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819B1 -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 Google Patents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819B1
KR102358819B1 KR1020210085789A KR20210085789A KR102358819B1 KR 102358819 B1 KR102358819 B1 KR 102358819B1 KR 1020210085789 A KR1020210085789 A KR 1020210085789A KR 20210085789 A KR20210085789 A KR 20210085789A KR 102358819 B1 KR102358819 B1 KR 102358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trip
fixed
fixed magnet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평기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도일렉트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3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using a solid-state trip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36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a holding and a releasing magnet, the holding force being limited due to saturation of the holding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2472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rotat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2071/249Electromagnetic mechanisms with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being in the normal current path in the circuit breaker, e.g. yoke, fixed contact and arc-runner are made out of one single conductive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전 순시 이중 트립 장치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사고 전류 발생 시 순시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 각각은, 상기 사고 전류가 흐르면 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고정 마그넷; 상기 고정 마그넷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고정 마그넷과 비접촉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 마그넷의 자기 흡인력에 따라 상기 고정 마그넷과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가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기설정된 방향의 전로를 형성하는, 제1 전선부; 를 공통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제2 순시 트립 장치는, 상기 고정 마그넷에 고정되는 누전 트립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순시 트립 동작에 추가로 누전 전류에 대한 누전 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Circuit breaker equipped with instantaneous earth leakage double trip device and instantaneous earth leakage double trip device insulated from the circuit}
본 명세서는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단기에 대하여 제안한다.
종래의 차단기는 순시 트립 기능과 누전 트립 기능이 각각 제작되어 트립 장치에 포함되고 있다. 여기서, 트립이란, 차단기 내에서 비정상/사고 전류가 발생했을 때, 차단기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트립 동작으로는, 통상적으로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방식에 따라 바이메탈의 만곡 특성을 이용한 열동식(熱動式)과 열동식 기능에 추가하여 고정 및 가동 철심을 이용하는 열동 전자식(熱動電磁式), 실리콘 오일의 점도를 이용하는 완전전자식(完全電磁式), 변류기나 전류 검출용 센서로 검출 후 전자 회로를 이용하는 전자식(電子式)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종래의 차단기에서 순시 트립 장치는 전로와 접촉된 상태로 제작되도록 설치되어 전압이 충전된 상태에서 각각의 순시 트립 동작을 수행하였다. 즉, 종래 차단기에서 트립 장치는 전압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기 때문에 여러 극을 갖는 차단기 내에서 부품들간 충분한 절연 처리가 되어야만 차단기 자체의 절연 문제가 예방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절연 처리를 구현하기 위해, 부품들간 절연 거리가 충분히 유지되도록 설계되고, 조립 관련 부품 수가 많아지고, 부품 사이즈가 증가하여 결국 차단기 전체 사이즈 및 복잡도가 크게 증가한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복잡한 조립성, 전체 사이즈 증가 등과 같은 문제점이 해소된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해당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전 순시 이중 트립 장치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사고 전류 발생 시 순시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 각각은, 상기 사고 전류가 흐르면 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고정 마그넷; 상기 고정 마그넷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고정 마그넷과 비접촉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 마그넷의 자기 흡인력에 따라 상기 고정 마그넷과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가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기설정된 방향의 전로를 형성하는, 제1 전선부; 를 공통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제2 순시 트립 장치는, 상기 고정 마그넷에 고정되는 누전 트립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순시 트립 동작에 추가로 누전 전류에 대한 누전 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전 트립 장치와 순시 트립 장치를 공용화함과 동시에, 조립 및 부품 단순화를 통해 조립성을 향상시켜, 차단기 제조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전 트립 장치와 순시 트립 장치에 전압이 충전되지 않아 절연을 위한 부품간 절연 거리 유지, 절연 부품 추가 등이 