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044B1 - 정수 필터 - Google Patents

정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044B1
KR102360044B1 KR1020170069225A KR20170069225A KR102360044B1 KR 102360044 B1 KR102360044 B1 KR 102360044B1 KR 1020170069225 A KR1020170069225 A KR 1020170069225A KR 20170069225 A KR20170069225 A KR 20170069225A KR 102360044 B1 KR102360044 B1 KR 102360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outer housing
inner housing
housing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663A (ko
Inventor
박상민
안재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43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477680B/zh
Priority to PL17827829.7T priority patent/PL3447420T3/pl
Priority to EP17827829.7A priority patent/EP3447420B1/en
Priority to PCT/KR2017/006693 priority patent/WO2018012755A1/ko
Priority to AU2017295353A priority patent/AU2017295353B2/en
Priority to US15/648,585 priority patent/US10632405B2/en
Priority to US15/692,240 priority patent/US10500530B2/en
Publication of KR20180007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63A/ko
Priority to US16/728,597 priority patent/US1140039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와, 필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내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 정수 필터에 관한 것으로,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은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열의 전달을 억제하는 단열공간의 형성하여, 단열공간을 통해 내부 하우징 내측의 필터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 필터 {WATER PURIFYING FILTER}
본 발명은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정수 필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냉장고 중에는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나 얼음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제빙기를 포함한 냉장고가 있다.
냉장고 중에는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나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를 포함한 냉장고가 있으며, 이러한 냉장고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디스펜서나 제빙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한다.
급수장치를 포함한 냉장고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정수 필터를 포함하여,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전달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른 후 디스펜서나 제빙기에 공급한다.
정수 필터는 내부에 카본 블록과 같이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하는데, 사용에 따라 물에서 걸러진 이물질은 점진적으로 필터에 축적된다. 따라서 정수 필터의 기능은 점진적으로 저하되므로, 일정 기간 경과 후에는 정수 필터를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수 필터는 냉장고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냉장고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정수 필터를 다시 냉장고에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장고에 사용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결빙을 줄일 수 있는 정수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그에 따른 누수를 줄일 수 있는 정수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보다 안정적으로 정수 필터가 연결 밸브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 필터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며 물을 상기 필터로 안내하는 원형 관 형상의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은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열의 전달을 억제하는 단열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은 제 1 간격 이격된 단부들과, 상기 제 1 간격에 비해 긴 제 2 간격 이격된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져 공기층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수용을 위해 개방된다.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서로 대응하는 일측은 각각 개방되며, 개방된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을 덮는 연결 캡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 캡은 개방된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을 덮는 캡부와, 상기 캡부로부터 상기 내부 하우징을 향해 원형 관 형상으로 연장되어 개방된 상기 내부 하우징의 일측이 고정되는 내부 고정부와, 상기 캡부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을 향해 사각형 관 형상으로 연장되며 개방된 상기 외부 하우징의 일측이 고정되는 외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개방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고정부는 스핀 융착된다.
또한, 이격된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대응하는 일측은 각각 개방되며,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외부 하우징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외부 하우징 타측의 내면과, 상기 내부 하우징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내부 하우징 타측의 외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은 그 타측에 상기 정수 필터가 설치되는 설치공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마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는 몸체부와, 상기 마개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정수 필터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 가이드부가 상기 설치공에 위치할 때 상기 정수 필터가 회전하며 상기 설치공 내부의 연결 밸브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의 면들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들은 곡면인 라운딩부들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정수 필터는 상기 라운딩부들이 상기 설치공 내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 필터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며 상기 필터로 물을 안내하는 원형 관 형상의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는 사각형 관 형상의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하우징이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은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열의 전달을 억제하는 단열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 필터는 내부 하우징 및 외부 하우징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므로, 필터의 결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 필터는 외부 충격에 의해 내부 하우징 및 외부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누수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정수 필터에서의 누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 필터는 내부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므로, 내부 하우징을 통해 높은 내압력을 갖도록 하면서도 외부 하우징을 사각 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 필터가 적용된 냉장고는 장착 가이드장치를 통해 규격에 맞는 정수 필터는 연결 밸브로 안내되어 결합될 수 있는 반면, 규격 외인 정수 필터는 연결 밸브와 결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의 냉장고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및 냉장고의 장착 가이드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일단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 타단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의 장착을 위해 냉장고에 마련된 장착 가이드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가 냉장고의 장착 가이드 장치에 설치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가 회전하기 전의 마개부 위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가 회전한 후의 마개부 위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필터(20)가 적용되는 냉장고는 저장실(10a)이 마련된 본체(10)와, 저장실(10a)을 개폐하는 도어(11)를 포함한다. 도어(11)에는 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미도시)나 제빙기(미도시)가 배치된다.
