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307B1 -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307B1
KR102358307B1 KR1020210021998A KR20210021998A KR102358307B1 KR 102358307 B1 KR102358307 B1 KR 102358307B1 KR 1020210021998 A KR1020210021998 A KR 1020210021998A KR 20210021998 A KR20210021998 A KR 20210021998A KR 102358307 B1 KR102358307 B1 KR 10235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unit
semi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호
Original Assignee
박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호 filed Critical 박현호
Priority to KR102021002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9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tape handling mechanisms, e.g.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overing both elemen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29C65/7847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using vacuum to hold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80Rotatable transfer mean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i.e. turre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에 권취된 제1 필름을 권출하여 이송하는 선행롤러부와 선행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 필름을 권출하여 이송하는 후행롤러부로 이루어진 이송부와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송을 중지시키는 연결부 및 연결부에서 일시적으로 중지된 시간만큼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에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축적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SEMI-AUTOMATIC FILM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송을 중지시키고, 일시적으로 중지된 시간만큼 축적부에서 베이스로 권출되고 있는 기 필름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에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름 연결 장치는 광학필름(예를 들어, 편광판 등)의 제조를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필름 연결 장치는 특정 롤에 권취된 필름 원단(이하, 진행 필름)이 소진될 경우, 다른 롤에 권취된 필름 원단(이하, 대기 필름)과 교체하기 위하여, 진행 필름과 대기 필름을 절단한 후, 각각의 필름 단부를 연결 테이프로 접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필름 연결 장치는 진행 필름과 대기 필름의 접합부를 연결 테이프로 접합시키는 과정에서, 접합 공정이 완료된 후 연결 테이프 내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6524호(2020.07.16. 등록)인 '필름 연결 장치'를 살펴보면, 제1 필름을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제1 이송부와 제1 필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2 필름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접합 지점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와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접합부의 상부면에 부착될 제1 연결 테이프가 배치된 제1 부착 롤러와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접합부의 하부면에 부착될 제2 연결 테이프가 배치된 제2 부착 롤러 및 제1 이송부와 고정부와 절단부 및 제1 부착 롤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2 부착 롤러는 제1 부착 롤러의 접합 지점과 다른 지점에서 접합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제1 롤러로부터 이격된 제2 롤러까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지속적으로 중첩되고, 이를 위해 제1 연결테이프와 제2 연결테이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중첩되는 길이가 길고, 중첩되는 만큼 제1 연결테이프와 제2 연결테이프의 사용으로 인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65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송을 중지시키고, 일시적으로 중지된 시간만큼 축적부에서 베이스로 권출되고 있는 기 필름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에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새로운 구조의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하부실린더가 승강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부바디부를 회동하여 밀착롤러를 회전롤러에 접촉시켜, 제2 필름의 선단부 및 부착테이프의 일면에 제1 필름이 적층되어 접합부를 형성시키는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롤러에 권취된 제1 필름을 권출하여 이송하는 선행롤러부와 상기 선행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 필름을 권출하여 이송하는 후행롤러부로 이루어진 이송부;
상기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제1 필름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송을 중지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서 일시적으로 중지된 시간만큼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에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축적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메인바디부; 상기 제1 필름이 상기 메인바디부의 하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부의 내부로 이송해주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제1 필름을 상기 축적부로 이송하되, 상기 제1 필름의 말단과 상기 제2 필름의 선단을 압착시키는 연결챔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필름이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부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서브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챔버부는 상기 제1 필름의 진입을 위해 일측에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중앙에 회전축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하부바디부; 상기 하부바디부를 마주보며 위치하고 일측에 상기 제2 필름의 진입을 위해 회전하는 밀착롤러를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상부바디부; 상기 상부바디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2 필름을 일면에 부착하는 부착테이프를 구비한 석션챔버; 및 상기 밀착롤러의 외주면 일측에 공기를 흡입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상기 부착테이프의 타면을 흡착시키는 석션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챔버부는 상기 하부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이 통과하는 통과홀을 구비하는 하부실린더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된 상부실린더로 이루어진 펀칭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펀칭실린더는 상기 하부실린더가 승강하여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바디부를 회동하여 상기 밀착롤러를 상기 회전롤러에 접촉시켜, 상기 제2 필름의 선단부 및 상기 부착테이프의 일면에 상기 제1 필름이 적층되어 접합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챔버부는 