불필요하여, 전체 부품 사이즈 및 제조 원가가 크게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마그넷을 관통하는 전선부의 권선수를 가감할 수 있어 차단기의 정격 구분 제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의 배면에서 조립되는 작업(즉, 차단기를 뒤집어서 조립하는 공정)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 복잡도 및 조립 시간이 크게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이외의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는 이하의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순시 트립 장치의 구성 부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구성 부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그넷 지지대에 대한 고정 마그넷 및 누전 트립 코일부의 고정/설치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그넷 지지대에 대한 가동 마그넷의 고정/설치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순시 트립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누전 트립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1 전선부의 권선 증감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들이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조립 완성도를 예시한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100)는 크게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는, 기본적으로 사고 전류 발생 시 순시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구성/어셈블리/부품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는, 순시 트립 동작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는 공통적으로, 고정 마그넷(280), 가동 마그넷(250), 제1 전선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는 이에 추가로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를 때, 조립 형편(즉, 누전 트립 코일부(810)의 조립/삽입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가 구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에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조립/삽입하는 경우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는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가 될 수 있으며,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로부터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분리/해제하는 경우,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는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가 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280)은, 사고 전류가 흐르면 자속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화되어 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고정 마그넷(280)은 차단기(100) 내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정 마그넷(280)은 차단기(100)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마그넷 지지대 상에 고정됨으로써 차단기(1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280)은 상호 대향하는 2개의 기둥(예를 들어, 제1 및 제2 기둥)을 포함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제작/설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가동 마그넷(250)은, 고정 마그넷(280)과 인접한 위치(특히, 고정 마그넷(280)의 상측)에 고정 마그넷(280)과 비접촉된 상태로 고정되며, 고정 마그넷(280)의 자기 흡인력에 따라 고정 마그넷(280)과 접촉 또는 비접촉될 수 있다. 특히, 가동 마그넷(250)은 가동 마그넷(250)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 재료/부품(예를 들어, 요크 등)을 이용하여 마그넷 지지대 상에 고정되어, 고정 마그넷(28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사고 전류 등의 발생으로 고정 마그넷(280)에 자속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동 마그넷(250)은 고정 마그넷(280)에 접촉되며, 자속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가동 마그넷(250)은 탄성력을 기반으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가동 마그넷(250)과 고정 마그넷(280)이 비접촉되는 경우 차단기의 전원은 온(ON) 상태로 유지되나, 가동 마그넷(250)과 고정 마그넷(280)이 접촉되는 경우 차단기(100)의 전원은 트립되어 오프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즉, 트립 동작 수행). 보다 구체적인 순시/누전 트립 동작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1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전선부(320)는 고정 마그넷(280)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기설정된 방향의 전로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전선부(320)는 고정 마그넷(28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기둥 사이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 마그넷(280) 내에서 제1 전선부(32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별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의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되되,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의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부품들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는, 사고 전류에 대한 순시 트립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는, 상술한 공통 구성/부품에 추가로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포함하여 순시 트립 동작에 추가로 누전 트립 동작도 이중으로 수행할 수 있다.
