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261B1 -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261B1
KR102360261B1 KR1020180103567A KR20180103567A KR102360261B1 KR 102360261 B1 KR102360261 B1 KR 102360261B1 KR 1020180103567 A KR1020180103567 A KR 1020180103567A KR 20180103567 A KR20180103567 A KR 20180103567A KR 102360261 B1 KR102360261 B1 KR 10236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protruding
space
uni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739A (ko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Priority to PCT/KR2018/0101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45707A1/ko
Priority to KR1020180103567A priority patent/KR1023602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별의 단위패널의 조립으로 좌우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확장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곤충사육장치를 이루되, 상기 단위패널은: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고 네모서리에 돌출 마디를 가지며, 모서리의 일측끝단에서 타측 끝단 이루는 세로변길이(x')와 돌출마디의 일측 내면 끝에서 타측 내면 끝 까지 이루는 가로변길이(x)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하나의 단위패널의 돌출마디 세로면이 타측 단위패널의 가로면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좌우방향 및/또는 상하방향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 하기로는,상기 단위패널은, 가로변길이(x)면을 따라 삼각돌출선이 구비되고 세로변길이(x')면을 따라 대응하는 삼각홈부선이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패널의 세로면이 타측 단위패널의 가로면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삼각돌출선과 삼각홈부선이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벽체를 이루는 벽면단위패널과 중앙부분이 빈 공간이 형성된 공간단위패널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패널 방식으로 제조된 각각의 패널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키우는 생물의 양이 늘어나게 되더라도 추가로 패널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Insects rearing appratus of self-assembly}
본 발명은 곤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용 또는 관상용으로 널리 사육되는 다양한 곤충들의 사육을 위하여 공간의 확장이 자유롭도록 확장 및 축소가 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육의 편의를 도모한 확장이 자유로은 조립식 곤충 사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은 주로 해충으로 인식되어 이들을 방제하는데 주력하였을 뿐 유용성 곤충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곤충의 다양성과 특성을 새롭게 인식하면서 곤충의 생리활성물질을 산업적으로 이용하거나 의약품을 개발하는데 일부 곤충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집 또는 학교 등에서 관상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곤충들을 사육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곤충들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공간이 필요하고, 이러한 공간내에서 외부의 온습도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도록 항온, 항습을 유지해야하는 까다로운 점이 있다.
통상 곤충의 사육을 위한 장치로는 개폐가 가능한 두껑이 구비된 플라스틱 박스 등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며, 그 사용 형태로는 두껑을 개봉하고, 박스 내부에 다양한 상태의 곤충을 넣어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곤충을 제대로 사육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곤충 또는 동물들이 죽지 않고 수명기간 동안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장수 풍뎅이와 사슴 벌레는 썩은 나무의 축축한 곳이나 동물들의 배설물이 있는 습지를 좋아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습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다. 따라서, 뚜껑이 있는 사육 케이스 내에 톱밥과 먹이통, 놀이목, 산란목, 유충병 등을 설치하고 톱밥에 물을 부어 습기가 차도록 하여 유충 또는 성충을 넣어 기른다. 이렇게 하면 곤충들이 알을 낳고 알이 다시 성충이 되어 곤충이 일생을 살아가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사육 케이스는 키우는 생물의 양이 늘어나게 되면 새로운 케이스를 추가로 마련하여 생물들의 일부를 새로운 케이스로 옮겨 나누어 사육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육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케이스에 한 가지 종류의 생물을 사육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에 다양한 생물들을 사육하는 경우에는 먹이, 서식지 등의 문제로 서로 다른 생물들끼리 경쟁하게 됨으로써 경쟁에서 밀리는 생물은 죽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10-2017-0059547호) 조립식 사육케이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10-1805747호) 자동 포집기능을 갖는 곤충 대량 사육시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키우는 생물의 양이 늘어나게 되더라도 새로운 케이스를 추가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조립식 사육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조립식 