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525B1 -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525B1
KR102359525B1 KR1020210069488A KR20210069488A KR102359525B1 KR 102359525 B1 KR102359525 B1 KR 102359525B1 KR 1020210069488 A KR1020210069488 A KR 1020210069488A KR 20210069488 A KR20210069488 A KR 20210069488A KR 102359525 B1 KR102359525 B1 KR 10235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rocessing device
transmitter
predetermined
vo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에스캠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에스캠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에스캠프
Priority to KR102021006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집계하는 투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표자 및 상기 투표 시스템이 소정 공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투표자 각각이 보유하고 있으며,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이들을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케이블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VOTING SYSTEM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BROADCASTING}
본 발명은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집계하는 투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표자 및 상기 투표 시스템이 소정 공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투표자 각각이 보유하고 있으며,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이들을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케이블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디션 프로그램이 늘어남에 따라 방송사에서는 투표 시스템을 자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투표 시스템에서는 어느 하나의 송신기에 대해 설정을 변경하던 중에 다른 송신기를 이용하는 경우 에러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투표 시스템에서는 송신기에서 입력가능한 숫자의 자릿수를 현장에서 변경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위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본 발명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투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투표 시스템에 포함된 송신기, 수신기 등의 설정 변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기가 송신기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지 못한 경우, 수신기가 자동적으로 입력 신호를 다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집계하는 투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표자 및 상기 투표 시스템이 소정 공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투표자 각각이 보유하고 있으며,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이들을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케이블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현장에서 투표 시스템에 포함된 송신기, 수신기 등의 설정 변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기가 송신기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지 못한 경우, 수신기가 자동적으로 입력 신호를 다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표 시스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기 각각에서 선택된 숫자에 기초하여 처리 장치에 나타난 결과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송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동시간대에 실시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표 시스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투표 시스템(10)은 복수의 송신기(100), 수신기(200), 처리 장치(3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1개의 수신기(200)만 표시하였지만, 복수의 수신기(200)가 존재할 수 있고, 각각에 대해 복수의 송신기(100)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송신기(100), 수신기(200), 처리 장치(300) 등을 포함하는 상기 투표 시스템(10)은 어느 하나의 소정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공간은 방송국, 기업 내부 회의실, 야유회 등 투표 시스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일정 구역을 가지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표 시스템(10)은 복수의 투표자들이 투표를 하여 복수의 참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참가자(또는 복수의 선택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투표자들은 각각 상기 송신기(100)를 보유하면서 이를 이용하여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투표자 역시 상기 소정 공간에 위치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송신기(100) 각각은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송신기의 ID는 1, 제2 송신기의 ID는 2 등 각자 서로 다른 식별 번호를 가져 구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송신기(10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표시부(110), 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송신기(100)는 통신부, 제어부 등을 가지고 수신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신기(200)는 복수의 송신기(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이들을 처리 장치(30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수신기(200)는 복수의 송신기(100)로부터 받은 입력 신호를 처리 장치(300)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기(200) 역시 통신부, 제어부 등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부, 입력부, 저장부 등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처리 장치(300)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휴대폰 등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처리 능력을 가진 전자 기기면 이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처리 장치(300)는 수신기(200)와 케이블선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200)와 처리 장치(300)는 케이블선 등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선은 RS422 케이블에 해당할 수 있다. 일반 USB 연결선의 경우 정보를 주고받는데 있어 에러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 RS422 케이블의 경우 긴 선(ex 100m 이상)에 해당하면서 에러를 줄인다는 장점이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송신기(100)의 입력부(120)는 0 내지 10까지에 해당하는 복수의 숫자 버튼, O버튼, X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서 소정의 숫자 버튼(ex 4,8,3)이 입력된 후 상기 O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숫자 버튼(ex 4,8,3)이 입력 신호로서 수신기(200)를 거쳐 처리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서 소정의 숫자 버튼이 입력되고 O버튼이 입력되어야만 입력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 소정의 숫자 버튼(ex 4, 8, 3)이 입력된 후 소정 시간(ex 5초)이 지난 경우, 상기 소정의 숫자 버튼(ex 4. 8, 3)이 입력 신호로서 처리 장치(3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즉, O버튼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소정의 숫자 버튼이 입력 신호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소정 시간은 처리 장치(300)에서 조작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장치(300)에서 설정한 t 자리 수의 크기에 따라 입력 신호 전달시의 상기 O 버튼의 필요성이 결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처리 장치(300)에서 t 자리 수를 설정하였다고 상정할 수 있다.
