결공(71)과 연통되고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스프링끼움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스프링(33)은 중간 부분은 상기 회전축(31)을 감싸고, 일측 단부는 상기 개폐판(32)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끼움공(72)에 끼워져 볼트체결공(71)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33a)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조절볼트(71a)의 결합 깊이에 따라 끼움부(33a)가 선택적으로 밀리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스프링(33)의 탄성이 저하된 경우 조절볼트(71a)로 끼움부(33a)를 밀어내게 되면 스프링(33)은 중간 부분이 회전축(31)을 감싸고, 회전축(31)은 회전축삽입홀(21b)에 체결되어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밀리는 만큼 반대쪽 개폐판(32)과 연결된 부분을 회전하면서 밀어내게 되어 개폐판(32)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의 교체 없이 조절볼트(71a)의 조절만으로 간편하게 개폐판(32)이 보다 강하게 소켓(24)을 폐쇄시킬 수 있게 해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내측홀더(4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의 상단에 밀착되는 상부밀착부(41)와,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의 하단에 밀착되는 하부밀착부(42)와, 상기 상부밀착부(41) 및 하부밀착부(42)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두 상부밀착부(41) 및 하부밀착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밀착부(41)와 하부밀착부(4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산기막(50)은 유연한 판상 멤브레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첨부된 도면 및 사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일측에는 개구부(51)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24)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산기막(50)의 외곽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단부를 감싸되, 최단부는 상기 하부밀착부(42)의 표면에 접착되는 1차접착부(52)로 구성되고, 상기 1차접착부(52)로부터 이격된 지점은 1차접착부(52)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상부밀착부(41)에 접착되는 2차접착부(5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1차접착부(52) 및 2차접착부(53)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종의 접착 테이프인 1차접착테이프(52a) 및 2차접착테이프(53a)를 통해 내측홀더(40)의 두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산기막(50)의 표면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미세홀(54)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공급통로(23)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미세홀(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욧인 외측홀더(6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산기막(50) 둘에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측밀착부(61)와, 상기 산기막(50) 둘레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측밀착부(62)와,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호 연결하는 커버부(6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외측홀더(60)는 산기막(50)이 고정된 내측홀더(40)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아울러, 첨부의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홀더(60)가 내측에 끼워지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가대(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산기막(50)의 결합 구성은 산기막(50)이 접착 테이프에 의해 내측홀더(40)의 상부와 하부 두 지점에서 접착되어 1차측에서 접착제가 떨어지더라도 2차측에서의 접착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산기막(50)은 내측홀더(40)와 외측홀더(50) 사이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결합되어 접착테이프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게 되고 견고한 결합 및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이러한 구성은 내측홀더(40)와 외측홀더(5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어 산기막(50)의 수명이 다한 경우 산기막(50)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합 및 밀폐력을 더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밀착부(42)에는 하향되게 돌출된 하향돌기(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밀착부(62)의 상면에는 상기 하향돌기(42a) 또는 하향돌기(42a)에 의해 가압된 산기막(50)이 끼워지는 끼움홈(6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향돌기(42a) 및 끼움홈(62a)은 각각 내측홀더(40) 및 외측홀더(60)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점점이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형성될 수도 있다.
