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292B1 -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292B1
KR101751292B1 KR1020160139862A KR20160139862A KR101751292B1 KR 101751292 B1 KR101751292 B1 KR 101751292B1 KR 1020160139862 A KR1020160139862 A KR 1020160139862A KR 20160139862 A KR20160139862 A KR 20160139862A KR 101751292 B1 KR101751292 B1 KR 101751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r
score
scoring
candidate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주)휴메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3545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512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메인시스템 filed Critical (주)휴메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3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for evaluating functions by calc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Abstract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기 채점 시스템은, 각 응시자들의 응시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응시 번호의 유효성을 검사하며, 유효성이 확인된 응시 번호를 대상으로 가번호를 할당하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 가번호 부여 단말기로부터 소정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각각 수신하고, 동일한 응시자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를 각각 생성하여 채점 표시 화면에 표시하며, 채점자로부터 입력된 채점 점수 및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기반으로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 및 가번호 부여 단말기로부터 각 응시 번호 및 해당 응시 번호에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하고,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로부터 채점 관련 정보를 각각 수신하며, 가번호를 기준으로 소정 응시자의 응시 번호 및 채점 점수를 매칭시키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METHOD FOR GRADING PRACTICE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기 채점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고교 입시, 대학 입시, 대학 편입학 등에서 예능 계열(예를 들어, 음악, 무용, 미술 등)은 실기 고사를 수행하게 된다. 실기 고사는 다수의 채점자가 각 평가 요소 별로 채점한 결과를 기반으로 합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실기 고사의 경우, 대리 시험이 이루어지거나 채점자에게 사전 부탁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부정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채점 자체가 수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보다 공정한 실기 고사를 위해서는, 채점자가 응시자의 정보를 사전에 열람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하고, 채점자의 채점 결과가 공개되거나 수정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6061호(2014.02.0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객관성 및 공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기 채점 시스템은, 각 응시자들의 응시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응시 번호의 유효성을 검사하며, 상기 유효성이 확인된 응시 번호를 대상으로 가번호를 할당하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 상기 가번호 부여 단말기로부터 소정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각각 수신하고, 동일한 상기 응시자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를 각각 생성하여 채점 표시 화면에 표시하며, 채점자에 의한 채점 점수 및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기반으로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 및 상기 가번호 부여 단말기로부터 각 응시 번호 및 해당 응시 번호에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점 관련 정보를 각각 수신하며, 상기 가번호를 기준으로 소정 응시자의 응시 번호 및 채점 점수를 매칭시키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는,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 및 해당 채점자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상기 응시자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를 각각 생성하여 채점 표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는, 채점자가 채점 점수를 입력하는 경우,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 상기 채점 점수, 및 상기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을 포함하는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채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채점 점수 입력 시간 및 채점 점수를 기반으로 채점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이 기 설정된 평가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채점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채점자의 채점 점수와 다른 채점자들의 채점 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채점자의 채점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채점자 관련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들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는, 상기 채점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채점자에게 부여되는 가중치 값을 추출하고, 채점자가 채점 점수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채점 점수에 상기 추출한 가중치 값을 연산하여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채점자 관련 정보는, 해당 채점자의 경력 정보 및 해당 채점자의 전공 분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는, 상기 채점자의 경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일반 가중치 값을 추출하고, 상기 채점자의 전공 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평가 요소별 가중치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실기 채점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채점자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소정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응시자에 대해 표시용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해당 채점자에 의한 채점 점수 및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기반으로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채점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용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번호 