정수 필터(20)는 본체(10)의 저장실(10a) 내에 설치되어, 디스펜서(미도시)나 제빙기(미도시)에 공급될 물을 걸러,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정수 필터(20)는 저장실(10a)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10b)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격벽(10b)은 서랍식 저장용기(15)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따라서 사용에 따라 정수 필터(20)의 기능이 저하되면, 사용하던 정수 필터(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정수 필터(2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0b)에 마련되어 정수 필터(20)가 설치되는 설치공(10b-1)과, 설치공(10b-1) 내측에 마련되어 설치공(10b-1) 내로 진입한 정수 필터(20)와 연결되는 연결 밸브(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수 필터(20)는 설치공(10b-1)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연결 밸브(12)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정수 필터(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21)와, 내부에 필터(21)를 수용하는 내부 하우징(22)과, 내부에 내부 하우징(22)을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23)과, 내부 하우징(22) 및 외부 하우징(23)의 일측을 덮으며 정수 필터(20)가 설치공(10b-1) 내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설치공(10b-1) 내측의 연결 밸브(12)와 연결되는 연결 캡(24)을 포함한다.
필터(21)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는 흡착부(21a)와, 흡착부(21a)의 외주면을 덮는 필터 하우징(21b)과, 흡착부(21a)의 일단을 덮는 제 1 필터 캡(21c)과, 흡착부(21a)의 타단을 덮는 제 2 필터 캡(21d)를 포함한다.
흡착부(21a)는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도록 카본 블록으로 형성된다. 흡착부(21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정수된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 안내공(21a-1)을 포함한다. 배출 안내공(21a-1)은 흡착부(21a)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필터 하우징(21b)은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흡착부(21a)를 수용한다. 여기서 필터 하우징(21b)은 흡착부(21a)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흡착부(21a)의 양단은 필터 하우징(21b)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 1 필터 캡(21c)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부(21a)의 일측 단부를 덮는 제 1 커버부(21c-1)와, 배출 안내공(21a-1) 내면에 지지되는 제 1 지지부(21c-2)와, 흡착부(21a)에서 정수된 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 안내부(21c-4)와, 외부에서 전달된 물을 흡착부(21a)로 안내하는 유입 안내부(21c-3)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21c-2)와 배출 안내부(21c-4)는 제 1 커버부(21c-1)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연결된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출 안내부(21c-4)는 연결 밸브(12)와 결합되어 정수된 물을 연결 밸브(12)로 전달하며, 배출 안내부(21c-4)의 외주면에는 오링으로 형성된 실링부재(25)가 설치된다.
제 2 필터 캡(21d)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부(21a)의 타단을 덮는 제 2 커버부(21d-1)와, 배출 안내공(21a-1) 내면에 지지되는 제 2 지지부(21d-3)와, 내부 하우징(22)에 지지되는 제 3 지지부(22d-2)를 포함한다. 제 2 지지부(21d-3)와 제 3 지지부(22d-2)는 제 2 커버부(21d-1)의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다. 제 2 지지부(21d-3)와 제 3 지지부(22d-2)는 중공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 하우징(21b)의 일단은 제 1 커버부(21c-1)와 이격되며, 필터 하우징(21b)의 타단은 제 2 커버부(21d-1)와 이격된다. 따라서 필터 하우징(21b)의 일단과 제 1 커버부(21c-1) 사이의 공간과 필터 하우징(21b)의 타단과 제 2 커버부(21d-1)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흡착부(21a)의 두 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내부 하우징(22)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측은 물이 전달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타측은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막혀 있어 내부의 필터(21)로 물을 안내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22)은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필터(21)를 수용한다. 내부 하우징(22)은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원형의 내주면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22)의 내부에 전달된 물에 의해 수압이 전달되더라도 수압은 내부 하우징(22)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내부 하우징(22)의 내주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 작용한다. 따라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 하우징(22)은 우수한 내압력을 가진다.