1 : 공기 공급용 배관 1a : 연결구
10 : 베이스플레이트 20 : 배관연결부재
21 : 수직부 22 : 수평부
23 : 공급통로 24 : 소켓
25 : 너트 26 : 연결플레이트
30 : 개폐장치 31 : 회전축
32 : 개폐판 33 : 스프링
33a : 끼움부 40 : 내측홀더
41 : 상부밀착부 42 : 하부밀착부
42a : 하향돌기 43 : 연결부
50 : 산기막 51 : 개구부
52 : 1차접착부 52a : 1차접착테이프
53 : 2차접착부 53a : 2차접착테이프
54 : 미세홀 60 : 외측홀더
61 : 상측밀착부 62 : 하측밀착부
62a : 끼움홈 63 : 커버부
70 : 스프링조절부재 71 : 볼트체결공
72 : 스프링끼움공 80 : 가대
10 : 베이스플레이트 20 : 배관연결부재
21 : 수직부 22 : 수평부
23 : 공급통로 24 : 소켓
25 : 너트 26 : 연결플레이트
30 : 개폐장치 31 : 회전축
32 : 개폐판 33 : 스프링
33a : 끼움부 40 : 내측홀더
41 : 상부밀착부 42 : 하부밀착부
42a : 하향돌기 43 : 연결부
50 : 산기막 51 : 개구부
52 : 1차접착부 52a : 1차접착테이프
53 : 2차접착부 53a : 2차접착테이프
54 : 미세홀 60 : 외측홀더
61 : 상측밀착부 62 : 하측밀착부
62a : 끼움홈 63 : 커버부
70 : 스프링조절부재 71 : 볼트체결공
72 : 스프링끼움공 80 : 가대
Claims (5)
- 폭기조 하부에 설치되어 폭기조 내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수처리용 산기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채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회전축삽입홀(21b)이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수직부(21)와, 상기 두 수직부(21)를 연결하는 수평부(22)와, 상기 두 수직부(21)와 직교한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공급통로(23)와, 상기 수평부(2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은 공기 공급용 배관(1)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공급통로(23)와 연통되어 있는 관 상의 소켓(24)과, 상기 소켓(24)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5)로 구성된 배관연결부재(20)와;
상기 소켓(24) 하부에 설치되어 소켓(24) 하부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되, 공기 공급용 배관(1)으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압력을 받을 때는 소켓(24) 하부를 개방시키고, 공기 공급 압력이 줄어들면 소켓(24) 하부를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는 개폐장치(3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의 상단에 밀착되는 상부밀착부(41)와,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의 하단에 밀착되는 하부밀착부(42)와, 상기 상부밀착부(41) 및 하부밀착부(42)와 일체로 이루어진 채 두 상부밀착부(41) 및 하부밀착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밀착부(41)와 하부밀착부(4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탄성을 갖도록 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둘레와 끼움 결합되는 내측홀더(4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중간 일측에는 개구부(51)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24)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고, 외곽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단부를 감싸되, 최단부는 상기 하부밀착부(42)의 표면에 접착되는 1차접착부(52)로 구성되고, 상기 1차접착부(52)로부터 이격된 지점은 1차접착부(52)로부터 밴딩되어 상기 상부밀착부(41)에 접착되는 2차접착부(53)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미세홀(54)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공급통로(23)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미세홀(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판상의 산기막(50)과;
상기 산기막(50) 둘에의 상측에 밀착되는 상측밀착부(61)와, 상기 산기막(50) 둘레의 하측에 밀착되는 하측밀착부(62)와,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호 연결하는 커버부(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밀착부(61)와 하측밀착부(6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산기막(50)이 고정된 내측홀더(40)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외측홀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개폐장치(30)는,
상기 배관연결부재(20)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소켓(24) 하단을 개폐시키는 개폐판(32)과
상기 회전축(3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32)으로 하여금 소켓(24)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33);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회전축(31)은 서로 마주보는 두 수직부(21)에 형성된 회전축삽입홀(21b)에 양측이 끼워져 체결되어 이동이 억제된 채 상기 소켓(24) 하단과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두 수직부(2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26)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연결플레이트(26)에는 스프링조절부재(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조절부재(7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관통된 볼트체결공(71)이 형성되어 조절볼트(71a)가 체결되고, 측면에는 상기 볼트체결공(71)과 연통되고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 스프링끼움공(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3)은 중간 부분은 상기 회전축(31)을 감싸고, 일측 단부는 상기 개폐판(32)에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끼움공(72)에 