상기 t가 기설정수치(ex 2) 이하일 때(즉, t가 1 또는 2일 때),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 t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입력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t 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입력 신호로서 자동적으로 처리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시간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t가 2인 경우, 기설정수치(ex 2) 이하이고,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는 2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ex (1, 6), (3), (4, 3) 등)이 입력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t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입력 신호로서 자동적으로 처리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t가 기설정수치(ex 2)를 초과할 때(즉, t가 3, 4, 5 등),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 t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입력되고 상기 O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t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상기 입력 신호로서 처리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가 4인 경우, 기설정수치(ex 2)를 초과하고,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는 4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ex (2, 5), (2, 6, 8, 3), (1) 등)이 입력되고 O 버튼이 입력되어야 입력 신호로서 처리 장치(300)에 전달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실시예는, t가 기설정수치 이하(ex 3 이하)일 때는 입력 값을 하나의 점수 개념으로 고려하여 상기 처리 장치(300)는 상기 입력 값을 점수에 해당하는 가중치로 설정하고, t가 기설정수치를 초과(ex 3 초과)할 때는 입력 값을 복수의 참가자들 중 어느 참가자를 선택하는지 등 선택의 개념으로 고려하여 상기 처리 장치(300)는 상기 입력 값에 해당하는 숫자가 각각 선택된 것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t가 2이고 입력 값이 2, 5순서인 경우, 상기 처리 장치(300)는 상기 입력 값이 25점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t가 5이고 입력 값이 4, 3, 2, 5, 9 순서인 경우, 상기 처리 장치(300)는 상기 입력 값에 해당하는 숫자 4, 3, 2, 5, 9가 선택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처리 장치(300)에서 t 자리 수를 설정하였다고 상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는 처리 장치(300)에서 실시간으로 변경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 처리 장치(300)는 복수의 송신기(100)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t의 값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송신기(100)의 입력부(120)를 통해 점수가 입력되고, 특정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 10 숫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처리 장치(300)에서는 상기 특정 송신기(100)에서 10t에 해당하는 점수가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투표자가 10 숫자 버튼, t-1 개의 0 숫자 버튼을 입력하지 않고, 10 숫자 버튼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10t에 해당하는 점수가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투표자의 편의를 위한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참고로, 4, 7 등 다른 숫자 버튼이 입력된 후 10 숫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에는 상기 10t에 해당하는 점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점수만이 입력될 수 있다. 이는 처리 장치(300)에서 t 자리 수를 설정하였고, 본 발명의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의 10 숫자 버튼만이 예외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송신기(100)의 표시부(110) 역시 t 자리 수가 설정되었더라도 10t에 해당하는 점수까지는 표시가능하다.
가령, t가 5인 경우, 10 숫자 버튼만이 입력되어도 100000 = 105에 해당하는 점수가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에는 105에 해당하는 점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점수만이 입력될 수 있을 것이며, 표시부(110)에는 100000까지의 점수만 표시가능할 것이다.