사육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는, 개별의 단위패널의 조립으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확장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곤충사육장치를 이루되, 상기 단위패널은: 내부에 단열재(230)를 포함하는 홈부케이스(210)와 결합케이스(2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판으로서, 네 모서리에는 각각 세로방향으로 돌출마디(200a)가 구비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돌출마디(200a)는 돌출마디 가로길이(y)와 돌출마디 세로길이(y')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마디를 포함하는 단위패널 세로길이(x')는 상기 돌출마디를 포함하지 않는 단위패널 가로길이(x)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홈부케이스(210)의 가로측면 상에는 삼각돌출선(212)이 형성되고, 세로측면 상에는 이에 대응하는 삼각홈부선(2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케이스(220)의 판면상에도 세로변에 삼각홈부선(224)이 형성되게 이루어져, 하나의 단위패널 세로면이 다른 단위패널의 가로면에 끼워지면서, 좌우방향 및/또는 상하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패널은, 벽체를 이루는 벽면단위패널과 중앙부분이 빈 공간이 형성된 공간단위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간단위패널의 공간부에는 개폐를 위한 문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패널의 돌출마디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나사조임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단위 패널 방식으로 제조된 각각의 패널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키우는 생물의 양이 늘어나게 되더라도 추가로 패널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단위 패널들이 단열제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여 공간 내부에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패널 상에 열전소자를 위한 온습도 장치 및 광원들을 손 쉽게 장착, 분리 할 수 있으므로 곤충의 상태에 따른 최적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사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육장치를 이루는 단위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육장치를 이루는 또 다른 단위패널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단위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5은 도 2에 도시된 단위패널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각각의 단위 패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와 도3은 도 1에 사용된 각각의 단위 내널의 사시도이며, 도4는 단위 내널의 측면도이고, 도5는 단위 내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곤충 사육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크게 두개의 단위 패널(200,3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상 단위패널(200,300)은, 주로 벽체를 이루는 벽면 단위패널(200)과 공간부(310)가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부(310)에는 개폐를 위한 도어(미도시)나 냉온 조절을 위한 열전소자와 팬을 구비하는 구동부(미도시)가 부착되는 공간단위패널(300)로 이루어진다. 공간단위패널(300)은 중앙부분의 공간부(310)을 제외하고는 벽면단위패널(200)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하 구별없이 설명하도록 한다.
단위패널(200)은 외면의 일측을 이루는 홈부케이스(210)과 타측을 이루는 결합케이스(220)의 두개의 케이스(210,220)와 내부단열을 위한 단열재(2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스(210,220)은 사출 성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 지며, 중앙 부분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여 전체적인 경량화 및 제조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단열재(230)가 상기 케이스(210,22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는 곤충 사육장치는 외부의 온도 조건에 상관없이 항온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므로 단열재(230)가 사용되며, 이러한 단열재(230)가 가능한 넓은 면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므로 케이스(210,220)는 빈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내부에 단열재(230)를 안착한 상태에서 홈부케이스(210)와 결합케이스(220)을 상호 결합시켜 단위패널(200)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홈부케이스(210)과 결합케이스(220)의 결합은 일측에 단턱을 형성하고 타측에 단턱홈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홈과 돌기 형성하여 상호 취합되도록 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지도록 할 수있다.
상기 단위패널은 사각판으로서, 세로변(3)에는 가로변(2) 양측에 사각판 두께의 1/2 길이만큼 돌설되고, 사각판 두께의 1/2만큼 가로폭을 가지는 돌출마디(200a)가 형성되며, 세로변길이(x')와 상기 돌출마디(200a)를 제외한 가로변길이(x)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마디(200a)상에는 나사공(a)이 형성되어 나사로 각 단위패널을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구조에 의하여 하나의 단위패널 가로변(2) 돌출마디 사이에 다른 패널의 세로변(3)을 끼워 직각으로 결합시키면, 두께의 1/2만큼이 가로변(2) 돌출마디에 삽입되고, 두께의 1/2만큼은 돌출되어, 조립된 전체 모습은 각면이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 모양이 된다.