내부 하우징(22)은 막혀 있는 내부 하우징(22)의 타측 단부의 내면으로부터 원형 관 형상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제 3 지지부(21d-2)가 안착되는 안착 리브(22a)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23)은 정수 필터(20)의 외관을 형성한다. 외부 하우징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내부 하우징(22)과 대응하는 일측은 내부 하우징(22)의 수용을 위해 개방되고 타측은 밀폐된 단열공간의 형성을 위해 막혀 있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23)은 대략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사각형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외부 하우징(23)은 일측을 통해 내부 하우징(22)이 수용된다.
이때, 내부 하우징(22)과 외부 하우징(23)은 단열공간의 형성을 위해 서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열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져 공기층이 형성되며, 내부 하우징(22)과 외부 하우징(23) 사이의 단열공간에 채워진 공기층이 열의 이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2)은 대략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하우징(23)은 대략 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3)을 형성하는 네 면의 중심부와 내부 하우징(22)은 제 1 간격(G1)으로 이격되며, 외부 하우징(23)의 모서리부와 내부 하우징(22)은 제 1 간격(G1) 보다 큰 제 2 간격(G2)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내부 하우징(22)과 외부 하우징(23)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을 통해 정수 필터(20) 내부의 필터(21)로 전달되는 냉기를 줄일 수 있어, 냉기에 의해 필터(21)에 결빙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내부 하우징(22)과 외부 하우징(23) 중 어느 하나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정수 필터(20) 외부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외부 하우징(23)을 사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사용자 실수에 의해 정수 필터(20)가 낙하하여 지면에 충돌하더라도, 지면과의 충돌은 외부 하우징(23)의 모서리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외부 하우징(23)의 모서리는 내부 하우징(22)과 상대적으로 큰 제 2 간격(G2)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내부 하우징(22)에 전달되는 충격 및 그에 의한 내부 하우징(22)의 파손은 외부 하우징(23)의 형상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 필터(20)는 내부 하우징(22)과 외부 하우징(23)을 포함한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내부 하우징(21)을 통해 정수 필터(20)가 우수한 내압력을 갖도록 하면서도 외부 하우징(23)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외부 하우징(23)을 상기에 제시된 사각형 관 외에도 다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타원형 관이나, 평면과 곡면의 조합인 관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 하우징(23)은 내부 하우징(22)을 수용하는 몸체부(23a)와, 몸체부(23a)의 일측에 마련되어 설치공(10b-1)을 덮는 마개부(23b)와, 마개부(23b)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정수 필터(20)를 잡아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23c)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23a)와 마개부(23b)는 설치공(10b-1)과 대응하도록 사각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외부 하우징(23)을 형성하는 몸체부(23a), 마개부(23b) 및 손잡이부(23c)는 외부 하우징(23)을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정수 필터(20)는 이격된 내부 하우징(22)과 외부 하우징(23) 사이를 지지하여, 외부 하우징(23)과 내부 하우징(22)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지지리브(23e)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리브(23e)는 외부 하우징(2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내부 하우징(22)의 외면에 지지된다.
지지리브(23e)는 개방된 외부 하우징(23) 일측의 반대측인 외부 하우징(23)의 타측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개방된 내부 하우징(22) 일측의 반대측인 내부 하우징(22)의 타측 외면에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3)의 타측에는 손잡이부(23c)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지지리브(23e)는 손잡이부(23c)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내부 하우징(22)의 타측 외면을 지지한다.
