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074B1 -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 Google Patents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074B1
KR102357074B1 KR1020210051378A KR20210051378A KR102357074B1 KR 102357074 B1 KR102357074 B1 KR 102357074B1 KR 1020210051378 A KR1020210051378 A KR 1020210051378A KR 20210051378 A KR20210051378 A KR 20210051378A KR 102357074 B1 KR102357074 B1 KR 10235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ain body
vacuum
unit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2411A (ko
Inventor
박정열
양규상
Original Assignee
(주)대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대동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5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7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411A/ko
Priority to PCT/KR2021/008394 priority patent/WO202222509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5Rock drills, i.e. jumbo dri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00Drives for drilling, used in the borehole
    • E21B4/003Bearing, sealing, lubricat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6/00Drives for drilling with combined rotary and percussive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공드릴은 내부에 차음공간을 가지며 일측 단부에 지지결합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차음공간에 전,후 이송유닛에 지지되어 상기 차음공간의 내부에서 전, 후진되는 드리프터와, 상기 드리프터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차음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롯드와, 진동드릴 본체부의 롯드 인출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롯드의 진동이 본체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현가되도록 지지되며 롯드를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롯드지지부를 가지는 하우징부재를 구비한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음공간의 내부를 진공시킴과 아울러 외기를 취입하여 드리프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발생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Low noise rod sealing unit and vacuum drill using it}
본 발명은 진공드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소음 발생부 주위에 진공분위기의 차음공간을 형성하여 소음의 확산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천공 시 발생되는 분진과 이물질이 본체부의 차음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천공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지형 및 도심지 등에 도로, 터널, 건축물 등을 건설하기 위한 토목 공사 중 큰 암반이 발견 될 경우, 이 암반을 제거하기 위한 암반 파쇄 방법으로는 암반에 다수개의 천공홀을 형성하고, 천공홀에 폭발물을 설치하여 발파하는 방법과,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암반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면서 파쇄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특히, 도심에서는 진동, 소음, 분진 등이 주변 구조물과 인체 등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암반에 천공홀들을 가공하고, 파쇄기에 구비된 윙거를 천공홀에 삽입하여 천공홀을 확장시키면서 천공홀로부터 균열을 유도하는 무진동 암반 파쇄 공법 등이 이용된다.
상기 공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암반에 다수의 천공홀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기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8164호에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천공기는 굴삭기 암 선단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이동블록과 연결되어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며 회전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천공작업을 실시하는 코어드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천공기는 암을 파쇄 시 코어드릴의 진동 및 구동부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의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게됨으로써, 소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7217호(2015.12.08.)에는 저소음 천공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14-0128550호(2014.11.06.)에는 착암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착암기는 드리프터가 설치되는 피드빔과; 상기 피드빔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빔홀더와; 상기 드리프터와 상기 피드빔을 차폐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빔홀더에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착암기는 드리프터와 피드빔을 차폐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드리프터와 피드빔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있으나 케이스가 밀폐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소음의 차단효과가 높지 않고, 케이스 내에서의 공명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없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2-0039856호(2012.04.26.)에는 장심도 슬롯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진동 암반 굴착방법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896100호(2018.08.31.)에는 저소음 천공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저소음 천공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착암 로드와, 지지 플레이트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착암 로드를 구동시키는 드리프터를 구비한 로드 구동부재; 복수개로 분할 및 체결되어 착암 로드가 인출 가능하도록 로드 구동부재를 내측에 수용하고, 내면에서 흡음재 및 단열재가 적층되는 밀폐 하우징과, 상기 밀폐 하우징의 선단에서 착암 로드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하우징의 개구에는 내측의 소음을 차폐시키도록 한 쌍의 브러쉬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천공기는 밀폐하우징을 이용하여 드리프터를 감쌈으로써 이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고 있다. 그리나 소음 감쇄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20-0045994호에는 저소음 착암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저소음 착암기는 본체부에 대해 샹크부를 지지하는 실링부위를 통하여 천공 시 발생되는 분진 또는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7217호(2015.12.08.)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14-0128550호(2014.11.0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2-0039856호(2012.04.2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96100호(2018.08.3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드리프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롯드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차단하는 차음공간을 형성하여 소음이 외부로 전달 및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천공을 위한 롯드가 본체부로부터 인출되는 부위를 통하여 분진이 본체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롯드의 단부에 설치된 비트에 의해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함과 아울러 분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드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은 진동드릴 본체부의 롯드 인출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롯드의 진동이 본체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현가되도록 지지되며 롯드를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롯드지지부를 가지는 하우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롯드지지부는 내주면을 따라 인입되는 실링그루브가 형성되고, 이 실링그루브에 공압을 공급하여 롯드지지부의 주위에 소정압의 공압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롯드의 회전 및 전후진 시 분진이 롯드의 외주면을 따라 롯드지지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공압공급부를 구비한다.