누전 트립 코일부(810)는 고정 마그넷(280)에 고정되는 고정용 보빈(270), 및 고정용 보빈(270)에 복수회(예를 들어, 수백~수천회) 권선된 누전 트립 코일(260)을 포함할 수 있다. 누전 트립 코일부(810)는 고정용 보빈(27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에 고정 마그넷(280)의 제1 또는 제2 기둥부가 삽입됨으로써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의 고정 마그넷(280)과 결합할 수 있다. 누전 전류 발생 시 차단기(100)에서 누전 전류를 검출하는 센서는 영상 변류기(ZCT)이며, 영상 변류기(ZCT)에서 유기된 전류/전압 신호는 차단기(100) 내의 누전 검출 전자 회로의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누전이라고 판별되는 경우 누전 검출 전자 회로의 일부인 출력 부분의 전자 스위치는 ON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된 누전 트립 코일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화되어 고정 마그넷(280)의 자속 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마그넷(280)에 자기 흡인력이 발생함에 따라 가동 마그넷(250)과 접촉함으로써 누전 트립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누전 트립 동작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누전 트립 코일부(810)로 인해,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는 사고 전류 발생 시에는 순시 트립 장치로, 누전 전류 발생 시에는 누전 트립 장치로 기능하여, 이중 트립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순시 트립 장치와 누전 트립 장치를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함에 따라 부품 복잡도/사이즈 증가, 조립 난이도 상승, 제조 원가 상승 등이 발생하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따를 때 모두 해소된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도면에서 차단기(100)는 2극 차단기로 예시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극, 4극, ... N극 차단기에도 본 발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극 차단기에 본 발명 적용 시, N개의 순시 트립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순시 트립 장치의 고정 마그넷(280)에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결합/설치함으로써 순시 및 누전 트립 동시 수행이 가능한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순시 트립 장치의 구성 부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구성 부품을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는 순시 트립 동작을 위한 고정 마그넷(280) 및 가동 마그넷(2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마그넷(280)은,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혹은 'U'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마주보는 제1 및 제2 기둥(280-1, 280-2)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마그넷(250)은,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동 아마추어(250-1)와 요크(250-2)(예를 들어, 복귀 스프링 겸용 요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 아마추어(250-1)는 고정 마그넷(280)에 자기 흡인력이 증가함에 따라(또는 기설정된 흡인력을 초과함에 따라) 고정 마그넷(280) 측으로 강제 회동되어 고정 마그넷(280)과 접촉되는 구성/부품에 해당할 수 있다. 가동 아마추어(250-1)는 'ㄱ'자 형상과 같이 1차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절곡된 부위를 중심으로 제1 부위(250-1a) 및 제2 부위(250-1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부위(250-1a)는 고정 마그넷(280)과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부위이며, 요크(250-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위(250-1b)는 트립 래치(240)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가동 아마추어(250-1)의 회동에 의해 트립 래치(240)를 특정 방향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결과 트립 래치(240)와 래버(230)간의 구속이 해지되어 차단기(100) 전원이 오프되는 트립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요크(250-2)는 일단이 가동 아마추어(250-1)(특히, 제1 부위(250-1a))에 고정되며, 가동 아마추어(250-1)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요크(250-2)는 탄성력이 있는 소재/재료로 제작되어, 자기 흡인력이 감소함에 따라(또는 기설정된 흡인력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가동 아마추어(250-1)를 고정 마그넷(280)과 분리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동 마그넷(250)은, 본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동 아마추어(250-1)의 제1 부위(250-1a)가 고정 마그넷(280)의 상측에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치/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마그넷 지지대(미도시)가 차단기에 도입될 수 있다. 