및 해당 채점자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응시자에 대해 다른 채점자 단말기들의 표시용 번호와는 다른 표시용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표시용 번호를 채점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점 점수의 입력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 상기 채점 점수, 및 상기 채점 점수의 입력 시간을 포함하는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기 채점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채점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점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채점자에게 부여되는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채점 점수에 상기 추출한 가중치 값을 연산하여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점자 관련 정보는, 해당 채점자의 경력 정보 및 해당 채점자의 전공 분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채점자의 경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일반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채점자의 전공 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평가 요소별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기 채점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가번호 부여 단말기로부터 각 응시 번호 및 해당 응시 번호에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각 채점자 단말기로부터 해당 채점자에 의한 채점 점수 및 소정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포함하는 채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번호를 기준으로 소정 응시자의 응시 번호 및 상기 채점 점수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채점 관련 정보는, 상기 채점 점수의 입력 시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채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채점 점수 입력 시간 및 채점 점수를 기반으로 채점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점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이 기 설정된 평가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채점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채점자의 채점 점수와 다른 채점자들의 채점 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채점자의 채점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 응시자에 대해 응시 번호를 대체하여 가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각 채점자들이 해당 응시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불공정한 평가를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정 응시자에 대해 각 채점자 단말기의 화면에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채점자들 간의 불공정한 평가를 위한 담합 등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번호가 부여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한 개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기 채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번호 부여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점자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기 채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기 채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기”는 필기 시험 이외에 채점관이 오프라인에서 응시자를 평가하는 모든 방식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예체능계 대학 입시에서 응시자의 실제적인 기술과 능력을 평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회사 또는 학교 등에서 면접을 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기 채점 시스템(100)은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 채점자 단말기(104), 및 관리 서버(10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 채점자 단말기(104), 및 관리 서버(106)는 각각 통신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150)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각 응시자들의 응시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응시 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검사하며, 각 응시자들에게 가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실기 평가가 있는 장소 별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기 평가가 2군데 이상의 장소에서 수행되는 경우, 각 장소마다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가 설치될 수 있다.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각 응시자들이 실기 장소에 입장하기 전에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응시 번호 획득부(111), 응시 번호 검사부(113), 가번호 할당부(115), 및 통신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응시 번호 획득부(111)는 각 응시자들의 응시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시 번호 획득부(111)는 각 응시자들의 응시표를 스캔(또는 촬영)하여 해당 응시자의 응시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응시 번호 획득부(111)는 각 응시자들이 입력하는 응시 번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응시 번호 획득부(111)는 각 응시자들이 실기 장소에 입장하기 전에 각 응시자들의 응시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응시 번호 획득부(111)는 순차적으로 각 응시자들의 응시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응시 번호 검사부(113)는 응시 번호 획득부(111)에서 획득한 응시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응시 번호 검사부(113)는 획득한 응시 번호의 자리수가 기 설정된 자리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즉, 응시 번호가 9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진 경우, 응시 번호 검사부(113)는 획득한 응시 번호의 자리수가 9 자리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응시 번호 검사부(113)는 획득한 응시 번호에 등록되지 않은 문자 또는 기호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즉, 응시 번호가 9 자리의 숫자로만 이루어진 경우, 응시 번호 검사부(113)는 획득한 응시 번호에 숫자 이외의 문자 또는 기호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각 응시자들이 소지하고 있는 응시표의 보관 상태가 양호하지 않거나 스캔 장비의 오인식 등으로 인해 응시 번호 획득부(111)에서 획득한 응시 번호의 자리수가 기 설정된 자리수와 다르게 인식되거나 획득한 응시 번호에 등록되지 않은 문자 또는 기호 등이 포함될 수 있는 바, 응시 번호 검사부(113)에서 획득한 응시 번호의 유효성을 검사하게 된다.