상기 공압공급부는 상기 롯드지지부의 실링그루브와 연통되는 공압공급관과, 상기 공압공급관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공급소스를 구비하며, 상기 공압공급소스는 상기 공압공급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드리프트의 단부에 공압이 배출되는 공압배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드릴은 내부에 차음공간을 가지며 일측 단부에 지지결합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차음공간에 전,후 이송유닛에 지지되어 상기 차음공간의 내부에서 전, 후진되는 드리프터와, 상기 드리프터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차음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롯드와,
진동드릴 본체부의 롯드 인출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롯드의 진동이 본체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현가되도록 지지되며 롯드를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롯드지지부를 가지는 하우징부재를 구비한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음공간의 내부를 진공시킴과 아울러 외기를 취입하여 드리프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발생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롯드지지부는 내주면을 따라 인입되도록 실링그루브에 형성되고, 이 실링그부브에 공압을 공급하여 롯드의 회전 및 전후진 시 분진이 롯드의 외주면을 따라 롯드지지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공압공급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 이송유닛은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가이드부재와, 상기 이송가이드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리프터가 설치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을 전후진시키는 액튜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진공발생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냉각을 위한 외기가 차압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외기취입공과, 상기 본체부의 차압공간과 배기관에 의해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용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은 암반에 홀의 형성 시 드리프트 또는 롯드와 이의 단부에 설치되는 비트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암반의 천공 시 롯드와 이에 설치된 비트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본체부로 전달되어 공명함으로서 소음이 증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은 차음공간을 진공으로 유지함과 아울러 외부공기를 외기취입공을 통하여 차음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드리프트의 냉각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롯드실링유닛을 가진 천공드릴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이 설치된 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공드릴이 굴삭기의 붐에 장착되어 암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작동을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천공드릴에 의해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소음의 감소와 진동을 줄일 수 있는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진공드릴(10)은 암반에 천공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차음공간(21)을 가지며 일측 단부에 굴삭기(200)의 붐(210)과 결합되는 지지결합부(22)를 가지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의 차음공간(21)에 전,후이송유닛(30)에 지지되어 상기 차음공간(21)의 내부에서 전, 후진되며 롯드(51)가 상기 본체부의 차음공간(21)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드리프트(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의 하면부측에 설치되어 롯드(51)를 가이드함과 아울러 차음공간(21)과 외기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며 천공 시 발생되는 롯드(51)의 진동이 본체부(20)에 전달되어 공명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저소음 롯드실링유닛(70)을 구비한다. 상기 롯드(51)에는 암반을 천공하기 위한 비트유닛(55)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에 설치되어 상기 차음공간(21)의 내부를 진공시킴과 아울러 외기를 취입하여 드리프터(50)을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발생유닛(90)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20)의 하부측에는 암반의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천공 시 발생되는 암반의 분진과 칩을 배출하는 배출유닛(10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착암기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드릴(10)의 본체부(20)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차음공간(21)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드리프트(50)를 감싸며 드리프트(50)가 전, 후진되면서, 이에 설치된 롯드(51)가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행정거리를 가질 수 있는 차음공간을 가지는 구조이면 가능한다.
