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239B1 - 용기 및 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및 그 처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9239B1 KR102359239B1 KR1020200059808A KR20200059808A KR102359239B1 KR 102359239 B1 KR102359239 B1 KR 102359239B1 KR 1020200059808 A KR1020200059808 A KR 1020200059808A KR 20200059808 A KR20200059808 A KR 20200059808A KR 102359239 B1 KR102359239 B1 KR 102359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ut
- container body
- block
- container
- fasten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스파우트 블록; 및 상부에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 몸체에 연결되는 스파우트 체결부;를 포함하고, 용기를 신속하고 쉽게 보수하고, 용기의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부를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용기 및 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래들(ladle)은 용선, 용강 등의 용융물을 담아 온도를 유지하면서 이동시키거나, 조업을 수행하는 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래들은 용도에 따라 수강래들과 장입래들로 구분될 수 있다. 장입래들은 다른 용기, 예컨대 전로에 용융물을 장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수강래들은 주로 용융물을 이송하고, 탈규, 탈인, 탈황 등과 같은 용융물의 예비 처리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입래들과 수강래들은 철피와 철피 내부에 내화물이 축조되는 기본 구조는 거의 유사하나, 상부측 구조가 일부 상이하다. 장입래들은 전로 등에 용융물을 장입할 때 사용되기 때문에 용융물이 목표하는 위치로 장입될 수 있도록 일측 상부에는 용융물이 배출되는 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의 와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수강래들은 용융물을 이송하는 경우, 용융물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커버를 설치하기 때문에, 수강래들의 상부는 커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강래들에 수용된 용융물을 배출시키거나 용융물 처리 시 발생한 슬래그를 배출시키기 위해, 수강래들에는 와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배출구, 예컨대 스파우트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파우트는 수강래들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홈에 수강래들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파우트는 내화물과 철피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스파우트의 내화물은 수강래들을 구성하는 내화물과 연결되고, 스파우트의 철피는 수강래들을 구성하는 철피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파우트가 용융물에 의해 용손되거나 변형되는 경우, 스파우트를 수강래들로부터 분리한 후, 내화물을 축조하고 내화물 외측에 철피를 덧댄 후 용접을 수행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해야하므로, 용손된 스파우트를 보수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는 용기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시키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용기 및 그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스파우트 블록; 및 상부에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 몸체에 연결되는 스파우트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는 철피와, 상기 철피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철피와 연결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에는 상기 내용물을 상기 용기 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배출홈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쪽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일부는 상기 용기 몸체에 연결되고,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쪽에 연결되는 측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높이는 상기 측부 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 블록은 제1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제1정렬부재와 맞물려지는 제2정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정렬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정렬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 블록의 일부는 상기 배출홈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의 나머지는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스파우트 블록은 상기 배출홈에 안착되는 쪽이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안착되는 쪽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 블록은 운반 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물은 용융물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강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처리 방법은, 스파우트 체결부가 연결된 용기 몸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스파우트 블록을 안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몸체를 마련하는 과정은, 새로 제작된 용기 몸체에 스파우트 체결부를 연결하는 과정, 또는 공정에 사용된 용기 몸체에 연결된 스파우트 체결부로부터 손상된 스파우트 블록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상된 스파우트 블록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상기 손상된 스파우트 블록을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부재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안착시키는 과정 이전에,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를 신속하게 보수할 수 있다. 즉, 용융물에 의해 용손되기 쉬운 용기의 일부를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를 보수하기 위해 용기를 구성하는 내화물을 다시 축조하고, 철피를 용접하는 등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용기를 보수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용기를 보수하는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업무 부담을 경감해줄 수 있고, 용기를 보수하는 동안 용융물을 처리하는 작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평면도.
도 5는 스파우트 블록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스파우트 체결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C-C'에 따른 스파우트 체결부의 단면도 및 스파우트 블록이 체결된 스파우트 체결부의 단면도 .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처리 방법으로 용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평면도.
