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103B1 -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 Google Patents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103B1
KR102358103B1 KR1020200020640A KR20200020640A KR102358103B1 KR 102358103 B1 KR102358103 B1 KR 102358103B1 KR 1020200020640 A KR1020200020640 A KR 1020200020640A KR 20200020640 A KR20200020640 A KR 20200020640A KR 102358103 B1 KR102358103 B1 KR 102358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dust
unit
fil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756A (ko
Inventor
손승희
Original Assignee
손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희 filed Critical 손승희
Priority to KR102020002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10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열차가 운행되는 승강장 내 스크린도어에 구비되는 필터모듈을 통해 먼지를 집진 및 제거함으로써,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열차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DUST FILTERING APPARATUS FOR TRAIN PLATFORM}
본 발명은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 교통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는 지하철의 승강장은 터널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 지하철 운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한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납,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오염 문제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염원은 승강장을 이용하는 승객들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를 야기한다.
특히, 최근 미세먼지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지하철 승강장 내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4416호에는 지하철 터널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지하수를 집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저수탱크, 저수탱크에 연결되어 지하수를 압송하는 펌프, 펌프에 연결되어 지하철 철로변에 배치되어 철로쪽으로 지하수를 분사하기 위한 철로분사부, 펌프에 연결되고 지하철 역내 일측에 설치되어 대기 중으로 지하수를 분사하여 비산 먼지를 제거하는 분진제거부, 지하철 역내 공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센서, 검출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철로분사부와 분진제거부를 제어 및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하철 역내 분진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문헌에 기재된 기술의 경우, 지하수를 집수, 저장, 압송, 분사 등을 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므로, 분진 방지 장치를 구성하기가 어렵고 복잡하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4416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열차가 운행하는 승강장 내 스크린도어에 구비되는 필터모듈을 통해 먼지를 집진 및 제거함으로써,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열차 이용 환경을 제공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열차가 운행되는 승강장 내에서 승객이 승하차하는 위치에 구비된 스크린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에서 상기 스크린도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승하는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스크린도어의 상측에서,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에 결합된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며, 상승하는 상기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스크린도어의 상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으로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되, 상승하는 상기 먼지를 상기 필터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으로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되, 상승하는 상기 먼지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열차가 운행되는 승강장 내 스크린도어에 구비되는 필터모듈을 통해 먼지를 집진 및 제거함으로써,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열차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는, 열차(103)가 운행되는 승강장 내에서 승객이 승하차하는 영역(S1)에 구비된 스크린도어(101)에 설치되는 것으로,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에서 스크린도어(10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승하는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필터모듈(1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지하철의 승강장 내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에 적용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는, 필터모듈(105)을 포함한다.
필터모듈(105)은,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에서 스크린도어(101)의 상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스크린도어(101)는 승객이 승하차하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01-1)와, 개폐도어(101-1)의 상부에 설치되며 개폐도어(10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박스부(10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필터모듈(105)은, 좀 더 구체적으로 컨트롤박스부(101-2)의 상측에 결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필터모듈(105)은,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에서 컨트롤박스부(101-2)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필터모듈(105)은,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에서 상승하는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한다.
상기 필터모듈(105)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필터모듈(105)은, 스크린도어(101)의 상측에서,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에 결합된 거치부(105-1); 및 거치부(105-1)에 구비되며, 상승하는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필터부(105-2);를 포함한다.
거치부(105-1)는, 스크린도어(101)의 상측에서,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에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치부(105-1)는, 상술한 컨트롤박스부(101-2)의 상측에서,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에 결합된다.
한편, 거치부(105-1)는, 스크린도어(101)의 상측에서,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치부(105-1)는, 상술한 컨트롤박스부(101-2)의 상측에,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향 경사'란 거치부(105-1)의 단부가 상방향으로 갈수록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으로 기울어진다는 의미이다.
한편, 거치부(105-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필터부(105-2)는, 상승하는 먼지를 필터링하도록 거치부(105-1)에 구비된다.
물론, 이러한 필터부(105-2)는,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에서 상승하는 먼지, 미세먼지, 중금속 등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갖는다.
필터부(105-2)는, 메쉬 형태의 망들이 적층된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인가된 전기에 의해 미세 먼지 입자, 중금속 입자 등을 집진하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필터부(105-2)는, 거치부(105-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05-2)는, 후술할 가이드부(105-3)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필터모듈(105)은,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으로 거치부(105-1)에 결합되되, 상승하는 먼지를 필터부(105-2)로 안내하는 가이드부(10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05-3)는, 일예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가이드부(10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105-4)에 의해 거치부(105-1)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는, 연결부재(105-4)가 가이드부(105-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가이드부(105-3)와 거치부(105-1)를 연결하며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연결부재(105-4)는, 봉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05-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타입의 봉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105-4)가 텔레스코픽 타입의 봉으로 제공되는 경우, 가이드부(105-3)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05-4) 일측과, 거치부(105-1)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05-4) 타측 중 적어도 한 곳 이상은, 힌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부(105-3)의 설치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물론, 필터모듈(105)에 가이드부(105-3)가 더 포함됨으로써, 상술한 필터부(105-2)는, 가이드부(105-3)와 거치부(105-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가이드부(105-3)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거치부(105-1)와의 사이 간격이 커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승하는 먼지가 필터부(105-2)를 향해 유입되는 유입구의 면적이 넓어짐으로써, 상승하는 먼지의 필터링 및 집진 효율이 높아진다.
한편, 상술한 필터모듈(105)은, 열차(103)가 운행되는 영역(S2) 쪽으로 거치부(105-1)에 결합되되, 상승하는 먼지가 필터부(105-2)로 유입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팬부(10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부(105-5)는 회전하면서 기류를 형성하는 블레이드(날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외에도 기류를 형성하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는 팬부(105-5)가 필터부(105-2)의 후방(여기서, '후방'은 필터부(105-2)를 거치면서 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임)에 배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팬부(105-5)가 필터부(105-2)의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팬부(105-5)는 필터부(105-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팬부(105-5)는, 상술한 연결부재(105-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열차가 운행되는 승강장 내 스크린도어에 구비되는 필터모듈을 통해 먼지를 집진 및 제거함으로써, 열차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하고, 쾌적하고 안전한 열차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스크린도어
101-1 : 개폐도어
101-2 : 컨트롤박스부
103 : 열차
105 : 필터모듈
105-1 : 거치부
105-2 : 필터부
105-3 : 가이드부
105-4 : 연결부재
105-5 : 팬부