상기 전, 후이송유닛(30)은 본체부(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드리프터(50)를 지지함과 아울러 전, 후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차음공간(21)에 위치될 수 있도록 본체부(20)에 적어도 하나의 이송가이드부재(3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부재(31)에는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송부재(32)이 설치되는데, 상기 이송부재(32)에는 드리프터(50)가 설치되어 이송부재(32)의 이동에 따라 차음공간(21)의 내부에서 전, 후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이송가이드부재(31)를 따라 이송부재(32)를 전, 후진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가 설치된다. 상기 액튜에이터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35)가 이용될 수 있는데, 상기 액튜에이터를 이루는 실린더본체(35a)는 본체부(20)의 내부에 이송가이드부재(31)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실린더의 로드(35b)는 상기 드라프터(50)가 설치된 이송부재(32)와 힌지연결된다.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송부재(32)를 상기 가이드부재(32)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송부재(32)에 설치된 드리프터(50)의 롯드(51)는 이송부재(32)의 전진 시 차음공간(21)으로부터 암반의 천공방향으로 전진되고, 이송프레임(30)의 후진 시 롯트(51)의 단부와 이에 설치된 비트(55)를 제외한 부위가 차음공간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이송프레임(30)이 전, 후진됨에 따라 롯드(51)는 상기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70)에 의해 지지되어 롯드(51)의 구동 시 진동이 상기 본체부(20)로 전달되어 공명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저소음 롯드실링유닛(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에 설치되어 상기 롯드(51)가 관통하는 관통공(71)이 형성된 베이스부재(7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72)에는 관통공(71)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탄성부재(73)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73)에는 롯드(51)를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롯드지지부(80)를 가지는 하우징부재(75)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부재(75)에 설치되는 롯드지지부(80)는 상기 하우징부재(75)에 설치된 롯드지지부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73)의 관통공을 차단하여 차음공간(21)이 밀폐된다.
상기 롯드지지부(80)의 내주면에는 롯드(51)의 외주면과 롯드지지부(80)의 내주면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실링부재(82)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롯드지지부(80)의 단부측 내주면에는 이를 내주면을 따라 인입되도록 실링그루브(83)가 에 형성되고, 상기 롯드지지부(80)에는 상기 실링그루브(83)에 공압을 공급하여 롯드의 회전 및 전후진 시 분진이 롯드(51)의 외주면을 따라 롯드지지부(8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공압공급부(85)가 설치된다.
상기 공압공급부(85)는 상기 롯드지지부(80)에 고정되어 상기 실링그루브(82)에 소정의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공급관(86)과 상기 공압공급관(86)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공급소스(87)를 포함한다. 상기 공압공급소스(87)는 공압공급관(86)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드리프터(50)에 형성되어 드리프터를 구동시키고 공압이 배출되는 배출관 또는 진공발생유닛(90)의 진공펌프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관과 연결되어 이로부터 배출되는 공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공압공급관(85)에는 이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윤활유가 편성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윤활유공급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발생유닛(90)은 상기 본체부(20)의 차음공간(21)의 내부를 소정의 진공압을 유지함과 아울러 드리프터(50)을 냉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부(20)의 차음공간(21)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배기관(91)과 연결되는 진공펌프(9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0)에는 드리프터(50)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외기를 취입하기 위한 외기취입공(95)이 형성된다. 