상기에서 지지리브(23e)는 외부 하우징(23)의 타측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내부 하우징(22)의 타측 내면을 지지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 하우징의 타측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 하우징의 타측 내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리브(23f)가 외부 하우징(23)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내부 하우징(22)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지리브가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 하우징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의 지지리브(23e, 23f)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지지리브(23e)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손잡이부(23c)는 몸체부(23a)와 일체로 형성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손잡이와 외부 하우징을 별도로 제조한 후, 손잡이를 외부 하우징에 고정하여 외부 하우징에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공(10b-1)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몸체부(23a) 및 마개부(23b)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하우징(23)의 몸체부(23a)가 설치공(10b-1)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정수 필터(20)를 회전시킬 수 없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 필터(20)는 회전하며 연결 밸브(12)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몸체부(23a)와 마개부(23b) 사이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정수 필터(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 가이드부(23d)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정수 필터(20)를 설치공(10b-1)에 삽입하여, 외부 하우징(23)의 회전 가이드부(23d)가 설치공(10b-1)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23c)를 통해 힘을 가해 정수 필터(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 캡(24)은 연결 밸브(12)와 연결되어 연결 밸브(12)를 통해 전달된 물을 필터(21)로 안내한다. 연결 캡(24)은 개방된 내부 하우징(22) 및 외부 하우징(23)의 일측을 덮는 캡부(24a)와, 캡부(24a)로부터 개방된 내부 하우징(22)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개방된 내부 하우징(22)의 일측이 고정되는 내부 고정부(24b)와, 캡부(24a)로부터 개방된 외부 하우징(23)의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외부 하우징(23)의 일측이 고정되는 외부 고정부(24c)를 포함한다. 내부 고정부(24b)는 외부 고정부(24c) 내측에 이격 형성되며, 내부 고정부(24b)는 내부 하우징(22)과 대응하도록 원형 관 형상을 가지며, 외부 고정부(24c)는 외부 하우징(23)과 대응하도록 사각형 관 형상을 갖는다.
내부 하우징(22)과 내부 고정부(24b)는 각각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내부 하우칭(22) 일측과 내부 고정부(24b)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내부 하우징(22)과 연결 캡(24)은 둘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 마찰열에 의해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핀 융착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또한, 사각형 관 형상의 외부 하우징(23)은 스팟 용접 등의 다양한 용접 방법을 통해 사각형 관 형상으로 연장된 외부 고정부(24c)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의 내부 하우징(22) 및 외부 하우징(23)을 연결 캡(24)에 고정하는 방식은 일례를 보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수 필터(20)는 연결 캡(24)을 통해 연결 밸브(12)에 결합된다. 연결 밸브(12)와의 결합을 위해 연결 캡(24)은 캡부(24a)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며 연결 밸브(12)에 결합되어 연결 밸브(12)로부터 물을 전달받는 연결부(24d)와, 연결부(24d)의 인접한 부위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정수 필터(20)가 연결 밸브(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 후크(24e)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후크(24e)는 두 개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연결부(24d) 외측에는 연결부(24d)가 연결 밸브(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 형태의 실링부재(26)들이 설치된다.
한편, 연결 밸브(12)는 연결부(24d)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24d)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결합 후크(24e)들이 회전하며 결합되는 결합턱(12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밸브(12)는 정수 필터(20)에 마련된 두 개의 결합 후크(24e)와 대응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두 개의 결합턱(12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턱(24e)은 원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 형성되되, 원주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정수 필터(20)를 회전시키면 결합 후크(24e)가 결합턱(12a)을 따라 이동하면서 정수 필터(20)가 그 진입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 밸브(12)에는 정수되어야 할 물을 연결 밸브(12)에 전달하는 급수관(13)과, 정수 필터(20)의 필터(21)를 통과하여 정수가 완료된 물을 디스펜서(미도시)나 제빙기(미도시)로 전달하는 배수관(14)이 각각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캡(24)과 연결 밸브(12)가 결합된 상태에서 물은 배출 안내부(21c-4)의 외면과 연결부(24d) 내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정수 필터(20) 내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물은 유입 안내부(21c-3)를 통과하여 내부 하우징(22)과 필터(2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물은 필터 하우징(21b)의 일단과 제 1 커버부(21c-1) 사이의 공간과, 필터 하우징(21b)의 타단과 제 2 커버부(21d-1)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흡착부(21a)에 전달되고, 수압에 의해 흡착부(21a)를 통과한다.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흡착부(21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착부(21a)에 흡착되므로, 정수가 이루어진다. 이물질의 흡착이 완료된 물은 배출 안내공(21a-1), 제 1 지지부(21c-2) 및 배출 안내부(21c-4)를 차례로 통과하여 연결 밸브(12)로 전달된다.
또한, 본체(10)는 설치공(10b-1) 내측에 마련되어 설치공(10b-1)을 통해 삽입된 정수 필터(20)가 안정적으로 연결 밸브(12)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장착 가이드장치(30)를 포함한다.
