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347B1 -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 Google Patents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347B1
KR102358347B1 KR1020200071285A KR20200071285A KR102358347B1 KR 102358347 B1 KR102358347 B1 KR 102358347B1 KR 1020200071285 A KR1020200071285 A KR 1020200071285A KR 20200071285 A KR20200071285 A KR 20200071285A KR 102358347 B1 KR102358347 B1 KR 10235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tion
snare
polyp
string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353A (ko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347B1/ko
Priority to PCT/KR2021/007182 priority patent/WO2021251738A1/ko
Publication of KR2021015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17/12013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58Snares for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61B2018/141Sn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이드슬릿을 통해 측방향으로 개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단부에 장착된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바디와 연장튜브에 수용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고, 외부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사용 시 연장튜브의 외부로 노출되어 용종을 포획 절제하는 스네어와; 상기 바디와 연장튜브에 수용되며, 스네어와 함께 용종을 포획하고, 스네어가 용종을 절제하기 전에 결찰을 수행하는 결찰기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는, 지혈을 위한 결찰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클립이나 엔도루프의 필요 없이, 그 자체로 지혈과 용종 제거를 순차 수행할 수 있어 그만큼 편리한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네어와 결찰끈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용종의 목부위가 짧은 경우에도 공간적 어려움 없이 결찰과 용종 절제를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Snare device for polyp ablation with ligation mechanism}
본 발명은 체내 용종을 제거하기 위한 스네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혈 예방을 위한 결찰기구가 자체적으로 구비되므로, 유경성 용종의 절제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내 내시경 검사를 하는 동안 용종이 발견되는 경우, 내시경장치의 워킹채널(working channel)을 통해 체내로 스네어(snare) 장치를 삽입하여 용종을 절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스네어 장치는, 발견된 용종 등의 돌기조직 등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워킹채널을 통과하는 플렉시블튜브,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스네어, 플렉시블튜브의 내부에 내장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고주파전류를 스네어로 전달하는 전력선 등을 구비한다.
스네어 장치를 이용해 용종을 제거하는 방법은, 스네어를 용종에 근접시켜 용종을 포획한 상태로, 스네어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용종은 고주파열에 의해 절제되고 용종이 떨어져 나가고 남은 부분은 소착된다.
그런데 유경성 용종(pedicle polyp)은, 다른 형태의 용종에 비해 혈관이 발달되어 있어, 용종 제거 시 출혈의 위험성이 크다. 이러한 이유로, 유경성 용종을 절제하기 위해서는, 출혈 예방을 위한 클립이나 엔도루프(endo loop)를 이용해, 용종의 목부위를 먼저 결찰(ligation) 한 후 용종 절제를 수행한다. (굳이 유경성 용종이 아니더라도 출혈이 예상되는 경우, 출혈 예방을 위해 클립이나 엔도루프를 채우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종래의 유경성 용종 제거 방법은, 출혈 예방을 위한 결찰과정과 용종 제거과정의 두 단계를 포함하므로, 시술이 번거롭고 특히 용종의 형상에 따라 결찰 후 용종 포획이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38589호를 통해, 생체조직 제거용 이중 스네어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스네어 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홀이 형성된 튜브와; 튜브의 단부에 설치되고 튜브 주변영역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홀 내부에 삽입되는 조작와이어와; 조작와이어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조작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튜브의 선단부 일측이 외경 일측을 가압하는 경우 내경이 축소되면서 생체조직의 일측에 접촉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하여 생체조직을 제거하는 조직 제거용 올가미와;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되 조직 제거용 올가미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조직 제거용 올가미의 선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튜브의 외부로 노출된 선단부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생체조직을 고정하는 출혈방지용 올가미; 및 선단부가 튜브의 외부로 노출되어 후단부가 선단부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생체조직을 고정하는 출혈방지용 올가미; 및 출혈방지용 올가미의 일측에 설치되고, 조작와이어가 이동함에 따라 튜브의 선단부에 지지되어 출혈방지용 올가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출혈방지용 올가미의 외경을 가압하여 출혈방지용 올가미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함과 동시에 축소된 출혈방지용 올가미의 형상을 유지하는 밴드부를 