도 5는 스파우트 블록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스파우트 체결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C-C'에 따른 스파우트 체결부의 단면도 및 스파우트 블록이 체결된 스파우트 체결부의 단면도 .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처리 방법으로 용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되거나 확대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기 및 용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물은 제철소에 생산되는 용선이나 용강 등의 용융물을 포함할 수 있고, 용기는 용융물을 운반 및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래들, 예컨대 수강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처리 방법은 용기를 새로 제작하거나 손상된 용기를 보수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10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융물, 예컨대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110)와, 내화물을 포함하고, 용융물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152)가 형성되는 스파우트 블록(150) 및 상부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용기 몸체(110)에 연결되는 스파우트 체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1000)는 스파우트 블록(150)을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몸체(110)는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몸체(110)는 내부에 용융물을 주입하거나 용융물을 용기 몸체(1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용기 몸체(110)는 외형을 이루는 철피(101)와, 철피(101) 내부에 마련되는 내화물(102)을 포함할 수 있다. 철피(101)는 용기 몸체(110) 전체에 걸쳐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철피 조각을 용접을 통해 연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화물은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정형 내화물과, 형상을 가지지 않는 부정형 내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형 내화물은 철피(101) 내부에 철피(101)의 내면을 따라 축조될 수 있고, 부정형 내화물은 용융물과 직접 접촉하거나 접촉하기 쉬운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예컨대 부정형 내화물은 정형 내화물 사이, 정형 내화물 표면, 철피 표면 등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몸체(110)를 구성하는 철피(101)의 용손을 억제하도록, 철피(101)의 일부에는 부정형 내화물이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부정형 내화물은 용융물과 접촉하기 쉬운 용기 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철피(101)의 표면 등에 도포될 수 있다. 이 경우, 철피(101)에 도포된 부정형 내화물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피(101)의 표면에 y형 스터드(stud) 등과 같은 이탈방지부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하부 몸체(110a)와 상부 몸체(110b)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부 몸체(110a)와 상부 몸체(110b)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몸체(110a)는 주로 용융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부 몸체(110b)는 용융물의 상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몸체(110a)와 상부 몸체(110b) 사이에는 용기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12)는 용기 몸체(110)를 형성하는 철피(101)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용기 몸체(110)를 형성하는 철피(101)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0)는 크레인이나 대차 등을 이용하여 이송 및 경동될 수 있다. 이에 용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크레인의 주권 훅(미도시)과 결속되는 트러니언(114)과, 보권 훅(미도시)과 연결되는 경동 고리(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트러니언(114)과 경동 고리(116)는 하부 몸체(110a)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몸체(110)에는 경동 고리(116)를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체(117)가 형성될 수 있다. 트러니언(114)은 주권 훅이 결속될 수 있도록 용기 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용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러니언(114)은 용기(10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용기 몸체(110)의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경동 고리(116)는 용기 몸체(110)에서 트러니언(114)보다 낮은 위치, 예컨대 용기 몸체(110)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트러니언(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경동 고리(116)는 힌지 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용기 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몸체(110)에는 경동 고리(116)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 경동 고리(116)가 유동 또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경동 고리(116)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체(117)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용기 몸체(110)에는 용융물이나 용융물 상부의 슬래그를 용기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홈(104)은 용기 몸체(110)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고, 용기 몸체(110)의 둘레 방향의 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홈(104)은 융물과 슬래그를 각각 독립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용기 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배출홈(104)은 상부 몸체(110b)에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홈(104)은 플랜지(112)의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부터 용기 몸체(110), 즉 상부 몸체(110b)의 상단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몸체(110b)의 높이를 1이라 할 때, 배출홈(104)의 깊이는 0.1 내지 0.5 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홈(104)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체결하기 위한 스파우트 체결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스파우트 체결부(130)는 배출홈(104)에 형성되어, 스파우트 블록(1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스파우트 블록(1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몸체(110)에 설치된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삽입될 수 있다. 스파우트 블록(150)은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삽입되어, 용기 몸체(110)의 상단 일부를 형성하고, 용기 몸체(110) 내부의 용융물을 용기 몸체(110) 외부로 배출시킬 때 용융물의 배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스파우트 체결부(130)를 설명하기 앞서, 스파우트 블록(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스파우트 블록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파우트 블록(150)은 용기 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물이나 용융물 상부의 슬래그를 용기 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온에 강한 내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파우트 블록(150)은 별도로 마련된 틀에 부정형 내화물을 주입하여 성형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스파우트 블록(15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틀 내부에 부정형 내화물을 주입하기 이전에 앵커 등이 형성된 철제 구조물을 삽입할 수도 있다. 