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918B1 -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918B1
KR102359918B1 KR1020170043982A KR20170043982A KR102359918B1 KR 102359918 B1 KR102359918 B1 KR 102359918B1 KR 1020170043982 A KR1020170043982 A KR 1020170043982A KR 20170043982 A KR20170043982 A KR 20170043982A KR 102359918 B1 KR102359918 B1 KR 102359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tarting
power generation
belt
is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933A (ko
Inventor
최금림
이근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91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9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starter motor or integrat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2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 F02N15/025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of the fri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 벨트식 ISG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은, 엔진의 크랭크축 풀리가 시동용 벨트를 통해 시동풀리 세트 및 발전풀리 세트와 연결되고, 시동풀리 세트와 발전풀리 세트는 발전용 벨트를 통해 보기류인 ISG 풀리와 연결되도록 하되, 시동풀리 세트는 엔진 시동을 위하여 ISG 동력이 크랭크축 풀리로 전달될 때 ISG의 시동 토크가 증대될 수 있도록 시동 풀리 비를 1:1 보다 크게 하고, 발전풀리 세트는 발전을 위하여 엔진의 동력이 ISG로 전달될 때 ISG의 최대 회전수를 낮출 수 있도록 발전 풀리 비를 시동 풀리 비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belt-driven ISG system applied to the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Integrated Starter Generator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동 시에는 시동 풀리 비를 크게 하여 시동성을 확보하고, 발전 시에는 발전 풀리 비를 시동 풀리 비 보다 작게 하여 최대 회전수 제한에서 자유롭도록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친환경 기술은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생존이 달린 핵심기술로서, 선진 자동차 메이커들은 환경 및 연비 규제를 달성하기 위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자동차 메이커들은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연료전지 자동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등을 미래형 자동차 기술로서 개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미래형 자동차는 중량 및 원가 등 여러 가지 기술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에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고, 연비 성능의 향상을 위한 현실적인 문제의 대안으로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2개 이상의 에너지원(Power Source)을 사용하는 자동차로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에너지원으로는 기존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가솔린 엔진 또는 디젤 엔진과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기 및 발전기(generator)가 혼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저속에서 상대적으로 저속토크 특성이 좋은 전동기 및 발전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고속에서는 상대적으로 고속토크 특성이 좋은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저속구간에서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작동이 정지되고 전동기 및 발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연비 개선과 배기가스의 저감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시동 시에는 시동 풀리 비를 크게 하여 시동성을 확보하고, 발전 시에는 발전 풀리 비를 시동 풀리 비 보다 작게 하여 최대 회전수 제한에서 자유롭도록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엔진의 크랭크축 풀리가 시동용 벨트를 통해 시동풀리 세트 및 발전풀리 세트와 연결되고, 상기 시동풀리 세트와 발전풀리 세트는 발전용 벨트를 통해 보기류인 ISG 풀리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시동풀리 세트는 엔진 시동을 위하여 ISG 동력이 크랭크축 풀리로 전달될 때 ISG의 시동 토크가 증대될 수 있도록 시동 풀리 비를 1:1 보다 크게 하고, 상기 발전풀리 세트는 발전을 위하여 엔진의 동력이 ISG로 전달될 때 ISG의 최대 회전수를 낮출 수 있도록 발전 풀리 비를 시동 풀리 비 보다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동풀리 세트는 일측 단이 엔진에 고정되는 시동풀리 축; 상기 시동풀리 축 상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상기 발전용 벨트와 마찰 접촉되는 제1 시동풀리; 상기 제1 시동풀리에 이웃한 시동풀리 축 상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상기 시동용 벨트와 마찰 접촉되는 제2 시동풀리; 상기 제1 시동풀리와 제2 시동풀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동풀리는 외경이 상기 제2 시동풀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2 시동풀리의 회전수가 상기 제1 시동풀리의 회전수 보다 큰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전풀리 세트는 일 측단이 엔진에 고정되는 발전풀리 축; 상기 발전풀리 축 상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상기 