또한, 응시 번호 검사부(113)는 획득한 응시 번호가 해당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에 할당된 응시 번호들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실기 평가가 2군데 이상의 장소에서 수행되는 경우, 각 장소에 설치된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에는 해당 장소에서 응시하게 되는 응시자들의 응시 번호가 할당되게 된다. 이에, 응시 번호 검사부(113)는 획득한 응시 번호가 해당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에 할당된 응시 번호들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응시자가 지정된 장소에서 실기 평가에 임하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가번호 할당부(115)는 응시 번호 검사부(113)에서 유효성이 확인된 응시 번호를 대상으로 가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가번호 할당부(115)는 해당 응시 번호 및 해당 응시 번호에 할당된 가번호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가번호 할당부(115)는 응시 환경 정보 및 응시자의 입장 순서를 기반으로 가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응시 환경 정보는 실기 장소 및 실기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번호는 6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기 장소가 A이고, 날짜가 10월 15일이며, 입장 순서가 첫 번째인 응시자의 경우, 115001 이라는 가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입장 순서는 응시 번호 획득부(111)에서 응시 번호를 획득하는 순서대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장 순서는 각 응시자들이 추첨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이때, 가번호 6 자리의 숫자 중 앞의 3 자리의 숫자는 응시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뒤의 3자리의 숫자는 응시자의 입장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번호 115001에서, 앞의 3 자리의 숫자 중 첫 번째 자리의 숫자(즉, 1)는 실기 장소를 나타내고, 앞의 3자리의 숫자 중 두 번째 및 세 번째 자리의 숫자(즉, 15)는 실기 날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가번호 115001 중 뒤의 3자리의 숫자(즉, 001)는 응시자의 입장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통신부(117)는 채점자 단말기(104) 및 관리 서버(106)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17)는 각 응시자 별로 해당 응시 번호 및 해당 응시 번호에 할당된 가번호를 관리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7)는 해당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를 채점자 단말기(104)들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부(117)는 해당 응시자의 응시 번호는 채점자 단말기(104)로 전송하지 않고, 해당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만을 채점자 단말기(104)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점자 단말기(104)들에게는 각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만을 전송함으로써, 채점자들이 각 응시자들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도록 하여 불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채점자 단말기(104)는 실기 장소에서 각 채점자들에 분배되는 단말기이다. 각 채점자 단말기(104)는 고유의 식별 번호(예를 들어, 단말기 ID 등)가 부여될 수 있다. 각 채점자 단말기(104)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부터 소정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가번호를 재가공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번호는 각 채점자 단말기(104)마다 서로 다른 번호로 재가공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응시자의 가번호에 대해 각 채점자 단말기(104)마다 서로 다른 번호로 재가공 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채점자 단말기(104)는 관리 서버(106)로부터 수신한 평가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채점 표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기본 정보는 평가 종목 정보, 평가 요소 정보, 및 점수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종목 정보는 실기 평가의 종목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로, 예를 들어, 실기 평가 종목은 연기, 무용, 연주, 면접, 그림, 노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평가 요소 정보는 해당 종목에서 평가 대상이 되는 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로, 예를 들어, 실기 평가 종목이 연기인 경우, 지정 장면 연기, 자유 선택 연기, 발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점수 범위 정보는 각 평가 요소 별 점수 범위에 대한 정보로, 각 평가 요소에 대해 채점자가 줄 수 있는 최소 점수 및 최대 점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점자 단말기(10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채점자 단말기(104)는 통신부(121), 표시용 번호 생성부(123), 표시부(125), 입력부(127), 및 타임 스탬프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 및 관리 서버(106)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121)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부터 각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관리 서버(106)로부터 평가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채점자로부터 입력된 채점 점수를 관리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채점 점수는 해당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와 매칭하여 전송하게 된다. 즉, 통신부(12)는 채점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채점 관련 정보에는 채점 점수 및 해당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표시용 번호 생성부(123)는 통신부(129)를 통해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부터 소정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한 가번호 및 해당 채점자 단말기(104)의 고유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표시용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용 번호 생성부(123)는 수신한 가번호와 해당 채점자 단말기(104)의 고유 식별 번호를 조합하여 표시용 번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표시용 번호를 표시부(125)로 전달할 수 있다.