상기 하부바디부의 하부 및 상기 상부바디부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적부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바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상부이송부; 및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이송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시 중단 시, 하강하여 하강된 거리만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하부이송부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는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송을 중지시키고, 일시적으로 중지된 시간만큼 축적부에서 베이스로 권출되고 있는 기 필름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에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해주기 때문에, 작업의 중단 없이 인라인 공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하부실린더가 승강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부바디부를 회동하여 밀착롤러를 회전롤러에 접촉시켜, 제2 필름의 선단부 및 부착테이프의 일면에 제1 필름이 적층되어 접합부를 형성시키는 단순한 작동으로 필름을 신속하게 연결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의 연결챔버부를 통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의 연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의 연결챔버부를 통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10)는 이송부(100), 연결부(200) 및 축적부(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10)는 롤러에 권취된 제1 필름을 권출하여 이송하는 선행롤러부(110)와 선행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 필름을 권출하여 이송하는 후행롤러부(120)로 이루어진 이송부(100),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송을 중지시키는 연결부(200) 및 연결부에서 일시적으로 중지된 시간만큼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에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축적부(3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송부(100)는 건물의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판의 상면을 필름으로 코팅 또는 압착하도록 필름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이송부(100)는 장판에 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연결부(200)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이송부(100)는 제1 필름이 권취된 선행롤러부(110)를 작동하고,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기 전에 제2 필름이 권취된 후행롤러부(120)를 작동하여 연결부(200)로 제2 필름을 이송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제1 필름은 현재 공정에 사용되는 필름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2 필름은 제1 필름이 소진될 경우 사용되는 대기 필름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 명세서의 도면에 표현되고 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롤러들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일정한 인장력이 발생되어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롤러들은 각 공정의 장치에 분해 후 조립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파손 및 고장으로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200)는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제2 필름을 제1 필름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송을 중지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연결부(200)는 메인바디부(210), 가이드롤러(220) 및 연결챔버부(230)를 더 포함한다.
메인바디부(210)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것으로 작업자가 내부에 배치되어 연결챔버부(2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가이드롤러(220)는 제1 필름이 메인바디부(210)의 하부를 통해 메인바디부(210)의 내부로 이송해주는 롤러이다.
즉, 가이드롤러(220)는 연결챔버부(230)의 하부로 제1 필름이 진입할 수 있도록 제1 필름을 가이드해주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챔버부(230)는 제1 필름을 축적부(300)로 이송하되, 제1 필름의 말단과 제2 필름의 선단을 압착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연결챔버부(230)는 하부바디부(231), 상부바디부(232), 석션챔버(233) 및 석션홀(234)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챔버부(2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형상의 메인챔버로 형성되고, 메인챔버의 내부에 하부바디부(231), 상부바디부(232) 및 석션챔버(233)가 배치된 것이다.
하부바디부(231)는 제1 필름의 진입을 위해 일측에 회전하는 회전롤러(231a)와 중앙에 회전축(a)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회전롤러(231a)는 제1 필름의 선단을 축적부(300)로 이송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프레임이 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동 시, 상부바디부(232)에 형성된 밀착롤러(232a)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부바디부(232)는 하부바디부(231)를 마주보며 위치하고 일측에 제2 필름의 진입을 위해 회전하는 밀착롤러(232a)를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밀착롤러(232a)는 제2 필름의 선단을 축적부(300)로 이송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프레임이 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동 시, 하부바디부(231)에 형성된 회전롤러(231a)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이로 인해, 제2 필름의 선단이 제1 필름의 말단에 적층되게 압착되어 다음 공정으로 필름을 이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석션챔버(233)는 상부바디부(232)의 일측에 이격되어 제2 필름을 일면에 부착하는 부착테이프를 구비한다.
특히, 석션챔버(233)는 복수개의 부착테이프를 구비하여 제2 필름을 일면의 일측에 부착시키고, 제2 필름이 소진될 시점에 제1 필름의 선단을 일면의 타측에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석션홀(234)은 밀착롤러(232a)의 외주면 일측에 공기를 흡입하는 홀을 형성하고, 홀에 부착테이프의 타면을 흡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2 필름이 부착된 부착테이프의 타면을 석션홀(234)에 위치시키면 부착테이프가 밀착롤러(232a)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이때, 밀착롤러(232a)가 중심을 기준으로 직각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롤러(231a)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송되는 제1 필름의 일면에 위치하면 석션홀(234)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는, 제2 필름이 축적부(300)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서 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10)의 연결챔버부(23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실린더(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펀칭실린더(235)는 하부바디부(231)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통과하는 통과홀을 구비하는 하부실린더(235a)와 상부바디부(232)의 타측에 형성된 상부실린더(235b)로 이루어진다.