상기 외기취입공(95)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은 상기 진공펌프(92)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량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하여 진공펌프(92)에 의해 차음공간 내부의 진공이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배출유닛(100)은 본체부(2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암반의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천공 시 발생되는 암반의 분진과 칩을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0)의 하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소음 롯드실링유닛(70)과 롯드의 외주면을 감싸 내부에 천공 시 발생되는 분진과 칩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챔버(102)를 형성하는 제1서브본체부(101)와, 상기 제 1서브본체부(10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암반에 천공 시 발생되는 칩과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03)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관(103)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분진을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팬 또는 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제1서부본체부(101)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본체부(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11)가 형성된 제 2서브본체부(110)와, 상기 제 2서브본체부(110)에 지지되며 단부가 천공되는 암반과 밀착되어 롯드(51)의 단부에 설치된 비트(55)에 의해 천공시 분진 및 배출칩의 방지하는 완충커버부재(112)를 구비한다. 상기 완충커버부재(112)는 탄성력를 가지는 고무, 합성고무재, 합성수지,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공드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을 가지는 천공기는 이용하여 암반에 홀을 천공하기 위해서는 도 1, 2,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200)의 붐(210)에 장착한 상태에서 천공홀을 형성하기 위한 분위의 암반에 완충커버부재(112)를 밀착시킨다. 이때에 롯드(51)는 본체부(20)의 차음공간(20)에 인입된 상태이므로 롯드(51)의 단부에 설치되는 비트(55)는 완충커버부재112)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롯드(51)와 연결된 각 드리프터(5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이송유닛(30)의 실린더(35)를 조작하여 이송부재(32)가 가이드이송부재(31)를 따라 하강되도록 한다. 따라서 드리스터(50)의 구동으로 상기 롯드(51)에 설치된 비트유닛(55)은 진동 및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이송부재(32)에 지지된 드리프트(50)가 이송프레임(30)과 같이 상기 본체부(20)의 내부에서 전진하게 되고, 상기 롯드(51)가 차음공간(21)의 내부로부터 전진하면서 천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롯드(51)에 설치된 비트유닛(55)은 암반을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게 된다. 암반의 천공이 이루어진 과정에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드리프터(50)의 구동시킨 고압의 공기는 롯드(51)와 비트유닛(55)의 중공부를 통하여 토출됨으로써 비트유닛에 의해 암반의 천공 시 발생되는 칩과 분진 즉, 천공시 발생되는 암석조각과 먼지들을 외부로 배출관(103)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배출관(103)에 배출팬 또는 펌프가 설치된 경우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공드릴(10)에 의해 암반의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드리프터(50)의 구동 시 발생되는 소음과 암반의 천공 시 반발력에 의해 롯드부(51)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소음은 외부와 구획되며 진공압이 유지되는 차음공간(21)에 의해 차단되어 작아지거나 소멸된다. 특히, 상기 롯드(51)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소음은 초기 천공이 이루어지는 시기부터 천공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차음공간(21)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롯드(51)의 진동에 의한 소음이 감쇄된다.
특히, 상기 롯드(51)는 상기 저소음 롯드실리유닛(7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롯드의 진동과 소음이 본체부(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천공시 발생되는 분진이 롯드(51)를 따라 차음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롯드(51)의 외주면은 실링부재(82)들이 설치된 롯드지지부(80)들에 의해 지지되고, 이 로드지지부(80)는 탄성부재(7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롯드(51)로부터 발생된 진동과 소음이 차단된다.
특히 상기 롯드지지부(80)의 단부측 내주면에는 이를 내주면을 따라 인입되도록 실링그루브(83)가 형성되고, 이 실링그루브(83)에 공압공급관(86)를 통하여 공압이 공압공급소스(87)에 의해 공급되어 롯스지지부(80)의 주위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주위보다 높은 고압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분진이 이물질이 롯드(51)의 외주면과 롯드 지지부(80)의 내주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실링그루브(83)에 공압공급관(86)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윤활유를 편승하여 공급할 수 있으므로 윤활효과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진공발생유닛(90)에 의해 차음공간(21)의 진공이 이루어진 본체부(20)에 형성된 외기취입공(93)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외기가 차음공간의 내부로 유입된 후, 진공펌프(9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차음공간(21)에 열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드리프터(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저소음 