가동 마그넷(250)의 요크(250-2)와 고정 마그넷(280)이 마그넷 지지대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차단기 내에 설치/고정될 수 있는데, 마그넷 지지대를 통한 구체적인 설치/고정 방법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는, 고정 마그넷(280) 및 가동 마그넷(250)에 추가로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전 트립 코일부(810)는 고정 마그넷(280)에 고정되는 고정용 보빈(270), 고정용 보빈(270) 상에 복수회(예를 들어, 수백~수천회) 권선되는 누전 트립 코일(260)을 포함할 수 있다. 누전 트립 코일부(810)는, 고정용 보빈(270)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에 고정 마그넷(280)의 제1 또는 제2 기둥(280-1, 280-2)이 삽입됨으로써 고정 마그넷(280)과 결합될 수 있다. 누전 트립 코일부(810) 역시 마그넷 지지대(미도시)에 장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고정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4에서 예시한 부품들이 마그넷 지지대(미도시)에 고정/장착/설치되면 제1 순시 트립 장치/어셈블리(110-1)로, 도 5에서 예시한 부품들이 마그넷 지지대(미도시)에 고정/장착/설치되면 제2 순시 트립 장치/어셈블리(110-2)로 구분/기능하게 된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그넷 지지대에 대한 고정 마그넷 및 누전 트립 코일부의 고정/설치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차단기(100) 내에서 고정 마그넷(280), 가동 마그넷(250) 및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마그넷 지지대(610)(또는 지지/수납/고정 케이스)가 도입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대(610)에는 고정 마그넷(280) 및 가동 마그넷(250)의 각 부품이 삽입/장착/수납되기 위한 영역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영역에 삽입된 부품을 물리적으로 고정/안착시키기 위한 다양한 고정 수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넷 지지대(610)에는, 각 부품의 경계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용 후크(710, 720)(또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넷 지지대(610)에 삽입된 부품은, 경계 영역이 고정용 후크(710, 720)에 안착됨으로써 마그넷 지지대(6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 및 7(a)를 참조하면, 마그넷 지지대(610)에는 고정 마그넷(280)을 마그넷 지지대(6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용 후크(71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정 마그넷(280)에는 제1 및 제2 기둥부(280-1, 280-2) 각각의 양 측부 중 고정용 후크(7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함몰된 제1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마그넷(280)은, 마그넷 지지대(61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마그넷 고정/수납 영역에 삽입된 후, 고정 마그넷 고정/수납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용 후크(710)가 제1 및 제2 홈에 안착됨으로써 마그넷 지지대(6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 7(b) 및 8을 참조하면, 마그넷 지지대(610)에는 고정 마그넷(280)에 결합/장착/체결된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측으로 돌출된 보빈 고정용 후크(7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누전 트립 코일부(810)는, 고정 마그넷(280)과 결합/장착/체결된 후, 고정용 보빈(270)(특히, 고정용 보빈(270)의 경계 영역)이 보빈 고정용 후크(720)(특히, 보빈 고정용 후크의 하측)에 안착됨으로써 마그넷 지지대(6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넷 지지대(610)는 내부에 고정되는 부품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해 각 부품의 경계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기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기둥들 사이에 미리 정해진 부품이 삽입됨으로써 마그넷 지지대(610) 상에 고정/장착/결합/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고정용 후크(710, 720)는 이러한 기둥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둥들 사이에 삽입된 부품은 최상단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후크(710, 720)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마그넷 지지대(610)에 고정/안착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마그넷 지지대에 대한 가동 마그넷의 고정/설치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그넷 지지대(610)에서, 고정 마그넷 고정/수납 영역의 후측에, 가동 마그넷(250)을 고정/수납하기 위한 가동 마그넷 고정/수납 영역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마그넷 고정/수납 영역에는 상호 대향하여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기둥(610-1, 610-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기둥(610-1, 610-2)(예를 들어, 외곽에 위치한 제2 기둥(610-2))의 최상단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후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요크(250-2)의 지지대 상에는, 