특히, 펀칭실린더(235)는 하부실린더(235a)가 승강하여 회전축(a)을 기준으로 상부바디부(232)를 회동하여 밀착롤러(232a)를 회전롤러(231a)에 접촉시켜, 제2 필름의 선단부 및 부착테이프의 일면에 제1 필름이 적층되어 접합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펀칭실린더(235)는 상부실린더(235b)가 하강하여 회전축(a)을 기준으로 하부바디부(231)를 회동시키고, 제1 필름의 선단부 및 부착테이프의 일면에 제2 필름이 적층되어 접합부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10)에 있어서 연결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가이드롤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가이드롤러(240)는 제2 필름이 메인바디부(210)의 상부를 통해 메인바디부(21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롤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10)에 있어서 연결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250)는 하부바디부(231)의 하부 및 상부바디부(23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절단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절단부(250)는 커터칼날이 형성된 커터실린더(251)와 커터실린더(251)가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의 일면으로 접촉 후 통과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브라켓(252) 및 가이드브라켓(252)의 일측에 배치되어 커터칼날의 일부가 수용되는 커터홈(253)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절단부(250)는 제2 필름의 선단이 밀착롤러(232a)에 형성된 석션홀(234)에 흡착되는 경우, 제1 필름을 절단하여 후행롤러부(120)로부터 이송된 제2 필름의 선단이 제1 필름의 말단에 연결되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축적부(300)는 연결부(200)에서 일시적으로 중지된 시간만큼 제1 필름과 제2 필름의 길이를 조절하여 베이스에 연속적으로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축적부(300)는 가이드바(310), 상부이송부(320) 및 하부이송부(33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바(310)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바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부이송부(320)는 가이드바(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가이드바(310)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롤러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부이송부(320)는 연결부(200)의 일시 중단 시, 하강하여 하강된 거리만큼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하부이송부(33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이송부(330)는 가이드바(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롤러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선행롤러부(110)에서 권출된 제1 필름이 소진 시, 메인바디부(210)의 내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연결부(200)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지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이송부(320)는 중지되는 시간만큼 하부이송부(33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 권출되고 있는 제1 필름이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베이스에 공급되게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행롤러부(120)에서 권출되는 제2 필름의 선단을 석션챔버(233)에 구비된 부착테이프의 일면의 일측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부착테이프를 석션챔버(233)로부터 떼어낸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롤러(232a)에 형성된 석션홀(234)에 부착테이프의 타면을 흡착시킨다. 이를 위해, 석션홀(234)은 공기를 흡입하여 부착테이프의 타면이 밀착롤러(232a)에 견고하게 흡착되게 하고, 일시 중지하였던 연결부(200)의 작동을 실행한다.
그리고 밀착롤러(23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적부(300)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석션홀(234)이 하부바디부(231)에 위치한 회전롤러(231a)의 중심과 밀착롤러(232a)의 중심을 지나는 동일한 일직선상에 위치하면 부착테이프를 흡착하는 작동을 정지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실린더(235a)가 승강하여 상부실린더(235b)를 승강시킴으로써, 상부바디부(232)가 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이로 인해, 밀착롤러(232a)가 회전롤러(231a)의 외주면 일측에 접촉할 수 있도록 인접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필름의 선단과 부착테이프는 회전롤러(231a)를 통해 이송되는 제1 필름의 말단에 적층되면서 접합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하부바디부(231)의 하부에 위치한 커터실린더(251)가 가이드브라켓(252)의 일면으로 이송되고 있는 제1 필름방향으로 이동하여 커터홈(253)으로 일부가 수용됨으로써, 소진되고 있는 제1 필름을 절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이 서로 연결되어 상부바디부(232)에 형성된 밀착롤러(232a)를 따라 제2 필름이 연속적으로 권출되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10)는 제1 필름의 말단에 제2 필름의 선단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제2 필름이 소진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필름의 선단을 제2 필름의 말단에 연결하여 연속적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100 : 이송부
110 : 선행롤러부
120 : 후행롤러부
200 : 연결부
210 : 메인바디부
220 : 가이드롤러
230 : 연결챔버부
231 : 하부바디부
231a : 회전롤러
232 : 상부바디부
232a : 밀착롤러
233 : 석션챔버
234 : 석션홀
235 : 펀칭실린더
235a : 하부실린더
235b : 상부실린더
240 : 서브가이드롤러
250 : 절단부
300 : 축적부
310 : 가이드바
320 : 상부이송부
330 : 하부이송부

Claims (7)

  1. 롤러에 권취된 제1 필름을 권출하여 이송하는 선행롤러부와 상기 선행롤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2 필름을 권출하여 이송하는 후행롤러부로 이루어진 이송부;