포함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38589호 (생체조직 제거용 이중 스네어 장치)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68660호 (의료용 스네어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클립이나 엔도루프의 필요 없이 그 자체로 지혈과 용종 제거를 순차 수행할 수 있어 그만큼 편리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고, 용종의 목부위가 짧은 경우에도 공간적 어려움 없이 결찰과 용종 절제를 진행할 수 있는,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이드슬릿을 통해 측방향으로 개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단부에 장착된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바디와 연장튜브에 수용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고, 외부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사용 시 연장튜브의 외부로 노출되어 용종을 포획 절제하는 스네어와; 상기 바디와 연장튜브에 수용되며, 스네어와 함께 용종을 포획하고, 스네어가 용종을 절제하기 전에 결찰을 수행하는 결찰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찰기구는; 올가미 형태의 결찰부를 제공하고, 상기 전력선과 평행하게 연장된 결찰끈과, 상기 결찰부가 용종을 포획한 상태에서 결찰끈을 당겨 결찰부로 하여금 결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인장수단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결찰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스네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인장수단으로 결찰끈을 인장할 때 스네어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상기 결찰끈은, 비신축성 끈으로서, 일단부는 구부러져 상기 결찰부를 이루고, 타단부는 상기 바디 내부로 연장되어 인장수단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결찰끈에는, 상기 결찰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결찰끈고정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결찰끈고정부는; 상기 결찰끈의 일단부에 고정된 제1톱니튜브와, 상기 결찰끈의 다른 부분에 고정되며 제1톱니튜브와 치합하고, 상기 인장수단의 인장력을 제1톱니튜브로부터 전달받는 제2톱니튜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장수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결찰끈을 감는 보빈과, 상기 바디의 외측에 위치하고 보빈과 연결되어 보빈을 회전시키는 결찰다이얼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빈의 회전 중심축부에는, 결찰다이얼 방향으로 개방된 다각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찰다이얼은; 상기 다각홈에 수용되는 다각판, 상기 다각판에 일체를 이루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다이얼을 포함하고, 결착다이얼은, 상기 보빈에 링크된 상태로 보빈에 대해 진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조작다이얼에는 다수의 돌기형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여 조작다이얼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파킹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는, 지혈을 위한 결찰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클립이나 엔도루프의 필요 없이, 그 자체로 지혈과 용종 제거를 순차 수행할 수 있어 그만큼 편리한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네어와 결찰끈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 용종의 목부위가 짧은 경우에도 공간적 어려움 없이 결찰과 용종 절제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네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테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결찰다이얼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네어 장치에 적용되는 결찰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네어 장치를 이용한 용종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네어 장치는, 용종에 대한 결찰과 절제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자체적으로 가진다. 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이드슬릿을 통해 측방향으로 개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단부에 장착된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바디와 연장튜브에 수용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고, 외부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사용 시 연장튜브의 외부로 노출되어 용종을 포획 절제하는 스네어와; 상기 바디와 연장튜브에 수용되며, 스네어와 함께 용종을 포획하고, 스네어가 용종을 절제하기 전에 결찰을 수행하는 결찰기구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네어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스네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네어 장치(10)는, 바디(11), 지지튜브(29), 연장튜브(31), 전력선(23), 스네어(35), 결찰기구(도 6의 41)를 구비한다.
바디(1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이드슬릿(11a)을 통해 측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1g)을 갖는다. 내부공간(11g)에는, 보빈(17)과, 전력선(23) 및 피복(25)의 일부가 수용된다. 또한 바디(11)의 후단부에는 손가락걸이부(11e)가 마련되어 있다. 손가락걸이부(11e)는 시술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구멍(11f)을 제공한다. 손가락걸이부(11e)에 엄지를, 후술할 슬라이더(13)의 관통구멍(13c)에 검지와 중지를 넣고, 슬라이더(13)를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슬라이더(13)를 당김에 의해 스네어(35)가 용종을 죄게 된다.