위와 같이, 10 숫자 버튼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10t에 해당하는 점수(t 자리 수 설정된 상태)가 입력되었다고 보는 것은 방송적으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기존 다른 투표 시스템에서는 1 숫자 버튼을 누른 후 0 숫자 버튼을 여러 번 입력하여 10t에 해당하는 점수를 입력하였는데, 이는 0 숫자 버튼을 몇번 입력하였는지 등 투표자의 입장에서도 혼동이 올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투표 시스템(10)에서는 10 숫자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10t에 해당하는 점수를 입력가능하고 혼동 없이 정확한 값을 전달가능하므로 방송적으로도 의미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송신기 각각에서 선택된 숫자에 기초하여 처리 장치에 나타난 결과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표 시스템(10)은 복수의 투표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송신기(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참가자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처리 장치(300)에서는 송신기(100)에서 선택가능한 숫자 버튼의 개수에 해당하는 특정 개수(ex 4개)를 설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처리 장치(300)는 상기 특정 개수를 실시간으로 변경가능하고, 복수의 송신기(100)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특정 개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복수의 송신기(100) 각각은 투표자로 하여금 복수 개의 숫자 버튼 (ex 0, 1 ?? 10) 중에서 상기 특정 개수(ex 4개)보다 작거나 같은 소정 개수(ex 1개 ~ 4개)의 숫자 버튼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 개수(ex 1개 ~ 4개)의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소정 개수의 숫자를 수신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특정 개수가 4개인 경우, 복수의 송신기(100) 각각은 4개(ex (1,4,8,7), (2,8,4,9), (1,8,6,9)) 또는 3개의 숫자 버튼(ex 1,3,4)을 선택하도록 지원하고, 선택한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소정 개수의 숫자를 수신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수신기(200)는 복수의 송신기 각각으로부터 소정 개수의 숫자를 전달받고, 이들을 처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처리 장치(300)는 수신기(200)로부터 전달받은 모든 숫자 중에서 선택된 횟수를 기초로 특정 개수(ex 4개)의 특정 숫자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300)는 특정 개수의 특정 숫자에 매칭하는 특정 참가자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전달받은 모든 숫자는 1(3개), 2(1개), 3(1개), 4(3개), 6(1개), 7(1개), 8(3개), 9(2개)에 해당하며, 상기 모든 숫자 중에서 선택된 횟수가 가장 많은 특정 숫자는 1(3개), 4(3개), 8(3개), 9(2개)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장치(300)는 특정 개수(4개)의 특정 숫자(1, 4, 8, 9)에 매칭하는 특정 참가자 각각에 대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참가자들 중에서 1번, 4번, 8번, 9번에 대응하는 참가자들이 선택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복수의 투표자들은 복수의 참가자들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되 순위를 매길 수도 잇다.
상기 입력부(120)가 복수 개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며, 처리 장치(300)에서 특정 개수(ex 3개)를 설정한 상태에서, 복수의 송신기(100)는 적어도 제1 송신기 및 제2 송신기를 포함한다고 상정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기(100) 각각은 투표자로 하여금 복수 개의 숫자 버튼 중에서 특정 개수보다 작거나 같은 소정 개수(ex 1개 내지 3개)의 숫자 버튼을 소정 순서에 따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표자는 송신기(100)의 입력부(120)를 통해 3, 4, 9 등을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고, 입력 순서가 상기 소정 순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송신기(100) 각각은 선택된 소정 개수의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소정 개수의 숫자를 상기 소정 순서에 따라 수신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수신기(200)는 제1 송신기(100)로부터 소정 개수의 제1 숫자 및 제1 소정 순서(ex 3, 4, 9)를 전달받고, 제2 송신기(100)로부터 소정 개수의 제2 숫자 및 제2 소정 순서(ex 5, 3, 4)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수신기(200)는 상기 제1 소정 순서에 기초한 제1 숫자(ex 3, 4, 9), 제2 소정 순서에 기초한 제2 숫자 (ex 5, 3, 4)를 처리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처리 장치(300)는 상기 제1 소정 순서를 기초로 소정 개수의 제1 숫자 각각에 대해 가중치 점수를 달리 부여하고, 제2 소정 순서를 기초로 소정 개수의 제2 소정 개수의 제2 숫자 각각에 대해 상기 가중치 점수를 달리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300)는 소정 개수(ex 3개 이하)의 숫자 중 제일 첫번째 숫자에 5점, 두번째 숫자에 3점, 세번째 숫자(존재하는 경우)에 1점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가중치 점수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처리 장치(300)는 수신기(200)로부터 전달받은 모든 숫자(ex (3, 4, 9), (5, 3, 4)) 중에서 가중치 점수를 기초로 순서대로 특정 개수(ex 3개)의 특정 숫자를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숫자 3의 경우 5점, 3점이 부여되므로 총 8점, 숫자 5의 경우 총 5점, 숫자 4의 경우 3점, 1점이 부여되므로 총 4점, 숫자 9의 경우 총 1점으로 특정 개수(ex 3개)의 특정 숫자(3, 5, 4)가 산출될 수 있다.