또는, 스파우트 블록(150)은 정형 내화물을 축조하여 구조체를 형성한 다음, 구조체 표면에 부정형 내화물을 도포하여 원하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스파우트 블록(150)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스파우트 블록(150)은 용기 몸체(110) 내부에서 배출되는 용융물이나 슬래그를 목적하는 장소 또는 처리 용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용융물 또는 슬래그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유로(15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파우트 블록(150)은 대략 사다리꼴 형태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파우트 블록(150)의 일부는 배출홈(104) 상부에 안착되고, 나머지는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안착되는데, 배출홈(104) 상부에 안착되는 쪽, 예컨대 일측의 두께(t1)는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안착되는 쪽, 예컨대 타측의 두께(t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파우트 블록(150)의 일측이 고온의 용융물을 수용하는 용기 몸체(110) 내부와 가깝기 때문에 용기 몸체(110)에 내부의 열에 의해 스파우트 블록(150)을 지지하는 스파우트 체결부(130)가 과열되거나 용손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스파우트 블록(150)의 일측은 용기 몸체(110)의 내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고, 용기 몸체(110)의 타측은 곡률을 갖거나 직선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152)는 스파우트 블록(15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로(152)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할 때,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유로(152)의 폭방향 길이(w)는 유로(152)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파우트 블록(150)은 모르타르 등과 같은 실링제(미도시)를 이용하여 스파우트 블록(150)과 스파우트 체결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메워, 그 공간으로 용융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실링제는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스파우트 블록(150)은 스파우트 체결부(130)의 적어도 일부와 맞물려지는 제1정렬부재(154)와, 제1정렬부재(154)에 형성되는 고정홈(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정렬부재(154)는 스파우트 체결부(130)의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안착 또는 삽입한 후, 고정부재(170)를 이용하여 스파우트 블록(150)을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형성되는 관통구(135)와 스파우트 블록(150)에 형성되는 고정홈(156)을 일치시킴으로써 고정부재(17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스파우트 체결부(130)에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정렬부재(154)와 맞물려지는 제2정렬부재(13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정렬부재(138)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1정렬부재(154)는 제2정렬부재(138)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정렬부재(138)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이고, 단면 형상은 상하가 반전된 직각삼각형 형상인 경우, 제1정렬부재(154)는 제2정렬부재(138)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로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정렬부재(154)는 고정홈(156)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렬부재(154)에 고정홈(15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제1정렬부재(154)가 스파우트 블록(150)의 저면에 상부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상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파우트 블록(150)의 저면에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정렬부재(154)는 스파우트 블록(15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정렬부재(154)는 스파우트 블록(15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스파우트 블록(150)의 저면과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홈(156)은 스파우트 블록(150)의 저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고정홈(156) 중 일부는 제1정렬부재(154)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정렬부재(154)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홈(156)은 스파우트 블록(150)에서 용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용기 몸체(110)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 스파우트 블록(150)을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고정홈(156)이 스파우트 블록(15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파우트 블록(15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스파우트 블록(150)의 저면 및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파우트 블록(150)에는 스파우트 블록(150)을 이송하기 위한 운반 수단(미도시)과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홈(158)이 형성될 수 있다. 스파우트 블록(150)은 중량물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기 어렵다. 따라서 스파우트 블록(150)을 제작한 후 보관하기 위해 운반하거나, 스파우트 블록(150)을 교체하기 위해 운반하는 경우, 스파우트 블록(150)을 운반 수단에 체결하기 위하여 스파우트 블록(150)에 체결홈(158)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홈(158)은 스파우트 블록(15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로(152)의 양쪽에 각각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체결홈(158)에는 크레인 등과 같은 운반수단의 훅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된 아이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18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스파우트 체결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선C-C'에 따른 스파우트 체결부의 단면도 및 스파우트 블록이 체결된 스파우트 체결부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의 (a)를 참조하면, 스파우트 체결부(130)는 내부에 스파우트 블록(15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스파우트 체결부(130)는 용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용기 몸체(110)에 연결되는 하부 플레이트(132)와, 일부는 용기 몸체(110)에 연결되고 일부는 하부 플레이트(132)의 양쪽에 연결되는 측부 플레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파우트 체결부(130)는 하부 플레이트(132)의 일측, 예컨대 용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 플레이트(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면 