장착 가이드장치(30)는 정수 필터(20)가 정확하게 연결 밸브(12)와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장착 가이드장치(30)는 규격에 맞는 정수 필터(20)는 연결 밸브(12)와 결합되도록 하되, 규격에 맞지 않는 정수 필터는 연결 밸브(12)에 결합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장착 가이드장치(30)는 설치공(10b-1)을 통해 삽입된 정수 필터(20)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레버(31)와, 정수 필터(2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32)를 포함한다. 가압레버(31)는 설치공(10b-1) 내로 진입한 정수 필터(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정수 필터(2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정수 필터(20)가 가이드부재(32)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레버(31)는 그 일단이 본체(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정수 필터(20)의 진입 경로 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가압레버(31)는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31a)와, 설치공(10b-1) 내부로 진입한 정수 필터(20)의 진입 경로상으로 돌출되어 정수 필터(20)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는 가압부(31b)와, 고정부(31a)와 가압부(31b) 사이에 마련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31c)를 포함한다.
가압부(31b)는 정수 필터(20)의 진입 경로 상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이동하는 정수 필터(20)에 의해 점진적으로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정수 필터(20)의 상부와 대응하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31c)는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재(32)는 설치공(10b-1) 내로 진입한 정수 필터(20)의 외측, 즉, 외부 하우징(23)의 하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면(32a)을 포함한다. 가이드면(32a)은 정수 필터(2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3)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가이드면(32a)은 외부 하우징(23)의 대각선 길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다. 따라서 정수 필터(20)는 외부 하우징(23)의 모서리들이 가이드면(32a)에 지지된 상태에서 설치공(10b-1) 내로 진입 및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외부 하우징(23)의 네 면들 사이에 형성되는 네 모서리들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면인 라운딩부(23a-1)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정수 필터(20)를 회전시킬 경우 정수 필터(20)는 곡면인 라운딩부(23a-1)를 통해 곡면인 가이드면(32a)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므로, 정수 필터(20)의 회전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32)는 두 개가 구비되며, 두 가이드부재(32)는 좌우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는 규격 보다 작은 규격 외의 정수 필터가 설치공(10b-1)을 통해 설치될 경우, 규격 외의 정수 필터 선단이 두 가이드부재(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규격보다 작은 정수 필터의 경우에는 가이드면(32a)에 지지되지 못하므로 규격 외의 정수 필터 선단은 상술한 가압레버(31)에 의해 하측으로 밀려 두 가이드부재(32)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두 가이드부재(32) 사이에는 규격 외의 정수 필터(20)가 연결 밸브(12)측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걸림부재(33)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부재(33)는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33a)을 포함하여, 설치공(10b-1) 내로 진입하여 가압레버(31)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한 규격 외의 정수 필터 선단이 걸림턱(33a)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작 가이드 장치(30)는 가압레버(31),가이드부재(32) 및 걸림부재(33)를 포함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장착 가이드 장치(30)가 가이드부재(31)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도 규격 외의 정수 필터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하여 연결 밸브(12)와 결합되지 못하므로, 가압레버(31) 및 걸림부재(32)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정수 필터(20)가 본체(10)의 설치공(10b-1)에 설치되는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정수 필터(20)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공(10b-1)에 삽입하면, 정수 필터(20)의 외부 하우징(23)은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각형으로 형성된 설치공(10b-1)을 따라 설치공(10b-1) 내측으로 진입한다. 이때, 설치공(10b-1) 내로 진입한 외부 하우징(23)의 모서리는 가이드면(32a)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정수 필터(20)는 연결 밸브(12)를 향해 직선 이동하며 진입한다.
정수 필터(20)가 설치공(10b-1) 내로 일정 이상 진입하면, 정수 필터(20)의 선단은 정수 필터(20)의 진입 경로 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압레버(31)의 가압부(31b)에 접하게 된다. 계속해서 정수 필터(20)가 연결 밸브(12)를 향해 이동하면, 탄성부(31c)가 탄성 변형하면서 가압부(31b)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탄성부(31c)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정수 필터(20)는 하측으로 힘을 전달받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 필터(20)는 그 외부 하우징(23)의 모서리가 가이드면(32a)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가압레버(31)의 가압부(31)를 통해 전달된 힘은 외부 하우징(23)의 모서리(즉, 라운딩부(23a-1))가 가이드면(32a)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수 필터(20)의 선단은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그대로 연결 밸브(12)측으로 직선 이동한다.