아울러, 바디(11)의 측부에는 다이얼시트(11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이얼시트(11b)는 결찰다이얼(21)이 장착되는 돌출부로서 중앙부가 개방되어 있다. 내부공간(11g)이 다이얼시트(11b)를 통해서도 외부로 개방되는 것이다. 다이얼시트(11b)의 내향면에는 지지홈(11d)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홈(11d)은 보빈(17)의 수용링부(17a)가 끼워지는 홈이다. 보빈(17)은 지지홈(11d)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축 S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다이얼시트(11b)의 외향면에는 다수의 파킹홈(11c)이 마련되어 있다. 파킹홈(11c)은 회전축(S)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후술할 스토퍼(21b)를 수용한다.
한편, 슬라이더(13)는, 바디(11)에 지지된 상태로,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한 관통구멍(13c) 이외에 단자통로(13e)를 더 갖는다. 단자통로(13e)는 단자(27)를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단자(27)는 사이드슬릿(11a)을 통과해 단자통로(13e) 내부로 들어가 외부의 전력공급수단과 결합하고, 슬라이더(13)의 직선 이동시 사이드슬릿(11a)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전력선(23)은 단자(27)와 접속되며 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력을 스네어(35)로 전달한다. 전력선(23)은 피복(25)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 피복(25)은 전력선(23)을 수용하며 일측에 단자고정부(25a)를 갖는다. 단자고정부(25a)는, 슬라이더(13)의 슬라이딩 이동 시, 단자(27)를 통해 전달되는 힘의 일부를 받아, 전력선(23)과 단자(27)의 접합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튜브(29)는 바디(11)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직선형 튜브로서 전력선(23)을 통과시킨다. 지지튜브(29)는 바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전력선(23)의 꺾임을 방지한다.
연장튜브(31)는 바디(11)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요성 튜브이다. 연장튜브(31)와 바디(11)의 연결부분은 지지튜브(29)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튜브(29)는 연장튜브(31)의 일부를 수용한 상태로, 연장튜브(31)가 급격히 꺾이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튜브(31)는 내시경의 워킹채널을 통과해 용종에 근접한다.
상기 전력선(23)은 연장튜브(3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커플러(33)를 통해 스네어(35)와 접속된다. 커플러(33)는 전력선(23)과 스네어(35)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성 접속 부재이다. 단자(27)에 인가된 전력은 전력선(23)과 커플러(33)를 거쳐 스네어(35)로 전달된다.
스네어(35)는, 체내 용종을 둘러싼 상태로 조여져 용종을 절단하는 것으로서, 그 양단부가 커플러(33)의 내부에 모아진 상태로 전력선(23)과 접속한다. 전력선(23)을 통해 공급된 고주파전류는 스네어(35)로 인가되어 용종을 절제한다.
이러한 스네어(35)는, 사용하기 전에는 연장튜브(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연장튜브(31)의 선단부가 용종에 접근한 후 슬라이더(13)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연장튜브(31) 외부로 노출되어 펼쳐져 올가미의 형태를 취한다.
또한 용종을 포획한 상태로 슬라이더(13)를 화살표 a방향으로 당기면,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종이 연장튜브(31)의 선단면 사이에서 조여지게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하면 용종의 절제가 이루어진다.
한편, 결찰기구(41)는, 도 7a 내지 7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네어(35)와 함께 용종을 포획하고, 스네어(35)가 용종을 절제하기 전에 용종(100)의 목부(101)에 대한 결찰을 먼저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네어 장치(10)에 적용되는 결찰기구(4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찰기구(41)는, 결찰끈(43)과, 결찰끈고정부(45)와, 인장수단으로서의 보빈(17) 및 결찰다이얼(21)을 포함한다.
결찰끈(43)은, 비신축성 끈으로서, 일단부는 구부러져 올가미 형태의 결찰부(43a)를 이루고 타단부는 바디(11)의 내부에서 보빈(17)에 감긴다. 보빈(17)을 감음에 따라 결찰끈(43)은 화살표 c방향으로 당겨지며 목부(101)을 결착한다. 결찰끈(43)은 기존 엔도루프와 같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결찰끈(43)에는 다수의 절단부(43c)가 형성되어 있다. 절단부(43c)는 시술의 완료 후, 결찰끈(43)을 설정된 힘으로 인장할 때 절단되는 부분이다. 상기한 설정된 힘은, 결찰에 필요한 힘 보다 큰 힘을 의미한다. 절단부(43c)를 적용함으로써 도 7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 완료 후 용종의 목부(101)가 얼마간 결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결찰부(43a)는 다수의 연결부재(49)를 통해 스네어(35)에 고정된다. 연결부재(49)는 스네어(35)에 대한 결찰부(43a)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찰끈(43)을 화살표 f방향으로 당길 때 스네어(35)로부터 분리된다.