결국, 처리 장치(300)는 특정 숫자(3, 5, 4)에 각각 매칭하는 특정 참가자를 가중치 점수를 기초로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복수의 참가자들 중에서 3번에 대응하는 참가자가 가장 먼저 디스플레이되고, 다음으로 5번에 대응하는 참가자, 4번에 대응하는 참가자 순으로 선택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투표 시스템(10)의 처리 장치(300)는 실시간으로 복수의 송신기(100)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처리 장치(300)가 특정 송신기(ex 고유번호인 ID가 1인 송신기)에 대한 설정을 변경(ex 입력가능한 숫자의 자리수 변경, 통신 상태 변경, 채널 변경 등)하는 중 다른 송신기(ex 고유번호인 ID가 2인 송신기)로부터 수신기(200)를 통해 입력 신호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기존 투표 시스템에서는 특정 송신기에 대해 설정을 변경하는 중 다른 송신기에서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에러 발생 없이 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처리 장치(300)는 특정 송신기(ex 고유번호인 ID가 1인 송신기)에 대해서만 차단 설정도 가능하다. 다른 송신기(100)의 입력 신호는 상기 수신기(200)로 전달되지만 특정 송신기(100)의 입력 신호는 상기 수신기에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는 것이다. 이는 각 송신기(100)의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자가 상기 처리 장치(300)를 조작하여 컨트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처리 장치(300)는 상기 송신기(100) 각각의 입력부(120)에서 입력가능한 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ID가 1인 송신기에 대해서는 1 내지 10의 숫자 버튼만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고유 ID가 2인 송신기에 대해서는 O, X 버튼만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송신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송신기(100)는 도 2와 같이 입력부(120)에 복수 개의 버튼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도 4와 같이, 입력부에 1개의 버튼(121)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1개의 버튼에 의해 입력 신호(O 또는 X)만이 수신기(200)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2 및 도 4의 송신기(100)는 반드시 각각 별개로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함께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송신기(100)는 소정 공간 내에서 투표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입력 신호가 수신기(200)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한편, 복수(ex 500개)의 송신기(100) 중에서 일부 송신기(ex ID가 2, 3인 송신기)가 송신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200)는 500개의 송신기 중에서 2개가 전송 오류가 발생하였다고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처리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처리 장치(300)에서는 ID가 2, 3인 송신기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송신기들로부터는 입력 신호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300)는 관리자의 조작 등 없이 자동적으로 상기 수신기(200)에 오류 발생 송신기(ID가 2, 3)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으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수신기(200)는 고유 ID가 2인 송신기 및 고유 ID가 3인 송신기에 다시 입력 신호를 요청하고, 이들로부터 입력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이를 상기 처리 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처리 장치(300)는 고유 ID가 2인 송신기 및 고유 ID가 3인 송신기로부터 입력 신호를 여전히 받지 못한 경우에는 다시 자동적으로 상기 수신기(200)에 오류 발생 송신기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으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 장치(300)가 수신기(200)에 입력 신호를 받으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은 기설정 시간(ex 5분) 동안만 반복되며, 상기 기설정 시간(ex 5분)이 도과한 경우에는 상기 오류 발생 송신기(ID가 2, 3)에 대해서는 오류 처리를 할 뿐 더 이상의 입력 신호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설정 시간은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송신기(100) 중 일부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은 아니나 입력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오디션 프로그램 등에서 심사위원이 실수로 소정 송신기(100)에 합격자를 입력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을 때, 처리 장치(300)에서는 복수의 송신기(100) 중 어느 소정 송신기(100)에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관리자는 소정 송신기(100)에 대한 정보를 프로그램 MC의 단말(ex 휴대용 단말) 등에 전달하여 프로그램 MC가 상기 소정 송신기(100)를 보유하는 심사위원에게 합격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표 시스템(10)에서는 송신기(100)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는지를 입력 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정 시간 동안 투표자들은 송신기(100)의 입력부(120)에서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입력 신호가 상기 수신기(2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입력부(120)에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송신기(100)는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소정 입력 신호를 상기 수신기(2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송신기(100)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소정 입력 신호조차 전달되지 않으므로, 처리 장치(100)에서는 오류 발생 여부 