끼워져 볼트체결공(71)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33a)가 구비되어 상기 조절볼트(71a)의 결합 깊이에 따라 끼움부(33a)가 선택적으로 밀리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밀착부(42)에는 하향되게 돌출된 하향돌기(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밀착부(62)의 상면에는 상기 하향돌기(42a) 또는 하향돌기(42a)에 의해 가압된 산기막(50)이 끼워지는 끼움홈(6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판형 산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0800A KR102360377B1 (ko) | 2021-07-12 | 2021-07-12 |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0800A KR102360377B1 (ko) | 2021-07-12 | 2021-07-12 |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0377B1 true KR102360377B1 (ko) | 2022-02-09 |
Family
ID=8026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0800A KR102360377B1 (ko) | 2021-07-12 | 2021-07-12 |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03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417064A (zh) * | 2023-10-24 | 2024-01-19 | 普民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防阻塞可升降式曝气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5612A (ja) * | 2005-10-13 | 2007-04-26 | Daicen Membrane Systems Ltd | 散気装置 |
KR100836814B1 (ko) | 2007-07-06 | 2008-06-11 | 주식회사 신일 |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
KR20170003846U (ko) | 2016-05-02 | 2017-11-10 | 주식회사 신일 |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초미세기포 발생용 판형 산기장치 |
KR102198449B1 (ko) | 2020-06-03 | 2021-01-05 | 미래그린텍 주식회사 | 역류방지 체크시트가 장착된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초미세기포 발생용 판형 산기장치 |
KR20210063681A (ko) * | 2019-11-25 | 2021-06-02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자동세정식 산기장치, 이를 이용한 자동세정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
2021
- 2021-07-12 KR KR1020210090800A patent/KR1023603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5612A (ja) * | 2005-10-13 | 2007-04-26 | Daicen Membrane Systems Ltd | 散気装置 |
KR100836814B1 (ko) | 2007-07-06 | 2008-06-11 | 주식회사 신일 | 미세기포 발생용 산기장치 |
KR20170003846U (ko) | 2016-05-02 | 2017-11-10 | 주식회사 신일 |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초미세기포 발생용 판형 산기장치 |
KR20210063681A (ko) * | 2019-11-25 | 2021-06-02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자동세정식 산기장치, 이를 이용한 자동세정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KR102198449B1 (ko) | 2020-06-03 | 2021-01-05 | 미래그린텍 주식회사 | 역류방지 체크시트가 장착된 스테인레스 스틸재의 초미세기포 발생용 판형 산기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417064A (zh) * | 2023-10-24 | 2024-01-19 | 普民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防阻塞可升降式曝气器 |
CN117417064B (zh) * | 2023-10-24 | 2024-05-17 | 普民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防阻塞可升降式曝气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23696B2 (ja) | 流体を曝気する散気装置 | |
US7491321B1 (en) | Oxidation tank control valve assembly and systems and methods for replenishing a charge of oxygen-containing gas within an oxidation tank | |
US6367783B1 (en) | Fine bubble diffuser | |
KR102360377B1 (ko) | 수처리용 판형 산기 장치 | |
US6464211B1 (en) | Diffuser assembly | |
JP2017526871A (ja) | エアレーション部材用アセンブリーブラケットおよび取り付けシステム | |
KR101246835B1 (ko) | 산기장치 | |
US6811148B2 (en) | Quick-connect diffuser assembly | |
CA2907542C (en) | Aerator assembly for diffusing a gas in a liquid | |
KR101266507B1 (ko) | 산기장치 | |
US6702263B2 (en) | Diffuser saddle connection | |
AU754381B2 (en) | Dual diffuser assembly | |
CN113060798A (zh) | 可更换过滤膜组件的罐型过滤设备 | |
WO2020156301A1 (zh) | 活性碳吸附污水处理装置 | |
KR100757461B1 (ko) | 균일한 공기공급이 가능한 고효율 멤브레인 산기관 | |
JPH0248025Y2 (ko) | ||
US7141203B2 (en) | Method of making a diffuser assembly | |
KR102378181B1 (ko) | 스테인레스 스틸제의 초미세기포가 발생되는 판형 멤브레인 산기장치 | |
US6889964B2 (en) | Diffuser | |
JP2007014898A (ja) | 散気装置 | |
JPH1157767A (ja) | 汚水処理装置 | |
CN220012358U (zh) | 一种污水处理用曝气盘 | |
JP2016002499A (ja) | 散気板、散気装置及び散気板の取付方法 | |
KR200239066Y1 (ko) | 폐수처리장치용 산기관 | |
CN104649433B (zh) | 曝气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