정수 필터(20)의 선단, 즉, 연결부(24d)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밸브(12)에 도달하면, 외부 하우징(23)의 회전 가이드부(23d)가 설치공(10b-1)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정수 필터(20)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23c)를 통해 정수 필터(20)를 회전시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 필터(20)가 회전하면서 연결 캡(24)의 결합후크(24e)가 연결 밸브(12)의 결합턱(12a)에 결합되므로 정수 필터(20)가 연결 밸브(12)와 결합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정수 필터(20)가 설치공(10b-1)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외부 하우징(23)의 마개부(23b)가 설치공(10b-1)을 폐쇄하여 정수 필터(20)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정수 필터(20)가 회전하기 전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부(23b)가 설치공(10b-1)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마개부(23b)의 원주 방향 위치가 설치공(10b-1)과 어긋나 있다.
그에 반해, 정수 필터(20)가 회전하여 연결 캡(24)이 연결 밸브(12)와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부(23b)가 설치공(10b-1)을 폐쇄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10b-1)과 마개부(23b)의 위치가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마개부(23b)의 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정수 필터(20)의 연결 캡(24)이 연결 밸브(12)에 결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규격 외의 정수 필터가 냉장고에 설치될 경우를 설명한다.
규격 보다 큰 정수 필터를 설치공(10b-1)에 삽입할 경우, 규격 보다 큰 정수 필터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설치공(10b-1)을 통과하지 못한다.
또한, 설치공(10b-1)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정수 필터는 설치공(10b-1)을 통과할 수는 있으나, 가이드면(32a)에 의해 지지되지 못한 상태로 연결 밸브(12)측으로 진입한다.
규격 보다 작은 정수 필터가 설치공(10b-1) 내로 일정 이상 진입하면, 규격 보다 작은 정수 필터 선단은 그 진입 경로 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압레버(31)의 가압부(31b)에 의해 하측으로 힘을 전달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공(10b-1) 보다 작은 크기의 정수 필터의 경우, 규격에 맞는 정수 필터(20)와는 달리 가이드면(32a)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므로, 규격 보다 작은 정수 필터는 의 선단은 탄성부(31c)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기 못하고 그 선단이 가압레버(31)에 의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이동한다. 두 가이드부재(32)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재(33)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규격 외인 정수 필터의 선단은 걸림부재(33)의 걸림턱(33a)에 걸린다.
따라서 규격 보다 큰 정수 필터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설치홀(11a)을 통과하지 못하고, 설치홀(11a)을 통과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정수 필터는 그 선단이 걸림부재(33)의 걸림턱(33a)에 걸리므로 규격 외의 정수 필터는 연결 밸브(12)에 도달하지 못하여 연결 밸브(12)와의 결합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하우징(23)은 사각 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장착 가이드장치(30)에 의해 규격 외의 정수 필터가 연결 밸브(12)와 결합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하우징(23)도 내부 하우징(22)과 마찬가지로 원관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정수 필터(20)의 단열 성능만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 외부 하우징(23) 외주면의 곡률 반경은 가이드부재(32)의 가이드면(32a)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정수 필터(20)가 가이드부재(32)의 면을 따라 직선 이동하며 연결 밸브(1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레버(31)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31c)를 포함하여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레버의 일단이 냉장고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토션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부재 등을 통해 가압레버가 탄성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수 필터(20)는 격벽(10b)에 마련된 설치공(10b-1)에 설치된다. 격벽(10b) 내에는 정수 필터(20) 및 장착 가이드 장치(30)와 함께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4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정수 필터(20), 장착 가이드 장치(30) 및 물 탱크(40)는 격벽 내부에 설치되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본체(10)의 측벽이나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획하는 격벽 등 저장실(10a)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정수 필터(20), 장착 가이드 장치(30) 및 물 탱크(40)는 저장실(10a) 외에도 본체(10)의 후면이나 하부 뿐만 아니라 도어(11) 등 설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정수 필터(20), 장착 가이드 장치(30) 및 물 탱크(40)는 모두 격벽(11b) 내부에 함께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수 필터(20)및 장착 가이드 장치(30) 함께 설치되어야 하나, 물 탱크(40)는 별개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정수 필터(20) 및 장착 가이드 장치(30)는 격벽에 설치하되, 물 탱크(40)는 디스펜서나 제빙기가 위치하는 도어(11)에 설치되도록 하는 등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하우징(22)과 외부 하우징(23) 상에 형성되는 단열공간에 공기가 채워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열 공간이 진공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단열공간에 단열 성능이 우수한 발포수지 등의 단열재가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단열공간에 의한 단열 성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32)는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32)를 포함하나, 이는 가이드부재(32)들이 정수 필터(20)를 연결 밸브(12)로 안내하는 기능과 규격 보다 작은 정수 필터가 연결 밸브(12)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설치공(10b-1) 내측에 하나의 가이드부재(32)만을 배치하여 가이드부재(32)가 정수 필터(20)를 연결 밸브(12)로 안내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냉장고 10a-1: 설치공