후크 높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동 마그넷(250)은, 요크(250-2)가 제1 및 제2 기둥(610-1, 610-2) 사이에 삽입된 후, 후크가 요크의 관통홀에 안착/체결됨으로써 가동 마그넷(250)이 마그넷 지지대(6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10 및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 지지대(610)에 고정 마그넷, 가동 마그넷, 누전 트립 코일부가 고정/설치/체결된 후, 전극과 연결된 제1 전선부(320)가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함으로써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가 구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순시 트립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2를 참조하면, 전원측(예를 들어, Line극) 단자(1110)를 통해 유입된 전류는 제2 전선부(1160)에 의해 형성된 전로를 따라 본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통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는 전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측 단자(1110)를 통해 유입된 전류는 제1 전선부(320)를 통해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의 고정 마그넷(280)을 통과하여 부하측 단자(1170)로 통전될 수 있다. 또한, 부하측 단자(1170)를 통과한 전류는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의 고정 마그넷(280)을 통과하여 제1 전선부(320)를 통해 반대 전원측(예를 들어, neutral극) 단자로 통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의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하는 전류의 방향은 상호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280) 내부에 전류가 통전됨에 따라, 통전된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여 고정 마그넷(280)의 자기 흡인력(또는 자속 밀도)이 증가할 수 있다. 자기 흡인력이 가동 마그넷(250)을 끌어들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즉, 기설정된 흡인력 이하인 경우)에는 가동 마그넷(250)이 고정 마그넷(280) 쪽으로 이동하지 않아 고정 마그넷(280)과의 비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자기 흡인력이 가동 마그넷(250)을 끌어들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게 형성된 경우에는(즉, 기설정된 흡인력을 초과한 경우) 가동 마그넷(250)이 고정 마그넷(280)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정 마그넷(280)과 접촉될 수 있다. 그 결과,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비사고/일반 전류가 고정 마그넷(280)에 통전되는 경우에는 가동 마그넷(250)과 고정 마그넷(280)간의 비접촉 상태가 유지되다가,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사고 전류가 고정 마그넷(280)에 통전되는 경우에는 고정 마그넷(280)의 자기 흡인력에 의해 가동 마그넷(250)과 고정 마그넷(280)이 접촉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3 및 14(a)를 참조하면, 가동 및 고정 마그넷(250, 280)간 비접촉 상태에서, 가동 아마추어(250-1)의 제2 부위(250-1b)는 트립 래치(240)와 대향/접촉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트립 래치(240)는 래버(230)와 구속되고(1310), 래버와(230)의 구속력을 기반으로 차단기(100)의 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을 차단기(100)의 전원 핸들(21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가동 마그넷(250)을 고정 마그넷(280) 측으로 이동/가동시키기 위한 기설정된 흡인력은, 트립 래치(240)와 래버(230)간의 구속력(1310)을 극복/해지하는 힘과 요크(250-2)의 탄성력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트립 래치(240)와 래버(230)간의 구속력(1310)을 극복/해지함과 동시에 요크(230-2)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크기를 초과하는 자기 흡인력이 고정 마그넷(280)에 발생하는 경우에만, 가동 마그넷(250)이 고정 마그넷(280)으로 가동/이동할 수 있다.
도 13 및 14(b)를 참조하면, 이렇듯 기설정된 흡인력을 초과하는 자기 흡인력이 고정 마그넷(280)에 발생한 경우, 가동 아마추어(250-1)의 제1 부위(250-1a)가 고정 마그넷(280) 방향으로 이동/가동하게 되어 가동 아마추어(250-1)와 고정 마그넷(280)이 상호 접촉될 수 있다(도 13 및 14(b)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 경우, 비접촉 상태에서 트립 래치(240)와 접촉되어 있던 가동 아마추어(250-1)의 제2 부위(250-1b)가, 제1 부위(250-1a)의 이동에 따라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트립 래치(240)를 일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도 13 및 14(b)의 화살표 방향 참조). 트립 래치(240)는 래버(230)와 구속(1310)되어 차단기(100)의 핸들(210)이 온 상태(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점을 형성하기 때문에, 트립 래치(240)가 밀려남에 따라 래버(230)와의 구속이 해지/붕괴(1320)되어 지지점을 이탈하게 되고, 그 결과 핸들(210) 온 상태 유지력이 상실되어 핸들(210)은 오프 상태(고정 접촉자(310)와 가동 접촉자(300)가 비접촉된 상태, 즉 트립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즉, 순시 트립 동작).