착암기는 차음공간을 소정의 진공압을 유지함으로써 드리프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본체부를 통하여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리프터가 차음공공간의 내부에서 전, 후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롯드의 외주면과 롯드지지부의 내주면 사이로 분진 또는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진동드릴 본체부(20)의 롯드 인출공과 대응되는 관통공(71)이 형성된 베이스부재(72)와, 상기 베이스부재(72)에 롯드(51)의 진동이 본체부(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73)에 의해 현가되도록 지지되며 롯드(51)를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롯드지지부(80)를 가지는 하우징부재(75)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재(75)의 롯드지지부(80)는 내주면을 따라 인입되도록 실링그루브(83)에 형성되고, 이 실링그르부(83)에 공압을 공급하여 롯드의 회전 및 전후진 시 분진이 롯드(51)의 외주면을 따라 롯드지지부(8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공압공급부(8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드릴의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공급부(85)는 상기 롯드지지부(80)의 실링그루브(83)와 연통되는 공압공급관(86)과, 상기 공압공급관(86)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공급소스를 구비하며, 상기 공압공급소스는 상기 공압공급관(86)과 연결되는 것으로 드리프트의 단부에 공압이 배출되는 공압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드릴의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
  4. 내부에 차음공간(21)을 가지며 일측 단부에 결합지지부(22)를 가지는 본체부(20)와,
    상기 본체부(20)의 차음공간(21)에 전,후 이송유닛에 지지되어 상기 차음공간(21)의 내부에서 전, 후진되는 드리프터(50)와, 상기 드리프터(5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20)의 차음공간(21)으로부터 인출되는 롯드(51)와,
    진동드릴 본체부(20)의 롯드 인출공과 대응되는 관통공(71)이 형성된 베이스부재(72)와, 상기 베이스부재(72)에 롯드(51)의 진동이 본체부(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73)에 의해 현가되도록 지지되며 롯드(51)를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롯드지지부(80)를 가지는 하우징부재(75)를 구비한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70)과,
    상기 본체부(20)에 설치되어 상기 차음공간(21)의 내부를 진공시킴과 아울러 외기를 취입하여 드리프터(50)를 냉각시키기 위한 진공발생유닛(90)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재(75)의 롯드지지부(80)는 내주면을 따라 인입되도록 실링그루브(83)에 형성되고, 이 실링그루브(83)에 공압을 공급하여 롯드(51)의 회전 및 전후진 시 분진이 롯드(51)의 외주면을 따라 롯드지지부(8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공압공급부(8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드릴.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이송유닛(30)은 본체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가이드부재(31)와, 상기 이송가이드부재(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리프터(50)가 설치되는 이송부재(32)와, 상기 본체부(2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재(32)를 전후진시키는 액튜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드릴.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유닛(90)은 상기 본체부(20)에 형성되는 냉각을 위한 외기가 차압공간(2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외기취입공(9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0)의 차압공간(21)과 배기관(91)에 의해 연결되는 진공펌프(9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드릴.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에 설치되어 암반의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이 환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천공 시 발생되는 암반의 분진과 칩을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0) 하단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소음 롯드실링유닛(70)과 롯드의 외주면을 감싸 내부에 천공 시 발생되는 분진과 칩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챔버를 형성하는 제1서브본체부(101)와, 상기 제 1서브본체부(10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암반에 천공 시 발생되는 칩과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03)과,
    상기 제1서브본체부(101)와 결합되며 외주면에 상기 본체부(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11)가 형성된 제 2서브본체부(110)와, 상기 제 2서브본체부(110)에 지지되며 단부가 천공되는 암반과 밀착되어 롯드(51)의 단부에 설치된 비트(55)에 의해 천공시 분진 및 배출칩의 방지하는 완충커버부재(112)를 가지는 배출유닛(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드릴.