Claims (5)

  1. 열차가 운행되는 승강장 내에서 승객이 승하차하는 위치에 구비된 스크린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에서 상기 스크린도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승하는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스크린도어의 상측에서,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에 결합된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며, 상승하는 상기 먼지를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필터부; 및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으로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되, 상승하는 상기 먼지를 상기 필터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하방향으로 갈수록 거치부와의 사이 간격이 커지도록 만곡되어 상기 필터부를 향해 유입되는 먼지의 유입 속도가 증가하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스크린도어의 상측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열차가 운행되는 영역 쪽으로 상기 거치부에 결합되되, 상승하는 상기 먼지가 상기 필터부로 유입되도록 기류를 형성하는 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KR1020200020640A 2020-02-19 2020-02-19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KR10235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40A KR102358103B1 (ko) 2020-02-19 2020-02-19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640A KR102358103B1 (ko) 2020-02-19 2020-02-19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56A KR20210105756A (ko) 2021-08-27
KR102358103B1 true KR102358103B1 (ko) 2022-02-04

Family

ID=7750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640A KR102358103B1 (ko) 2020-02-19 2020-02-19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1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711Y1 (ko) 2004-05-21 2004-08-21 김동욱 지하철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KR101360307B1 (ko) * 2012-08-23 2014-02-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바이모달 트램 정거장용 분진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278B1 (ko) * 2011-09-30 2013-09-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밀폐 스크린 도어장치
KR20170037407A (ko) * 2015-09-25 2017-04-04 백재환 지하철 터널 공기정화시스템
KR102054416B1 (ko) 2018-07-10 2019-12-10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지하철 역내 분진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711Y1 (ko) 2004-05-21 2004-08-21 김동욱 지하철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KR101360307B1 (ko) * 2012-08-23 2014-02-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바이모달 트램 정거장용 분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756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906B1 (ko) 이동 수단을 이용한 대기 미세먼지 포집 장치
CN105579154A (zh) 用于配备诸如焊接区域的工业作业区域的空气抽吸壁
US20090308244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Filtering Air in an Urban Environment
US201001014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eaning atmospheric pollution
KR20190093474A (ko) 산업용 굴뚝의 미세먼지 제거장치
US11511603B2 (en) Dust reduction device
KR20200079810A (ko) 도로 분진 청소 차량의 분진 제거 성능 평가 장치 및 시스템
CN106111654B (zh) 一种气流调节型多用途净气通风柜
KR102358103B1 (ko) 열차 승강장용 먼지 필터링장치
CN109139078A (zh) 一种隧道通风排烟系统
CN203737696U (zh) 稻谷装车用吸尘装置
CN208198419U (zh) 一种轨道车辆用防尘防水进风格栅
CN211314263U (zh) 一种矿井通风装置
KR102311583B1 (ko)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WO2021074637A1 (en) An air filtration system
CN206237702U (zh) 防水防尘结构、环境监测设备机箱以及环境监测设备
KR102517186B1 (ko) 소형 굴뚝용 가스 및 미세먼지 복합 측정기
CN2701545Y (zh) 一种吸除尘装置
CN107472262B (zh) 内燃机车动力室自散热装置
KR102000020B1 (ko) 비산먼지 집진장치
RU163676U1 (ru)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бокс тепловоз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вентиляции
CN208018301U (zh) 一种智能尘埃粒子捕捉器
CN107815991A (zh) 一种城市道路除尘系统
CN208186602U (zh) 净化室内空气的空气净化装置
ES2589355B1 (es) Sistema de captación de partículas en estaciones subterrán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