발전용 벨트와 마찰 접촉되는 제1 발전풀리; 상기 제1 발전풀리에 이웃한 발전풀리 축 상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상기 시동용 벨트와 마찰 접촉되는 제2 발전풀리; 상기 제1 발전풀리와 제2 발전풀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전풀리와 제2 발전풀리는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1 발전풀리의 회전수가 상기 제2 발전풀리의 회전수 보다 큰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동용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와, 상기 발전용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기류의 풀리들은 크랭크축 풀리를 기준으로 상부 양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동용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와, 상기 발전용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기류의 풀리들은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를 기준으로 시동 및 발전용 벨트의 장력이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은 시동 시에는 시동 풀리 비를 크게 하여 시동성을 확보하고, 발전 시에는 발전 풀리 비를 시동 풀리 비 보다 작게 하여 최대 회전수 제한에서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시동 시에는 ISG의 시동 토크가 기어 비만큼 증대됨으로써, 그만큼 ISG의 최대 출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ISG의 용량을 작게 하여 재료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전 시에는 엔진(ENG)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그대로 ISG로 전달되면서 발전이 이루어짐으로써, ISG의 최대 회전수에 제한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보기류에 큰 장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축 하중 저감에 따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풀리들의 개략적인 배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시동풀리 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발전풀리 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풀리의 개략적인 배치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적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패러럴 타입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있어서의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방식 동력전달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TMED 방식의 하이브리드 동력전달시스템은 주 동력원인 엔진(ENG)과 보조 동력원인 전동기 및 발전기(M/G) 사이에 동력단속수단인 클러치(CL)가 배치된다. 상기 전동기 및 발전기(M/G)의 후측에는 엔진(ENG)과, 전동기 및 발전기(M/G)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변속하여 출력하는 자동 변속기(AT)가 배치된다. 상기 자동변속기(AT)의 후측에는 그 자동 변속기(AT)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구동륜(WH)으로 전달하는 최종 감속기구(FD)가 배치된다.
상기 엔진(ENG)은 일체형 스타터 제너레이터(Integrated Starter Generator; 이하, ISG 라고 칭함)에 의하여 시동되며, 상기 ISG의 고장 시에는 전동기 및 발전기(M/G)에 의하여 시동된다.
상기 ISG와 전동기 및 발전기(M/G)는 모두 모터와 제너레이터의 기능을 가지며, 고성능 배터리(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ISG는 모터와 제너레이터 기능을 가지면서 엔진 시동용 모터와 충전을 위한 제너레이터로만 사용될 뿐 차량 구동용 모터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상기 전동기 및 발전기(M/G)는 차량 구동용 모터와 충전을 위한 제너레이터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풀리들의 개략적인 배치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풀리들은 시동용 벨트(2)와 발전용 벨트(4)에 의하여 연결 구동된다.
상기 엔진(ENG)의 크랭크축 풀리(6)는 시동용 벨트(2)를 통해 시동풀리 세트(8)와 발전풀리 세트(10)와 연결되고, 상기 시동풀리 세트(8)와 발전풀리 세트(10)는 발전용 벨트(4)를 통해 보기류인 ISG 풀리(12), 에어컨 풀리(14) 및 워터펌프 풀리(16)와 연결된다.
상기에서 보기류라고 함은 제너레이터, 에어컨, 워터펌프, 파워 스티어링 등과 같이 엔진의 구동을 보조하는 각종 "보조기계류(補助器械類)"를 줄여 지칭하는데,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ISG 풀리(12), 에어컨 풀리(14), 워터펌프 풀리(16)만을 개시하고, 기타 보기류의 풀리는 개시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풀리들을 배치함에 있어서는 엔진(ENG)을 앞에서 보았을 때, 크랭크축 풀리(6)를 기준으로 시동풀리 세트(8)와 발전 풀리 세트(10)는 왼쪽에 위치하고, ISG 풀리(12), 에어컨 풀리(14), 워터펌프 풀리(16)는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시동용 벨트(2)에는 큰 장력이, 발전용 벨트(4)에는 작은 장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보기류에 큰 장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시동풀리 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동풀리 세트(8)는 시동풀리 축(80), 제1 시동풀리(81), 제2 시동풀리(82) 그리고 제1 원웨이 클러치(OWC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동풀리 축(80)은 엔진(ENG)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며, 그 시동풀리 축(80)상에 제1 및 제2 시동풀리(81)(82)가 각각 제1 및 제2 베어링(83)(84)을 개재시켜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며, 제1 및 제2 시동풀리(81)(82)는 상호 제1 원웨이 클러치(OWC1)를 개재시켜 연결된다.