형성되어,
하나의 단위패널의 세로면이 타측 단위패널의 가로면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삼각돌출선과 삼각홈부선이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한편, 상기 가로변(2)과 세로변(3)에는 사각판 두께를 기준으로 절반으로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하여, 상판에 대해서만 가로변길이(x)면을 따라 삼각돌출선(212)이 구비되고 세로변길이(x')면을 따라 대응하는 삼각홈부선(224)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홈부케이스(210)의 삼각홈부선(214)과 결합케이스(220)의 삼각홈부선(224)는 그방향이 서로직각을 이루는 면상에 형성되도록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단위패널이 이루는 가로변길이(x)와 세로변길이(x')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삼각돌출선(212)와 삼각홈부선(214,224)가 구비됨으로써 각 단위패널을 상호 결합시켜 조립식 사육장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면상 상면을 이루는 단위패널을 기준으로 양측면패널의 결합을 통하여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면을 이루는 단위패널(200)의 각 가로변길이(x)면에 양측면을 이루는 단위패널(200)의 세로변길이(x')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가로변길이(x)와 세로변길이(x')가 동일하므로 상면 단위패널(200)의 가로변길이(x)면상에 양측면을 이루는 단위패널(200)의 세로변길이(x')면이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면 단위패널(200) 가로변길이(x)면상에 형성된 삼각돌출선(212)과 양측면 단위패널(200)의 세로변길이(x')면상에 형성된 삼각홈부선(224)이 상호 결합되므로 분리되는 일이 없이 단단히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면단위패널(200)의 가로변길이(x)면상에 상면단위패널(200)의 세로변길이(x')면이 결합되도록 하며, 이때, 각 길이(x,x') 면상에 형성된 삼각돌출선(212)와 삼각홈부선(224)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단위패널(200) 가로변길이(x)면과 세로변길이(x')면이 서로 맛물리도록 하고, 각 각에 형성된 삼각돌출선(212)와 삼각홈부선(214,224)이 상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족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결합시 마디를 이루는 부위는 돌출마디(200a)크기 만큼의 공간이 남게 된다. 즉, 단위패널(200)을 이루는 각 모서리 부위는 돌출마디(200)의 두개로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돌출마디(200a)가 각각 상호 결합되는 부위이므로 하나의 돌출마디(200a) 만큼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은 그대로 두어도 상관없지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모서리에는 정사각형태의 마감재(400')로 마감하거나, 하면 모서리에는 돌출마감재(400) 형태로 이루어지는 마감재(400,400')로 마감하면 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 단위패널(200)들을 상호결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크기로 곤충사육장치를 만들수 있다. 좌우길이방향 상하방향 등 자유자재로 그 크기를 연장하여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조립 후, 돌출마디(200a) 상에 형성된 나사공(a)을 통하여 각 단위패널(200)의 직각 결합부위를 나사로 조음으로써 완전한 결합을 만들 수 있으며, 분해 조립시에는 나사를 풀고, 각 단위패널(200)의 결합상태에서 임의의 힘을 가함으로써 삼각돌출선(212)와 삼각홈부선(214,224)를 강제 분리시켜 분해하면 족할 것이다. 또한, 단열재(230)의 교환을 위해서는 홈부케이스(210)와 결합케이스(220)을 강제로 분리하면 족할 것이다.
한편, 공간단위패널(300)은 벽면단위패널(20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중앙부분이 빈 공간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공간단위패널(300)이 필요한 이유는 상기 공간부상에 개페도어(미도시)를 설치하여 사육장치(100)의 문을 설치하기 위한 측면과, 사육장치의 항온을 유지하기 위한 냉온기능을 구현하는 열전소자와 팬 등의 전자기기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즉, 정면부분과 후면부분에는 공간단위패널(300)이 설치되도록 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벽면단위패널(200)이 설치되도록 조립하고, 정면에는 개폐문을 부착하고, 후면에는 전자부품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인 곤충 사육장치를 구현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확장 또는 일부 파손에 의한 단위패널의 교환등이 필요할 경우에는 해체하여 확장 또는 교체 등을 수행하면 족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위패널(200,300)은 사출 성형으로 생산 후, 단열재(300)을 내부에 구비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하므로 각 사용자의 용도 및 공간의 크기 그리고 환경에 따라 임의적으로 곤충사육장치의 크기를 달리 가져갈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자유롭고 가벼워 이동성이 용이한 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a : 나사공 2 : 가로변
3 : 세로변 100 : 곤충사육장치
200 : 벽면단위패널 200a: 돌출마디
210 : 홈부케이스 220 : 결합케이스
212 : 삼각돌출선 214 : 삼각홈부선
224 : 삼각홈부선 230 : 단열재
300 :공간단위패널

Claims (6)

  1. 개별의 단위패널의 조립으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확장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곤충사육장치를 이루되,
    상기 단위패널은:
    내부에 단열재(230)를 포함하는 홈부케이스(210)와 결합케이스(2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판으로서,