또는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송신기(100) 중에서 특정 순서에 따라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처리 장치(300)는 상기 특정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각 송신기(100) 및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버튼 입력 값(ex 4, 0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ID가 1인 송신기에서 3, 0 입력이 이루어지고난 후, 고유 ID가 2인 송신기에서 2, 3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처리 장치(300)는 고유 ID가 1인 송신기 및 3, 0입력을 먼저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송신기(100) 중에서 먼저 입력한 순서에 따라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처리 장치(300)는 순서대로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버튼 입력 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송신기(100) 중에서 먼저 입력한 소정 개수(ex 3개)의 입력 신호만을 순서대로 전달받고, 처리 장치(300)는 상기 소정 개수(ex 3개)의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버튼 입력 값을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의 송신기(100) 각각은 소정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송신기(100) 중에서 처리 장치(300)에의 입력 신호 전달이 가장 먼저 이루어진 특정 송신기가 인식된 경우, 처리 장치(300)는 상기 특정 송신기에 신호를 전달하여 특정 송신기의 소정 램프만을 ON하여 우선 표시하고, 나머지 송신기에 대해서는 소정 램프를 OFF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수의 송신기(100)들의 개수는 설정에 따라 상이하지만, 최대 3000개까지 존재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투표 시스템
100: 송신기
110: 표시부
120: 입력부
200: 수신기
300: 처리 장치

Claims (6)

  1.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집계하는 투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표자 및 상기 투표 시스템이 소정 공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투표자 각각이 보유하고 있으며,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이들을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케이블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가 복수 개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장치에서 선택가능한 개수에 해당하는 특정 개수를 설정한 상태에서,
    복수의 참가자 중에서 일부가 상기 복수의 투표자들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송신기 각각은 상기 투표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 개의 숫자 버튼 중에서 상기 특정 개수 보다 작거나 같은 소정 개수의 숫자 버튼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 개수의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소정 개수의 숫자를 상기 수신기에 전달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복수의 송신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소정 개수의 숫자를 전달받고, 이들을 상기 처리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모든 숫자 중에서 선택된 횟수를 기초로 상기 특정 개수의 특정 숫자를 산출하고, 상기 특정 개수의 상기 특정 숫자에 각각 매칭하는 특정 참가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2. 삭제
  3.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집계하는 투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표자 및 상기 투표 시스템이 소정 공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투표자 각각이 보유하고 있으며,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이들을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케이블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가 복수 개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장치에서 특정 개수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송신기가 적어도 제1 송신기 및 제2 송신기를 포함한다고 할 때,
    복수의 참가자 중에서 일부가 상기 복수의 투표자들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송신기 각각은 상기 투표자로 하여금 상기 복수 개의 숫자 버튼 중에서 상기 특정 개수 보다 작거나 같은 소정 개수의 숫자 버튼을 소정 순서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선택된 소정 개수의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소정 개수의 숫자를 상기 소정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기에 전달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송신기로부터 상기 소정 개수의 제1 숫자 및 제1 소정 순서를 전달받고, 상기 제2 송신기로부터 상기 소정 개수의 제2 숫자 및 제2 소정 순서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1 소정 순서에 기초한 상기 제1 숫자, 상기 제2 소정 순서에 기초한 상기 제2 숫자를 상기 처리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소정 순서를 기초로 상기 소정 개수의 상기 제1 숫자 각각에 대해 가중치 점수를 달리 부여하고, 상기 제2 소정 순서를 기초로 상기 소정 개수의 상기 제2 숫자 각각에 대해 상기 가중치 점수를 달리 부여하며,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모든 숫자 중에서 상기 가중치 점수를 기초로 순서대로 상기 특정 개수의 특정 숫자를 산출하고, 상기 특정 숫자에 각각 매칭하는 특정 참가자를 상기 가중치 점수를 기초로 순서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0에서 10까지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에서 t자리 수를 설정하며, 상기 송신기의 입력부를 통해 점수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특정 송신기의 입력부에 10 숫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특정 송신기에서 10t에 해당하는 점수가 입력된 것으로 보며,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10t에 해당하는 점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점수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5.