플레이트(136)는 스파우트 블록(150)이 하부 플레이트(13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측부 플레이트(134)의 상하방향 길이, 예컨대 측부 플레이트(134)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플레이트(136)는 용융물과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스파우트 블록(150)의 타측 두께(t2)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하부 플레이트(132)는 상부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스파우트 블록(150)의 평면 형상, 예컨대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32)는 스파우트 블록(150)의 하부 또는 저면 면적과 유사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32)의 일측은 배출홈(104)의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용기 몸체(110), 예컨대 철피(10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132)의 저면은 플랜지(112)에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1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113)는 플랜지(112)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한 개 또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하부 플레이트(132)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32)의 저면과 접촉하는 지지 플레이트(113)의 상부는 용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용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플레이트(132)의 타측을 용기 몸체(110)의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측부 플레이트(134)는 스파우트 블록(15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스파우트 블록(150)의 측면 면적과 유사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측부 플레이트(13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용기 몸체(110)의 내면 또는 용기 몸체(110)의 내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부분으로부터 배출홈(104)의 측면을 커버하면서 용기 몸체(110)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용기 몸체(110)에 접촉하는 측부 플레이트(134)의 일측은 배출홈(104)에 의해 지지되고, 용기 몸체(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측부 플레이트(134)의 타측은 하부 플레이트(132)의 양쪽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 플레이트(134)에서 배출홈(104), 즉 용기 몸체(110)와 접촉하는 부위는 용접을 통해 용기 몸체(110)의 철피(10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부 플레이트(134)와 하부 플레이트(132)의 접촉 부위도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파우트 체결부(130)는 배출홈(104)에서 용기 몸체(110)를 구성하는 내화물(102)의 일부를 커버하고, 스파우트 블록(150)을 탈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스파우트 블록(150)이 안착된 스파우트 체결부(130)의 단면도이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132)에는 고정부재(170)를 관통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70)는 헤드를 갖는 볼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 플레이트(132)의 하부에서 관통구(135)를 통해 스파우트 블록(150)의 고정홈(156)에 삽입될 수 있다. 관통구(135)는 하부 플레이트(132)에서 용기 몸체(110)의 외부로 연장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구(135)는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안착시켰을 때 스파우트 블록(150)에 형성된 고정홈(15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파우트 블록(150)에는 제1정렬부재(154)가 형성될 수 있고, 스파우트 체결부(130)에는 제1정렬부재(154)와 맞물려지는 제2정렬부재(138)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정렬부재(138)는 하부 플레이트(132)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정렬부재(138)는 스파우트 체결부(130) 상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안착시켰을 때 스파우트 블록(150)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정렬부재(138)는 하부 플레이트(132)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정렬부재(138)는 용기 몸체(110)의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132) 상에서 적어도 일부에 수평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정렬부재(138)는 평면은 사각 형상이고, 단면 또는 측면은 상하반전된 직각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정렬부재(154)는 제2정렬부재(138)와 맞물릴 수 있는 형상, 즉 제2정렬부재(138)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정렬부재(138)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정렬부재(154)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정렬부재(138)에는 고정부재(170)를 관통시킬 수 있는 고정구(139)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39)는 하부 플레이트(132)에 형성되는 관통구(135)의 직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정렬부재(154)에 고정부재(170)를 삽입할 수 있는 고정홈(1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156), 고정구(139) 및 관통구(135)는 상하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안착 또는 삽입하고, 고정부재(170)를 관통구(135) 및 고정구(139)를 거쳐 고정홈(156)에 삽입함으로써 스파우트 블록(150)을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2정렬부재(138)가 하부 플레이트(132)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측부 플레이트(134)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 플레이트(132)와 측부 플레이트(13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파우트 블록(150)에 제1정렬부재(154)를 형성하고,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제2정렬부재(138)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파우트 블록(150)과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제1정렬부재(154)와 제2정렬부재(138)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스파우트 블록(150)의 저면에는 고정홈(156)을 형성하고,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관통구(135)를 형성하고, 고정부재(170)를 관통구(135)를 통해 고정홈(156)에 삽입하여 스파우트 블록(150)을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처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용기 처리 방법은 용기를 새로 제작하거나, 손상된 용기를 보수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 처리 방법으로 용기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스파우트 체결부(130)가 형성된 용기 몸체(110)를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용기 몸체(110)는 새로 제작된 용기 몸체(110)일 수도 있고, 용융물을 처리하는 공정에 사용되어 용손되거나 지금이 형성된 스파우트 블록(150)을 제거한 용기 몸체(110)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고정부재(170)를 스파우트 체결부(130) 및 스파우트 블록(150)으로부터 제거한 후, 스파우트 체결부(130)로부터 스파우트 블록(150)을 제거해서 용기 몸체(110)를 마련할 수 있다.