일반적으로 자기력(즉, 자기 흡인력)은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고, 전류의 크기는 도체의 권선수에 비례하다. 따라서,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하는 제1 전선부(320)의 권선수를 증감하여 고정 마그넷(280)에 흐르는 자기 흡인력의 크기를 증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단기(100)의 정격 구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전선부(320, 1160)는, 외부가 절연 재료로 커버되어 다른 부품들(예를 들어, 고정 마그넷, 가동 마그넷, 누전 트립 코일부 등)과의 절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및 제2 전선부(320, 1160)의 절연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제1 전선부(320)의 권선수를 증감하여 정격 구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전선부(320) 권선수 증감을 통한 정격 구분 제작 실시예는 도 16 내지 1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누전 트립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누전 트립 동작은 순시 트립 동작과는 달리,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하는 전류 크기를 기반으로 수행되지 않고, 누전 트립 코일부(810)라는 별도 부품을 사용하여 고정 마그넷(280)을 자화시키는 원리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누전 트립 동작은 영상 변류기(ZCT)의 출력 전압을 이용한 전자 회로를 통해 누전 트립 코일(260)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고정 마그넷(280)을 자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영상 변류기(ZCT)는 내측 구멍을 통해 입출력되는 전류의 벡터 합이 0인 경우는 전압/전류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나, 그 외의 경우(즉, 누전 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전류 차 크기에 비례하여 전압/전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누전 트립 동작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우선, 영상 변류기(ZCT)는 전원측 단자와 연결된 제2 전선부(116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벡터 합(예를 들어, 영상 변류기(ZCT)를 관통하는 Line 극 제2 전선부(1160)와, Neutral 극의 제2 전선부(1160) 사이의 벡터 전류의 합)이 0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일, 전류의 벡터 합이 0이 아닌 경우, 영상 변류기(ZCT)는 누전 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여 전류/전압 신호를, 누전 차단기용 누전 검출 회로를 통해 누전 트립 코일(260)에 전압이 가해지도록 하여 누전 트립 코일(260)에 전류가 흐르게 할 수 있다. 누전 트립 코일(260)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의 고정 마그넷(280)은 자화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흡인력을 초과하는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는 경우, 가동 마그넷(250)이 고정 마그넷(280) 측으로 이동하여 상호 접촉될 수 있다.
가동 마그넷(250)의 이동/가동에 따라 트립 래치(240)와 래버(230)간의 구속이 해지되어 차단기(10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은 앞서 도 12 및 13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전 트립 장치(즉,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는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의 고정 마그넷(280)에 삽입하는 간단한 조립만으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전체 조립 부품 수 및 조립 복잡도가 감소하여 제조 원가 및 시간이 절약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에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삽입/결합시켜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에서 누전 트립 코일부(810)를 해지/분리하여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누전 트립 코일부(810)는 N극 차단기에 구비되어 있는 N개의 고정 마그넷(28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으며, 누전 트립 코일부(810)와 결합된 고정 마그넷(280)이 포함된 순시 트립 장치(110-2)는 순시 트립 동작과 동시에 누전 트립 동작을 이중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선부의 권선 증감 실시예를 예시한 개념도들이다.
특히, 도 17 및 19는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의 평면도, 도 18은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의 정면도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개념도들에 해당한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제1 전선부(320)는 크게 line극으로부터 연결되어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의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하는 line극 연결 전선(1610)과,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의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하여 neutral 극으로 연결되는 neutral 연결 전선(16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line극 연결 전선(1610)과 neutral 연결 전선(1620)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평면 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으며, 각 고정 마그넷(280)을 통과하는 Line극 연결 전선(1610) 및 neutral 연결 전선(1620)에 의해, 1회 권선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기력은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고, 전류의 크기는 도체의 권선수에 비례하다. 따라서, 고정 마그넷(280)을 관통하는 제1 전선부(320)의 권선수를 증감하여 고정 마그넷(280)에 흐르는 자기 흡인력의 크기를 증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단기(100)의 정격 구분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선부(320)의 권선수 증감은,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 마그넷(280)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기둥(280-1, 280-2)을 중심으로 제1 전선부(320)가 수회 권선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순시 트립 장치(110-1)에 대해서는 제1 및 제2 기둥(280-1, 280-2) 중 어느 하나의 기둥에 제1 전선부(320)가 N회 권선됨으로써 권선 수를 증감할 수 있으며, 제2 순시 트립 장치(110-2)에 대해서는 누전 트립 코일부(810)가 결합되지 않은 기둥(280-1, 280-2)에 제1 전선부(320)가 N회 권선됨으로써 권선 수를 증감할 수 있다.