12: 연결 밸브 20: 정수 필터
21: 필터 22: 내부 하우징
23: 외부 하우징 24: 연결 캡
30: 장착 가이드장치 31: 가압레버
32: 가이드부재 33: 걸림부재

Claims (19)

  1. 냉장고에 마련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공에 삽입되는 정수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정수 필터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고, 일측이 개방된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연결 캡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고 상기 설치공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관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과 대응되는 사각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정수 필터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정수 필터가 상기 설치공을 통해 삽입되는 중 상기 회전 가이드부가 상기 설치공 상에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정수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사이에 열의 전달을 억제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은 제 1 간격 이격된 단부들과, 상기 제 1 간격에 비해 긴 제 2 간격 이격된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져 공기층을 형성하는 정수 필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정수 필터가 상기 설치공을 삽입되는 중 상기 몸체부가 상기 설치공 상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정수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캡부와, 상기 캡부로부터 상기 내부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이 고정되는 내부 고정부와, 상기 캡부로부터 상기 외부 하우징을 향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이 고정되는 외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정수 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개방된 상기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고정부는 스핀 융착되는 정수 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이격된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 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외부 하우징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외부 하우징 타측의 내면과, 상기 내부 하우징 개방된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내부 하우징 타측의 외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지지되는 정수 필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지지되는 정수 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정수 필터가 상기 설치공에 삽입되는 중 상기 마개부가 상기 설치공 상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정수 필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의 단면적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마개부의 단면적보다 작도록 마련되는 정수 필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마개부의 면들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들은 곡면인 라운딩부들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정수 필터는 상기 라운딩부들이 상기 설치공 내의 가이드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는 정수 필터.
  13. 냉장고에 마련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공에 삽입되고 상기 설치공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밸브와 연결되는 정수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정수 필터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수용하며고, 일측이 개방된 내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연결 캡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하우징을 수용하고 상기 설치공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관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과 대응되는 사각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와 상기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고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정수 필터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부는 상기 정수 필터가 상기 설치공을 통해 삽입되는 중 상기 회전 가이드부가 상기 설치공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정수 필터가 상기 연결밸브와 회전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정수 필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은 정수될 물을 상기 필터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정수 필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캡은 상기 내부 하우징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내부 하우징과 고정되는 내부 고정부와, 상기 외부 하우징을 향하고 상기 외부 하우징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는 외부 고정부를 포함하는 정수 필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이격된 상기 외부 하우징과 상기 내부 하우징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정수 필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과 반대측인 상기 외부 하우징의 타측 내면과, 상기 내부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과 반대측인 상기 내부 하우징의 타측 외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지지되는 정수 필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내부 하우징의 외주면과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하나에 지지되는 정수 필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마개부의 면들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들은 곡면인 라운딩부들로 각각 형성되는 정수 필터.