소정 응시자가 실기 장소에 입장하는 경우, 실기 장소에 구비된 각 채점자 단말기(104)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부터 해당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각 채점자 단말기(104)는 수신한 가번호 및 해당 채점자 단말기(104)의 고유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표시용 번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표시용 번호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각 채점자 단말기(104)는 자신의 고유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표시용 번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각 채점자 단말기(104) 별로 동일한 가번호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가 생성되게 된다. 즉, 각 채점자들이 소정 응시자에 대해 평가할 때, 채점자 단말기(104)의 화면에는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가 표시되며, 각 채점자는 화면에 표시된 표시용 번호를 해당 응시자를 식별하는 번호로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 응시자에 대해 응시 번호를 대체하여 가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각 채점자들이 해당 응시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여 불공정한 평가를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정 응시자에 대해 각 채점자 단말기(104)의 화면에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채점자들 간의 불공정한 평가를 위한 담합 등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번호가 부여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한 개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표시용 번호는 각 채점자 단말기(104)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용도로만 사용되며, 각 구성(가번호 부여 단말기(102), 채점자 단말기(104), 및 관리 서버(106) 간에는 소정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기반으로 상호 통신하여 실기 채점을 수행하게 된다.
표시부(125)는 관리 서버(106)로부터 수신한 평가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채점 표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채점 표시 화면에는 표시용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 및 평가 요소별 점수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27)는 채점자로부터 평가 점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127)는 점수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7)는 표시부(12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5) 및 입력부(127)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타임 스탬프부(129)는 채점자가 채점 점수를 입력하는 경우, 채점 점수가 입력된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통신부(121)는 채점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106)로 전송할 때, 채점 점수가 입력된 시간(채점 점수 입력 시간)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채점자 단말기(104)는 해당 채점자로부터 점수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채점자의 채점자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채점 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채점자 관련 정보는 해당 채점자의 경력 및 해당 채점자의 전공 분야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채점자 단말기(104)는 평가 점수 산출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점수 산출부(131)는 채점자들이 입력부(127)를 통해 점수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채점자에게 부여되는 가중치 값을 추출한 후, 입력된 점수에 가중치 값을 곱하여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평가 점수 산출부(131)는 통신부(121)가 관리 서버(106)로부터 수신한 채점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채점자들에 대한 가중치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평가 점수 산출부(131)는 채점자 관련 정보 중 채점자 경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일반 가중치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평가 점수 산출부(131)는 채점자 관련 정보 중 채점자 전공 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평가 요소별 가중치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채점자 단말기(104)에는 채점자 경력에 따른 일반 가중치 값 및 채점자 전공 분야에 따른 평가 요소별 가중치 값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평가 점수 산출부(131)는 소정 응시자에 대해 채점자들이 입력부(127)를 통해 평가 요소별로 점수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각 평가 요소의 점수에 상기 평가 요소별 가중치 값을 각각 곱하여 평가 요소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 점수 산출부(131)는 산출한 평가 요소별 점수를 합산한 점수에 상기 일반 가중치 값을 곱하여 해당 응시자에 대한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채점 관련 정보에는 상기 산출된 최종 평가 점수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채점자 단말기(104)는 채점자가 점수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채점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는 채점 데이터 검사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점 데이터 검사부(133)는 채점자가 입력하는 채점 데이터의 점수가 관리 서버(106)로부터 수신한 점수 범위 정보(즉, 최소 점수 ~ 최대 점수)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입력하는 채점 데이터의 점수가 점수 범위 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채점 데이터 검사부(133)는 점수 범위를 벗어나 입력이 불가하다는 메시지를 표시부(125)를 통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채점 데이터 검사부(133)는 실기 평가 종목 별로 각각 채점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채점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실기 평가 종목이 있는 경우, 채점 데이터 검사부(133)는 이를 표시부(125) 등을 통해 채점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채점 데이터 검사부(133)는 채점자가 입력하는 채점 데이터의 점수가 기 설정된 자리수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실기 평가 