차단기 제조업자는, 차단하고자 하는 사고/누전 전류가 제1 전선부(320)를 따라 통전됨에 따라 트립 래치(240) 및 래버(230)간의 구속력 및 요크(250-2)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크기(기설정된 흡인력을 초과한 크기)로 자기 흡인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권선수를 적절하게 조절/가감할 수 있다. 이러한 권선수의 조절 자유도를 기초로, 차단기 제조업자는 순시 트립 장치(110-1, 110-2)의 크기를 작게 설계도 가능하여, 차단기(100)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 제품의 경우, 고정 마그넷(280)과 제1 전선부(320)가 일체화되어 있어 권선수가 1회에 그치는 경우가 많으나, 본 발명의 경우 고정 마그넷(280)과 제1 전선부(320)간에 절연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권선수 조절이 용이하여, 정격 전류 제품 제작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20 및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조립 완성도를 예시한다. 특히,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조립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조립 정면도를 각각 예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누전 순시 이중 트립 장치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사고 전류 발생 시 순시 트립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 및
    상호 구속력을 기반으로 상기 차단기의 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력을 상기 차단기의 전원 핸들에 제공하는, 트립 래치 및 래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 각각은,
    상기 사고 전류가 흐르면 자기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고정 마그넷;
    상기 고정 마그넷과 인접한 위치에 상기 고정 마그넷과 비접촉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 마그넷의 자기 흡인력에 따라 상기 고정 마그넷과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가동 마그넷; 및
    상기 고정 마그넷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기설정된 방향의 전로를 형성하는, 제1 전선부; 를 공통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제2 순시 트립 장치는, 상기 고정 마그넷에 고정되는 누전 트립 코일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순시 트립 동작에 추가로 누전 전류에 대한 누전 트립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가동 마그넷은,
    상기 자기 흡인력이 기설정된 흡인력을 초과함에 따라 상기 고정 마그넷 측으로 강제 회동되어 상기 고정 마그넷과 접촉되는, 가동 아마추어; 및
    일단이 상기 가동 아마추어부에 고정되며, 상기 자기 흡인력이 상기 기설정된 흡인력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상기 고정 마그넷과 접촉된 상기 가동 아마추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요크; 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아마추어는,
    1차 절곡된 'ㄱ' 형상을 가지며, 절곡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 마그넷과 접촉 또는 비접촉되며, 상기 요크와 연결되는, 제1 부위; 및
    상기 차단기 내에서 상기 트립 래치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부위; 로 구분되며,
    상기 사고 전류 발생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흡인력을 초과하는 자기 흡인력이 상기 제1 및 제2 순시 트립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 마그넷에 발생한 경우:
    상기 자기 흡인력에 의해 상기 가동 아마추어의 제1 부위가 상기 고정 마그넷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위가 상기 트립 래치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트립 래치가 밀려남에 따라 상기 트립 래치 및 상기 래버간의 구속이 해지되고,
    상기 구속이 해지됨에 따라 상기 유지력이 상실되어 상기 차단기가 오프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순시 트립 동작이 수행되는, 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흡인력은,
    상기 트립 래치와 상기 래버간의 상기 구속력을 극복하는 힘의 크기를 기초로 결정되는, 차단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 트립 코일부는,
    상기 고정 마그넷에 고정되는, 고정용 보빈; 및
    상기 고정용 보빈에 권선된 누전 트립 코일; 을 포함하는, 차단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전 트립 코일부는, 상기 고정용 보빈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 상기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제1 또는 제2 기둥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마그넷에 고정되는, 차단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 전류를 감지하는, 영상 변류기; 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 전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영상 변류기가 상기 누전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를 상기 누전 트립 코일부로 출력하고,
    상기 누전 트립 코일부에 상기 전류가 흐름에 따라 상기 고정 마그넷에 상기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는, 차단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 전류 발생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흡인력을 초과하는 자기 흡인력이 상기 제2 순시 트립 장치의 고정 마그넷에 발생한 경우,
    상기 자기 흡인력에 의해 상기 가동 아마추어의 제1 부위가 상기 고정 마그넷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2 부위가 상기 트립 래치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밀어내고,
    상기 트립 래치가 밀려남에 따라 상기 트립 래치 및 상기 래버간의 구속이 해지되고,