KR1020210051378A 2021-04-20 2021-04-20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KR10235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78A KR102357074B1 (ko) 2021-04-20 2021-04-20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PCT/KR2021/008394 WO2022225096A1 (ko) 2021-04-20 2021-07-02 로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저소음 진공 락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78A KR102357074B1 (ko) 2021-04-20 2021-04-20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411A KR20210052411A (ko) 2021-05-10
KR102357074B1 true KR102357074B1 (ko) 2022-02-08

Family

ID=7591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378A KR102357074B1 (ko) 2021-04-20 2021-04-20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7074B1 (ko)
WO (1) WO2022225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074B1 (ko) * 2021-04-20 2022-02-08 (주)대동이엔지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352B1 (ko) * 2011-03-16 2012-02-15 박정열 친환경 도심형 암파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JP2012077487A (ja) 2010-09-30 2012-04-19 Furukawa Rock Drill Co Ltd 穿孔機械のサクションキャップ装置
KR101197158B1 (ko) 2010-07-09 2012-11-09 지성중공업 주식회사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JP5605196B2 (ja) 2010-12-09 2014-10-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駆動装置
JP2015229226A (ja) * 2014-06-06 2015-12-21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掘削装置用チゼ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掘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82B1 (ko) 2010-10-18 2013-02-21 강릉건설 주식회사 장심도 슬롯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진동 암반 굴착 방법
KR20140128550A (ko) 2013-04-26 2014-11-06 주식회사수산중공업 착암기
KR101577217B1 (ko) 2015-09-03 2015-12-14 유재철 휴대용 착암기를 이용한 천공장치
KR101896100B1 (ko) 2018-05-24 2018-09-06 유재철 저소음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다운타운 스므스 블라스팅 공법
KR102357073B1 (ko) * 2020-03-17 2022-01-28 (주)대동이엔지 저소음 브레이커
KR102352420B1 (ko) * 2020-04-06 2022-01-18 (주)대동이엔지 저소음 착암기
KR102357074B1 (ko) * 2021-04-20 2022-02-08 (주)대동이엔지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158B1 (ko) 2010-07-09 2012-11-09 지성중공업 주식회사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JP2012077487A (ja) 2010-09-30 2012-04-19 Furukawa Rock Drill Co Ltd 穿孔機械のサクションキャップ装置
JP5605196B2 (ja) 2010-12-09 2014-10-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駆動装置
KR101110352B1 (ko) * 2011-03-16 2012-02-15 박정열 친환경 도심형 암파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JP2015229226A (ja) * 2014-06-06 2015-12-21 古河ロックドリル株式会社 掘削装置用チゼ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掘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411A (ko) 2021-05-10
WO2022225096A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073B1 (ko) 저소음 브레이커
KR102357074B1 (ko) 저소음 롯드 실링유닛과 이를 이용한 진공드릴
KR102352420B1 (ko) 저소음 착암기
KR102222785B1 (ko) 진동리퍼를 이용한 미진동 암파쇄 공법
KR101652991B1 (ko) 암분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dth 방식의 천공기 및, 이를 이용한 천공방법
KR101110352B1 (ko) 친환경 도심형 암파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JPS59138615A (ja) カツタバケツト
CN109296311A (zh) 一种高压气体潜孔冲击器
KR102279896B1 (ko) 저소음천공기와 이를 이용한 암파쇄공법
KR101627822B1 (ko) 케이싱을 구비한 역순환 천공비트장치
EP1589187B1 (en) Bedrock drilling and excavating apparatus
KR20100093238A (ko) 말뚝공 천공용 햄머 장치, 햄머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햄머 물 공급 장치, 말뚝공 천공용 소음장치, 이들을 구비한 햄머 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공 시공 방법
US7090038B2 (en) Bedrock drilling and excavating apparatus
KR101845075B1 (ko) 지중 매설용 터널식 관로의 선단추진 장치
KR102275847B1 (ko) 터널 굴착기
JP7260219B1 (ja) 掘削機
KR20220125442A (ko) 저소음 멀티 코아드릴 장치
KR102424003B1 (ko) 진공 햄머
JP4298897B2 (ja) シールド装置及び既設管更新方法
JPH11188662A (ja) 油圧ブレーカの防塵装置
KR102472012B1 (ko) 에어플러싱 기능을 탑재한 굴삭기용 락드릴
KR101655326B1 (ko) 원통회전식 굴착기 및 이를 이용한 강관 선단부 굴착방법
JP3453233B2 (ja) オールケーシング工法用中掘り掘削機
EP4116502A1 (en) Vacuum breaker
JP2018105020A (ja) シールド掘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