종목의 점수 범위가 10 ~ 99 사이인데, 채점자가 한 자리수의 숫자만 입력한 경우, 채점 데이터 검사부(133)는 이를 표시부(125) 등을 통해 채점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채점 데이터 검사부(133)는 채점자가 입력하는 채점 데이터가 기 설정된 숫자 또는 문자 이외의 다른 숫자 또는 문자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106)는 전체 응시자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 응시 번호들을 할당하여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6)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부터 각 응시 번호 및 해당 응시 번호에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하고, 채점자 단말기(104)로부터 소정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 및 채점 점수를 수신하여, 동일한 가번호를 기준으로 응시 번호 및 채점 점수를 해당 가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6)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모든 가번호에 대해 모든 채점자 단말기(102)로부터 채점 점수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6)는 평가 기본 정보 및 채점자 관련 정보를 채점자 단말기(104)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6)는 실기 장소 별로 채점자에 따라 채점자 단말기(104)를 할당할 수 있으며, 각 채점자 단말기(104)로 해당 채점자의 채점자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6)는 채점자 단말기(104)로부터 수신되는 채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채점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106)는 채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이 기 설정된 평가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채점자의 채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예비적인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시간 범위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부터 소정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응시자가 실기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실기를 평가하는 경우, 각 응시자는 주어진 시간 동안 각 평가 요소에 대해 실기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각 채점자는 이를 평가하여 소정 시간 이내에 채점 점수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나, 채점자의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이 기 설정된 평가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채점자의 채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예비적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6)는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이 기 설정된 평가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채점자의 채점 점수를 다른 채점자들의 채점 점수와 비교하여 해당 채점자의 채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기 평가 채점자가 5명(A, B, C, D, E)이 있는데, 그 중 C라는 채점자의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이 기 설정된 평가 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 관리 서버(106)는 C라는 채점자를 제외한 다른 채점자(즉, A, B, D, E)들의 평균 채점 점수와 채점자 C의 채점 점수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설정된 점수차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채점자의 채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06)는 채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최종 판단된 채점자의 채점 점수는 실기 평가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기 채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6)는 전체 응시자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 응시 번호들을 할당하여 제공한다(S 101). 예를 들어, 전체 응시자가 1,000명이고 각 실기 장소 별로 200명씩 실기를 본다고 하면, 관리 서버(106)는 각 실기 장소에 배치되는 총 5대의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로 200명씩 응시 번호들을 할당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06)는 각 채점자 단말기(104)로 평가 기본 정보 및 채점자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S 103).
다음으로,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각 응시자들로부터 응시 번호를 획득한 후, 획득한 응시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검사한다(S 105). 예를 들어,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획득한 응시 번호의 자리수가 기 설정된 자리수와 일치하는지 여부, 획득한 응시 번호에 등록되지 않은 문자 또는 기호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획득한 응시 번호가 해당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에 할당된 응시 번호들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유효성이 확인된 응시 번호를 대상으로 가번호를 할당한다(S 107).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응시 환경 정보 및 응시자의 입장 순서를 기반으로 가번호를 할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는 각 응시자 별로 해당 응시 번호 및 해당 응시 번호에 할당된 가번호를 관리 서버(106)로 전송하고(S 109), 해당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를 채점자 단말기(104)들로 전송한다(S 111).
다음으로, 채점자 단말기(104)는 소정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 및 해당 채점자 단말기(104)의 고유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표시용 번호를 생성한다(S 113). 이때, 각 채점자 단말기(104)에서 상기 가번호와 자신의 고유 식별 번호를 기반으로 표시용 번호를 각각 생성하기 때문에, 동일한 응시자(즉, 동일한 가번호)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가 생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채점자 단말기(104)는 관리 서버(106)로부터 수신한 평가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채점 표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 115). 채점 표시 화면에는 표시용 번호가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채점자 단말기(104)는 채점자로부터 채점 점수가 입력되는 경우, 채점 점수가 입력되는 시간을 검출한다(S 117).