    상기 구속이 해지됨에 따라 상기 유지력이 상실되어 상기 차단기가 오프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누전 트립 동작이 수행되는, 차단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가동 마그넷을 고정 및 지지하는, 마그넷 지지대;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마그넷 지지대에는, 내부에 삽입된 고정 마그넷 및 가동 마그넷을 고정하기 위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차단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둥부 각각의 양 측부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 및 제2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마그넷은, 상기 마그넷 지지대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마그넷 고정 영역에 삽입된 후, 상기 고정 마그넷 고정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가 상기 제1 및 제2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마그넷 지지대 상에 고정되는, 차단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지지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 마그넷은, 상기 가동 마그넷 고정 영역에 삽입된 후, 상기 가동 마그넷 고정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가 상기 관통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가동 마그넷이 상기 마그넷 지지대 상에 고정되는, 차단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부는 상기 고정 마그넷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기둥을 중심으로 적어도 1회 권선되며,
    상기 사고 전류 및 상기 누전 전류 발생 시 고정 마그넷에서 발생하는 자기 흡인력은 상기 제1 전선부의 권선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차단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부외 외부는 절연 재료로 커버되어 상기 고정 마그넷 및 상기 가동 마그넷과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차단기.
KR1020210085789A 2021-06-30 2021-06-30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358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89A KR102358819B1 (ko) 2021-06-30 2021-06-30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89A KR102358819B1 (ko) 2021-06-30 2021-06-30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819B1 true KR102358819B1 (ko) 2022-02-08

Family

ID=80252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789A KR102358819B1 (ko) 2021-06-30 2021-06-30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8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315U (ko) * 2010-01-15 2011-07-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과전류 차단기의 순시 코일 병렬 설치 구조
KR20160117047A (ko) * 2015-03-31 2016-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2155219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관통형 온도감지 차단기
KR102159006B1 (ko) * 2020-02-28 2020-09-23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공용 순시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315U (ko) * 2010-01-15 2011-07-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과전류 차단기의 순시 코일 병렬 설치 구조
KR20160117047A (ko) * 2015-03-31 2016-10-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KR102159006B1 (ko) * 2020-02-28 2020-09-23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공용 순시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02155219B1 (ko) * 2020-05-12 2020-09-1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아마츄어 관통형 온도감지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148B2 (en) Contact device
JP5856426B2 (ja)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CN101770907B (zh) 用于断路器的跳闸机构
EP2261944B1 (en) Circuit breaker
US5327112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of the type of a relay
KR102358819B1 (ko) 전로와 절연된 구조의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 및 순시 누전 이중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JPH02226634A (ja) 電気スイッチ用トリップ装置およびこのトリップ装置を備えた電気スイッチ
US20120250206A1 (en) Compact residual current breaker with overcurrent protection
CN203553079U (zh) 两极集成多功能断路器
JP6695296B2 (ja) 電磁開閉器
JP5568049B2 (ja) 回路遮断器
KR102159006B1 (ko) 공용 순시 트립 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20150029165A (ko) 차단기
KR102423488B1 (ko)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KR200266485Y1 (ko) 가정용 소형 차단기
CN112840429B (zh) 触点开闭器
JP2721551B2 (ja) 電流検出装置
US11501940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electrical switching unit including this actuator
US20240038474A1 (en) Plug-in summation current transformer module, rail-mounted device, and assembly method
JP7020179B2 (ja) 漏電遮断器
CN102005344B (zh) 框架式断路器的脱扣装置
JP3354722B2 (ja) 漏電遮断器
KR101098930B1 (ko)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JP4938434B2 (ja) 回路遮断器
JP2011100606A (ja) 漏電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