용기 몸체(110)가 마련되면, 스파우트 체결부(130)에서 스파우트 블록(150)과 접촉하는 면에 모르타르 등과 같은 실링제를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실링제는 하부 플레이트(132)의 상부면, 측부 플레이트(134)의 내면 및 전면 플레이트(136)의 내면에 각각 도포될 수 있다. 실링제는 스파우트 체결부(130)와 스파우트 블록(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메워, 스파우트 체결부(130)와 스파우트 블록(15) 사이의 공간으로 용융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융물에 의해 스파우트 체결부(130)가 용손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함으로써 스파우트 블록(150)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링제는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스파우트 블록(15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 블록(150)의 체결홈(158)에 아이 볼트 등과 같은 연결부재(180)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크레인의 훅(200)을 연결부재(180)에 삽입하고, 크레인을 작동시켜 스파우트 블록(150)을 용기 몸체(110) 상부로 운반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스파우트 블록(150)을 하강시켜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안착 또는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파우트 체결부(130)의 하부에서 고정부재(170)를 이용하여 스파우트 블록(150)을 스파우트 체결부(1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다음, 크레인의 훅(200)을 연결부재(180)에서 분리하고, 연결부재(180)를 스파우트 블록(150)에서 제거한 후, 용기(1000)를 저장장소로 운반하거나 공정 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용기 110: 용기 몸체
112: 플랜지 113: 지지 플레이트
130: 스파우트 체결부 132: 하부 플레이트
134: 측부 플레이트 136: 전면 플레이트
150: 스파우트 블록 152: 유로
158: 체결홈 170: 고정부재
112: 플랜지 113: 지지 플레이트
130: 스파우트 체결부 132: 하부 플레이트
134: 측부 플레이트 136: 전면 플레이트
150: 스파우트 블록 152: 유로
158: 체결홈 170: 고정부재
Claims (16)
-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 몸체;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의 배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스파우트 블록; 및
상부에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 몸체에 연결되는 스파우트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둘레 방향의 일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배출홈을 포함하며,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배출홈에 연결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의 일부는 상기 배출홈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의 나머지는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배출홈에 안착되는 쪽이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안착되는 쪽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철피와, 상기 철피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철피와 연결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쪽이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일부는 상기 용기 몸체에 연결되고,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양쪽에 연결되는 측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용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전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높이는 상기 측부 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용기. -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용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은 상기 고정부재의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용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블록은 제1정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는 상기 제1정렬부재와 맞물려지는 제2정렬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정렬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정렬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용기. - 삭제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블록은 운반 수단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설치할 수 있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용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용융물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몸체는 상기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수강래들을 포함하는 용기. - 스파우트 체결부가 연결된 용기 몸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삽입 가능한 스파우트 블록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스파우트 블록을 안착시키는 과정; 및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안착시키는 과정은, 상기 스파우트 블록의 일부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삽입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마련하는 과정은 상기 용기 몸체의 상단을 이루는 쪽의 두께를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안착되는 쪽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 처리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를 마련하는 과정은,