상기에서 제1 시동풀리(81)는 발전용 벨트(4)와 마찰 접촉되면서 구동되고, 제2 시동풀리(82)는 시동용 벨트(2)와 마찰 접촉되면서 구동되며, 제1 시동풀리(81)의 외경은 제2 시동풀리(82)의 외경 보다 크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원웨이 클러치(OWC1)는 제2 시동풀리(82)의 회전수가 제1 시동풀리(81)의 회전수 보다 큰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2 시동풀리(82)의 회전수가 제1 시동풀리(81)의 회전수 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시동 시 ISG의 동력이 ISG 풀리(12), 발전용 벨트(4), 제1 시동풀리(81), 제1 원웨이 클러치(OWC1), 제2 시동풀리(82), 시동용 벨트(2), 크랭크축 풀리(6)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시동풀리(81)(82)의 외경 차이로 인하여 시동 풀리 비(6:1)가 증대되어 ISG의 시동토크가 증대됨으로써, ISG의 모터 토크 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발전풀리 세트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시동풀리 세트(10)는 발전풀리 축(100), 제1 발전풀리(101), 제2 발전풀리(102) 그리고 제2 원웨이 클러치(OWC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전풀리 축(100)은 엔진(ENG)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며, 그 발전풀리 축(100)상에 제1 및 제2 발전풀리(101)(102)가 각각 제1 및 제2 베어링(103)(104)을 개재시켜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며, 제1 및 제2 발전풀리(101)(102)는 상호 제2 원웨이 클러치(OWC2)를 개재시켜 연결된다.
상기에서 제1 발전풀리(101)는 발전용 벨트(4)와 마찰 접촉되면서 구동되고, 제2 발전풀리(102)는 시동용 벨트(2)와 마찰 접촉되면서 구동되며, 제1 및 제2 발전풀리(101)(102)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원웨이 클러치(OWC2)는 제1 발전풀리(101)의 회전수가 제2 발전풀리(102)의 회전수 보다 큰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제1 발전풀리(101)의 회전수가 제2 발전풀리(102)의 회전수 보다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발전 시 엔진(ENG)의 동력이 크랭크축 풀리(6), 시동용 벨트(2), 제2 발전풀리(102), 제2 원웨이 클러치(OWC2), 제1 발전풀리(101), 발전용 벨트(4), ISG 풀리(12)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1 및 제2 시동풀리(81)(82)의 외경이 동일하므로 시동 풀리 비(1:1)에 따라 ISG의 회전속도를 최대 회전수로 낮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에 적용되는 풀리의 개략적인 배치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풀리들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시동 및 발전용 벨트(2)(4)의 장력이 도면에서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8)10)의 우측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두 하중이 더해서 축 하중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8)(10)를 기준으로 시동 및 발전용 벨트(2)(4)의 장력이 대칭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하중이 서로 상쇄되어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8)(10)의 축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시동 및 발전용 벨트(2)(4)의 장력이 대칭이 되도록 배치한 것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므로, 기타 보기류의 풀리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은 시동 시에는 시동 풀리 비를 1:1 보다 크게 하여 시동성을 확보하고, 발전 시에는 발전 풀리 비를 시동 풀리 비 보다 작게 하여 최대 회전수 제한에서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시동 시에는 ISG의 시동 토크가 기어 비만큼 증대됨으로써, 그만큼 ISG의 최대 출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ISG의 용량을 작게 하여 재료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전 시에는 엔진(ENG)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동력이 그대로 ISG로 전달되면서 발전이 이루어짐으로써, ISG의 최대 회전수에 제한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보기류에 큰 장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축 하중 저감에 따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시동용 벨트
4... 발전용 벨트
6... 크랭크축 풀리
8... 시동풀리 세트
10... 발전풀리 세트
12... ISG 풀리
14... 에어컨 풀리
16... 워터펌프 풀리
81, 82... 제1, 제2 시동풀리
101. 102... 제1, 제2 발전풀리
OWC1, OWC2... 제1, 제2 원웨이 클러치

Claims (9)

  1. 엔진의 크랭크축 풀리가 시동용 벨트를 통해 시동풀리 세트 및 발전풀리 세트와 연결되고, 상기 시동풀리 세트와 발전풀리 세트는 발전용 벨트를 통해 보기류인 ISG 풀리와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시동풀리 세트는 엔진 시동을 위하여 ISG 동력이 크랭크축 풀리로 전달될 때 ISG의 시동 토크가 증대될 수 있도록 시동 풀리 비를 1:1 보다 크게 하고,
    상기 발전풀리 세트는 발전을 위하여 엔진의 동력이 ISG로 전달될 때 ISG의 최대 회전수를 낮출 수 있도록 발전 풀리 비를 시동 풀리 비 보다 작게 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풀리 세트는
    일 측단이 엔진에 고정되는 시동풀리 축;
    상기 시동풀리 축 상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상기 발전용 벨트와 마찰 접촉되는 제1 시동풀리;
    상기 제1 시동풀리에 이웃한 시동풀리 축 상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상기 시동용 벨트와 마찰 접촉되는 제2 시동풀리;