다음으로, 채점자 단말기(104)는 채점 점수(또는 채점자 관련 정보에 의한 가중치가 반영된 최종 평가 점수), 해당 응시자에게 할당된 가번호, 및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을 포함하는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106)로 전송한다(S 119). 채점자 단말기(104)에는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채점 관련 정보 생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채점 점수는 채점자 관련 정보에 의한 가중치가 반영된 최종 평가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106)는 채점 관련 정보에 포함된 가번호를 기준으로 해당 응시자의 응시 번호 및 채점 점수를 해당 가번호와 매칭시킨다(S 121). 즉, 관리 서버(106)는 채점 관련 정보에 포함된 가번호와 일치하는 가번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가번호와 매칭된 응시 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응시 번호와 채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채점 점수를 매칭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관리 서버(106)는 채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채점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S 123). 관리 서버(106)는 채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채점자의 채점 점수는 실기 평가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106)는 채점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실기 감독관의 단말기(미도시)로 채점 이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채점 이상 정보에는 해당 응시자 정보, 해당 채점자 정보, 및 채점 점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는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가번호를 부여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가번호 부여 단말기(102))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실기 채점을 위한 단말기(예를 들어, 채점자 단말기(104))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실기 채점 관리를 위한 단말기(예를 들어, 관리 서버(106))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실기 채점 시스템
102 : 가번호 부여 단말기
104 : 채점자 단말기
106 : 관리 서버
111 : 응시 번호 획득부
113 : 응시 번호 검사부
115 : 가번호 할당부
117 : 통신부
121 : 통신부
123 : 표시용 번호 생성부
125 : 표시부
127 : 입력부
129 : 타임 스탬프부
131 : 평가 점수 산출부
133 : 채점 데이터 검사부

Claims (15)

  1. 실기 장소에 입장하는 각 응시자의 실기 점수를 채점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각 응시자들의 응시 번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응시 번호의 유효성을 검사하며, 상기 유효성이 확인된 응시 번호를 대상으로 가번호를 할당하는 가번호 부여 단말기;
    상기 실기 장소에 구비되고, 상기 가번호 부여 단말기로부터 소정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각각 수신하며, 상기 가번호를 재가공하여 동일한 상기 응시자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응시자에 대해 상기 생성한 표시용 번호를 상기 가번호를 대신하여 채점 표시 화면에 표시하며, 채점자에 의한 채점 점수 및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기반으로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 및
    상기 가번호 부여 단말기로부터 각 응시 번호 및 해당 응시 번호에 할당된 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채점 관련 정보를 각각 수신하며, 상기 가번호를 기준으로 소정 응시자의 응시 번호 및 채점 점수를 매칭시키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각 채점자는 상기 채점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용 번호를 해당 응시자를 식별하는 번호로 인식하며,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는,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 및 해당 채점자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한 상기 응시자에 대해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를 각각 생성하는, 실기 채점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는,
    채점자가 채점 점수를 입력하는 경우,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을 검출하고,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 상기 채점 점수, 및 상기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을 포함하는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실기 채점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채점 관련 정보에 포함된 채점 점수 입력 시간 및 채점 점수를 기반으로 채점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실기 채점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채점 점수 입력 시간이 기 설정된 평가 시간 범위를 벗어나는 채점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채점자의 채점 점수와 다른 채점자들의 채점 점수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된 채점자의 채점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실기 채점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채점자 관련 정보를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들로 각각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는, 상기 채점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채점자에게 부여되는 가중치 값을 추출하고, 채점자가 채점 점수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채점 점수에 상기 추출한 가중치 값을 연산하여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실기 채점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채점자 관련 정보는, 해당 채점자의 경력 정보 및 해당 채점자의 전공 분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채점자 단말기는, 상기 채점자의 경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일반 가중치 값을 추출하고, 상기 채점자의 전공 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평가 요소별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실기 채점 시스템.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실기 장소에 구비되는 채점자 단말기에서 수행되고, 상기 실기 장소에 입장하는 각 응시자의 실기 점수를 채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소정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번호를 재가공하여 상기 응시자에 대해 다른 채점자 단말기들과는 서로 다른 표시용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응시자에 대해 상기 생성한 표시용 번호를 상기 가번호를 대신하여 채점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해당 채점자에 의한 채점 점수 및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를 기반으로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채점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채점자는 상기 채점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용 번호를 해당 응시자를 식별하는 번호로 인식하며,