결찰끈고정부(45)는, 결찰부(43a)의 올가미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톱니튜브(45a)와 제2톱니튜브(45b)를 포함한다. 제1,2톱니튜브(45a,45b)는 결찰끈(43)을 통과시키는 튜브형 부재로서, 각각의 외주면에 톱니를 갖는다.
이러한 제1,2톱니튜브(45a,45b)는, 상호 치합한 상태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튜브(31)의 톱니튜브수용부(31a)에 수용된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장튜브(31)의 내부에 톱니튜브수용부(31a)가 마련되어 있고, 톱니튜브수용부(31a)에 제1,2톱니튜브(45a,45b)가 치합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톱니튜브수용부(31a)는 연장튜브(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통로로서, 제1,2톱니튜브(45a,45b)를 직선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여하튼, 제1톱니튜브(45a)와 제2톱니튜브(45b)가 치합한 상태에서, 결찰끈(43)을 도 6의 화살표 c방향으로 당기면, 제1톱니튜브(45a)가 제2톱니튜브(45b)에 견인되며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2톱니튜브(45a,45b)가 상호 물린 상태로 동시에 화살표 c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이다.
한편, 보빈(17)은 바디(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회전중심부에 다각홈(17c)과 샤프트구멍(17e)을 갖는다. 바디(11)의 내부에 보빈(1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브라켓(미도시)이 구비됨은 물론이다.
다각홈(17c)은 내주면이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홈으로서, 결찰다이얼(21)의 다각판(21e)을 수용한다. 샤프트구멍(17e)은 다각홈(17c)을 측방향으로 개방하는 구멍으로서 샤프트(21c)를 지지한다.
결찰다이얼(21)은 보빈(17)을 감거나 풀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다.
도 4는 결찰다이얼(2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결찰다이얼(21)은, 일정직경을 갖는 조작디스크(21a), 조작디스크(21a)의 중심축부에 고정되는 샤프트(21c), 샤프트(21c)의 단부에 결합되는 다각판(21e)을 구비한다. 또한 조작디스크(21a)의 내향면에는 다수의 스토퍼(21b)가 형성되어 있다.
다각판(21e)은 다각홈(17c)에 수용된 상태로 조작디스크(21a)의 회전력을 보빈(17)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토퍼(21b)는 샤프트(21c)를 중심으로 등각 배치되는 돌기로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파킹홈(11c)에 삽입 지지된다. 스토퍼(21b)는 파킹홈(11c)에 대한 삽입과 분리가 가능하다. 스토퍼(21b)가 파킹홈(11c)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디스크(21a)는 회전하지 못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결찰다이얼(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시트(11b)에 대향한 상태로 보빈(17)에 링크된다. 이 때, 결찰다이얼(21)의 샤프트(21c)가 샤프트구멍(17e)에 지지되고, 다각판(21e)이 다각홈(17c)에 수용됨은 물론이다.
상기 결찰다이얼(21)은, 다각판(21e)이 다각홈(17c)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살표 e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가령,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이얼시트(11b)로부터 분리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이얼시트(11b)에 고정되는 것이다.
결찰다이얼(21)이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하면, 파킹홈(11c)에 삽입되어 있던 스토퍼(21b)가 파킹홈(11c)으로부터 빠져 결찰다이얼(21)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파킹홈(11c)에 스토퍼(21b)를 맞춘 상태로 결찰다이얼(21)을 보빈(17) 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면, 스토퍼(21b)가 파킹홈(11c)에 끼워져 결찰다이얼(21)의 회전이 방지된다. 즉, 보빈(17)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 7a 내지 7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네어 장치(10)를 이용한 유경성 용종(100)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경성 용종은, 절제 시 많은 출혈을 동반하므로, 절제 전에, 반드시 목부(101)를 묶어야 한다.