새로 제작된 용기 몸체에 스파우트 체결부를 연결하는 과정, 또는 공정에 사용된 용기 몸체에 연결된 스파우트 체결부로부터 손상된 스파우트 블록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 처리 방법.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손상된 스파우트 블록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상기 손상된 스파우트 블록을 고정시키고 있는 고정부재를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 처리 방법. - 청구항 13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블록을 안착시키는 과정 이전에,
상기 스파우트 체결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기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808A KR102359239B1 (ko) | 2020-05-19 | 2020-05-19 | 용기 및 그 처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9808A KR102359239B1 (ko) | 2020-05-19 | 2020-05-19 | 용기 및 그 처리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2977A KR20210142977A (ko) | 2021-11-26 |
KR102359239B1 true KR102359239B1 (ko) | 2022-02-07 |
Family
ID=7870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9808A KR102359239B1 (ko) | 2020-05-19 | 2020-05-19 | 용기 및 그 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923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6496B1 (ko) | 2006-12-29 | 2007-12-17 | 주식회사 포스코 | 슬래그 제거용 래들카바 |
US9422195B1 (en) | 2012-09-19 | 2016-08-23 | Universal Refractories, Inc. | Magnesium oxide castable refractory foundry ladle liner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04253A (ja) * | 1982-12-07 | 1984-06-16 | Sumitomo Metal Ind Ltd | ツインベルトキヤスタ−給湯装置用樋 |
CN100548535C (zh) * | 2003-12-24 | 2009-10-14 | 日本坩埚株式会社 | 金属熔液搬运容器 |
KR20150107285A (ko) * | 2014-03-14 | 2015-09-23 | 주식회사 포스코 | 래들장치 |
KR200493044Y1 (ko) | 2018-05-10 | 2021-01-21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슬래그 스파우트 |
-
2020
- 2020-05-19 KR KR1020200059808A patent/KR1023592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6496B1 (ko) | 2006-12-29 | 2007-12-17 | 주식회사 포스코 | 슬래그 제거용 래들카바 |
US9422195B1 (en) | 2012-09-19 | 2016-08-23 | Universal Refractories, Inc. | Magnesium oxide castable refractory foundry ladle lin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2977A (ko) | 2021-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9239B1 (ko) | 용기 및 그 처리 방법 | |
KR101194049B1 (ko) | 직접 주조 알루미노테르밋 용접용 몰드 | |
KR102494634B1 (ko) | 야금로를 위한 분할된 루프 | |
MXPA01001782A (es) | Recipiente metalurgico. | |
EP0611939B1 (en) |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the roof of a spray cooled furnace | |
US4679205A (en) | Tiltable metallurgical furnace vessel | |
KR100408664B1 (ko) | 대형 지금 발생 방지용 슬래그 포트 | |
KR101955587B1 (ko) | 래들용 장치 | |
US5499798A (en) | Refractory retaining apparatus | |
JPH02263565A (ja) | 冶金容器用ガス吹込み装置 | |
KR101321848B1 (ko) | 레이들 장치 | |
US4015834A (en) | Lifting bail for modular divisible metallurgical furnace shells | |
TWI710644B (zh) | 特別是用於鼓風爐的進料斗 | |
US3723631A (en) | Skull melting furnace with removable bottom and process for furnace operation | |
CN216502327U (zh) | 一种连铸中间包干式料工作衬胎膜定位器 | |
KR100498096B1 (ko) | 상,하층 엇갈림 2층구조의 용강와류방지체 | |
US20100118910A1 (en) | Sill and door jamb assembly for electric arc furnace | |
EP3753649B1 (en) | Tundish dam | |
JP5361212B2 (ja) | タンディッシュへの溶鋼注入方法 | |
CN215237793U (zh) | 一种钢包浇注料施工胎具 | |
CN210622311U (zh) | 方柱二次浇筑模板 | |
JPS62179863A (ja) | 不定形耐火物の施工方法 | |
JPS6138767Y2 (ko) | ||
CN205834201U (zh) | 中间包冲击区用加固型多孔挡渣墙 | |
KR20230128729A (ko) | 더미 바 및 이를 이용한 주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