    상기 표시용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가번호 및 해당 채점자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응시자에 대해 다른 채점자 단말기들의 표시용 번호와는 다른 표시용 번호를 생성하는, 실기 채점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채점 점수의 입력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응시자에 대한 가번호, 상기 채점 점수, 및 상기 채점 점수의 입력 시간을 포함하는 채점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기 채점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기 채점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채점자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채점자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채점자에게 부여되는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채점자에 의해 입력된 채점 점수에 상기 추출한 가중치 값을 연산하여 최종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기 채점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채점자 관련 정보는, 해당 채점자의 경력 정보 및 해당 채점자의 전공 분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채점자의 경력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일반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채점자의 전공 분야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채점자에 대한 평가 요소별 가중치 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기 채점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39862A 2016-10-26 2016-10-26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75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62A KR101751292B1 (ko) 2016-10-26 2016-10-26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62A KR101751292B1 (ko) 2016-10-26 2016-10-26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292B1 true KR101751292B1 (ko) 2017-07-11

Family

ID=5935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62A KR101751292B1 (ko) 2016-10-26 2016-10-26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525B1 (ko) * 2021-05-28 2022-02-09 주식회사 씨앤에스캠프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5889A (ja) * 2003-12-05 2005-06-23 Masayuki Matsuda 評価システムと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その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5889A (ja) * 2003-12-05 2005-06-23 Masayuki Matsuda 評価システムと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そ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525B1 (ko) * 2021-05-28 2022-02-09 주식회사 씨앤에스캠프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방송용 투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16312B2 (en) Remote usage of locally stored biometric authentication data
Kuschminder Interro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migration and sustainable return
KR101772199B1 (ko) 크라우드 소싱 기반 지식 검증 시스템
CN107251033A (zh) 用于在在线教育中进行实时用户验证的系统和方法
CN109729068A (zh) 基于区块链技术的安全漏洞审计系统
KR100927054B1 (ko) 모바일 환경에서의 강의 출결 관리 방법
CN110689443A (zh) 出险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服务器
KR101751292B1 (ko) 실기 채점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201402728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blending assessment scores
WO2021135322A1 (zh) 一种自动出题方法、装置及系统
KR102317656B1 (ko)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 이력 관리 시스템
KR20180096317A (ko) 영단어 학습을 위한 시스템
KR20180047358A (ko) 온라인 원스탑 시험 평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험 평가 관리 방법
CN107748747A (zh) 一种信息查找方法和装置
CN114049973A (zh) 对话质检方法、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20110097610A (ko) 오디션 시스템
Odhiambo et al. Examining 7 years of implementing quality management systems in medical laboratories in sub‐Saharan Africa
KR20090015421A (ko) 피싱 게임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Hession et al. Gaming National Emergency Access Target performance using Emergency Treatment Performance definitions and emergency department short stay units
US20150269839A1 (en) Assessment device, assessment system, assess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1931086A (zh) 一种网络安全技能在线测试方法及终端
Song et al. Buying votes across Borders? A list experiment on mexic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KR101827651B1 (ko) 평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213962B1 (ko) 크라우드 소싱을 통한 벤치마크 테스트 수행 방법 및 장치
Larsen et al. Varieties of organised decentralisation across sectors in Denmark: A company perspe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36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1024

Effective date: 2018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