도 7a 및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네어(35)와 결찰끈(43)을 용종(10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하강시켜, 용종(100)의 목부(101)가 스네어(35) 및 결찰끈(43)에 걸릴 수 있게 한다.
도 7b의 상태에서, 결찰다이얼(21)을 통해 보빈(17)을 회전시켜 결찰끈(43)을 도 7c의 화살표 f방향으로 당긴다. 이 때 스네어(35)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결찰끈(43)이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재(49)는 스네어(35)로부터 분리되고, 결찰끈(43)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부(101)를 걸어 연장튜브(31) 측으로 당긴다.
목부(101)가 결찰끈(43)에 의해 완전히 조여졌다면, 결찰다이얼(21)을 다이얼시트(11b) 측으로 이동시켜, 스토퍼(21b)가 파킹홈(11c)에 끼워지게 한다. 스토퍼(21b)가 파킹홈(11c)에 끼워짐에 따라 결찰끈(43)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용종(100) 절제에 대한 지혈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이어서, 슬라이더(13)를 이용해 스네어(35)를 도 7c의 화살표 h방향으로 당긴다. 도 7d는, 목부(101)가 스네어(35)와 결찰부(43a)에 의해 완전히 조여진 상태이다.
도 7d의 상태에서 단자(27)에 고주파전류를 인가하면, 스네어(35)에 조여지고 있는 부분이 고주파에 의해 절제 및 소작된다. 용종(100)이 절제되더라도 목부(101)가 결찰부(43a)에 의해 묶여 있으므로 출혈은 방지된다.
절제부위에 대한 적절한 후처리가 완료되었다면, 결찰다이얼(21)을 도 3의 화살표 e방향으로 빼낸 다음, 스네어(35)와 결찰부(43a)를 도 7f와 같이 들어 올려 외부로 빼낸다. 도 7g는 용종(100)의 절제 시술이 완료된 후의 모습이다. 목부(101) 상부의 용종(100)이 제거되어 있고, 목부(101)는 결찰부(43a)에 의해 결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스네어 장치 11:바디 11a:사이드슬릿
11b:다이얼시트 11c:파킹홈 11d:지지홈
11e:손가락걸이부 11f:관통구멍 11g:내부공간
13:슬라이더 13c:관통구멍 13e:단자통로
17:보빈 17a:수용릴부 17c:다각홈
17e:샤프트구멍 21:결찰다이얼 21a:조작디스크
21b:스토퍼 21c:샤프트 21e:다각판
23:전력선 25:피복 25a:단자고정부
27:단자 29:지지튜브 31:연장튜브
31a:톱니튜브수용부 33:커플러 35:스네어
41:결찰기구 43:결찰끈 43a:결찰부
43c:절단부 45:결찰끈고정부 45a:제1톱니튜브
45b:제2톱니튜브 49:연결부재 100:용종
101:목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이드슬릿을 통해 측방향으로 개방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단부에 장착된 가요성 연장튜브와; 상기 바디와 연장튜브에 수용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고, 외부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과; 상기 전력선의 선단부에 고정되며, 사용 시 연장튜브의 외부로 노출되어 용종을 포획 절제하는 스네어와; 상기 바디와 연장튜브에 수용되며, 스네어와 함께 용종을 포획하고, 스네어가 용종을 절제하기 전에 결찰을 수행하는 결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찰기구는; 올가미 형태의 결찰부를 제공하고, 상기 전력선과 평행하게 연장된 결찰끈과, 상기 결찰부가 용종을 포획한 상태에서 결찰끈을 당겨 결찰부로 하여금 결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인장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찰부는 연결부재를 통해 스네어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인장수단으로 결찰끈을 인장할 때 스네어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결찰끈은, 비신축성 끈으로서, 일단부는 구부러져 상기 결찰부를 이루고, 타단부는 상기 바디 내부로 연장되어 인장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결찰끈에는, 상기 결찰부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결찰끈고정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결찰끈고정부는; 상기 결찰끈의 일단부에 고정된 제1톱니튜브와, 상기 결찰끈의 다른 부분에 고정되며 제1톱니튜브와 치합하고, 상기 인장수단의 인장력을 제1톱니튜브로부터 전달받는 제2톱니튜브를 포함하는,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수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결찰끈을 감는 보빈과,
    상기 바디의 외측에 위치하고 보빈과 연결되어 보빈을 회전시키는 결찰다이얼을 갖는,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회전 중심축부에는, 결찰다이얼 방향으로 개방된 다각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찰다이얼은;
    상기 다각홈에 수용되는 다각판, 상기 다각판에 일체를 이루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다이얼을 포함하고,