    네 모서리에는 각각 세로방향으로 돌출마디(200a)가 구비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돌출마디(200a)는 돌출마디 가로길이(y)와 돌출마디 세로길이(y')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져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마디를 포함하는 단위패널 세로길이(x')는 상기 돌출마디를 포함하지 않는 단위패널 가로길이(x)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홈부케이스(210)의 가로측면 상에는 삼각돌출선(212)이 형성되고, 세로측면 상에는 이에 대응하는 삼각홈부선(21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케이스(220)의 판면상에도 세로변에 삼각홈부선(224)이 형성되게 이루어져,
    하나의 단위패널 세로면이 다른 단위패널의 가로면에 끼워지면서, 좌우방향 및/또는 상하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위패널은,
    벽체를 이루는 벽면단위패널과 중앙부분이 빈 공간이 형성된 공간단위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단위패널의 공간부에는 개폐를 위한 문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패널의 돌출마디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홈부케이스(210)와 결합케이스(220)의 결합이 나사조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103567A 2018-08-31 2018-08-31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KR10236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0146 WO2020045707A1 (ko) 2018-08-31 2018-08-31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KR1020180103567A KR102360261B1 (ko) 2018-08-31 2018-08-31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567A KR102360261B1 (ko) 2018-08-31 2018-08-31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39A KR20200025739A (ko) 2020-03-10
KR102360261B1 true KR102360261B1 (ko) 2022-02-09

Family

ID=6964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567A KR102360261B1 (ko) 2018-08-31 2018-08-31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0261B1 (ko)
WO (1) WO2020045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8104B (zh) * 2020-05-13 2022-04-01 任进礼 禽畜养殖装备、恒温供气系统以及禽畜恒温养殖方法
KR102509410B1 (ko) * 2020-06-26 2023-03-13 주식회사 숲속의작은친구들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017A (ja) 2006-05-30 2007-12-13 Koji Shirakawa 飼育容器及び飼育容器組立キット
KR200469666Y1 (ko) * 2011-10-07 2013-10-29 서정흔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JP2014221140A (ja) * 2013-05-14 2014-11-27 肥田電器株式会社 組立家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3031Y1 (ko) * 1984-08-28 1987-09-15 최혁선 조립용 벌통
KR890000262Y1 (ko) * 1985-07-22 1989-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주움 모우터의 속도 절환회로
KR100979831B1 (ko) * 2008-06-26 2010-09-02 주식회사 한랩 저소음 원심분리기 냉각장치
KR101164891B1 (ko) * 2010-01-11 2012-08-23 임상일 조립식 화단
KR20170059547A (ko) 2015-11-20 2017-05-31 (주)코리아에코웍스 조립식 사육 케이스
KR101805747B1 (ko) 2016-11-08 2017-12-07 한재수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017A (ja) 2006-05-30 2007-12-13 Koji Shirakawa 飼育容器及び飼育容器組立キット
KR200469666Y1 (ko) * 2011-10-07 2013-10-29 서정흔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JP2014221140A (ja) * 2013-05-14 2014-11-27 肥田電器株式会社 組立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739A (ko) 2020-03-10
WO2020045707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720B1 (en) Canine habitat
KR102360261B1 (ko) 확장이 자유로운 조립식 곤충 사육장치
KR101634678B1 (ko) 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
US3478722A (en) Purple martin bird house
WO2016005776A1 (en) Multi-use beehive
KR20090074856A (ko) 조립식 애완용 개집
KR101820068B1 (ko) 탈착식 꿀벌 교미벌통
CN105475176A (zh) 一种可控蜂群进出的安全蜂箱
KR101441318B1 (ko) 조립식 캣타워
RU186446U1 (ru) Улей для диких пчёл
KR101970312B1 (ko) 귀뚜라미 사육설비
JP7021784B2 (ja) 養蜂箱保温容器
US2312551A (en) Birdhouse
CN205511585U (zh) 一种可控蜂群进出的安全蜂箱
KR20170059730A (ko) 개미 사육 장치
KR200475009Y1 (ko) 사슴벌레 유충 사육 및 관찰 키트
KR20170059547A (ko) 조립식 사육 케이스
TWM611842U (zh) 寵物籠及寵物籠組合
KR102551841B1 (ko) 동애등에 산란 장치 어셈블리
JP6055383B2 (ja) キツツキ類の営巣用人工巣箱
CN105475175A (zh) 一种授粉用安全蜂箱
KR20210002117U (ko) 애완동물을 위한 조립식 하우스
KR200282594Y1 (ko) 벌통
KR102661712B1 (ko) 진드기의 구제가 용이한 소초광
KR20050003546A (ko) 조립식 애완동물 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