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집계하는 투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표자 및 상기 투표 시스템이 소정 공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고유의 식별 번호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투표자 각각이 보유하고 있으며, 입력부 및 표시부를 포함하는 송신기;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고, 이들을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와 케이블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투표자의 의견을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가 0에서 10까지의 숫자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에서 t 자리 수를 설정하며, 상기 입력부에서 t개 이하 개수의 상기 숫자 버튼이 입력되어 이에 대응하는 입력 값이 상기 처리 장치에 전달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 장치는, i) t가 기설정수치 이하인 경우, 상기 입력 값을 점수에 해당하는 가중치로 설정하고, ii) t가 상기 기설정수치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입력 값에 해당하는 숫자가 각각 선택된 것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에서 t자리 수를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t가 기설정수치 이하일 때, 상기 송신기의 입력부에 t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입력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t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상기 입력 신호로서 상기 처리 장치에 전달되고,
    상기 t가 기설정수치를 초과할 때, 상기 송신기의 입력부에 상기 t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입력되고, O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t개 이하 개수의 소정의 숫자 버튼이 상기 입력 신호로서 상기 처리 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시스템.
KR1020210069488A 2021-05-28 2021-05-28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KR102359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488A KR102359525B1 (ko) 2021-05-28 2021-05-28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488A KR102359525B1 (ko) 2021-05-28 2021-05-28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525B1 true KR102359525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488A KR102359525B1 (ko) 2021-05-28 2021-05-28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5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292B1 (ko) * 2016-10-26 2017-07-11 (주)휴메인시스템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192349B1 (ko) * 2014-05-28 2020-12-18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참가자 랭킹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참가자 랭킹 결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349B1 (ko) * 2014-05-28 2020-12-18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참가자 랭킹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참가자 랭킹 결정 시스템
KR101751292B1 (ko) * 2016-10-26 2017-07-11 (주)휴메인시스템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5614B2 (en) Transmitter controlled communication links
US733071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779572B1 (en)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CN101119782B (zh) 多玩家游戏的系统
US200903225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Setup
US200100542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executable refrigerator
CN105898544A (zh) 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04125265B (zh) 节目互动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系统
JPS59501524A (ja) 音声通信用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緊急呼び出し方法
CN109151598B (zh) 直播间话题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2263565A (zh) 无线通信模块、遥控装置以及无线系统
EP2681698A1 (en) A participation system and method
CN110798694A (zh) 直播间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存储介质
CN108235803B (zh) 一种消息记录合并显示方法及终端设备
KR10235952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CN1964766A (zh) 用于视频游戏的移动电子设备以及相关的游戏设备与方法
CN104900045B (zh) 一种信号传输方法、电子设备及控制系统
CN105991553A (zh) 消息服务器及通信方法
EP2759128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s
JPS58148590A (ja) 複数ワ−ドデ−タを伝送するリモ−トコントロ−ルシステム
US201300553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television broadcasting
EP2395808B1 (en) Transmitter controlled communication links
JPH0392022A (ja) 無線ゴルフスコアシステム
CN106658106A (zh) 信号控制方法、系统、电子设备及待控制设备
CN103281437A (zh) 一种利用手机实现个性化遥控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