    상기 제1 시동풀리와 제2 시동풀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동풀리는
    외경이 상기 제2 시동풀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2 시동풀리의 회전수가 상기 제1 시동풀리의 회전수 보다 큰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풀리 세트는
    일 측단이 엔진에 고정되는 발전풀리 축;
    상기 발전풀리 축 상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상기 발전용 벨트와 마찰 접촉되는 제1 발전풀리;
    상기 제1 발전풀리에 이웃한 발전풀리 축 상에 회전 간섭 없이 배치되어 상기 시동용 벨트와 마찰 접촉되는 제2 발전풀리;
    상기 제1 발전풀리와 제2 발전풀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전풀리와 제2 발전풀리는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1 발전풀리의 회전수가 상기 제2 발전풀리의 회전수 보다 큰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용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와, 상기 발전용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기류의 풀리들은
    크랭크축 풀리를 기준으로 상부 양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용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와, 상기 발전용 벨트에 의하여 구동되는 보기류의 풀리들은
    시동 및 발전풀리 세트를 기준으로 시동 및 발전용 벨트의 장력이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KR1020170043982A 2017-04-05 2017-04-05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KR102359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82A KR102359918B1 (ko) 2017-04-05 2017-04-05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82A KR102359918B1 (ko) 2017-04-05 2017-04-05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933A KR20180112933A (ko) 2018-10-15
KR102359918B1 true KR102359918B1 (ko) 2022-02-07

Family

ID=6386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982A KR102359918B1 (ko) 2017-04-05 2017-04-05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9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401A (ja) 2001-03-19 2002-09-25 Nsk Ltd 自動車エンジン用始動及び補機駆動装置
JP2004132267A (ja) 2002-10-10 2004-04-30 Denso Corp 車載内燃機関による駆動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401A (ja) 2001-03-19 2002-09-25 Nsk Ltd 自動車エンジン用始動及び補機駆動装置
JP2004132267A (ja) 2002-10-10 2004-04-30 Denso Corp 車載内燃機関による駆動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933A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1025B2 (en) Integrated starter-generator device with power transmission
US10487918B2 (en) Integrated starter-generator device with power transmission
US20150111694A1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hybrid electric vehicle
US8147366B2 (en) Power output apparatus and vehicle
US9340100B2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of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45947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US9573455B2 (en) Transmission for hybrid vehicle
CN102574457B (zh) 用于内燃机的发电机驱动系统
US20130145898A1 (en) Power delivery device for vehicle
JP2011218836A (ja) 車両用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KR101646114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US9587613B2 (en) Starting and generating system for hybrid vehicle
KR101580773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구조
KR102322260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isg 시스템
CN102874094A (zh) 一种采用行星齿轮两档变速器的增程式电动汽车动力系统
KR101791124B1 (ko) 두 개의 모터제네레이터와 세 개의 클러치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구조
US20160129785A1 (en) Transmission for hybrid vehicle
CN106285931B (zh) 发动机附件驱动系统和混合动力汽车
KR102359918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벨트 구동식 isg 시스템
KR101795407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JP6746933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KR102440591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엔진 시동장치
JP2017115761A (ja) エンジンの始動時制御システム、ハイブリッド車両及びエンジンの始動時制御方法
US20130062131A1 (en) Self-Generating Power Assembly For A Vehicle
US10286770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hybrid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