KR1020170069225A 2016-07-13 2017-06-02 정수 필터 KR102360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43701.5A CN109477680B (zh) 2016-07-13 2017-06-26 净水过滤器
PL17827829.7T PL3447420T3 (pl) 2016-07-13 2017-06-26 Zespół filtra oczyszczającego wodę instalowany w lodówce
EP17827829.7A EP3447420B1 (en) 2016-07-13 2017-06-26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installable in a refrigerator
PCT/KR2017/006693 WO2018012755A1 (ko) 2016-07-13 2017-06-26 정수 필터
AU2017295353A AU2017295353B2 (en) 2016-07-13 2017-06-26 Water purification filter
US15/648,585 US10632405B2 (en) 2016-07-13 2017-07-13 Water purifying filter
US15/692,240 US10500530B2 (en) 2016-07-13 2017-08-31 Water purifying filter
US16/728,597 US11400395B2 (en) 2016-07-13 2019-12-27 Water purifying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669 2016-07-13
KR20160088669 2016-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63A KR20180007663A (ko) 2018-01-23
KR102360044B1 true KR102360044B1 (ko) 2022-02-09

Family

ID=6094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25A KR102360044B1 (ko) 2016-07-13 2017-06-02 정수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15397A1 (ko)
EP (1) EP3447420B1 (ko)
KR (1) KR102360044B1 (ko)
CN (1) CN109477680B (ko)
AU (1) AU2017295353B2 (ko)
PL (1) PL344742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968A (ko) 2019-11-19 202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1194B1 (ko) 2020-08-28 2021-06-29 김학진 필터장치
KR102651452B1 (ko) 2020-12-31 2024-03-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네트워크의 양자화 방법
KR102433840B1 (ko) 2020-12-31 2022-08-1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네트워크의 필터 프루닝 방법
KR102435131B1 (ko) 2021-01-06 2022-08-22 김길만 옥외 정수기
EP4252885A1 (de) * 2022-03-31 2023-10-04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8148A1 (en) * 2002-11-20 2007-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eeze resistant water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8034A (en) * 1991-03-21 1992-07-07 Amway Corporation Pressure vessel for housing a water filter
CN1120520A (zh) * 1994-07-08 1996-04-17 三星电子株式会社 净水器的过滤装置
US20050161394A1 (en) * 2002-11-20 2005-07-28 Karl Fritze Freeze resistant water filter
KR100487768B1 (ko) * 2003-03-03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86722B1 (ko) * 2005-07-16 2007-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CN101231078A (zh) * 2007-01-24 2008-07-30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的滤水器安装结构
US9115920B2 (en) * 2009-01-07 2015-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filter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938985B2 (en) * 2009-03-10 2015-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00102048A (ko) * 2009-03-10 2010-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359224B2 (en) * 2012-11-26 2016-06-07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unit with flow regulator
GB2522219A (en) * 2014-01-16 2015-07-22 Icon Technology Systems Ltd Fluid filter
US20150290674A1 (en) * 2014-04-10 2015-10-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treating foam
US10173904B2 (en) * 2014-04-10 2019-01-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ystem for detecting a liquid and a water filter assembly
CN204164593U (zh) * 2014-10-16 2015-02-18 天津安装工程有限公司 可拆卸防水式保温盒
CN104545438A (zh) * 2015-01-30 2015-04-2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电水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8148A1 (en) * 2002-11-20 2007-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reeze resistant water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63A (ko) 2018-01-23
CN109477680A (zh) 2019-03-15
AU2017295353B2 (en) 2022-09-29
PL3447420T3 (pl) 2023-03-20
EP3447420A4 (en) 2019-02-27
EP3447420A1 (en) 2019-02-27
EP3447420B1 (en) 2022-11-16
US20180015397A1 (en) 2018-01-18
CN109477680B (zh) 2021-09-10
AU2017295353A1 (en)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044B1 (ko) 정수 필터
US11400395B2 (en) Water purifying filter
US11148925B2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KR100686722B1 (ko) 냉장고용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EP2908075B1 (en) Refrigerator
KR101798542B1 (ko) 아이스 메이커를 갖는 냉장고 및 급수유닛
US9381475B2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US9492796B2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US20120297814A1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1717701B1 (ko)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0546904B1 (ko) 냉장고 디스펜서부의 동작스위치 작동구조
EP3123088B1 (en) Check valve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for use in a water dispenser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KR101713227B1 (ko) 냉장고
US9421503B2 (en) Refrigerator equipped with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KR20200014706A (ko) 냉장고
KR101584888B1 (ko) 냉장고
JP5161044B2 (ja) 飲料注出装置、飲料注出装置に組み込まれる交換ユニット、及び飲料注出用タップ
KR101610965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130017010A (ko) 냉장고
KR101998560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230024377A (ko) 냉장고
KR102061164B1 (ko) 탄산수 제조 장치를 갖춘 냉장고
KR2013003115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