    상기 제1 필름의 권출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제1 필름에 연결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이송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 필름의 말단과 상기 제2 필름의 선단을 압착하는 연결챔버부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바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상부이송부 및 상기 가이드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하부이송부를 포함하여 형성된 축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챔버부는
    상기 제1 필름의 진입을 위해 일측에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중앙에 회전축을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하부바디부;
    상기 하부바디부를 마주보며 위치하고 일측에 상기 제2 필름의 진입을 위해 회전하는 밀착롤러를 구비한 프레임으로 형성된 상부바디부;
    상기 상부바디부의 일측에 이격되어 상기 제2 필름을 일면에 부착하는 부착테이프를 구비한 석션챔버; 및
    상기 밀착롤러의 외주면 일측에 공기를 흡입하는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 상기 부착테이프의 타면을 위치시키면 상기 부착테이프의 타면이 상기 밀착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흡착시키는 석션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이송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시 중단 시, 중지된 시간만큼 하강하고 하강된 거리만큼 상기 연결챔버부를 통과한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중 어느 하나의 필름을 상기 하부이송부로 이송시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음공정에 연속적으로 필름을 공급해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 메인바디부; 및
    상기 제2 필름이 상기 메인바디부의 상부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부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서브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챔버부는
    상기 하부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이 통과하는 통과홀을 구비하는 하부실린더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타측에 형성된 상부실린더로 이루어진 펀칭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펀칭실린더는
    상기 하부실린더가 승강하여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바디부를 회동하여 상기 밀착롤러를 상기 회전롤러에 접촉시켜, 상기 제2 필름의 선단부 및 상기 부착테이프의 일면에 상기 제1 필름이 적층되어 접합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챔버부는
    상기 하부바디부의 하부 및 상기 상부바디부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7. 삭제
KR1020210021998A 2021-02-18 2021-02-18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KR10235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98A KR102358307B1 (ko) 2021-02-18 2021-02-18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98A KR102358307B1 (ko) 2021-02-18 2021-02-18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307B1 true KR10235830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998A KR102358307B1 (ko) 2021-02-18 2021-02-18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3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193B1 (ko) * 2001-12-10 2006-03-03 다이세이 라믹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389718B1 (ko) * 2013-04-11 2014-04-28 김우진 포장필름의 연속 공급장치
KR102136524B1 (ko) 2016-10-20 2020-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연결 장치
KR102209233B1 (ko) * 2019-08-19 2021-01-29 윤중식 무겹침 방식 원단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193B1 (ko) * 2001-12-10 2006-03-03 다이세이 라믹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389718B1 (ko) * 2013-04-11 2014-04-28 김우진 포장필름의 연속 공급장치
KR102136524B1 (ko) 2016-10-20 2020-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연결 장치
KR102209233B1 (ko) * 2019-08-19 2021-01-29 윤중식 무겹침 방식 원단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191B1 (ko) 맞대기 이음 방식의 원단 자동연결장치
KR20180068788A (ko) 롤투롤 피딩 설비의 오토 스플라이싱 장치
TW201540634A (zh) 網膜接續裝置
KR102358307B1 (ko) 반자동 필름 연결 장치
CN104261170A (zh) 一种纸带接纸装置
KR100920538B1 (ko) 지관 제조용 원지 롤 띠지의 가압 접착장치
JP7057773B2 (ja) 2層ティッシュのウェブを変換するためのティッシュ変換機械用の供給ユニット
KR20160130607A (ko) 목재판넬용 필름 공급 자동화장치
CN210709956U (zh) 剥膜装置
CN110589572A (zh) 剥膜装置
JPS6153293B2 (ko)
KR200479781Y1 (ko) 초배지 제조장치
JP2639575B2 (ja) 繊維角度の異なるプリプレグシートの製造装置
EP1545867B1 (en) Apparatus for feeding paper webs and the like, for the production of cardboard tubes
CN220886324U (zh) 一种贴胶机构及自动换卷装置
KR20140107951A (ko) 배터리팩 접착부재 자동 공급 장치
CN113291900B (zh) 一种接纸装置及复卷机
JP2020063148A (ja) 貼り付け装置
CN109230711B (zh) 带状材料高速有胶拼接装置
CN219077699U (zh) 贴标机
JP6835615B2 (ja) ウエブの接続装置
JPWO2010137060A1 (ja) アンワインダ装置またはワインダ装置
JPH0794296B2 (ja) 自動紙継用前処理装置
CN205882071U (zh) 一种圆柱电池自动贴面垫机
JPS58224719A (ja) ウエブ突合せ接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