    결착다이얼은, 상기 보빈에 링크된 상태로 보빈에 대해 진퇴 가능한,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다이얼에는 다수의 돌기형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스토퍼를 수용하여 조작다이얼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파킹홈이 형성된,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KR1020200071285A 2020-06-12 2020-06-12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KR10235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285A KR102358347B1 (ko) 2020-06-12 2020-06-12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PCT/KR2021/007182 WO2021251738A1 (ko) 2020-06-12 2021-06-09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285A KR102358347B1 (ko) 2020-06-12 2020-06-12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353A KR20210154353A (ko) 2021-12-21
KR102358347B1 true KR102358347B1 (ko) 2022-02-03

Family

ID=7884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285A KR102358347B1 (ko) 2020-06-12 2020-06-12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8347B1 (ko)
WO (1) WO202125173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860A (ja) * 2003-10-06 2005-04-28 Olympus Corp 医療用結紮装置
JP2014523764A (ja) * 2011-06-08 2014-09-18 センターハー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結紮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引張装置
KR101559273B1 (ko) 2015-02-25 2015-11-03 김창보 의료용 스네어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8683B2 (ja) * 2004-03-25 2011-02-23 テルモ株式会社 血管内異物除去吸引用カテーテル
WO2010042857A1 (en) * 2008-10-10 2010-04-15 Guided Delivery Systems Inc. Tether tension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6462396B2 (ja) * 2015-02-16 2019-01-30 国立大学法人鳥取大学 内視鏡用処置具
KR101768660B1 (ko) 2016-01-21 2017-08-18 (주)비엠에이 의료용 스네어 장치
KR20180029725A (ko) * 2016-09-13 2018-03-21 씨엠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의료용 스네어
KR102038589B1 (ko) 2017-11-15 2019-10-3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체조직 제거용 이중 스네어 장치
KR102172603B1 (ko) * 2018-06-27 2020-11-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장치 및 내시경 장치에 부착되는 폴립 회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860A (ja) * 2003-10-06 2005-04-28 Olympus Corp 医療用結紮装置
JP2014523764A (ja) * 2011-06-08 2014-09-18 センターハー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結紮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引張装置
KR101559273B1 (ko) 2015-02-25 2015-11-03 김창보 의료용 스네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738A1 (ko) 2021-12-16
KR20210154353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8391B2 (ja) 内視鏡縫合システム
US5814052A (en) Surgical cauterization snare with ligating suture
US5957936A (en) Instrument assemblies for performing anatomical tissue ligation
US5921993A (en) Methods of endoscopic tubal ligation
US7993354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turing
JP3635093B2 (ja) 自動縫合及び結紮器具
US6755843B2 (en) Endoscopic suturing device
US6733509B2 (en) Suture cutter
CA2366775C (en) Suture welding device
US200800156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doscopic treatment of tissue
WO2006082810A1 (ja) 医療用縫合結紮装置及び医療用縫合結紮具
EP1948027B1 (en) Tissue cutting devices having hemostasis capability
JP4782826B2 (ja) 結紮器
CN107736903B (zh) 用于微创缝合的设备和方法
US11992224B2 (en) Tether trac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860187B1 (ko) 종양 제거를 위한 스네어
KR102358347B1 (ko) 결찰기구가 구비된 용종 절제용 스네어 장치
WO2022054194A1 (ja) 内視鏡用処置具、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用処置具の使用方法
WO2022047653A1 (zh) 手柄机构、输送系统以及操作方法
KR102446312B1 (ko)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WO2021009836A1 (ja) 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WO2017090190A1 (ja) 結紮装置
KR101419116B1 (ko) 내시경용 연속 봉합기구를 위한 매듭장치
JPH0889513A (ja) 高周波切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